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according to obesity based on nutrient and food group intak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3 days, dietary record in 360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Seou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percent of body fat: an overweight group(percent of body fat more than 23%, n=249) and normal group(percent of body fat below 23%, n=111). The overweigh group had a larger proportion of subjects who binge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intake between the two groups. The densities of plant calcium and dietary fiber in the overweigh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 group. However, animal fat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verweight subjects. The Korean`s dietary diversity score(KDDS) of the overweight group was 4.65, and that of the normal group was 4.67, indicat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DQI-I between the overweight group(50.8) and normal group(51.1). However, the macronutrient ratio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verweight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verweight female college students may have improper dietary habits, and have lower overall balance aspect macronutrient ratios.
본 연구의 목적은 남강 하류의 중장기 물이용 계획을 위하여 기초적인 용수 수요와 공급가능성을 검토하는 것 이다. 중장기 물이용 계획을 담고 있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이나 낙동강유역조사보고서를 바탕으로 수자원단위지 도의 표준유역별 자료를 생성하여 목적별 용수 수요와 수자원 부존량을 추정하였다. 수자원 부존량은 단순 3단 TANK모형을 이용하고 표준유역별 용수 수요는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기타 용수 등으로 나누고 원단위 기법으로 계산하였다. 남강 하류 10개 표준유역에서의 총유출량은 925,414천 ㎥/년이고, 총 용수 수요량은 연 462,988천 ㎥인데 이중 농업용수와 생활용수가 각각 243,194천 ㎥, 105,493천 ㎥이고 공업용수가 32,686천 ㎥, 기타 81,615천 ㎥이었다. 남가람 진주혁신도시 건설을 영향을 고려한 경우는 수자원 부존량의 변화는 미미하나 신규 인구의 유입에 의한 생활용 수 수요로 17,156천 ㎥의 추가 용수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객의 요구에 대한 빠른 대응과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새로운 제품을 적기에 개발하기 위해서는 제품 플랫폼에 기초한 대량 맞춤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생산비용을 낮게 유지하면서 대량생산의 이점을 유지하고 동시에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product family를 도입하고 가능하면 작은 변화를 통하여 제품의 다양성을 유지하고자 한다. Product family를 설계할 때 중요한 이슈는 제품의 공통성
고객의 요구에 대한 빠른 대응과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새로운 제품을 적기에 개발하기 위해서는 제품 플랫폼에 기초한 대량 맞춤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생산비용을 낮게 유지하면서 대량생산의 이점을 유지하고 동시에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product family를 도입하고 가능하면 작은 변화를 통하여 제품의 다양성을 유지하고자 한다. Product family를 설계할 때 중요한 이슈는 제품의 공통성과 차별성간의 절충점을 어떻게 찾아낼 것인가인데, 이를 위하여 개발된 것이 product family내에서 부품의 공통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product family의 공통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대표적인 7가지의 공통성 평가방법을 여러가지 측면에서 비교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두 개 회사의 컴퓨터 마우스 제품군을 대상으로 공통성 평가를 위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product family를 설계하거나 재설계할 때 공통성 평가지수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사용방안을 위한 전략도 제시하였다.
