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3

        101.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인성 우수유치원으로 선정된 공립 유치원 1급 정교사가 1년간 수업에서 활용한 일일교육계획안을 대상으로 하여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 적 유아교육에서의 교육내용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한 결과, 첫째, 일일교육계획안의 전체 생활주제에 나타난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의 범주별 교육내용 양상은 자아관 범주에서는 자유 교육내용이, 타인관 범주에서는 기본예절 교육내용이, 사회문화관 범주에서는 매체소양 교육내용이, 환경관 범주에서는 환경적 구성 교육내용이, 경제관 범주에서는 시장과 가격 교육 내용이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일일교육계획안의 각 생활주제에 나타난 교육내용 범주별 양상에서는 자아관과 타인관 범주에서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일일교육계 획안의 각 단위활동에 나타난 공존지향적 유아교육 내용은 등원과 간식 및 점심 단위활동의 경우 자아관의 자율 교육내용이, 자유선택활동, 바깥놀이, 평가 및 귀가, 이야기나누기, 문학활 동, 음악, 신체활동, 게임, 기타 단위활동의 경우 자아관 범주의 자유 교육내용이, 현장학습 단 위활동의 경우 자아관 범주의 평등 교육내용이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었다.
        102.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9 개정 바른 생활 교과 내용을 다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한 분석 도구는 문화 이해, 정체성, 평등성, 다양성, 편견 극복, 협력의 6가지 요소였다. 분석 결과, 2009 개정 통합 교육과정 바른 생활 영역에서는 다문화적 요소들이 매우 적게 나타났다. 일부 다문화 내용이 많이 포진되어 있는 1학년에서의 ‘추석’이나 ‘우리나라의 상징’ 그리고 2학년 2학기에 배우는 ‘우리나라와 이웃나라’에서는 주로 한민족의 정체성 부분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다문화적 요소 중 ‘문화 이해’나 ‘다양성’ 요소를 고르게 반영한 부분은 ‘가족2’ 교과서의 ‘다양한 가족’이라는 단원(소주제) 뿐이었다. 바른 생활 교과가 기본 생활습관 형성을 중요한 목적으로 하는 교과인 만큼 다양한 문화, 다양한 언어, 다양한 종족에 대한 이해와 수용 등에 관한 내용이 체계적으로 반영되어야 필요성이 있다.
        103.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기후변화와 같이 단일 국가에 국한되지 않은 재해 및 재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국제 공동연구 및 국제화에 대한 관심과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재해관리 및 안전교육 분야 역시 국제 공동 프레임워크(Framework) 구축이나 공동 대응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선진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재난안전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의 소방방재청과 대학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는 교육 현황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선진국은 주로 미국의 재난관리교육원(Emergency Management Institute)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더불어 미국 내에서 재난이나 안전관리에 관련된 교과목이 개설되어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인 University of North Texas, Virginia Tech University, Oklahoma State University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분석 결과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는 재난 및 안전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 중심의 교육과 관련직에 종사하기 위한 전문지식을 배우기 위한 학위과정으로 나누어져 상당히 체계적이고 자세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난대비를 위한 교육과 재난발생 시 행동요령, 안전행동요령 등 세분화된 교육이 실시되고 있었으며, 새로운 재난 형태인 기후변화까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향후 소방방재청 및 국내 대학에서도 새로운 교육과목 및 교육과정을 개설하기 위한 기본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국내에 존재하는 교육과정에 중복이나 연계성 부족 등이 관찰되어 보다 장기간의 계획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확립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06.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용 NIR 장비에서 수집된 벼 생엽의 질소 함량 검량 식 및 데이터베이스를 현장용 NIR 장비에 검량식을 이설,검증함으로서 현장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스펙트럼을 수집한 시료 중선발 된 A 데이터 세트(개체수 454점)의 총 질소범위는 2.041%~4.933%, 2012년 수집된 B 데이터 세트(258점)는 2.180%~3.690%이며 각각의 전체 평균은3.497%, 2.712%였다.2. A, B 데이터 세트에서 유도된 검량식 결과 결정계수(R2)는 각각 0.845, 0.777,표준오차(SEC)는 0.196, 0.126,SECV는 0.238, 0.150이었다.3. 연구용 NIR 장비 400 nm~2500 nm 파장에서 얻어진데이터베이스를 현장용 NIR 장비 1200 nm~2400 nm파장에 맞게 잘라 이설한 후 2012년 데이터베이스에업데이트 확장한 후 작성된 검량식 결과 결정계수(R2)는 0.880, 표준오차(SEC)는 0.191이었다.4. 연구용 NIR 장비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현장용NIR 장비에 맞춰 데이터베이스를 확장 업데이트하고검량식을 이설한 결과 연구용 장비와의 표준오차는0.005%로 거의 동일한 수준의 결과를 얻었다.
