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5

        141.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s and the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492 students in five different departm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fty(10.2%) of respondents were vegetarians, 81(16.4%) were heavy meat eaters and all the others were light meat eaters. All students had their biggest meal at supper. Three hundred and ninety-three(79.9%) of the respondents usually had rice for breakfast. Three hundred -sixteen(64.2%) ate 3 meals a day, 155(31.5%) ate 2 meals and all the others ate 1 meal or more than 3 meals. The length of mealtime was 30 minutes in 268(54.5%), 10 minutes in 209(42.5%) and more than 1 hour in all the others. Respondents considered taste the most important meal factor with nutrition, hygiene, and amount ranked accordingly. A majority(63.0%) of respondents ate occasionally ate between meals, while 28.1% snacked frequently, and 8.9% ate no snacks. Although nutrition dept. students had studied nutrition subject, some results of nutrition dept. students were desirable and others were undesirable in dietary behaviors. Therefore they should have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ir food habits and the dietary behaviors for students' health.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organized practically and systematically.
        4,000원
        142.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주시에 있는 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9세의 학생 136명을 조사 대상으로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량 및 혈액 성상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조사 대상자의 연령은 9세로 남자가 76명, 여자가 60명으로 평균 신장은 123.3cm였고, 평균 체중은 24.4㎏이었으며, 평균 가슴둘레는 49.9㎜. 평균 앉은 키는 67.6㎜를 나타냈다. 2. 조사 대상자의 헤마토크리트치는 36.0%로 기준치와 거의 비슷하였고, 백혈구는 6.8×10exp(3)/㎣을 나타냈고, 적혈구는 4.5×10exp(6)/㎣이었다. 헤모글로빈은 12.7g/dl로 기준치보다 약간 높았다. GOT는 23.1unit였고, GPT는 14.7unit였다.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170.9㎎/dl로 정상 범위였다. 3. 조사 대상자의 식습관 조사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식사시간이 불규칙해지고 식품의 배합이나 균형을 생각지 않고 섭취하고 있었으며 맵거나 짜게먹고 있었고 아침 식사를 거르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4, 조사 대상자의 열량 섭취량은 1, 306㎉를 섭취하였고, 단백질 섭취량은 47.9g, 지방섭취량은 28.8g 이었으며 섬유소 섭취량은 , 3.9g이었다. 칼슘의 섭취량은 446.9㎎이었으며 인의 섭취량은 835.0㎎이었고, 철분의 섭취량은 7.9㎎, 나트륨의 섭취량은 3, 721.0㎎이었고, 칼륨의 섭취량은 1, 863.5㎎ 이었다. 비타민 A의 섭취량은 362.3RE, 비타민 B_1은 0.8㎎, 비타민 B-2는 0.7㎎, 나이아신은 10.8NE, 비타민 C는 93.9㎎ 및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173.5㎎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에너지, 단백질. 칼슘, 철분, 비타민 A 등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여 성장기에 있는 아동들의 영양소 섭취 상태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5. 조사 대상자의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량의 상관관계는 식사시간의 규칙성은 단백질, 식이성 섬유소. 비타민 A및 티아민 섭취량과 양의 상관을 나트륨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음식의 간(염도)은 인과 콜레스테롤 섭취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들깨가루나 들기름 사용 여부는 열량. 탄수화물 및 인의 섭취량과 음의 상관을, 지방, 철분, 리보플라빈 및 나이아신 섭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식 여부는 지방. 철분 및 나이아신 섭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열량, 탄수화물. 인, 나트륨 및 콜레스테롤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을 보였다. 외식의 빈도수는 단백질, 지방, 식이성 섬유소, 철분,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및 나이아신 섭취량과 음의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9세 아동의 체위와 혈액 성상은 정상 범위에 속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을 나타내었고, 에너지, 단백질, 칼슘, 비타민A등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고, 특히 칼슘과 비타민 A의 섭취 증가가 요구되었다. 또한 식사시간이 규칙적일수록 단백질, 식이성 섬유소, 레티놀 및 티아민의 섭취량이 높았고, 식사 양이 많을수록 리보플라빈 섭취량이 많았으며, 맵고 짜게 먹을수록 인과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높았으며, 들기름을 사용하지 않을수록 열량과 탄수화물 섭취량이 많았고, 외식의 빈도수가 높을수록 단백질, 지방등의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불규칙적인 식사습관, 소금 섭취량 및 외식의 빈도수가 여러 영양소 섭취상태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따라서 성장이 왕성한 학동기에 균형잡힌 좋은 식습관과 규칙적으로 가정에서 식사할 수 있도록 특별한 관심을 가져야 함을 시사해 주었다.
