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0

        161.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apid weight reduction for short duration on serum enzyme and stress hormone in high school wrestlers. Subjects were composed of 7 student wrestlers whose wrestling careers were 3years over. Subjects were reduced 5% of their body weight by exercise, reducing food and sauna method for three day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and consideration of many pre studies related it, the result could be drawn as follows. First, Data analysis of 5% weight reduction on CPK,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increase than pre level(p<.05). Second, Data analysis of 5% weight reduction on LDH,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increase than pre level(p<.05). Data analysis of 5% weight reduction on Epinephrine,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decrease than pre level(p<.05). Data analysis of 5% weight reduction on Norepinephrine,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increase than pre level(p<.05). In conclusion, rapid weight reduction gives an effects on decreasing wrestlers' physical fitness suddenly during the match because of changing rapidly of serum enzyme and stress hormone in the body. I hope that more studies will be followed on serum enzyme and stress hormone in rapid weight reduction of weight class competition players in the future.
        4,300원
        16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a non-specific immune response and mortality of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ollowing a bacterial infection. Seventy five tilapia acclimated to 25℃ were then transferred at 16 and 36℃, and examined for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over 12-96 h. Respiratory burst activity was reduc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fish cultured at 16 and 36℃ over 24-96 h, whereas phagocytic activ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fish reared at a low temperature (16℃) over 12 and 24 h and high temperatures (36℃) over 12-96 h. Lysozyme activity diminish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fish transferred to 16℃ over 12-48 h, bu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fish at 36℃ over 48 and 96 h.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ACH50)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ransferred to 16℃ after 12 h, but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ransferred to 36℃ after 24 h. In a challenging test, 30 tilapia reared at 25℃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Streptococcus iniae at a dose of 2x107 cfu/fish, and then reared onward at water temperatures of 15, 25 (control), and 36℃. Over 12-96 h, the cumulative mortality of S. iniae-injected fish held in 16 and 3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njected-fish held in 25℃ In conclusion, transfer of tilapia from 25℃ to low temperature (16℃) after 12 h, and transfer of fish from 25℃ to high temperature (35℃) reduced their immune capability. Furthermore, tilapia under temperature stress at 16 and 36℃ from 25℃ decreased its resistance against S. iniae
        4,000원
        16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정도와 자녀의 감각처리능력,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경상북도 B군, 전라남도 N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 60명과 자녀 60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 문화적응 스트레스 검사, 자녀에게는 단축감각프로파일과 사회성숙도를 검사하였다. 결과 :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한국문화적응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감각처리능력과 사 회성숙도에 지연을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지수의 관련성과 변인분 석에 대한 연구 결과,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두려움, 죄책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총점 항목은 자녀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지수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부항목 변인 중에 지각된 차별감과 기타 항목이 사회지수 변동에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차별감, 문화충격, 죄책감 항목이 감각처리능력 변동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외국인어머니의 한국문화적응에 어려움이 자녀들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 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아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과 자녀들에 대한 작업치료 중재 시 기 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4,600원
        16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이수 정도와 현재 참여 여부에 따라 부모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 후 부모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KACE)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있거나 이수했던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부모 411명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 부모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학부모들은 교육현장에서, 부모교육 참여에 공백 기간을 갖고 있는 학부모들은 방문과 이메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일회성 특강 이수 그룹과 정규 프로그램 이수 그룹의 부모효능감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양육스트레스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부모와 공백 기간에 있는 부모 사이에는 부모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교육 프로그램 이수 후 6개월이 지나면 부모효능감은 낮아지고 양육스트레스는 1년 이상이 지나면 높아졌다. 셋째, 부모교육 프로그램 이수 후 부모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4,900원
        165.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가 유발한 스트레스가 소비자의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쇼셜 쇼핑 상황을 가정하여 소셜 네트워크 내에서 겪은 스트레스가 쇼셜 쇼핑의 광고반응으로 수립된 소비자의 대처행동(적극적 대처, 정서적 지지, 부인)에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쇼셜 네트워크 스트레스는 소비자의 대처행동 중 적극적인 대처와 정서적 지지, 부인에는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대처행동 중 적극적인 대처와 정서적 지지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부인은 부(-)의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쇼셜 네트워크 스트레스가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은 비유의적이었다. 한편 연결의 강도차원에서 쇼셜 쇼핑 상황 내에서 추천인과의 관계가 스트레스에서 대처행동의 경로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는데, 지인추천과 파워블로거 추천은 비유의적이었으나 MD 추천의 경우 부분적으로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의 경로 상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제언을 하였다.
