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2

        101.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Xbox-360게임 "댄스센트럴"을 통해 댄스게임의 신체적 정서적 무용교육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에 질적연구 방법 중 사례연구방법을 선정하여 댄스게임 무경험자이자 N세대에 속하는 성인 8인을 동일집단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는 2011년 7월 18일부터 8월 15일까지 5주 동안 총 15회 댄스게임 체험을 통해 관찰자료, 반구조화 면담, 자기보고서, 참여영상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체적('선행된 리듬의 익숙함', '반복된 동작의 표현성 향상', '신체활동이 활발한 댄스게임'), 정서적('단계변화에 따른 자신감 형성과 몰입 변화', '스트레스 해소', '중독성 없는 댄스게임')으로 도출되었다.
        102.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신체적 건강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부정적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 444명(남학생 28명, 여학생 416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 첫째,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완벽추구 성향은 긍정적 정서를 예측하는 주요 인자이다. 둘째, 완벽추구 성향은 부정적 정서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불완벽에 대한 부정적 반응은 부정적 정서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정서와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03.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개인의 신체활동은 다양한 변인들이 관련되어 있는 복잡한 건강행동이라는 것을 전제로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생태학적 모형의 구성요인인 개인적 변인, 사회적 환경 변인, 물리적 환경 변인이 신체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시 S구에 거주하는 65세이상 노인 290명(남자 노인=87, 여자노인=203, 평균연령 M= 68.56세, SD=6.79) 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신체활동단계질문지, 자기효능감질문지, 의사결정질문지, 사회적지지질문지, 물리적환경질문지가 노인들의 신체활동과 그와 관련된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 참여한 노인들 대부분 (70.7%, 200명)이 규칙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신체활동단계의 분포는 성, 교육수준, 동거형태 등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들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자기효능감, 운동이득지각, 가족의 지지, 물리환경 등은 신체활동단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사회생태학적 변인들은 신체활동단계를 설명하는데 28%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신체활동 참여를 증가시키기 위해 개인의 심리특성 수정을 기본으로 한 지지적 환경구축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04.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운동 자기효능감과 여가제약 그리고 여가제약협상이 운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매개분석과 조절분석 그리고 이들을 결합한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충북지역 소재 대학의 대학생 242명이 연구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운동 자기효능감과 여가제약 및 여가제약협상의 척도들은 Cronbach`s α값이 모두 .9를 상회하여 척도들의 신뢰성이 입증되었다. SPSS 15.0과 SPSS Macro 및 Amos 7.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운동 자기효능감이 여가제약을 매개하여 운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여가제약이 운동참여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여가제약협상에 의하여 완화되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운동 자기효능감이 운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여가제약의 매개효과가 여가제약협상에 의하여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106.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포츠 동아리와 교양체육 활동이 측정시기에 따라 심리적 욕구 만족, 동기 및 심리적 웰빙 변인들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스포츠동아리에 가입한 학생(n=100)과 교양체육을 수강하는 학생(n=100) 총 200명이었다. 연구 설계는 분할구획요인설계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12주 간격을 두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스포츠 집단에 관계없이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내재적 동기와 확인적 동기는 스포츠동아리 집단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교양체육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외적 동기는 교양체육 집단보다 스포츠동아리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무동기는 스포츠동아리 집단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한 감소를 보인 반면 교양체육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심리적 웰빙 변인 중 쾌락적 즐거움, 몰입감, 유능감, 자아실현감은 스포츠동아리 집단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더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은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하여 자율성 지지의 환경이 심리적 욕구 만족과 동기 발달 및 심리적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108.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운동기술에 대한 정신연습, 신체연습 또는 이의 병행에 따라 차별적인 효과가 발생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보다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효과가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과제는 골프퍼팅과제였으며 남자 대학생들이 실험에 동원되었다. 