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3

        141.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충국, 멀구슬의 천적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고 배추의 주요해충인 배추좀 나방의 방제횟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큐레이퍼이리응애에 대해 1일째에 제충국은 25%, 멀구슬은 41.7%의 살비 율을 보였으며 3일째에 40%와 46.7%로 나타나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 었다. 오이이리응애 역시 3일째에 제충국과 멀구슬에서 각각 31.7%, 46.7%였 으며 긴털이리응애는 30.0%, 35%, 지중해이리응애는 33.3%와 40.0%를 나타내 어 이들 이리응애류는 제충국과 멀구슬에 대해 비슷한 감수성을 보여주었다. 애꽃노린재에 대한 멀구슬과 제충국의 살충율은 3일째에 68.2%와 54.2%로 아 주 높게 나타났다. 쌀좀알벌의 우화율은 제충국과 멀구슬에서 57.5%와 53.3% 로 비교적 높았으며 멀구슬과 창포 혼합제품에서는 71.1%의 높은 우화율을 나타내어 기생성 천적에 대해서 이들 추출물의 독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 단된다. 싸리진디벌에서 제충국은 54.4%, 멀구슬은 35.6%의 우화율을 나타내 어 멀구슬은 천적과 같이 사용시 주의를 요하였다. 온실가루이좀벌은 황온좀 벌보다 더 높아 61.8%와 53.3%의 우화율을 보여 이들 추출물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충국은 1회 살포시에는 21일째부터 밀도가 떨어져서 34일째에는 36.7%까 지 낮아졌다. 7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 경우 초기의 밀도 억제는 낮았지만 21 일째에는 91.1%까지 올라가 효과를 보여 제충국은 7일 간격 3회 살포하는 것 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멀구슬을 1회만 살포한 경 우 14일째까지 96.7%의 높은 살충율을 보여 주지만 이후 약효가 떨어졌다. 7 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할 경우 14일째부터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어 28일째 까지 100%를 유지하였다.
        14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져서 서로 유전적 유상성이 멀 것으로 생각되는 두 계통 제주계통과 횡계 계통의 배추좀나방 개체별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1과 2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유전자 염기서열 내에 염기의 다양성이 존 재하는 곳이 몇몇 확인되었다. 위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염색체의 유전자 변 이도를 그려본 결과, Ace1 유전자의 변이가 더 높아 지역 계통 간 변이율을 비교할 때 Ace1 유전자가 지역 계통 군집 분류 마커로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 어 유전자 마커로 선발하였다. Ace1 유전자 변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계통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횡성과 둔내 그룹, 태백, 임계, 횡계 등 고령지 배추생산단지로 한 그룹, 홍천, 평창과 제주도의 안덕 등이 군집 분석에서 그 룹으로 분류되어 생물검정 결과로 군집 분석한 것과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 다. 이는 배추좀나방이 지역성 특성을 갖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지역 월 동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배추좀나방 관리는 중부내륙지 역(홍천, 횡성, 둔내), 고령지 지역(평창, 임계, 횡계, 태백), 덕유산지역(무주), 제주지역(안덕, 성산)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생각된다.
        143.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onomic injury level and control thresholds for the management of beet army worm,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were evaluated on chinese cabbage of two different planting time. Two inoculation times were tested for each planting and the number of inoculated larva was 10, 20, 40, 80, respectively. Damages of leaves by first inoculation were 63.2% after eight days planting on 80 larva inoculation plot. By the second inoculation, those were below 50% after 20 days planting on the end of September. The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population density and yield reduction were as following, Y = -10.62x + 867.9 (R² = 0.643) for 5 days and Y=-6.432x + 1074 (R² = 0.720) for 20 day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conomic injury level was 5.4 larva for five days and 9.0 larva for 20 days per 20 chinese cabbage. The control thresholds calculated by 80% level of economic injury level were 4.3 and 7.2 larva, respectively.