        6,400원
        166.
        201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mount of job stress factors of hospital workers, which has an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For identifying the influences on turnover intention, the workers at national and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fall into three categories- office workers, technical workers, and nursing staffs-, and the stress factors are subdivided into seven factors as job demand, job autonomy, relationship conflict, job 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proper rewards, and corporate culture. The research method is built as a questionnaire for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es and preliminary study, and 232 workers at national and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were surveyed. IBM SPSS Statistics21 was used as the static analysis tool a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about job stress factors and the turnover intention is analyzed depending on the types of hospitals, job groups, working years, and gender. The result shows that the job stress factors have similarit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hospitals and these job stress factors ha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 hospital managers can find the major job stress factors of their employees and resolve their turnover intention in advance.
        4,000원
        16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NaCl) 스트레스 하에서 근대의 이온축적 및 삼투조 절물질로 알려진 Glycine betaine (GB) 함량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0, 100, 200, 300 및 400mM의 염(NaCl)을 처리하여 생장, 이온양상 및 GB 함량을 조사하였다. 염(NaCl) 농도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근대 잎의 건중량은 염(NaCl) 0, 100 그리고 200 mM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300 mM 이상의 염(NaCl)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내었다. 양이온 함량은 염(NaCl) 농도 및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주로 Na+ 이온을 축적하며 K+, Mg2+, Na+, Ca2+ 그리고 Fe2+ 순으로 식물체 내에 함유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총 이온함량과 삼투몰 농도는 염(NaCl) 농도가 증가함 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Na+와 같은 무기이온 을 직접적인 삼투 조절자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ycine betaine은 10일째까지는 함량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염 처리 후 20일째 200 mM 염(NaCl) 농도까지 현저하게 Glycine betaine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300mM 염(NaCl) 농도에서는 다소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근대 는 염(NaCl)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질성 삼투 조절물질로 Glycine betaine을 축적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근대는 식물체 내로의 염(NaCl)의 유입을 배제하는 기작보다는 효율적인 염(NaCl)의 재분배 및 구 획화와 무기이온을 삼투조절에 이용하며, Glycine betaine 과 같은 세포질성 삼투조절물질을 축적하는 생리적 특성 으로 염(NaCl) 환경을 극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168.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이 인지하는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에 따른 우울감의 정도를 분석함으로서 우울감의 요인들을 감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노인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스트레스 요인 및 사회적지지와 우울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주요한 영향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223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스트레스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우울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그 변인들 간의 관계와 특성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 나이와 교육정도는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가족관계, 경제관계, 건강상태가 우울감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적지지에 따른 우울감의 영향요인으로는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정서적지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들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서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5,200원