        4,000원
        14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ekukkwon was practiced for health previousl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ractising in the above disciplines at Myong Ji University. The group consisted of three female and three male students and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measure the brain wave change for opened and closed ey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when students were subjected to basic open eye brain wave tests, beta-waves displayed for all regions of the brain. In the frontal region fast beta-waves were displayed and in the central region alpha-waves were displayed. Secondly, in the closed eye brain wave tests, the control group displayed beta-waves in some regions and alpha waves in external and internal regions. For all students` brain-wave patterns, the amplitude of the alpha-wave was low and the frequency was high. In some students theta-waves were displayed. Taekukkwon practice relaxes the mind and body and helps relieve social stress which shows that taichichuan practices is beneficial. Finall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mostly type A so the personalities of the subjects were fast and aggressive. This research shows a definite link between personality and personal relationships with beta-waves emissions. So,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in the future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The subjects consumed too large amount of foods so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ir dietary habits taking into consideration on total calories, fats, and protein. It was also necessary to carrying out nutrition education to the students in emphasizing appropriate attitudes in general health and dietary behavior.
        4,000원
        144.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food habits, anthropometry and obesity of 252 children(136 boys, 116 girls) aged 2~6 years old. The anthropometric indices were measured and food habits were surveyed. Average food habit score was 11.7/20.0 in boys and 11.8/20.0 in girls. It was found that 60.3% of the subjects belonged to fair score group(7-13) in food habits, while subjects in poor (0-6) and in excellent (14-20) were 30.6% and 9.1%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d habits score between boys and girls. The food habits score tended to be higher as the mother's education level, total family income, number of siblings were increased. The mean height, weight and chest circumference of the subjects were much higher than the Korean standards. Evaluating the obesity by weight for height, 77.8% subjects was normal, 4.0% was underweight and 18.3% was obese. Underweight children did not seem to enjoy their meals and ate too slowly compared to normal or obese children. Therefore they needed to promote food habits by good nutritional education.
        4,300원
        145.
        2000.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children in Pusan, with a view to uncovering problems and their underlying causes and cultivating desirable dietary habit and nutrition for children. Three hundred and fifty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sked questions about their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as well as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1. Only 53.5% of the subjects had breakfast every day. Seventy-six percent of the subjects had dinner every day. Only 40% of the children took meals and talked with family at both breakfast and dinner. Thus there was little opportunity for dietary guidance by parents. 2. About half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ir appetite decreased after eating snack foods between meals. A third of the subjects liked the baked goods as snacks. Because of their high sugar and fat content, they can damage children's health, resulting in child diabetes and tooth decay. For this reason, careful education is necessary to allow children to be able to select snack foods that are appropriate in kind and quantity. 3. About 85% of the subjects had an unbalanced diet. Therefore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at school is necessary to instill in children the value of balanced diet. 4. Children preferred rice to other cereals as a staple food. They disliked kimchi, seasoned and blanched foods and salads as subsidiary food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teach children systematically the nutritional advantage of cereals and vegetables and to heighten their awareness of Korean food culture. 5. Children had a low level of nutritional knowledge. The knowledge of specific nutrients was lower than that of foods. In conclusion, systematical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t elementary school. These should include information about achieving a balanced diet, good eating habit, meal management and Korean dietary culture. Nutritional education at home must be emphasized.
        4,500원
        146.
