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4

        14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Planting vigorous cuttings that quickly develop shoots and roots is essential to the biological and economic success of producing medicinal flower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duration on seedling capacity in the propagation of Chrysanthemum indicum L.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oting media on the growth of C. indicum L. after cutting.Methods and Results:Returning cuttings to supplemental cold storage (2.0 ± 1.0°C) may extend duration of cutting viability 6 weeks, returning cuttings to supplemental warm storage (25.0 ± 1.0°C) is not recommended. The treatment of the growing media experiments, which were conducted in the 2014 planting seasons, included sawdust, river sand, topsoil + sawdust, topsoil + poultry manure, sawdust + river sand, river sand + poultry manure, topsoil + river sand + poultry manure, topsoil + poultry manure + river sand + sawdust. Result indicated that the topsoil + poultry manure media performed best and supported the highest number of branches (3.47), branch length (26.39), and number of leaves (88.63).Conclusions: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old storage and the topsoil + poultry manure growth media was superior in supporting the early establishment of C. indicum cutting, this result will have a tremendous influence on propagation of this species.
        14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growth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rootstock.Methods and Results:Rootstocks of S. chinensis were stored in either soil or vermiculite that had been treated with a control treatment, diluted wood vinegar (50 or 100-fold), DF-100 (50-fold), or 1-naphthylacetamide and at 5°C or 15°C. After 8 weeks, the stored roots were planted in the field, and both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were observed after transplantation. The greatest number of leaves (5.60 ± 0.80) was produced by roots that had been stored in soil treated with 100 fold dilution of wood vinegar and at 5°C. Meanwhile the maximum plant height (6.92 ± 0.78 ㎝) at 30 d after transplanting was observed for rootstocks that had been stored in soil treated with the 100 fold dilution of wood vinegar and at 15°C, whereas the maximum plant height at 60 d after transplanting (26.46 ± 0.71㎝) was observed for rootstocks that had been stored in soil treated with the 100-fold dilution of wood vinegar and at 5°C. Therefore, the storage of rootstocks in soil treated with the 100-fold dilution of wood vinegar and at temperatures at or below 5°C was most effective, and it can be used to prevent the decay of roots during the postharvest management of S. chinensis rootstocks.Conclusions: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among the parameters examined, the storage of roots in soil that had been treated with the 100-foil dilution of wood vinegar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growth of S. chinensis.
        143.
        201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appropriate storage of fresh-cut onions may result in losses of good quality. To understand storage conditions for shelf-life and quality of fresh-cut onions, The effect of packing type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fresh-cut onions was evaluated. Onions stored at 0℃ for 2 months were peeled off after removing root and shoot parts. Each three peeled onions were packed in a polyethylene film (PE, 50 μm) or in a polyethylene/polypropylene film (PE/PP, 100 μm) with vacuum treatment (70 cmHg) and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4, and 10℃) for 21 days. The following analyses were examin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fresh-cut onions: microbial population, surface color, titratable acidity and pH, respiration rate, and sensory quality. Fresh-cut onions stored at 4℃ showed less aerobic and coliform bacterial population than those stored at 10℃ during observation periods. Fungal populations of fresh-cut onions packed in PE film stored at 10℃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13 days. E.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treatments during whole storage periods. Surface colors of fresh-cut onions were not affected by packing type and storage temperature, however, color difference (ΔE) of fresh-cut onions in PE/PP film stored at 1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Titratable acidity of fresh-cut onions was not affected by packing type and storage temperature. However, pH of fresh-cut onions packed in PE film stored at 10℃ increased gradually over the whole storage period. Fresh-cut onions packed in PE film showed higher CO2 and less O2 concentrations at 10℃ than those at 4℃. The sensory quality of fresh-cut onion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packing type and storage temperature after 13 days. Particularly, vacuum treatment in PE/PP film showed better sensory quality than that of PE film package at the same storage temperature. It was concluded that vacuum treatment and storage at 4℃ could be effective to prolong the quality of fresh-cut onions up to 21 days.