        16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시와 함께 많은 요양보호사가 양성되어 휴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적절히 관리되지 못함으로 인해 개인과 조직차원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원인을 파악하고 인력관리와 조직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갈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중요성과 과업정체성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5,700원
        170.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잡식성인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는 최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 는 환경 정화용 곤충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생물질을 분비하여 여러 방면 에 산업적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보이고 있다. 또한 대량적으로 사육이 가능하여 전 사육과정을 자동화하는 기반에서 생산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때 가동되는 기계 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곤충에게 소리는 주로 짝짓기나 보호를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소음은 곤충에게 스트레스로 작용될 수 있다. 위 실험은 동애등에 발 육에 미치는 음파의 영향 평가는 최적의 발육 조건인 25oC와 광조건 8:16 h (L:D) 에 실시되었다. 분석된 음파는 95 dB 조건에서 상이한 주파수를 종령 유충에 처리 하였다.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용화율과 우화율이 현격하게 낮아졌다. 다음으로 동일한 주파수(5000 Hz)에서 소리세기를 다양하게 처리한 경우 85 dB 이상의 음 파가 동애등에의 발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동애등에 사육시설에 서 성장한 유충을 분석한 결과 대조구와 큰 차이 없이 용화와 우화를 할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는 또한 동애등에 발육에 영향을 주는 음파 조건(5000 Hz, 95 dB)이 일부 면역 유전자의 발현을 현격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85 dB 이상의 음파 처리가 동애등에의 발육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17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연속조명과 함께 폭염 스트레스(extreme heat stress, EHS)에 노출된 브로일러에서 폭염사료 급여가 혈액지질, 성장능력, 면역기관, 혈청 면역물질, 맹장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 환경온도 (25℃) 또는 폭염스트레스 (33±2℃)하에서 사육한 병아리는 일반사료(chow diet, CD)와 폭염사료(extreme heat diet, EHD)를 섭취하였다. 부화 당일 Ross 308 병아리 500 마리를 5 처리구 4 반복(반복 펜 당 25 마리)으로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T1 (일반환경+CD), T2 (EHS+CD), T3 (EHS+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및 당밀 5%를 함유하는 EHD), T4 (EHS+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5%,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CD 의 1.5 배씩 함유하는 EHD), T5 (폭염+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5%,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CD 의 1.5 배씩 추가 및 비타민 C 300 ppm 을 함유하는 EHD)로 구분하였다. EHS 는 체중 및 사료섭취량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액지질, 혈액 면역물질, F 낭, 흉선 그리고 비장의 무게는 브로일러를 EHS 에 노출하였을 때 유의하게 낮아졌다. 일반 환경온도 처리군과 비교할 때 EHS 처리군에서 맹장 Lactobacillus sp.는 낮았으나 Escherichia sp., Salmonella sp. 및 총호기성균은 높게 나타났으며 각 처리구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4,000원
        17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진로장벽과 구직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진로상담과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진로장벽이 구직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진로장벽과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취업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장벽요인은 구직효능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진로장벽요인은 취업스트레스에 중
        4,600원
        17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습자의 학습 스트레스 수준(stress level)과 금전적 보상(monetary rewards)의 제시 시점 차이가 장, 단기 기억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지연-파지 효과(delay-retention effect)에서는 지연 보상 (delayed reward)이 기억의 공고화(consolidation) 과정을 촉진시켜 결과적으로 장기 기억 수행을 향상시키게 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연 보상과 즉시 보상(immediate reward)이 학습 스트레스가 높고, 낮은 맥락의 차이에 따라 기억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를 것이라 예상하였다. 따라서 학습 맥락을 학습 스트레스가 높고, 낮은 두 조건으로 나누고, 보상 조건과 기억의 인출 시점을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보상 조건은 보상 제시 시점(5초 후 제시, 바로 제시)과 보상의 유무(500원, 0원)를 구분하였고, 기억 검사는 바로 인출하는 경우와 기억 공고화 과정을 거치고 일주일 후 인출하는 경우로 나누었다. 실험 결과 지연 보상은 장기 기억에 이점 효과가 있었고, 즉시 보상은 단기 기억에만 이점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보상의 기억 이점 효과는 스트레스가 높은 학습 맥락에서만 관찰되었다. 본 결과는 학습자가 지각하는 학습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보상에 대한 민감도가 높으며, 학습 후 즉시 보상 보다 지연 보상이 기억 공고화 과정에서 기억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장기 기억력을 향상시킴을 시사한다.