이들은 각각의 집단(신체연습100%, 정신연습100%, 신체50%+정신50%연습, 통제집단)에 10명씩 무선 배정되었다. 8주 동안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실험이 끝난 8주후 추적검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은 평균반경오차, 이원변량가변오차, 신체불안 그리고 인지불안이었다. 실험설계는 4(집단)X2(시기) 혼합설계 하에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a) 평균반경오차 분석에서 신체연습 100% 집단과 신체50%+정신50%연습 집단의 학습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신체50%+정신50%연습 집단은 다른 집단들에 비해 이러한 효과가 보다 오랫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 이원변량가변오차의 분석에서는 신체50%+정신50%연습 집단의 학습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에 대한 지속성도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c) 신체불안의 분석에서는 정신연습 100%집단과 신체50%+정신50%연습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불안점수의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신연습과 신체연습의 병행이 골프퍼팅과제의 학습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109.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결과에서는 비만과 신체만족도, 자긍심은 모두 성, 연령, 결혼여부,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비만, 신체만족도, 자긍심 변인들은 대상의 특성에 따라 상반된 연구결과를 나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변인들의 관계를 연구할 때 대상의 특성에 따라 연구결과들이 달라진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라 사료되며, 대상의 특성에 따르지 않고 연구결과를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일반화 시켜 언급한다는 점은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또한 비만과 신체만족도가 인구통계학적인 변인들에 따라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비만도 자체는 자긍심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신체만족도는 자긍심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변인으로써 인정됨에 따라 신체 자긍심 모형이 일부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대상의 특성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되며, 비만과 자긍심과의 관계를 입증해주는 연구들에서는 실제의 비만도가 자긍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아니면 비만정도에 대한 자신의 인식을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언급과 측정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110.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육교육 상황에서 성취목표 이론은 숙련지향적 분위기가 수업에 대한 동기와 성취행동을 증진시킨다고 예상한다. TARGET 구조(과제, 권위, 인정, 집단, 평가, 시간)는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분위기를 조성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숙련 및 수행지향적 TARGET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육수업 현장에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성취목표 이론과 실제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140명의 중학교 남녀 학생들은 15차에 걸쳐 숙련(n=72)과 수행지향적 TARGET 프로그램(n=68)으로 구성된 체육수업(농구)에 각각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목표성향, 수업분위기, 내적동기, 농구수행은 수업 전과 후에 각각 측정되었다. 일련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성취목표 이론의 예상을 지지해 주고 있다. 수행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숙련 프로그램을 시행한 집단의 학생들이 더욱 유의한 숙련분위기 수준의 증진을 가져왔으며, 내적동기(흥미, 유능감)와 농구수행 역시 증가되었다. TARGET 프로그램의 효과를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업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적 면접을 시행한 결과 숙련 프로그램 집단들이 다양한 측면에서 그들의 체육수업을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성취목표 이론이 체육교육의 현장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해 주고 있다.
        111.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studied the effect of factors that are able to form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of chlorination, including natural organic matter (NOM) with sewage, bromide ions, pH and contact time. Trihalomethane (THMs) yield of 0.95 μmol/㎎ was higher than other DBPs yield for the chlorinated humic acid samples. THMs yield of sewage sample was 0.14 μmol/㎎ and haloacetonitriles (HANs) yield in the sewage samples were 0.13 μmol/㎎ but only 0.02 μmol/㎎ for the humic acid samples. As the concentration of bromide ions increased, brominated DBPs increased while chlorinated DBPs decreased, because bromide ions produce brominated DBPs. THMs were highest (55.55 ㎍/L) at a pH of 7.9 and haloacetic acids (HAAs) were highest (34.98 ㎍/L) at a pH of 5. Also THM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while HAAs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After chlorination, the rate of THMs and HAA formation are faster at initial contact time and then reaches a nearly constant value after 24 hours. This study considers ways to reduce DBP formation by chlorination.