        200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and cancer prevention knowledge, beliefs, attitudes, and self-reported dietary changes. Data were collected from 903 parents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a middle school, a high school, or a junior college in Kimcheon. Thirty-seven percent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had made dietary changes for their health. Respondents reported eating more vegetables(33.1%), fruit(24.1%), whole grains(19.9%), and lower-fat meats(14.5%) and less alcohol(17.2%), high-fat meat(16.4%), fats(13.8%), smoked foods(13.8%), snacks/cake/sweets(11.7%), salty foods(9.6%), and refined grain products(6.1%). Those who did not make any dietary changes most often said the reason was that they thought their diets were already healthful and therefore there was no reason to make a change. Eighty-nine percent of the subjects agreed that diet and disease were related and 89.5% knew that diet and cancer were related, yet 8% believed there was nothing a person could do to reduce the risk of getting cancer. In response to open-ended questions about foods that either increase or decrease cancer risk, vegetables, fruit, traditional fermented foods, etceteras, and whole grains were thought to decrease risk, and burned foods, salty foods, additives, high-fat meats/fats, and alcohol were thought to increase cancer risk. In this study, education levels to be the major demographic variable and residential district had an impact on cancer prevention knowledge and attitudes. People at lower educational levels and rural residents should be targeted for education about cancer risk reduction.
        4,200원
        147.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대생 의 식습관이나 식품섭취 횟수가 모발의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청주에 있는 2년제 여대생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자들의 거주형태는 자택이 가장 많았고. 평균 한달 용돈은 10~20만원 사이였다. 대상자의 식습관은 불규칙하였으며,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대상자가 많았다. 모발상태 역시 손상모가 많았으며. 손상원인은 주로 염색, 탈색, 퍼머, 드라이 등이었다. 식습관과 모발상태와의 관련성은 유의성이 없었으며, 생선류, 콩류 등의 식품섭취빈도가 높을수록 탈모, 백모, 머리결 손상 등의 문제점이 적게 나타났다. (p<0.05) 술이나 커피같은 기호식품의 섭취빈도도 모발의 성장에 영향을 미쳐, 술이나 커피의 섭취량이 높을수록 모발의 성장이 지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식습관과 식품 섭취빈도 등이 모발의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고, 대학생은 모발이 많이 손상될 수 있는 시기인 점을 고려한다면 여대생에게 있어서 규칙적인 식습관 이나 올바른 식품선택이 중요하며 모발영양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148.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roke is a serious disease despite recent improvement in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Hence, identification of modifiable risk factors for stroke is important. This case-control study was done to demonstrate that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lcohol consumption, obesity, perception of saltness and the incidence of stroke and to identify that smoking, alcohol consumption, obesity and perception of saltness, after adjusting for age, hypertension. A structured interview was carried out from April 15, 1996 to May 3, 1996 in Yonsei Medical Center.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59 neurologically confirmed stroke patients as the study group and 59 non-stroke patients as controls.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means of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study group: 1) Hypertension in males had a 10.2 odds ratio (p<0.05), cardiovascular disease in females had a 11.3 odds ratio (p<0.05) and a farnily history of stroke in males had a 3.1 odds ratio (p<0.05). 2) Females smoking one or more cigarettes had a 8.3 odds ratio (p<0.1), but males had no direct relationship with odds ratio of 1.5 (non-significant). 3) Alcohol consumption in males had a 0.4 odds ratio, and in females had a 0.8 odds ratio. The odds ratio was decreased in alcohol consumption group (non-significant). 4) Males with more than 20 cigarettes pack-years history had a 2.5 odds ratio (p<0.05), more than 25 Body Mass Index had a 3.1 odds ratio (p<0.05) and more than 220 ml ethanol weekly consumption had a 1.5 odds ratio (non-significant). 5) Female smokers had a 8.3 odds ratio (p<0.1), drinkers a 0.8 odds ratio and more than 25 Body Mass Iidex, a 43.1 odds ratio (p<0.05). 6) Females without saltness perception from a 0.5% salt solution had a 6.8 odds ratio (non-significant). 7)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stroke in males were found to be hypertention, age, and obesity. The study was limited because number of subjects was too small for practical implications. However, like as other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at people should be advised to control hypertension, and obesity since these carry a risk of stroke.