        4,600원
        17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labor, job and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their musculoskeletal disea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among the workers with perceived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the body part with the most commonly occurring symptom was the shoulder, followed by neck, low back, wrist, arm, foot and knee. As for the effect of work-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on musculoskeletal diseases, it was found that the workers with musculoskeletal diseases were more affected by emotional labor and fatigue than non-symptom workers. It was also shown that when their job stress increased, the fatigue level also increased, though their psychosocial stress decrea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fatigue were high, and the indirect effect of job stress through fatigue on musculoskeletal diseases was significant.
        4,000원
        175.
        201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의 미용업 종사자의 감정노동, 직무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피로도가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그 결과 미용업 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사자는 신체부위 중 어깨의 근골격계 질환 관련 자각증상자가 가장 많았으며, 목, 허리, 손목, 팔, 발, 무릎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업 종사자의 감정노동 각 문항별 평가 결과는 ‘나는 기분이 나쁠 때 고객들에게 표현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한다’의 문항이 3.9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 대로 ‘표현되는 행동과 실제 감정의 차이 때문에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 2.61점으로 나 타났다. 미용업 종사자의 작업 관련 심리적인 요인이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근골격계질환자가 무증상자에 비하여 감정노동과 피로도에 영향을 더 많이 받 는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낮아 지지만 피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간접적인 영향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가 피로도를 통해 근 골격계질환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용 종사자의 작업 관련 물리적․심리적 개선 방안 마련이 요구 되면 산업안전보건 분야의 정책적 관리 방안 마련을 제안한다.
        4,000원
        17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crease employees' job stress in the viewpoint of occupational health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labor. In this study, the job stress, and it's influence on job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investigat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of 259 industrial workers. As results, the majority of workers were under job stress resulted from job demand, job control, and coworker's support. The work times per a week and night work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job demand, and the maximum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times per a week and job continuous commitment was found. Job demand ha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job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job control ha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job normative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affective commitment. Moreover, job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ha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ontinuous commit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cyclic organic chain was composed of work times per a week, night work, salary, job demand, job control, job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affective and continuous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reducing cyclic organic chain is urgently necessary to increas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company commitment.
        4,200원
        178.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물리치료사들의 근골격계질환 유해인자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의 적용이 통증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2010년 5월부터 동년 7월까지 경남 창원에 위치하는 C병원에 근무하는 21명의 작업·물리치료사들을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 유해인자를 Quick Exposure Checklist(QEC)를 통해 확인한 후, 이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을 8주간 적용하였다. 대상자들의 중재 전·후의 통증과 스트레스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각각 사용하였다.결과 : QEC를 통해 작업·물리치료사들의 업무환경은 개선이 필요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고, 중재를 적용 후 중재 전에 비해 VAS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결과가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p<.05). 또한 VAS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통증변화와 직무스트레스변화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작업·물리치료사의 업무환경 분석을 통한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근골격계질환 예방활동이 작업·물리치료사의 통증 및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4,500원
        17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ob stress weakens physical ability causing the diseases related to working condition, decreases a production level, and increases mistakes and accident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uman error, and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and maintenance 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uman error. The study used a quantitative design based on the 450 questionnaires of maintenance personnel in the Air forc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s have positively related with human error. In moderating effect test, age appeared to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ological/behavioral stress and human error.
        4,000원
        180.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이트 클로버에서 마이코라이자 접종이 가뭄스트레스와 관련된 생리학적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마이코라이자 접종 (AM) 또는 비접종구에서 정상관수 (WW) 또는 가뭄 스트레스 처리 (DS)하여 7일동안 주기적으로 잎 수분포텐셜, 상대수분함량, 건물중, 광합성효율, 증산, 기공전도성, 프롤린 및 암모니아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모든 조사항목에서 정상적인 관수조건 (대조구)에서는 전 시험기간 중 변화가 매우 적었으며, 마이코라이자 접종에 의한 변화도 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