        112.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신체활동과 집단상담을 통합적으로 수행한 보호관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들의 심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신체활동과 집단상담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 명령을 받고 있는 1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2주간의 집중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자아개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를 통한 양적연구 방법과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의 질적 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는 질문지는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 질적 자료가 첨부되었으며, 또한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하여 새롭게 나온 결과도 함께 제시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결과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자아개념에 대한 심리검사 결과 신체적도덕적성격적가정적사회적 자아개념이 향상되었으며(p<.05),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참 모습을 뒤돌아보며 멋진 자신을 그려보기도 하였다. 특히, 신체활동을 통하여 땀을 흘리면서 자신의 신체의 소중함을 느끼고 건강에 대한 생각을 다시금 하였다.집단상담을 진행한 상담심리 전문가와의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집단 응집력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집단상담 초기에 집단 응집력 형성이 매우 중요한다. 이는 상담자 그리고 또 다른 내담자들과의 신뢰관계가 형성되어 자기 노출하는데 거리낌 없어져서 상담진행이 더 빠르고 더 심도 깊게 되었다.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들의 범죄예방 및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113.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운동 참여자를 대상으로 성, 연령, 기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총 20개 종목의 운동참여자 1,184명(남=572명; 여=612명)이었으며, 이들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웰빙 수준은 한국형 PSDQ와 한국형 PWBS에 의해 측정되었다. 운동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웰빙은 성, 연령, 기간에 따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운동 참여자들의 성, 연령, 기간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지각 정도에 따라 전반적인 심리적 웰빙의 가치를 다차원적으로 예측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PSDQ의 자기존중감 요인은 심리적 웰빙 하위요인의 회귀식에 모두 투입됨으로써 심리적 웰빙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신체개념의 하위요인들이 신체적 자기개념을 결정하고, 신체적 자기개념이 운동 참여자들의 심리적 웰빙을 중재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들은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웰빙의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되었다.
        114.
        200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ste water-soluble cutting oil was treated with W1 type #1 and W1 type #2. The properties of the original water-soluble cutting oil were pH=10.4, viscosity=1.4cP, CODcr=44,750 ppm, and TOC=10,569 ppm. However, the properties of the oil used for more than 3 months were changed to pH=7.82, viscosity=2.1cP, CODcr=151,000 ppm, and TOC=74,556 ppm. It might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olecular chains were cut due to thermal oxidation and impurities such as metal chips were incorporated in to the oil during the operation processes. To prevent the putrefaction of oil, the sterilization effect of ozone and UV on the microorganism in the oil was investigated. Ozone treatment showed that 99.99% of the microorganism was annihilated with 30 minutes contact time and 60 minutes were necessary for the same effect when UV was used. Ozone treatment could cut molecular chains of the oil due to strong sterilization power, which was evidenced by the increase of TOC from 25,132 ppm at instantaneous contact to 28,888 ppm at 30 minutes contact time. However, UV treatment didn't show severe changes in TOC values and thus, seemed to cause of severe cut of molecular chains. When the activated carbon was used to treat the waste water-soluble cutting oil, TOC decreased to 25,417 ppm with 0.1g carbon and to 15,946 ppm with 5.0g carbon.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ste oil of small molecular chains could be eliminated by adsorption. From th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se treatment techniques could be proposed to remove the waste oil of small molecular chains resulting in the degradation of the oil properties. In additi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could be used for the correlation with future works such as investigation of the molecula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sizes, lengths, and molecular weight of the chains.
        115.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 여성 노인의 신체활동 참가형태에 따라 노인의 부정적 정서인 고독감, 우울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기초자료를 확보함으로써 노인들의 심리적, 정신적, 안정과 건강한 노후를 맞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한국, 중국, 일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여성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유층 집락 무선 표집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한국 192명, 중국 178명, 일본 213명 총 583명을 표집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도구는 원형중(1994)에 의하여 5점 Likert 방식으로 수정 번안된 UCLA 고독감 척도(10문항)와 Zung(1965)이 개발한 척도를 육영숙(1994)이 번안하여 표준화시킨 자기보고 우울 척도(20문항)을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 분석, 빈도 분석, 이원변량분석, 사후검증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분석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노인이 가장 선호하는 신체활동은 맨손체조(25.0%), 댄스스포츠(19.1%), 걷기(18.3%), 등산(9.7%)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국가별 노인들이 선호하는 신체활동은 약간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독감에 있어서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노인들의 주당빈도 평균은 한국 5-6일, 중국 1-2일, 일본 3-4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 있어서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노인들의 주당빈도 평균은 한국 1-2일, 중국 1-2일, 일본 매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독감에 있어서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노인들의 지속기간 평균은 한국 2-3년, 중국 1년 이하, 일본 1-2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 있어서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노인들의 지속기간 평균은 한국 1년 미만, 중국 2-3년, 일본 2-3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7.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삼의 증삼전 열처리로 홍삼중의 추출가능 물질은 물추출물 뿐만 아니라 60%주정 수용액 추출물의 양을 근본적으로 다량 생성시켜 추출수율을 높였다. 또한 갈색도가 증진되었으며, 전분질을 함량을 저하시켜 추출물중 원심분리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전분을 감소시키므로써 이의 제거를 위한 원심분리기 등 고가의 공정 단축이 가능할 수 있다. 증삼 전 예열 적정온도는 70℃에서 60분이 적합하였으며 증삼시간에 따라서는 엑스추출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예열 조건별 물 추출물 엑스의 향미 비교에서 향과 맛 모두 당의 특성 향미가 증진됨을 나타냈다.