        4,000원
        14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conomic injury level (EIL) and economic threshold (ET)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on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The changes of biomass of Chinese cabbage and M. persicae density were investigated after introduction of M. persicae at different density (0, 2, 5, 10, 15, and 20 per plant, inoculated at 10d after planting). The densities of M. persicae largely increased from the above initial densities to 0, 92.3, 177.4, 406.9, 440.4, and 471.3 aphids per plant at 18d after the initial inoculation, respectively. The biomass of Chinese cabbag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itial inoculated density of M. persicae: 602.0, 264.2, 262.0, 109.3, 151.0, and 67.3 g in above plots with different initial densitie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aphid days (CAD) and yield loss (%) of Chinese cabbage was well described by a nonlinear logistic equation. Using the estimated equation, EIL of M. persicae on Chinese cabbage was estimated 25 CAD per plant based on the yield loss 13%, which take into account of an empirical gain threshold 5% and marketable rate 92% of spring Chinese cabbage. Also, ET was calculated at 80% of EIL: 20 aphids per plant. Until a more elaborate EIL-model is developed, the present result may be useful for M. persicae management at early growth stage of Chinese cabbage.
        4,000원
        14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ontrol thresholds (CTs) of imported cabbage worm, Artogeia rapae L., injuring Chinese cabbage. The second instar larvae of A. rapae were inoculated with five density levels on each Chinese cabbages transplanted three weeks earli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and checked injury rates after allowing their feeding for one week and two weeks, respectively. The average leaf area consumed by single larvae was 657.7 ㎟ in plots inoculated at three weeks after transplanting (WAT) and 2495.8 ㎟ in plots at 6-WAT, respectively. In the field experiment, different numbers of A. rapae ranged from one to seven larvae were inoculated on 20 plants. The percent yield reduction (Y) of Chinese cabbage infes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A. rapae (X) for a three-week period was estim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Y=1.764X-0.3049 (R²=0.9901) in plots inoculated at 3-WAT, and (2) Y=1.0305X-0.2976 (R²=0.9398) in plots inoculated at 6-WAT.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nsities of A. rapae larvae and the yield index of Chinese cabbage, the number of second instar larvae which caused 5% loss of yield (gain threshold proposed by Japan), was estimated as 3.0 per 20 plants for the 3-WAT and 5.1 for the 6-WAT.
        4,000원