The existing reliability evaluation models which have already developed by the corporations are so various because of us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existing models are very complicated owing to using system designing methods Therefore, it is very d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4점 척도인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와 5점 척도인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3점 척도로 단순화시켜 원본 PASS, BBS와 특성을 비교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만성뇌졸중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PASS(0-1-2-3)는 PASS-3Level(0-1.5-3)로 BBS( 0-1-2- 3-4)는 BBS-3Level(0-2-4)로 기록하여 비교하였다. PASS-3L과 BBS-3L 평가의 측정자내·측정자간 신 뢰도는 급간내 상관계수를(ICC3,1), 절대적 신뢰도는 표준 오차 측정(Standard Error Measurement: SEM)과 최 저 실제 차이(Small Reference Differences: SRD)를 이용하였고,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구하였다. PASS(PASS-3L), BBS(BBS-3L)의 동시 타당도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와 퓨글 마이어 운동(Fugl Meyer-Motor: FM-M)과의 수렴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 분석을 하였다. 결과 : PASS-3L과 BBS-3L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각각 ICC = .96, .96,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ICC = .95, .94이었다. PASS-3L과 BBS-3L의 SEM은 각각 .99, 1.55, SRD는 1.74, 4.30, Cronbach's α계수는 .77, .85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PASS-3L의 동시 타당도는 PASS(r=.93), BBS(r=.75), BBS-3L(r=.80)과 유의한 관 련이 있었고, BBS-3L은 PASS(r=.80)와 BBS(r=.93)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PASS-3L의 수렴 타당도는 MBI(r=.60), FM-M(r=.42)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BBS-3L은 MBI(r=.79), FM-M(r=.48)와 유 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결론 : 2개의 단순화된 PASS-3L과 BBS-3L은 PASS, BBS와 비교하여 매우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여 뇌졸 중 환자의 균형을 평가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etary intake and food sources of zinc (Zn), using a database of Zn composition developed in this study, between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a remote rural area (RA, n=58, 9.9±1.7 yrs) and those in an urban area (UA, n=60, 9.4±1.8 yr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A dietary survey for three days by food record method was performed. All kinds of foods (n=273) consumed by subjects were collected by aliquot sampling method, and the Zn content of these foods were analyzed by wet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aily mean intakes of energy, calcium, iron, and vitamin C from diet in the RA were in the range of 49-88% of the Korean DRI (KDRI), while those in the UA were similar to or greater than the KDRI, except for calcium and iron. The daily mean intake of Zn from the RA diet was 7.0±0.5 mg/d (114.1±8.4% of the KDRI), and 16.0±1.0 mg/d (258.3±16.3% of the KDRI) in that of the UA (p〈0.001). The percentage of dietary intake of Zn less than 2/3 of the KDRI was 19.0% in the RA, in comparison to 1.7% in the UA. Those in the RA consumed Zn from plant foods more often than did those in the UA (p〈0.001). Beef rib stew was the food source with highest Zn amount for the total subjects, followed by beef rib meat, roasted; and beef soup w/seasoned red pepper sauce. These results showed that some children in the RA had poor Zn nutrition based upon low intakes and poor food sources of Zn, while overall, children in the UA had good Zn nutrition. Therefore, those in RAs should have their Zn nutrition improved through government policy and nutrition education.
목적 : 본 연구는 한글 PEDI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로써 한글로 번역한 PEDI의 번역 정확도를 검증하고, 한글 PEDI로 국내 아동을 평가하여 동일 연령대의 미국 아동과의 기능수준을 비교하여 문화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한글 PEDI는 미국에서 대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은 2개 국어 사용자 3명에게 의뢰하여 번역 정확도를 검증받았다. 미국아동과의 연령별 기능수준 비교는 어린이 집에 다니는 일반아동 28명을 2~5세까지 6개의 연령군으로 나누어 각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번역 정확도의 검증 결과 기능적 기술 부분의 신변처리, 이동, 사회적 기능 영역과 보호자의 도움 및 조정/변경 부분에서 5점 만점에 평균 4.67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두 4개 문항에서 2명 이상의 응답자가 번역 정확도가 나쁨이나 매우 나쁨에 응답하였다. 한국과 미국 아동들의 기능수준을 비교한 결과는 신변처리, 이동, 사회적 기능 영역과 보호자 도움 부분에서 아동들의 기능수준 차이가 나타났다. 규준 표준화 점수에서는 신변처리 영역의 2.5∼2.9세 연령군과 이동 영역의 2.0∼2.4, 2.5∼2.9, 3.0∼3.4세 연령군, 보호자 도움 부분의 2.5∼2.9세 연령군에서 한국 아동들이 미국아동들에 비해 낮은 기능수준을 보였다. 표준 점수에서는 이동 영역의 4.0∼4.4세 군, 사회적 기능 영역의 4.0∼4.4세 군과 보호자 도움 부분의 4.5∼4.9세 군에서 한국 아동들이 낮은 기능수준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번역 정확도 검증 결과 4개 문항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졌고, 한국과 미국 아동의 연령군에 따른 기능수준 비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간 문화의 차이에 의하여 생활습관이나 방식이 많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중에서도 음식은 다른 분야보다 많은 차이를 나타난다. 