        118.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추출조건에 따른 지골피의 몇가지 물리적 성질 및 화학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1. 고형분과 총당함량은 물추출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았으나 반면에 탄닌산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다. 2. 지골피 물추출물이 탁도와 갈색도가 에탄올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색도 중 적도와 황색도는 유사하였다. 3. 용매별 분획추출결과 수율은 물 > n-부탄올 > 에틸에텔 > 초산에 틸 분획순으로 증가하였다.
        119.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더덕 및 참취 포장에 출현빈도로 나타나는 주요 우점 잡초는 더덕포장에서는 바랭이, 여뀌, 씀바귀, 명아주 등이었으며, 참취포장에서는 바랭이, 망초, 깨풀, 쇠비름, 여뀌, 민들레 등이었다. 그리고, 생체중으로 본 주요 우점잡초는 더덕포장에서는 쇠비름, 여뀌, 명아주, 피, 닭의장풀, 바랭이등이었고, 취나물포자엥서는 쇠비름, 여뀌, 피, 털진득찰, 망초등이었다. 2. 더덕포장에서는 쌍자엽 잡초의 생체중이 1133g/m2로 전체 잡초 생체중의 84.9%를 차지하였고 화본과 잡초가 13g/m2로 12.5%, 사초과 잡초가 28g/m2로 2.6%를 차지하여 주로 쌍자엽 잡초가 발생하는 결과를 보였다. 3. 대부분 농황산 처리를 하였을 때 잡초 종자의 발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농황산 처리 시간과 잡초발아율과는 잡초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4. 쇠비름 건조종자에는 80℃ 3분 처리시 무처리에 비해 50%의 발아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150˚이상의 고온에서는 30초 전후의 처리시간으로 100% 발아억제효과를 보였다. 습윤종자가 건조종자에 비해 발아력 상실에 요하는 온도 및 처리시간이 낮거나, 단축되는 경향을 보이며 100℃의 30초 처리시, 쇠비름이 78%의 발아율을 보인 반면, 바랭이는 발아가 전혀 되지 않아 고온에 대한 종자 활력의 감퇴가 쇠비름 종자 보다 바랭이 종자가 더 심하였다.
        120.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향신료와 식용 및 약용 겸용으로 재배가치가 매우 높은 초피나무종자의 발아율 향상을 위하여 GA3, Kinetin 및 물리적인 처리를 하여 수행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피 나무종자 종피파상후 GA3 50 ppm 24시간 침지에서 발아율 8.9%로 저조하였다. 2. 수온 18℃ 1~5일 및 40~70℃에서 10분처리 후 각각 GA3 50 ppm에 24시간 침지에서 초피종자 발아율 6.8, 4.4%로 매우 낮았다. 3. 화학적인 방법으로 H2SO4, NaOH 및 HNO3 침지에서 초피나무종자 발아율 7,5, 2.7, 14.3%로서 저조하였다. 4. 초피나무종자에 대한 GA3처리의 경우 GA3 100 ppm에서 48시간 침지가 91.1%의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고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5. Kinetin은 50 ppm 12시간 침지에서 초피종자의 발아율은 31.7%로 양호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어 실용적인 방법으로는 미흡하였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