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6

        14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보호관찰관들의 지배적인 리더십의 유형은 무엇이며, 리더십의 유형과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전국 49개 보호관찰 기관 모든 직원을 대상으로 한 이메일 설문조사방법을 통해 2008년 11월에 수집 되었다. 보호관찰공무원 총 989명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한 478건 중 최종모형에 사용된 384건을 중심으로 분석이 진행되었으며, 주로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했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보호관찰관들은 변혁적 리더십을 주로 채택하고 있었다. 그 리고 선행연구와는 달리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결합된 형태도 보인 점은 매우 중요한 발견이다. 마지막으로 직무요인을 고려하면서 리더십의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은 변혁적 리더십이 포함되면 긍정적으로 유의미했으나, 거래적 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보호관찰공무원 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거래적 리더십 보다는 변혁적 리더십을 수용 할 필요가 있다. 리더십은 조직관리 및 교육훈련의 핵심적인 사항이다. 또한 효율적인 리더십은 미래의 보호관찰관에게 학습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보호 관찰관들에게 스스로 리더십의 효과성을 개선하도록 돕고, 미래의 보호관찰관 들을 위한 효과적인 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6,400원
        14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를 전공하고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기반을 둔 치료지원 서비스 전문가의 근무환경 과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향후 교육기반 작업치료사의 복지향상과 최적의 치료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 1월 4일부터 2010년 1월 20일까지 전국에 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작 업치료 전공자를 대상으로 전화, 우편,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한 총 6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고용형태는 계약직 전일제, 직책은 작업치료사, 급여는 150~200만원 미만, 순회 근무지 수는 1곳, 대상 아동 의 장애유형은 지적장애, 치료 기구 및 장비의 구비 상태는‘그저 그렇다’로, 관련서비스 팀원으로 특수교사로 대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학교에 근무할 때 전체만족도가 높았고, 정규직이고, 급여가 많을수록, 1일 치료 아동 수가 적을수록 보상체계 만족도는 높았으며 근무처와 직책에 따라 자율성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료기 구 및 장비 구비 여부에 따라 업무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일 치료 아동 수에 따라 인정지위와 자율성, 만족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 요인 중 업무체계와 보상체계, 업무체계와 자율성, 인간관계 와 인정지위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특수교육지원센터 및 학교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비롯한 치료지원 전문가들의 근무환경 개선과 직무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과 방안이 필요하며 학교기반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세미나 및 보 수교육, 학교 기반 작업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4,800원
        146.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4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eting values leadership of restaurant general managers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ir competing values leadership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 sample of full-time restaurant employees (n=360, 36% response) completed an e-mail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eight sub-dimensions of competing values leadership roles, the monitor (4.04), producer (4.01), and director (3.99) roles were perceived as the most frequently used leadership styles of managers compared to broker (3.78), innovator (3.83), and mentor (3.91) roles (p <0.001). Additional T-test results suggested that an employees’ gender had an influence on how he/ she perceived the leadership style of their manager. Male employee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the director and mentor roles (4.19) were performed very well by their managers, while female employees perceived that their managers concentrated more on monitor (3.98) and producer (3.96) roles rather than on broker (3.73) and innovator (3.79) roles (p< 0.05). It was found that manager competing values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the mentor, coordinator, and innovator manager roles explained the relationship with 42.1%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0.001). In further findings, the manager competing values leadership roles had an effect on employee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data were as follows: mentor and facilitator roles promoted a decrease in employee turnover intention and the director role caused employee turnover intention to increase. Ultimately,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restaurant managers to guide the application of appropriate competing values leadership roles in order to strengthe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4,000원
        148.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서울에 위치한 사회복지관 조직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에 관하여 조사한 연구이며, 조사 결과에 따른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심리적 부분을 중점으로 제시한 논문이다. 급변하는 사회에 가장 민감한 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복지관 조직이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욕구만족을 위한 최대의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감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 이다. 왜냐하면 구성원들의 직무만족도가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사회복지관 17개 기관을 선정하여 총 267명을 대상으로 현재 담당하고 있는 직무에 대한 만족도, 동료 및 상급자와의 업무 협조 관계, 자기 발전의 가능성, 자긍심, 복지관의 복지후생제도, 합당한 대우의 정도, 업무 양, 보수수준, 직장 내에서의 인간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에 관련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관의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도는 전체 3.43의 평균값이 나왔다. 사회복지관 구성원이 느끼는 직무에 대한 만족감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의 결과를 보여준 것은 동료들과의 업무협조정도에 대한 만족감이었으며, 가장 낮은 항목은 업무의 양 및 복지 후생제도, 보수수준의 만족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사회복지관이 아직까지는 근무환경 및 조건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조직의 구성원들의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기관 및 자신의 일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직접적은 인사제도 및 보수를 포함한 복지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제고시키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겠으나, 좀 더 장기적이고 거시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는 조직발전(OD)을 통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직발전은 체험학습에 의거, 개인의 태도나 행태의 변화에 중점을 두는 교육훈련의 방법으로서, 훈련기법으로는 감수성 훈련(sensitivity training), 게슈탈트 심리치료(Gestalt therapy) 등이 있다. 감수성 훈련 및 게슈탈트 심리치료 기법은 기관의 근무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기법이기보다는 개인적인 행동변화 및 심리치료를 위한 기법으로써 사고, 감정, 행동의 전체성과 통합을 위한 노력을 통해 현재의 문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갖게 함으로써 직무만족도를 높여주는 데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5,200원
        150.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chool dietitian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status of employment,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with the latter being irregularly employed by the institution. In this study, the job satisfaction, communication ability, work performance and importance in feeding services and dietetic counseling of both groups were compared. To accomplish this, 100 regularly employed school nutrition teachers (regularly employed) and 101 dietitians (irregularly employed)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rregularly employed dietitians showed a low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han the school nutrition teachers. This was likely because the school nutrition teachers belonged to the strong inner circle of school teachers and cafeteria workers, and had enough time to prepare for class lectures and consultancy. Conversely, the irregularly employed dietitians generally handle extra office work in addition to their primary duties. Despite these differences, both parties agreed that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work system. Additionally, school dietitians reported that they had little opportunity for further training for career development. (2) Both parties had good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the irregularly employed dietitians had more conflicts with other staff members than the regular employees. (3) Job performance and job importance level was compared among employees involved in school feeding services and nutrition counsel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in either group (p<0.05). However, the school nutrition teachers showed better skills than school dietitian with respect to public relations, running independent counseling offices, and using effective tools and materials. Job performance level was lower when compared to job importance level for all items, which meant the job was not well performed when compared to the work importance awareness.