        148.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추에서 파밤나방 요방제수준을 설정하기 위해 2007년 8월 28일, 9월 12일 배추를 정식하고 정식 5일째에 파밤나방 1~2령을 10, 20, 40, 60마리/100주 씩 접종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파밤나방의 접종시기별 피해엽율을 보면 정식 5일째(1차 접종)에 20주에 40마리 접종 시 9월 7일에 33.5%의 피해엽율로 가장 높았으며 5마리 접종시 10.9%로 나타났다. 정식 20일째에 접종(2차 접종)한 경우 9월 7일에 20.5%의 피해엽율로 높았으나 1차 접종 보다는 낮았으며 또한 10마리 접종구에서도 7.5%로 1차 접종 때보다 아주 낮았다. 파밤나방 무처리시 수량은 3,495.2kg/10a이었으며 1차 40마리 접종에서 수량은 1,774.2kg/10a로 수량감소율은 49.2%였으며 2차 접종에서는 수량 2,220.5kg/10a로 수량 감소율은 36.5%였다. 파 파밤나방의 유충밀도와 수량감소율과의 관계는 정식 5일은 Y=-43.474x + 3419.6(R2 = 0.9698), 정식 20일에는 Y=-32.977x + 3518.9(R2 = 0.9928)로 배추재배 시 정식 5일째 요방제 수준은 20주당 1.8마리이며, 정식 20일에 발생하는 경우 20주당 4.6마리였다. 파밤나방 접종밀도에 따른 피해율과 수량감소율의 관계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피해가 클수록 수량 감소율도 크게 나타나 대파의 수량에는 파밤나방의 피해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49.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추과 채소류의 가장 문제해충인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은 대표적인 아열대성 해충으로서, 겨울철 온도가 영하 15도 이하로 내려가는 지역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우리나라 고랭지권 밭에서 배추좀나방에 의한 피해가 커지고 발생시기도 빨라지고 있는 바, 성충 초발생시와 월동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원도 횡성군과 평창군 지역 40곳을 표고별(<400m 10곳, 400~500m 5곳, 500~600m 11곳, >600m 4곳)로 선정하여 배추좀나방 성페로몬트랩으로 발생시기와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2006~2008년에 걸쳐 매년 3월 중순에 트랩을 설치하고 1주일 간격으로 조사한 결과, 성충 발생초기는 표고와는 무관하였고 오히려 지형적 격리에 따른 지역별(횡성군 : 4월 하순~5월 초순, 평창군 : 5월 초~중순)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초발생기는 트랩 설치위치에 따라 약간씩 달랐는데, 온실이나 가옥 등 겨울철 난방을 하는 시설물 주변에 설치한 트랩보다는 전년도에 배추를 재배한 밭에 설치한 트랩에서 초발생기가 빨랐다. 이러한 결과는 배추좀나방이 고랭지 배추밭에서 월동할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데,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향후 이른봄 바람 방향과 세기, 겨울철 평균기온과 적설기간 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150.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추좀나방과 파좀나방은 각각 배추과(Brassicaceae)와 백합과(Liliaceae) 채소의 주요 해충이며, 두 종은 근연종으로서 집나방상과(Yponomeutoidea)에 속한다. 우리는 두 종간의 교미전 생식격리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연중 발생시기, 일일 교미주기, 성페로몬 조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두 종의 연중 발생시기는 월동 세대(3월), 봄 세대(5~6월), 가을 세대(10월)에 걸쳐 광범위하게 중복되었다. 배추좀나방 암컷트랩에 대한 배추좀나방 수컷의 최대 유인시간은 일몰 2시간 후이었으며, 파좀나방 암컷은 일몰 1~2시간 후에 대부분의 파좀나방 수컷을 유인하여 두 종간의 일일 교미주기는 부분적으로 중복되었다. 배추좀나방 암컷의 성페로몬 샘에서 추출된 3가지 성분(Z11-16:OAc, Z11-16:Ald, Z11-16:OH)의 비율은 100:7:19였으며, 파좀나방 암컷은 같은 성분들을 100:32:13의 비율로 생산하였다. 야외에서 두 종 모두 3가지 성분이 수컷유인에 필수적이었으며, 각 종의 수컷들은 성페로몬 성분비율에 대한 반응범위가 매우 넓어 다른 종의 암컷이 생산하는 조성에도 잘 유인되었다. 두 종의 페로몬 통신체계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페로몬 농도에 대한 반응의 차이로서, 배추좀나방은 농도가 낮은 트랩을 선호하였으나 파좀나방은 농도가 높을수록 유인수가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좁은 야외조건에서 두 종간의 높은 교차유인이 확인되어, 현재 이들의 교미전 생식격리 기작은 충분하지 않으며, 국내 생물적 환경에서의 이러한 높은 선택압은 금후 종 특이적인 페로몬 통신체계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152.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 병원성바이러스의 해충방제 이용확대를 위해 배추좀나방에 대한 배추좀나방과립병바이러스(Plutella xylostella granulovirus)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추 유묘검정에서 무처리 피해엽율은 21일 후에 45.8%의 피해를 보였으나 1.0×106에서는 25.8%, 1.0×107,은 11.8%, 1.0×108에서는 5.4%로 낮아졌으며 특히 1.0×108에서는 7일째 70%, 21일째에는 94.3%의 높은 방제가를 보였다. 노지에 배추좀나방 2령 유충을 접종하여 바이러스 살포농도에 따른 밀도변화를 본 결과 무처리에서는 21일째에 접종밀도보다 1.9배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바이러스를 1.0×108, 109, 1010 OBs/㎖ 농도로 살포한 구에서는 0.6배, 0,2배, 0.07배로 배추좀나방 밀도가 낮아졌다. 바이러스 접종농도별로 배추좀나방에 의한 피해엽율은 무처리에서 접종 3일째부터 6.0%의 피해를 보이기 시작하여 12일째에는 44.7%의 높은 피해율을 보였으나 1.0×108에서는 각각 4.7%, 33.3%를 나타냈다. 노지포장에서 배추좀나방 사충수의 변화는 처리 3일째부터 사충이 시작되어 바이러스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사충을 보였다. 무처리에서는 12일까지 거의 죽지 않는데 비하여 1.0×108에서는 12일째에 88.9%의 방제가를 보였다.