        4,300원
        149.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구지역 남자 대학생의 체중조절지향 및 체형에 따른 식습관 및 기호도, 영양지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 C대 남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및 신체계측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19.8±2.3세였으며, 평균 신장 및 체중은 173.8±8.7cm 와 65.8±7.9Kg, 그리고 평균 BMI는 21.9±2.4로 한국인 체위기준치의 표준신장 172.0cm, 체중 66Kg, 평균 BMI 22.3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조사대상자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신장과 체중은 179.3cm와 70.4Kg로 이는 대체로 실제보다 큰 체형이었으며 이때 BMI는 21.9였다. 2. 스스로 평가한 자신의 체형은 '보통이다' 혹은 '여위었다'라고 생각하는 대상자는 72.7%였으며.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체형은 '약간 살찜'이라고 답하였다.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은 '좀 더 살찌기를 원함'이라고 답한 대상자가 74명으로 전체의 33.8%였고, '여위기를 바람'이라고 답한 대상자는 47명으로 전체의 21.5%였으며, '지금의 상태에 만족함'이라고 답한 대상자는 98명으로 44.7%였다. 3. 평소 식사량은 많은 편으로 '먹을 수 있는 최대의 양을 먹는다'고 답한 수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40.6%였으며 체중군별로는 과체중군이 48%로 가장 높았다. 각 체중군이 가장 중점을 두고 식사를 하는 시간은 '저녁식사'였다. 식사의 규칙성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51.6%가 '아침'을 규칙적으로 먹는다고 답하였으며 저체중군은 점심을 불규칙적으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51.1%). 식사를 거르는 이유는 '시간이 부족해서'라고 전체 조사대상자의 60.3%가 답하였으며 과체중군에서 '습관적으로 식사를 거른다'가 다른 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신의 식생활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불규칙한 식사시간'이라고 조사 대상자의 45.2%가 답하였다. 4. 영양관련 정보를 습득하는 경로는 조사 대상자의 49.8%가 '신문이나 잡지, TV'라고 답하였으며 '부모님', '학교수업' 및 '영양관련 서적' 등 이었다. 반면에 '영양관련 지식의 습득이 전혀 없다'라고 대답한 조사대상자도 26.5%나 되었다. 식품군별 섭취빈도조사 결과 '저체중군'은 '육류'의 섭취빈도가 높은 반면 '과체중군'은 '채소'의 섭취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5. 영양관련 지식에 대해서는 각 체중군은 20점 만점에 평균 15점을 기록하였다. 이들 체중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조사 대상사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영양관련 지식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6. 체형에 따른 식품섭취빈도는 일반적으로 '곡류 및 면류'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야채류 와 '기호식품 및 간식류'의 선호도도 높은 편이었고 '햄, 소세지'에 대한 선호도는 모든 체중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김치'의 섭취빈도가 각 체형군에서 고르게 가장 자주 섭취하였다. '과체중군'은 다른 군에 비해 '쇠고기'와 '기호식품 및 간식류'의 섭취빈도가 낮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저체중군'은 '과체중군'에 비해 육류의 섭취빈도가 높은 반면 '과체중군'은 야채와 과일 섭취빈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남학생의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에 따른 식사행동이나 식습관의 바람직한 방향을 위하여 영양학의 이해나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50.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rch to May in 1998 to compare the food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391 men in Kyung Nam area who were between twenties and sixtie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 1. The 30's were highest(173.8cm) and the 60's were lowest(168.3cm) in their average stature. The 30's were heaviest(68.2Kg) and the 20's were lightest(62.3Kg) in their average weight(P<0.001). Average BMI was highest in the 50's and lowest in the 20's. 2. Average food habit score of the subjects(4.08) was as low as belonging to the poor group and lowest was 20's. 3. The rate of not eating was highest in the breakfast and the subjects ate breakfast more as they were older(P<0.001). The serious problem of food habit was irregular eating time. The subjects ate in the more irregular time as they were younger. 4. 88.9% of the subjects preferred cooked rice and cereals as their main food, kimchi as their side dish and fruit as their eating between meals. 5. We found great differences in the kinds and number of drinkings subjects preferred as their ages(P<0.001). 20's preferred cider and cola. 30's, 40's and 50's preferred coffee and 60's preferred ginseng tea and citron tea. The rate of smoking was higher in 30's and 40's then in 20's and 50's. 6. 72.9% of the 20's and 16.7% of the 60's ate instant food more than 2-3 times a week. They ate Ramen most often because of its convenience. They ate out more as they were younger and preferred Korean food as their eating out menu. 7. The degree of preference in a sweet taste was highest in 20's and lowest in 40's (P<0.01) and the degree in the preference of a sour taste became lower as they were older(P<0.001). Only in the preference of a salty taste,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of the BMI level. They showed high degree in the preference of a salty taste as the order of the over-weight group, normal group, under-weight group and fat group. They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BMI and the degree of preference of a salty taste in 20's and 40's and between the food habit score and the level of BMI in 60's (P<0.05).