        108.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the high throughput screening system of high functional soybean cultivars using PLS modeling from FT-IR spectral data of soybean(Glycine max L) seeds. Crude extract of 20% methanol from soybean seed powders (153 lines) were used for FT-IR spectroscopy. Total fatty acid, carotenoids, flavonoids and phenolic compounds contents from soybean seed powders were analyzed using UV-spectrum and GC analysis respectively. PCA analysis showed that 153 soybean lines formed a single clusters with a few outlier. PC score 1 and 2 represented 39.5, 16.4% of total variation, respectively. And than showed change patten from the middle to outside for PCA plot. We conducted PLS regression analysis between FT-IR spectral data and fatty acids data. Palmitic acid showed the highest regression coefficient (R=0.78).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content of palmitic acid could be predicted from FT-IR spectral data from soybean seed powders with relatively high fidelity. PLS modeling of total carotenoids also showed regression coefficient of 0.69. Regression coefficient of total flavnoids and phenolic compounds were 0.44, 0.39, respectively. At present, we are trying to confirm the accuracy of PLS prediction modeling using targeted metabolite analysis (GC-MS, LC-MS) from predicted soybean line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PLS modeling, we also trying to standardization of spectroscopy and spectral data processing. Furthermore we are going to develop PLS modeling from GC-MS, LC-MS data. The PLS prediction modeling establish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for high throughput screening of other leguminous plant.
        109.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체제 속의 초중고 사회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다문화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17권의 사회 교과서 속에서 다문화 관련 내용을 직간접적으로 담고 있는 단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관련 용어 정의의 미흡, 일관성이 낮은 용어 사용, 이주자에 대한 부정적 인상을 줄 수 있는 기술 태도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화 상대주의 태도의 편협한 적용, 다문화적 변동에 대한 추상적 해결 방안 제시 등의 문제점도 나타났다.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체제에 따라 개발될 사회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개선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10.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러닝은 온라인게임 네트워크와 가상세계 속 활동, 유저 간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몰입과 재미를 느끼며 공부할 수 있는 학습방법으로 기존 학습방법과 차별화된 새로운 시도로 평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G러닝을 실제 초등학교 수학 정규 교과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G러닝의 실제 활용에 대한 사례를 마련하고 아울러 G러닝을 통한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서울 소재의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G러닝을 실제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를 성취도 변화 값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의 결과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G러닝의 실제 적용 사례가 본 논문을 통해 정리 되었으며 학습자의 학습 효과에 대한 측정과 분석 결과 연구반이 일반반에 비교하여 성취도 변화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G러닝이 학습자의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 되었다.
        111.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st century has begun as an age of green growth. Development paradigms disregard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re being changed and henceforth, stronger efforts should be made to discover and utilize green values. With the importance of green values, rural amenity which is in the spotlight as a new channel to change the way people think about depressed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could be the key to discover green values of rural area. This study is to emphasize rural amenity and to rectify prejudiced and distorted contents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in agricultural highschool textbooks. By doing this, students of agricultural highschool who will lead agriculture in the future will com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 and discovering it's values. This study was done through analysis and development of contents in 39 kinds of textbooks of Agricultural highschool. A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o what extent the contents on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s of agriculture highschool. And 262 new education contents formulating positive and exact rural amenity concept were developed and 62 of them were included in textbooks.
        113.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enolic compounds are naturally occurring secondary metabolites from various plants. These compounds play important roles in plant such as antioxident,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effe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phenolic compounds contents in Kenaf leaf and stem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y. Kenaf i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third largest fiber crop. Recently, interest in this crop is growing.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ir functional material.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phenolic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various among the examined cultivars of Kenaf. Especially, phenolic compounds contents of leaf were higher than those of stem.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phenolic compounds was in the E41 leaf(24358.99㎍/g) and the lowest concentration was in the Kenaf (in korea) stem(988.21㎍/g).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ed that its contents were different in leaf and stem.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Kenaf can be used for functional plant.
        115.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ushroom Agrocybe chaxingu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of this potential food. The moisture content was 88.9% in the fruiting body of A. chaxingu, and the proportions of ash, crude fiber,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0.9%, 1.4%, 7.2%, 2.5% and 0.4% by weight, respectively. A. chaxingu contained 1.29 mg/100 g edible weight of vitamin , and the contents of vitamin , vitamin , and vitamin C were 0.15 mg, 0.32 mg, and 18.4 mg per 100 g of wet mushroom. Potassium (3,318 mg/100 g, dry basis) was found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A. chaxingu. In addition, the mushroom contained many other minerals (all figures are mg per 100 g of dried mushroom) such as phosphorus (909.7), magnesium (141.3), sodium (12.7), zinc (7.4), iron (6.5), copper (2.8), manganese (0.8), and nickel (0.1). The results indicate that A. chaxingu is a valuable nutrient source.