        153.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펠렛사료는 습체사료(떡사료)의 문제점인 사료조제의 불편성, 장기보존 및 유통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중 곤충사육 및 체험에 특히 유리하다. 이에, 학습교재용 곤충으로 이용이 많은 배추흰나비용 펠렛사료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사육시험을 수행하였다. 펠렛사료 제조를 위한 이축압출기 최적 운전조건은 main motor 300rpm, feed motor 50rpm, 가수량 80ml/min, 스크류 배열 3, 8 reverse screw 및 사료배출구 φ5mm 임을 확인하였다. 배추흰나비의 영양요구성을 만족하면서 튀김성이 우수한 펠렛사료는 연구실에서 개발하여 사용중인 나비용 습체사료에 비해 Oil, Cellulose 및 성형제 비율은 낮아지고 전분 및 단백질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아진 사료조성을 보였다. 기주로 케일분말을 20% 첨가하였을 경우 사료의 직경은 9.3mm로 2배 정도 튀겨졌으며 사료무게의 1.5~1.8배의 물을 흡수하였다. 펠렛사료를 이용하여 배추흰나비를 사육한 결과 유충기간이 15.2일로 기주사육구 11.2일에 비해 다소 늦어졌으며, 우화율도 펠렛사료구 71.4%로 기주사육구 85.0%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용체중은 펠렛사료구 251.7mg으로 기주사육구 156.9mg에 비해 월등하게 높았으며 성충의 크기도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15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국 3개도 10개 지역 (제주도;성산,안덕, 강원도;횡성, 임계, 둔내, , 홍천, 횡계, 태백, 평창, 전북;무주)에서 배추좀나방 성충, 번데기, 유충 등을 채집, 실내 사육하여 증식한 후 8가지 살충제(추천농도, ppm) Bt(200), Spinosad(50), Emamectinbenzoate(160), Prothiofos (500), Chlorfenapyr(50), Thiodicarb(400), Pyridaryl(5), Indoxacarb(50)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지역 계통 간, 약제 간 매우 다른 감수성 저하 현상을 보였다. Prothiofos와 Thiodicarb는 많은 지역에서 감수성의 저하를 보이고 있으나, 그 외의 약제는 감수성 저하가 약효를 무력화하는 수준으로 일어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지역 계통의 배추좀나방이 약제에 대해 Bt의 경우 약 20배, Spinosad의 경우 200배까지의 감수성 저하를 보이고 있어 지역에 따라서 약제의 선호도와 사용량에 따라 감수성의 저하가 다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배추좀나방의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인자가 선발, 축적되는 과정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살충제의 사용량이 증가하면 언제든지 살충제에 대한 배추좀나방의 감수성 저하가 일어나 약제에 의한 해충의 밀도 관리가 어렵게 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지역 계통 간 약제 반응에 대한 유형을 분석한 결과 서에서 동으로 진행함에 따라 군집 형성이 분화되는 것으로 추측되나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약제 관리를 위한 약제 반응 유형 분석은 약제를 크게 3그룹(1;Chlorfenapyr, Pyridaryl, 2;Spinosad, Indoxacarb, 3;Emamectinbenzoate)으로 나누어 관리함이 저항성 관리에 효율적임을 나타낸다. 또한 살충제의 추천농도와 반수치사농도를 비교, 계수화(ln 추천농도/LC50)하여 그 값이 1미만; No effective, 1이상-2미만; a little effective(Use not recommended), 2이상-3미만; Effective(Carefully usable), 3이상; Very Effective(Use recommended)으로 분류, 이용을 제안하는 바이다.