        14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roots of Codonopsis lanceolata have been used as a tonic crude drug and an edible plant in Korea. The plant mainly contains triterpenoid saponins, including codonolaside, codonolasideⅠ-Ⅴ, lancemaside A-G. Their saponins have shown anti-inflammatory effects such as bronchitis and cough, insomnia and hypomnesia. C. lanceolata is well known to affect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for human health, and its consumption is increasing. Recently, plant and plant-derived products were treated a part of the healthcare system by applying the bioactive phytochemicals. Antioxidant and immune activity substances in food play an important role as a health-protecting facto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 vitro immune cell growth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different storage period and storage temperature of C. lanceolata. Methods and Results : The plant materials were used the roots of C. lanceolata cultivated in Jeju area, Korea. Immune enhancing effect was conducted using T cell and B cell of human immune cells. Each cell incubated for 8 days with the sample extrac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immune activation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immune cells.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the method of Noro(1983). In different storage period and storage temperature conditions, the immune cell growth of C. lanceolata extract promoted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both human T cell and B cell, a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C. lanceolata extract tended to decrease more, depending on the longer the storage period or the higher the storage temperature. Conclusion :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root of C. lanceolata may assist in the potential biological activities, and can be used as a source of human health products.
        145.
        201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연잎의 전처리방법 및 저장온도에 따른 연잎 의 저장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잎을 각각 생 잎, 데치기, 덖음 및 건조로 구분하여 처리하고 온도별로 실온(25℃), 냉장(4℃), 및 냉동(-10℃)에 저장하면서 연잎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외관상으로 실온에서 보관한 연잎 은 저장 5일까지, 냉장 보관한 연잎은 저장 30일까지, 냉동 저장한 연잎은 90일까지 양호하였다. 동일 저장온도 조건에서 pH, 가용성 고형분 함량, 총산, 폴리페놀 및 미생물 수는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동일 처리조건에서 가용성 고형분함량, pH, 총산 함량이 저장온도간에 유의적 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연잎의 폴리페놀 함량과 유기산중 oxalic acid, tartaric acid 함량은 데치기와 건조 처리구에서 저장온도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변량분산분석에서도 나타났는데, 모든 품질 특성 에서 각 온도별 처리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 각 처리구별 저장 온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특히,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에는 저장 전 연잎의 처리방 법과 저장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적으로, 연잎의 전처리 방법에는 큰 상관이 없이 저장온도 에 크게 영향을 받아 상온에서 5일, 냉장에서 30일, 냉동에 서 90일 정도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146.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out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fresh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during distribution. Methods and Results : Fresh ginseng was washed, packed in 30㎛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film, then stored at 0, −2 and −4℃. After 4 weeks of storage, ginseng was then stored at 5℃, as a simulation of the distribution process. Ginseng stored at −4℃ showed higher respiration rate, ethylene production and electrolyte conductivity during the distribution phase than those stored at 0 and −2℃. Decay and browning rate rapidly increased following 3 weeks of distribution in samples stored −4℃. However ginseng stored −2℃, which is below freezing point, for 4 weeks did not show the physiological change or quality deterioration. Ginsenoside contents decreased during storage for all plant, bu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storage temperatures. Conclusions : Storage at temperatures below −2℃ can negatively affect respiratory characteristics and electrolyte leakage and increase quality deterioration and decay rates during distribution.
        147.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functional wild vegetable, is perennial herb and young leaves with soft texture are generally used as edible food. So the demand for the vegetable has increased recent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hading o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 dioicus. Methods and Results :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temperature and shading treatments. Seed pre-treatment before the germin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he storage in low temperature (4℃) under wet condition (LTW) for 0, 15, 30, 45 and 60 days and shading treatment were 35%, 50%, and 75% under control, BA (6-benzyladenine) and GA3 (gibberellic acid) condition for 24 hours.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storage periods led to increases seed germination percent in low temperature (4℃) under wet condition (LTW), germination rate of A. dioicus seed was the highest at 15℃ with 60 days of seed pre-treatment. In the case of seeds pre-treatment with LTW, the more temperature went up, the more days to 50% of Germination of Final Germination Rate (T50) went down. As a result of surveying shading treatment, germination rate was the highest in control of 35% shading and the next higher was in control of 50% shading. Conclusions : It is concluded that the temperature and shading are important factors to produce A. dioicus. Also, We suggest these results as basic data of A. dioicus for sexual propagation.