        4,600원
        151.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천과 서울지역의 노인들 151명을 대상으로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으로 나누어 실시한 조사대상자의 식습관과 건강상태, 건강식품에 대한 인식도와 기호도 그리고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정신건강상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 사항에서 평균 연령은 시설노인 남자 77.8세, 여자 78.5이고 재가노인은 남자 73.7, 여자 78.0로 시설노인이 높게 나타났다. 평균 체중과 신장은 시설노인 남, 여가 각각59.3kg, 49.2kg이며 재가노인 남여는 각각 61.2kg 53.6kg이며, 신장은 시설노인 남자가 161.9cm, 여자가 145.9cm, 재가노인은 남자가 168.0cm 여자가 150.5cm정도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학력은 무학이 절반을 차지하여 대부분의 노인들의 학력정도가 남으며, 시설보다 재가의 학력수준이 높았다. 2) 식습관에 관한 조사에서는 대부분이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며, 식사첫수는 하루 세끼를 하고 식사시간은 대체로 일정한 시간에 하며 외식횟수에 대해서는 재가노인의 경우 주 1-2회정도 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에 관한 전반적인 조사에서 대부분의 노인들이 바람직한 식생활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조사대상자의 건강상태에서 본인의 건장상태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시설노인이 61.5%, 재가노인이 24.2%로 유의적 차이(p<0.001)를 보임에 따라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현재 앓고 있는 질병의 여부에서는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조사되었으며 질병의 종류로는 당뇨병, 심장질환, 고혈압, 관절염등으로 나타났다. 최근 몸무게의 변화 여부에서는 시설노인의 48.1% 정도가 체중이 준 반면, 재가 노인은 변화가 없거나 늘어난 경우가 70%정도로 유의성이 있는 것(p<0.05)으로 나타났다. 5) 운동 횟수에서는 시설 노인의 65.4%가 운동을 하지 않으며, 남녀의 비교시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이 각각 33.9%, 66.3%로 유의성(p<0.05)이 나타나 남자가 여자보다 운동 횟수가 많았다. 걷는 정도에서 시설노인의 63.5%가 거의 못 걸으며 남자와 여자 사이에서도 유의성(p<0.001)이 나타났다. 걸을 수 있는 정도와 계단 오르기에 느끼는 불편 정도를 조사해본 결과 시설보다 재가의 경우가 일반적으로 건강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6) 흡연에 관해서는 시설노인의 대부분인 90.4%가 흡연을 하지 않았으며, 재가의 경우 하루 1/2갑 이하, 하루 1/2갑-1갑의 경우가 각각 22.2%, 17.2%로 유의성(p<0.05)이 나타났고, 남녀사이에서도 유의성 (p<0.001)이 나타났다. 7) 건강식품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조사에서 현재 비타민제나 영양제를 복용하지 않는 사람이 더 많으며,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비교시에는 시 설과 재가가 각각 76.9%, 60.6%로 유의성(p<0.0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을 위해서는 대부분의 노인이 건강식품을 구입하지 않았다.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 약이나 건강식품과 같은 먹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노인들의 일반식품에 대한 기호도를 보면, 육류를 선호하며, 특히 쇠고기에 대핀 선호도가 높은 편이었다. 과거의 채식습관으로 인해 채소, 해조류, 김치 과일등의 선호도는 높게 나타났고, 밥의 선호도와 국수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유지부분에는 참기름, 들기름, 대두유의 선호도는 높았지만, 버터, 마가린등의 유지는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노인들의 선호하는 맛은 대부분 단맛, 매운맛, 짠맛, 신맛 순서였다. 선호하는 음식 조리법은 찌개, 국, 무침을 선호하였다. 시설노인에 있어서 볶음의 선호도, 남자의 점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9) 간식의 경우는 1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으로 주로 섭취하는 식품으로는 과일, 우유, 유산균음료, 떡, 과자, 건강음료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과일을 간식으로 섭취하는 경우는 시설보다 재가의 경우가 더 높았다. 노인들이 선호하는 음료를 보면 커피 전통음료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노인들이 좋아하는 전통음료는 식혜로 조사되었다. 10) 노인들의 학력, 용돈, 주거형태에 따른 식습관과 정신건강의 차이를 보면 혼자서 사는 경우가 가장 낮은 식습관을 나타내었고, 학력에 따른 식습관에서는 고졸이 무학 국졸 중졸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용돈에 따른 식습관 차이에서는 더 많은 용돈을 사용하는 사람이 더 나은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전체적으로 약간 우울한 경향을 나타냈는데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우울의 정도가 심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학력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를 보면 학력에 따른 영향은 없으며, 용돈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를 보면 전체적으로 용돈이 적은 경우가 많은 경우보다 우울한 경향을 보였다.