        155.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배추와 양배추 재배지역에 발생하는 나비나방류의 발생종과 발생소장을 시설 재배지와 노지에서 조사하였다. 노지의 배추와 양배추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던 나비나방류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과 배추순나방(Hellula undalis),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검은은무늬밤나방(Autographa nigrisigna), 배추흰나비(Artogeia rapae) 등 4과 6속 7종이 확인되었다. 시설 배추와 양배추에서 주요 나비나방류 해충 발생종과 피해량 및 발생을 조사한 결과, 배추에서는 4과 6속 7종이 조사되었는데 배추좀나방의 피해가 가장 심하였으며, 배추좀나방 유충의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으로 100주당 378마리가 조사되었다. 양배추에서는 3과 4속 5종의 해충이 확인되었는데 배추좀나방이 가장 많은 피해를 주었으며, 배추좀나방 유충의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으로 100주당 756마리가 조사되었다.
        4,000원
        156.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랭지 경사밭의 토양보전을 위해서 고랭지 배추재배지에 애기기린초, 범의귀, 지면패랭이, 긴병꽃풀 등 4종의 지피성 동반작물의 도입가능성을 경사도 5, 15 및 30%의 라이시미터에서 평가하였다. 애기기린초를 제외한 지피성 동반작물은 배추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추와 동반작물에 의한 정식 이후의 피복률 변화는 동반작물보다는 배추생장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초기의 생장속도가 빨랐던 긴병꽃풀과 애기기린초 동반작물 재배구에서 초기 피복률 상승이 빠른 반면, 고온기 생장속도가 느린 범의귀와 지면패랭이는 급속한 피복도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각각의 동반작물의 줄기와 잎의 절단 경도는 범의귀와 애기기린초가 낮은 반면, 긴병꽃풀과 지면패랭이는 매우 높아 내답압성이 우수하였다. 지피성 동반작물과 배추는 광 및 양분 경합성은 거의 없었다. 지피성 동반작물 재배구에서 배추 수관 아래 기온 및 지온은 배추 단독구보다 각각 1℃내외, 0.5~1℃ 낮았으며, 습도는 8% 정도 높았다. 4종 지피성 동반작물을 토양보전성, 경관성, 내성, 생육 등을 고려하여 각 평가요소별 가중치를 두어 평가한 결과, 지면패랭이〉긴병꽃풀〉〉범의귀〉애기기린초의 순으로 높았고, 이중 지면패랭이가 가장 우수하였다.
        4,000원
        15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59.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셀레늄과 게르마늄 처리 시 배추(봄, 가을배추)와 고추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셀레늄처리에 의한 봄배추와 가을배추의 생체중은 차이가 없었고 Ge 처리시 높은 농도에서 생체중이 감소하였으나 고추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배추의 셀레늄 처리 경우 비타민 C 함량은 Se 4mg·L-1 10회 처리가 무 처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게르마늄 처리 경우 Ge 4mg·L-1 10회 처리와 Ge 8mg·L-1 5회 처리에서 증가하였다. 고추에서 셀레늄 처리에 의해 Se 2mg·L-1 20회 처리가 높았으며 홍고추가 풋고추에 비교하여 비타민 C 함량이 약 2배가량 많았다. 봄, 가을배추 부위별 셀레늄함량은 외엽〉중엽〉내엽 순으로 많았고 엽육부위가 중륵에 비해 높았으며 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게르마늄 처리 시 가을 배추 잎에서 모든 처리구가 무 처리에 비해 높았다.
        4,000원
        16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system by harmonizing biological and chemical control, som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elect low toxic pesticides against natural enemies, and their residual toxicity were evaluated. Leaf dipping method, body dipping method, and diet treatment method were set up for the toxicity evaluation against Cotesia glomerata adults. We had tested 46 different pesticides (31 insecticides, 11 fungicides, 4 herbicides) at recommending concentration commonly used to control diamond back moth, disease and up-land weeds in chinese cabbage field. Twenty three insecticides, eleven fungicides, and four herbicides were shown to be low toxic to C. glomerata adults in the treatment of body dipping. After insecticide spraying at recommending dose on the chinese cabbage, we examined residual effect of insecticides by introducing natural enemies on different days. Safety interval for the introduction of C. glomerata adults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residual toxicity of pesticides. Safe insecticides for the introduction of C. glomerata adults at one day after treatment (DAT) were thiacloprid, acephate, chlorfenapyr, clothianidin and at 3 DAT were imidacloprid, deltamethrin, thiamethoxam, dimethylvinphos, emamectin benzoat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