        4,000원
        151.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범죄자를 대상으로 특수한 작업환경에서 직무를 수행해야하는 교정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Maslow의 욕구단계이론을 토대로 직무만족도를 비교 분석해 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강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결과 경찰공무원은 교정공무원 보다 직무에 대한 안전성, 존중감, 성취감을 더 많이 느끼는데 반해, 교정공무원은 경찰공무원 보다 직무에 대한 안 정성 및 소속감 영역에서 세부항목에서만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 으로 교정공무원이 경찰공무원보다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강구하였다. 첫째, 교정공무원의 직무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계구사용에 관한 합리적인 기준이 보다 명확하게 법률상 규정되어야 하고, 수용자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가석방 심의에 교정공무원의 평가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경찰에게 실시하고 있는 직무환경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맞춤형 복지 제도'를 교정환경에도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정공무원의 존중 감을 높이기 위해 교정행정 역시 경찰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양한 홍보시스템 구 축 및 뉴미디어 활용 등의 전략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하다. 셋째, 교정공무원의 성취감 향상을 위하여 교정공무원 개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해야한다. 더불어 현재 실시하고 있는 장․단기 해외연수 프로그램을 확 대․실시하여 보다 선진적인 교정제도를 우리 실정에 맞게 도입함으로써, 교정 행정의 선진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7,000원
        152.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althcare organizations need mutual cooperation among various medical professionals in order to carry out the performance of their duties spite of having a strong job specialization and independence based on license. However, spite of the importance of l
        4,000원
        153.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mber's perception toward organizational climate is an abstract concept but generally it has been used in the meaning of Organizational climate by members, in an attempt to give an idea of what kind of meaning an organization can have from a psychologica
        4,000원
        154.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작업치료사들의 임파워먼트, 직무특성, 직무몰입 그리고 직무만족의 특성과 상호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경력 1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4개의 부분으로 총 6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문항, 임파워먼트 12문항, 직무만족 20문항, 조직몰입 15문항)를 이용하여 수집된 임상 작업치료사의 특성별 임파워먼트의 차이, 그리고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59.24였고 임파워먼트 요소로서는 의미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차이는 성별, 교육수준, 근무형태, 총 근무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은 임파워먼트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임상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가 증가할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 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관계되며, 이는 일부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치료사의 직무 관련 스트레스와 만족도 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 향상 전략을 연구하는데 있어서의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15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대 기업경영에서 혁신이 차지하는 중요성과 핵심자기평가 관련 연구의 부족을 인식하면서 핵심자기평가, 직무만족, 그리고 혁신행동 간의 관계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주장과 설명을 바탕으로 매개작용 모형이 제안되었다. 핵심자기평가의 직무만족 및 혁신행동 각각과의 관계를 검증하면서 핵심자기평가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대하여 직무만족이 갖는 매개작용을 조사하였다. 제안된 연구모형은 울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은행과 증권회사 지점의 직
        5,500원
        157.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900원
        159.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he internal marketing of the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immersion, as well as the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f internal customers (employees) ha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immersion, and the function as a preceding variable that improves service quality. T-test,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hypotheses of the study. The summary of study as per the result of this corroborative study is presented as follows: It was verified that internal marketing affects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and job satisfaction plays a crucial role in organizational immersion. Moreov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internal marketing i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immersion will be, thereby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provided by employees. If enterprise regards employees as internal customers and constantly and efficiently conducts internal marketing activities such as internal communication, training, welfare, compensation, delegation of power, supporting the management, etc,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will be heightened, thereby enhancing loyalty and pride in the organization to provide services with better quality.
        4,000원
        160.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hysical therapists. Currently, healthcare is changing very rapidly with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response to these rapid and uncontrollable changes, organizational members are often empowered. Through the empowerment process, feelings of powerlessness and frustration can be reduced and factors promoting work performance,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uld be enhanced. One said this term popularly, there was a lack of study.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physical therapy administr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352 therapists from many hospitals from February 1 to February 28, 2008, and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etc., were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empowered subjects, gender (p<.05) and age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p<.01).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pattern, marriage status, and the period of duty were observed to be different among empowered therapists (p<.001). The degree of empowerment as perceived by therapists was 58.72. Empowerment was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01). The study on empowerment was significant from the aspect of strategies to increase work performance. To elucidate the optimal strategy to effectuate empowerment in clinical practice, we studied various aspects of empowerment.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warranted.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