        4,300원
        152.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지역 대학생들의 식생활 태도, 건강과 관련된 사항, 식습관 평가, 스트레스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53.5%가 정상체중. 43.3%가 저체중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저체중이 68.7%로 남학생 20.1% 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2. 대학생의 62%가 '하루 3회' 식사한다고 응답하였고 아침식사를 하는 대학생은 34.1%로 대부분의 대학생이 아침식사를 거르고 있었다. 식사시간은 대체로 불규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일주일에 1-2회 이상 운동하는 남학생은 73.2%로 여학생 48.0%보다 높았다. 흡연을 하지 않는 여학생은 89.3%로 남학생 41.5% 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대학생의 84.4%가 자신의 체형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현재의 체형보다 날씬해져야 한다는 응답이 80.0%로 남학생의 42.1%보다 높았다. 4. 대학생의 61.5%가 식품의 배합에 별로 관심이 없다고 응답하였고 녹황색채소를 거의 매일 섭취하는 여학생이 41.6%로 남학생의 32.3% 보다 높았고 과일의 섭취도 거의 매일 섭취하는 여학생이 45.3%로 남학생의 20.1%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부나 콩제품은 대학생의 55.6%가 '주 2회 이하'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우유나 요구르트는 83.8%의 대학생이 '주 2-3회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학생의 식습관은 보통 이하로 평가되었으며 여학생의 식습관이 남학생보다 바람직하였고 자택에서 통학하는 대학생이 하숙, 자취, 기숙사 또는 친척집에서 통학하는 대학생 보다 식습관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대부분의 대학생(73.8%)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있는 대학생의 42.9%가 '주 5회 이상' 운동을 하고 스트레스가 매우 높은 대학생의 53.9%는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시간에 따른 스트레스점수는 '불규칙' 3.11, '가끔 불규칙' 3.04, '일정한 시간' 2.66으로 식사시간이 일정할수록 스트레스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 특히 여학생에 대한 올바른 식행동과 건강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운동과 규칙적인 식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적절한 운동과 규칙적인 식생활은 정신건강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53.
        199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eating habits and food consumption pattern of 365 adolescent girls in Kwangju area.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relative body weight as obesity index. Anthropometric data showed that mean height and weight were 161.9±19.0cm and 53.3±7.2kg respectively which are similar to those in the Korean Standard Growth data. Mean BMI and relative body weight were 20.50 and 97.1%. Age of menarche in the subjec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obesity index. Food habit score in the underweigh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 at α=0.2 level by multiple range test. Obes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re frequent and irregular eating. It seems that students in the obese group were concerned on their body weight and tended to consume much vegetable. Obese group consumed more fruits, less butter and fruit juice compared to other groups. It might be suggested that more effective nutrition program might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nsure good food habit of adolescent girls including obese as well as underweight group.