        148.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high temperature aluminate cementitious thermal storage material we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Alumina cement was used as basic binder and the effect of the replacement of fly ash, silica fume, calcium sulfo aluminate and graphite for alumina cement was investigated.
        149.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the storage period of hardy kiwifruits on the fruit firmness, soluble solids and fruit weight were studied in this work.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the Sae-Han cultivar of Actinidia arguta. It has an edible smooth skin and contains high amounts of sugar and vitamin C (ascorbic acid). In this research, the measurement of fruit firmness, soluble solids, and fruit weight were carried out at various temperatures (5, 10, 15, and 20℃) during 14 days. Fruit firmness rapidly decreased and soluble solids content increased at 15 and 20℃. We also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fruit firmness and soluble solids content.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fruit firmness and soluble solids content. That means that fruit firmness affect the soluble solids content of hardy kiwifruit.
        151.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꽃게 조미소재, 야채, 천연조미료 등을 활용하면서, 편의 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꽃게풍미 볶음밥을 제조하였다. 꽃 게풍미 볶음밥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20, 4, 25℃에서 6주 동안 저장하면서 pH, 산도, 총균수, TBA, VBN,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총균수 결과를 활용 하여 볶음밥의 유통 기한을 예측하였다. pH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 pH는 7.74 이었고 저장 6주에는 pH 7.76으로 나타나 저장 중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를 조사한 결과, -20℃ 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에 0.4%이었고 저장 6주에는 0.4%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반면, 4℃ 와 25℃ 의 저장 6주에는 각각 2.7%, 4.6%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TBA 값을 측정한 결과, -20℃에 저장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 1.07 μg/g이었고, 저장 6주까지 1.39 μg/g으로 나타나 저장 중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휘발성염기질소를 조사한 결과, -20℃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에 26.60 mg%이었고, 저장 6주에는 28.14 mg%로 나타나 신선 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4℃와 25℃의 저장 6주 에는 각각 65.15 mg%, 68.00 mg% 수준으로 나타났다. 총균 수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 3.58 log CFU/g이었고 저장 6주째에는 4.11 log CFU/g으로 나타나 미생물변화는 안정적인 것으로 관찰되 었다.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20℃에 저장된 볶음밥 의 경우 종합적 기호도의 변화를 보았을 때, 저장초기 7.8이 었고 6주째에는 6.7으로 나타나 저장 기간 동안 처리구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25℃의 경우 저장초기 7.5이었으 나, 저장 6주째 1.0 수준의 평가를 받아 저장온도 및 저장기 간 동안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미생물 결과를 토대로 볶음밥의 유통기한을 예측한 결과, -20℃에 저장할 경우 14.9주, 4℃에서 저장할 경우 0.4주 인 것으로 각각 조사되었 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꽃게풍미 볶음밥은 -20℃에 서 저장하는 것이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인 측면에서 저장성 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고, 편의식품화로서의 이용 가능 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152.