        116.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은 미국에서부터 시작되어 점차 발전되어 왔으며, 현 시점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정밀농업 기술 중 하나이다.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과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 수확량 정보의 공간변이성 해석이다. 본 실험은 논 포장에서의 수확량의 공간변이성과 한계수확량 및 수분함량이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며 수행되었다. 2002년 10월 서울대학교 부속 실험농장 소재의 두 기계 이앙 재배 답작 포장(0.2 ha)과, 전북 김제 만경평야 소재의 두 직파재배 포장(0.4 ha)에서 구획별 수확량 정보를 획득한후 각 포장별로 통계분석을 통해서 포장 내의 수량변이를 조사 및 해석하였다. 그리고 각 포장의 수확작업 시 구획별로 샘플을 획득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한 후 수분함량 보정전과 보정후의 수량을 비교 분석하고, 수분함량과 수확량에 대한 비교 분석과, 수분함량 지도를 작성하여 수확량 지도와의 비교를 통해 수분함량과 수확량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정확한 수확량 지도 작성을 위해서는 샘플링 간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나 콤바인의 예취 폭과 포장면적을 고려하여 조절해야 할 것이다. 수확량 정보를 얻을 때 한 구획의 넓이는 포장 면적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하겠지만 가로 세로 길이로 봤을 때 5 m이상 15 m이하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변량시비 처리가 실시된 포장의 경우 같은 조건에서 일반시비로 재배된 포장에 비해서 수량은 비슷하나 변이는 적게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각 포장내의 변이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평균 수확량의 절반이상의 편차를 보이고 있으므로 포장내의 지점별 수획량의 변이는 상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Sensor를 이용한 수확량 측정에서는 위에서 나타난 값으로 보았을 때 최소 300 kg/10a 이하에서 최대 1000 kg/10a 이상까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수분함량은 한 포장 내에서의 변이가 큰 편은 아니었고 공간의존성도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포장간의 변이는 수확 전의 기상상황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수분함량 자체의 포장 내 변이가 크지 않으므로 수확량의 공간의존도에 대한 변화는 크지 않았다.
        11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 of the contents of the plan that was implemented through contents analysis on the master plan project of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that began in 2004. Contents analysis i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business in the detailed enforcement regulations of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alysis on the project contents was conducted for 30 days from June 20 to July 20 for the 132 regions established in the master plan during the period from 2004 to 2007.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First, scenery facilities, rural tourism, cultural welfare and income basis projects accounted for 76.5% of the total projects. Second, with regard to investment costs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projects, cultural welfare, rural tourism and income basis projects accounted for 66.3% of the total investment costs. Third, it was found out that, with regard to the trend of change in the project contents by year, income basis projects were sharply reduced whereas cultural welfare and scenery facilities projects were increased. Finally, with regard to the analysis on the projects by region, it was found that Gangwon, Gyeonggi and Chungnam gave high weight on rural tourism, whereas Gyeongbuk, Jeonnam and Jeonbuk gave low weight on rural tourism. Particularly, Gyeongnam was found to have given low weight on income basis project.
        118.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22종을 대상으로 제7학년과 제9학년에 나오는 식물의 종류, 출현빈도 그리고 학습내용을 직업선택과 주거생활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미래의 기술 대단원에 나오는 식물은 채소류와 화훼류뿐이었다. 채소류는 27종에서 166회 출현하였으며, 화훼류는 42종에서 68회 출현하였다. 채소류는 토마토, 무, 배추가, 화훼류는 국화, 튤립, 선인장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원예산업과 관련성이 있는 직업으로 한국표준직업분류에는 33개의 직종이 소개되어 있으나 산업과 진로 대단원에서는 6개의 직종만 소개되어 있었다. 기술․가정 교과서에는 표준직업 분류에 따라 원예산업과 관련성이 높은 33개의 직종은 물론이고 12개의 새로운 직종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족생활과 주거 대단원에서는 식물에 의한 실내환경의 개선 효과를 소개하고, 중학생들이 식물을 가까이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즉 원예식물 특히 화훼류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기술·가정교과의 교육목표와 결부시켜 첨가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성교육과 정서함양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실내의 환경개선에도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의 유망 직종 가운데 하나인 화훼장식 분야에 대해서도 직업 선택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11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제7학년과 제9학년에 나오는 식물의 종류, 출현빈도 그리고 학습내용을 건강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식물의 출현빈도는 교과서에 따라 달랐다. 채소류는 56종에서 2,121회 출현하였으며, 과일류는 19종에서 322회 출현하여 원예식물은 총 75종에서 2,443회 출현하였다. 출현빈도가 높은 5대 채소류를 보면 제7학년에서는 시금치, 콩, 파, 감자, 무였으나, 제9학년은 무, 감자, 배추, 오이, 당근으로 학년에 따라 출현 종의 차이가 컸다. 이에 비해, 과일류의 경우, 제7학년에는 사과, 귤, 호두, 포도, 잣이었으나 제9학년에서는 호두가 감으로 잣이 바나나로만 바뀌었다. 해조 및 버섯류는 10종에서 235회 출현하였으나 화훼류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 제7학년에서는 영양소별로 관련이 깊은 식물과 꽃을 보다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이들의 출현빈도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제9학년에서는 특정 성분을 하루에 얼마만큼 섭취해야 된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과일은 좋은 에너지원이라고 강조되었으면 한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