        4,000원
        154.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children's obesity index to their mothers' food habit during the October in 1995. The survey covered a total of 492 mothers whose children were in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Cheju City a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surveyed children's average WLI(Weight-Length Index) is 107.08. WLI shows that 16.1% of them are overweight, 16.1% obese and 49.8% ideally weighted. The mothers' average BMI(Body Mass Index) is 22.4. 21.8% of them are underweight and 69.4% normal. The children's obesity index i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ir fathers', but not significant to their mothers'. 2.As to the food habit I (balance of nutrients intake), 58.4% of the mothers have 'excellent' or 'good' food habit and the mean score is 14.95 out of maximum possible score 24.0. Concerning to the food habit II (intake of sugar, fat and salt etc.), 87.4% of mothers have 'good' or 'fair' food habit and the mean score of is 13.34 out of maximum (possible score) 20.0. The mothers' food habit I and II, as a whole,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ren's obesity index, but in some items the significant relations are founded. The children's chesty index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take of eggs (P<0.05) and pan-broiled or fried foods (P<0.05). The amount of mothers' food intake is significantly relevant to their obesity index (P<0.001), but not significantly to their children's. The food habit of mothers who have taken midnight snack almost every da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chesty index (P<0.05). The findings of the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nutrition education to ensure health and better physical fitness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4,200원
        155.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and caregivers of the preschool children can be most effective when it is based on a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dealing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teachers and caregivers of the day-care centers. Two hundred forty two teachers and caregivers were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which was designed to ascertain informations on sociodemographic data,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of the teach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breakfast skipping/meal irregularities (age, p=0.011); frequency of snacking (education level p=0.031); preference for salty taste(age, p = 0.000, marital status p=0.038); preference for sweet tarte (age p=0.009); preference for vegetables (income level p=0.050); frequency of eating out (age p=0.028, marital status p=0.001); frequency of coffee drinking (age p=0.019). Daycare center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level was found to be less than adequate expecially on nutrients that are liable to be deficient in young growing children and their food sources. Proportions of the teachers who answered correctly to the questions on foods rich in vitamin A, iron content of milk, bioavailability of calcium in plant foods were as low as 20.2%-54.5%. The most frequently used sources of nutrition information were mass media such as TV, radio, newspaper and magazines. Only 2.9%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obtain nutrition information from health professionals such as nutritionists/dietitians, physicians, and nurses. These findings are applicable at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stages of various nutrition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teachers and caregivers of the daycare center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ers' dietary of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n food habits of young growing children.
        4,300원
        156.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eating habits of 230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ChunNam province. Anthropometric data showed that their mean height of girl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oy students. Irregular eating pattern of girl students was not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erning on weight control between girls and boys. Girls especially view themselves as too obese even though their weight was in normal range and they were more concerned on weight control due to appearance. Nutrition education at school was an important factor ruling out peaky eating habits in participants. More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might be suggested to form a good eating habit which result in maintenance of ideal weight and promote health for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4,000원
        15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food adaptation and the changes of food habit on Koreans residing in America. The subject was 89 Koreans residing in Knoxville, TN. The survey was undertaken from October to December of 1995.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od behavior, composite adaptation score(CAS), composition of Korean and American foods in 1 day, and frequence and preference changes of foods was determin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ellows : The mean CAS for all subjects was 17.6 with individual scores ranging from 9 to 23. The CA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siding age, American friends, English speaking ability, eat with Koreans, American food experience before, American food experience now, breakfast type in weekday, breakfast type in weekday, and self-food habits change at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S could be attributed to sex, marital status, children, and job. Food consumption patterns for breakfast was Korean style 58%, American style 39.3%. For lunch both style was almost same, and for supper Korean style was 78.2%. The intake of food most frequent was rice, and then Kimchee. The preference of Korean foods was increased, though the frequence was decreased. The preference and frequence of American foods were increased respectively.