특히 음식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음식도구 중 디자인요소가 동일하고 유사한 것이 있거나 다른 요소와 기능을 갖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각 국가 간의 음식도구를 유니버설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에 대한 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여 국가 간 음식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도구의 디자인요소를 창의성의 관점에서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과 내용으로는 첫째, 음식에 대한 소비자행동분석 프로세스의 개발 및 관찰을 통하여 행동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행동분석을 접목하여 음식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둘째로,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 간 음식의 주문부터 평가까지의 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나타난 현상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이에 대한 결과물을 각 국가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식도구에 대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셋째, 국가별 개발된 디자인 안을 대상으로 선호도,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통하여 국가별 선호요소와 창의성평가요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는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별, 음식별, 행동별, 식당형태별로 비교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고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음식도구 디자인에 이용할 수 있으며 국가 간 동일 아이템을 디자인 교육시간에 진행시켜 대학의 디자인교육의 비교를 통하여 상호간에 협력과 상호보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 아이디어 전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directions of the road are divided into two, the right-hand side and left-hand side of the road, by the convention and specific native method in the world. This paper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drivers who are accustomed to drivin
제주도의 대표적 경관인 오름에 대한 경관 선호성을 분석하기 위해 총 18개 오름을 대상으로 경관평가를 시도하였다. 지상과 공중에서 촬영한 총 84장의 사진 슬라이드를 평가매체로 비 제주인(1그룹), 제주인(2그룹) 그리고 외국인(3그룹)에대한 선호도를 비교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전체 총 84장의 오름경관에 대한 선호도평가 결과, Group 1은 4.93, Group 2는 5.22 로 전체 국내인 평균 평가치는5.11이었으며 Group 3의 평가치는 5.54로 나타나 제주 오름에 대한 외국인의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 경향이 발견되었다.전체적으로 평가치가 가장 높은 오름경관은 Scene 8(7.60)의 비양도 부감경관이었으며 다음으로 평가치 7.59를 보인 Scene58과 평가치 7.35를 보인 Scene 48등이 보임에 따라 성산일출봉, 비양도, 송악산 등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경승으로서 손색이없음이 실증적 재차 확인되었다. 한편 3개 평가 집단 간 선호도 평가치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한 ANOVA와 Duncun-test결과, 집단 간 평가치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된 평가오름은 총 63개에 이르러 오름별 평가치에 대해 그룹간의 차이가 인정된다.또한 평가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 21개의 오름 중에는 항공에서 조감된 부감경관은 단 하나도 포함되지않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21개 오름경관 가운데 전체 평균치인 5.34를 상회하는 오름경관은 Scene16, Scene78 그리고Scene29의 단 3개에 불과하였음을 볼 때, 부감경관에 대한 차별화된 긍정적 선호성이 입증되었다.더불어 총 18개 오름에 대한 평가치 중 민오름과 산굼부리를 제외한 총 16개 평가치가 높은 특성을 보여 하늘에서 부감한오름경관에 대한 뚜렷한 선호경향을 보였으며 이 경향은 특히 Group 3 즉 외국인 그룹에 있어 부각되었는데 지상에서 촬영한산굼부리의 지상경관 또한 굼부리 중심의 부감경관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경향을 더욱 뚜렷하다고 볼 수 있다.
On the leaf disc of fruit vegetables (cucumber, sweet pepper, tomato, egg plant, oriental melon), it has been evaluated that the capability of four predatory mites (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 Neoseiulus barkeri (Hughes), N. cucumeris (Oudemans), N. californicus (McGregor)) to prey on the eggs of Bemisia tabaci (Gennadius) and to lay own eggs. The most aggressive mite was A. swirskii which had consumed about 9~12 eggs in a day. The quantity of eggs consumed by N. barkeri, N. cucumeris and N. californicus was about 6~9, 4~6 and 1~4, respectively. The most productive mite was also A. swirskii which had laid about 1.2~1.9 eggs in a day. The others could not lay more than 0.5 eggs in a day.
Test methods of Korea Air Cleaning Association (KACA) and Association of Home Appliance Manufacturers (AHAM) for particle cleaning capacity performance of an indoor air cleaner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conditions of the test particle generation, the range of particle measurement and the calculation methods for particle cleaning capacity, and types of the test particles. The performance test was conducted in a 30 m3 chamber with the same test specimen and the test particles of each test were generated until the number concentration of 0.3 ㎛ particles reached 2.2 × 108 #/m3. The performanc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leaning capacity with the particles of higher surface area and volume density, regardless of the type of test particles, was higher than with those of lower and the capacity from calculation with 0.3~1 ㎛ particles was higher than with 0.3 ㎛ particles. Moreover, the cleaning capacity with the calculation of KACA method was lower than with that of AHAM method in spite of using the same test speci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