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 국화 ‘백설’의 상온 및 5℃ 저장시 Promalin 50mg.L-1 처 리는 절화 후 초기 개화를 억제시키고 품질을 증진시키는 좋은 작 용을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상온 저장시 더욱 효과적이 었으며 상품성 손실과 관계되는 생체중 유지에 작용하여 선도유지 에 좋은 전처리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romalin 50mg.L-1 분무 전처리는 절화 국화의 에틸렌 발생을 억제시키는 경향을 나타 내었으며 호흡급등형 패턴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5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프레이 국화 ‘Radost’의 수확 후 저장 온도와 기간 에 따른 절화의 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 다. 절화 국화 ‘Radost'를 수확 후 1, 4, 7, 10, 20℃의 온도 조건에 서 5, 10, 20, 30일간 저장한 후 저장전과 저장 후, 그리고 보존용액 에서의 생체중, 화폭, 흡수량 등의 품질 변화와 절화수명을 조사하 였다. 5~10일 동안의 단기간 저장에서는 1과 4℃ 조건에서 생체중 과 화폭이 다른 처리보다 높게 유지되었고, 절화수명이 16일 정도 로 길었다. 20~30일 정도 장기간 저장시에는 4℃보다 1℃로 유지 하는 것이 생체중과 화폭이 높게 유지되었고, 흡수량이 많았다. 또 한 절화수명은 1~8일 정도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프레 이 국화 ‘Radost'를 단기간 저장시에는 4℃이하로, 장기간 저장시 에는 1℃로 유지하는 것이 절화의 품질과 수명에 효과적이었고, 1℃ 조건에서는 30일까지도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54.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탠다드 국화 ‘신마’의 절화 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수 확 후 저장 온도와 기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절화 국 화는 수확 후 1, 4, 7, 10, 20℃의 온도 조건에서 5, 10, 20일간 저장 한 후 절화의 생체중, 화폭, 흡수량 등의 품질과 수명을 조사하였다. 5일 동안의 단기간 저장에서는 4와 7℃에서 저장했을 때, 생체중 과 화폭 등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수명도 다른 처리에 비해 3~5일 간 연장되었다. 10일간 저장에서는 20℃ 저장처리에서 수명이 12 일 감소하였으며, 1~4℃에서 저장한 처리에서 수명과 품질이 가장 양호하였다. 절화 국화의 20일간 장기 저장은 5일과 10일 저장보 다 저장 온도에 상관없이 생체중, 화폭, 흡수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다른 처리보다 1℃ 저장한 처리가 절화수명이 6일이었고, 품질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스탠다드 국화 ‘신마’를 수확한 후 5일이나 10 일간 저장하기 위해서는 4℃가 가장 효과적이며, 20일간 장기 저 장을 위해서는 1℃에서 저장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155.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미 ‘Vital’ 품종의 최적 보존용액, 저장온도, 포장방법 등을 알 기 위해 실험을 실시히였다. 절화 장미 ‘Vital’의 절화수명은 무처 리에 비해 모든 보존용액 처리에서 수명이 연장되었다. 200 mg·L-1 DF-100+3% sucrose와 2% Hwajung 보존용액에서는 무처리에 비해 5일 이상 수명이 크게 연장되었다. 저장온도, 포장방법 및 저 장기간이 절화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PE 필름포 장 및 물솜포장을 하여, 10℃, 20℃에 두면서 0, 2, 4, 6, 8일간 저장 하여 절화수명을 조사하였다. 10℃저장에서는 건식 PE필름 포장 과 물솜포장이 모두 효과적이었다. 10℃ 건식 저장에서는 무처리 보다는 PE 필름 포장이 상품성 유지에 효과적이다. 10℃ 물솜처리 (200mg·L-1 DF-100+3% sucrose) 저장은 절화수명이 가장 우수 하였다. 20℃ 건식저장은 2일까지는 관상가치가 있었으나 그 이후 로는 위조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20℃ 물솜처리(수돗물) 저장은 4 일까지 가능하였다. 그러나 20℃ 보존용액 물솜처리는 2일까지만 관상가치가 있었다. 그러므로 건식상태로 상온에서 유통이 될 때에 는 노출되는 시간을 2일 이내로 줄여야 한다.
        160.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레토르트 삼계탕을 멸균 조건을 달리하여 실온 저장하면서 물리화학적 또는 관능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적정 가열 처리 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F0값을 4, 7과 10으로 각각 달리하여 레토르트 삼계탕을 제조한 후 25℃에서 12개월 동안 저장하며 물리화학적 품질 변화를 비교하였다. 저장기간 중 삼계탕의 pH는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VBN, 카보닐, TBARS, 점도, 경도 값과 산소 농도 비율은 F0값 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F10 처리구의 12개월 후 조직감 항목을 제외한 모든 시료들에서 상품성 한계치인 5.0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종합적으로 F0값 수준이 높을수록 제조 직후 및 저장 과정 중 레토르트 삼계탕의 품질열화 정도가 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삼계탕의 저장 중 품질 저하를 줄이고 안전성을 보장하는 적정멸균 조건으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