        4,200원
        158.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내 일부 지역의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일반환경, 식생활 환경, 영양소 섭취실태를 설문조사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영양섭취와 각 변인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부모연령은 40∼49세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학력은 고졸이 높게 나타났으며 동거 가족수는 4∼5명, 가족의 한달 수입은 100∼150만원이 가장 많았고, 일주일 용돈은 5천원이상이 45.8%이었다. 평균신장은 160.2㎝, 평균체중은 52.3kg, 비만도는 96.8, BMI지수는 20.3, R hrer지수는 1.27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저체중 쪽으로 기울어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은 자신의 바람직한 체중을 표준체중보다 낮게 설정하고 있었으며 저체중군과 정상군일수록 비율이 높았다.(P<0.001) 한편 식습관 점수는 44.17점으로 낮았고 46.7%가 poor group에 속해 식습관이 불량하였다. 1일 1인당 섭취열량은 권장량의 86.4%인 1814㎉, 단백질은 107.7%인 70g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과 비타민 A, 비타민 C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양소는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다. 영양소 섭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학력과 월 총 수입, 식사횟수, 식습관 점수 등였다. 식습관 점수는 부모의 학력, 수입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식습관 점수가 높을수록 1일 식사횟수, 간식횟수도 증가하였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조사대상 여고생들은 자신의 체형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고, 자신에게 바람직한 체중도 낮게 설정하고 있고,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 실태를 보이고 있다. 여고생들의 불량한 식습관과 저체중 선호하는 실태를 보이고 있다. 여고생들의 불량한식습관과 저체중 선호하는 경향이 다음의 성인기로 이어져 자유로운 식행동을 하게 될 경우 더 큰 문제점을 야기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건강한 체형에 대한 바른 판단과 올바른 식습관의 정립을 위하여 학교와 가정에서의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4,000원
        159.
        199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ortant changes and the trends in Korean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1) food habits and food consumption patterns 2) nutrition, health and diseases 3) food safety and policy.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content analysis of the articles pressed in Donga ilbo and Choseun ilbo from January 1960 to June 1996. Among the total 1814 articles, those on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were 922 (50.8%), food safety and policy were 490 (27%) and food habits and consumption patterns were 402 (22.2%). The articles related to food habits and consumption patterns dealt with four contents, food habits reformation, changes in food consumption patterns, nutritional status and food habits. The frequencies of food habits content were highest (51.1%) and especially increased in 1980's and 1990's as the concerns on health and pursuit of convenience were increased. Most of contents related to food habits were health and longevity diet (44%) and eating out (27.5%). The percentile of food habits reformation, the changes in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nutritional status were 20.1%, 18.4% and 10.0%,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food habits reformation were most interested in 1960's when food shortage and poverty prevailed. Nowadays, the major subjects of food habits reformation were changed to the problem of wastage and the use of our agricultural foods. The frequencies of change in food consumption patterns were gradually increased from 1960's (7 item) to June 1996 (34 items). And the most of contents related to nutritional status were focused on suffering from food shortage especially in 1960's.
        4,000원
        160.
        199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강식품 및 원료의 유효성분 및 위해요소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의 기초조사로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차적으로 건강과 식습관에 관한 소비자 의식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방문 및 협조가 가능한 20세 이상의 일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1995년 10월부터 96년 2월에 걸쳐 직접 방문하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명한 후 조사 대상자가 직접 기입하게 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882부를 회수(회수율 88%)하였으나 이중 불완전한 응답 23부를 제외한 859부(유효회수율 86%)를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대하여는 단순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교차표를 이용하여 결혼 여부, 월수입, 교육정도 등의 사회경제적 여건과의 통계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건강유지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식습관(39.8%)이라고 답하였으며 93.9%가 식습관에 의해 질병에 걸릴 수 있다고, 97.1%가 식습관에 의해 질병이 치료될 수 있다고 믿고 있어 건강과 식습관이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염려되는 질병으로는 암(30.6%), 성인병(14.1%), 사고에 의한 질병(12.6%), 비만(10%) 순이였고 식습관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고 믿는 질병의 종류에는 당뇨병(35.6%), 비만증(22.4%), 고혈압(12.8%), 변비(12.7%), 암(7.9%) 순이였으며 식습관에 의해 치료할 수 있다고 믿는 질병의 종류에는 당뇨병(40.1%), 비만증(25.9%), 변비(16.5%), 고혈압(7.4%), 암(3.3%) 순으로 나타나 당뇨병과 비만증은 식습관과 매우 밀접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가장 염려되는 암에 대해서는 큰 기대를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