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381

        1.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food delivery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food delivery services among ‘the Young-Old’(60-74 years old) liv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ho use the Senior Center, Gyeongnodang. Considering that the research subjects are elderly,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interview technique. The survey period was approximately three months, from May 1, 2025, and a total of 235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research. Overall, ‘the Young-Old’ prioritize price over anything else when choosing delivery services, and they primarily use the services to enjoy delicious food or to simply solve a meal. Furthermore, the economic feasibility, convenience, and hygiene of delivery services are key factors in driving satisfaction when using delivery services, and this satisfaction can lead to continued intentions to use delivery services. Therefore, food delivery companies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providing detailed nutritional information and hygiene management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Young-Old’ customer and encourage their continued use of delivery services, as they may prioritize health and safety over taste or price. Furthermore, food delivery companies need to develop easy-to-use, senior-friendly delivery app interfaces or enhance phone ordering services to improve accessibility of deliver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can leverage these research findings to introduce food delivery vouchers or discount policies targeting the seniors. This can not only help seniors meet their meal needs but also generate new demand in the food delivery market. This research sets a starting point for a study that approaches the commercial phenomenon of food delivery from a gerontological and social welfare perspective, targeting ‘the Young-Old’ generation as active consumers.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changing lifestyles of older adults due to societal changes.
        6,600원
        2.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각된 조직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코칭·멘토 링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 일치성이 조절변수로 작용하는지를 검토하였다. 분석에는 2022년 인적자본기업 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자료 중 100~299인 규모의 중견기업 정규직 근로자 4,041명 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조직문화는 경쟁가치모형(Competing Values Framework, CVF)을 기반으로 관 계문화, 위계문화, 혁신문화, 시장문화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인식 일치성은 상사·동료와의 코 칭 및 멘토링 효과에 대한 기업과 구성원 간의 인식 차이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네 가지 조직문화 모두 이직의도를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혁신문화와 관계 문화의 부(-)의 효과가 두드러졌다. 반면, 코칭 및 멘토링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 일치성은 단독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위계문화 및 시장문화와의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인 식 일치성이 높을수록 해당 문화 유형에서의 이직 억제 효과가 오히려 약화되는 역전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조직이 강조하는 제도나 가치가 구성원의 실제 경험과 괴리될 경우, 조직문화의 심리적 설득력과 정당성이 약화되어 이직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단순한 제도 운영을 넘어서 구성원 의 체감과 일치하는 실행 설계가 조직문화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데 핵심임을 시사한다.
        5,700원
        3.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성과주의 환경에서 도전적 목표가 성과왜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개인지향 및 조 직지향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국내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368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과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전적 목표는 두 성취동기를 모두 강화했으나 성과왜곡행동에는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개인지향 성취동기는 성과 왜곡행동과의 연계성이 약한 반면, 조직지향 성취동기는 성과왜곡행동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경로로 작동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취동기의 지향성에 따라 동일한 목표가 상반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성과와 윤리의 긴장관계를 설명하는 새로운 심리적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특히 개인지향 성취동기는 왜 곡을 억제할 수 있는 예방적 가능성을, 조직지향 성취동기는 충성심과 책임감이 왜곡을 정당화하는 경로 를 드러냈다. 본 연구는 성과주의 제도의 긍정적·부정적 효과가 동기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힘 으로써 성과 역설 연구의 해석 틀을 확장하였다. 실무적으로는 개인지향 성취동기를 촉진하는 인사 전략, 과정 중심의 목표 설계, 조직지향 성취동기 보유자를 위한 윤리 리더십과 가치 기반 커뮤니케이션 강화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이러한 시사점은 성과 주의 제도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성과왜곡행동을 예방하는 지속가능한 성과문화 설계에 기여 할 수 있다.
        5,100원
        4.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사회에서 외모는 개인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그중 모발은 개성과 이미지 표현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아름답고 건강한 모발은 단 순한 미적 요소를 넘어, 자신감과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기준으로 여겨진다. 그러 나 과도한 시술로 인한 물리적·화학적 손상은 모발의 건강을 해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상된 모발을 보호하고 회복시키기 위한 세정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저분자 미네랄 수가 손 상된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모발 세척제로서의 실용성과 효과를 검증하고 자 하였다. 염색 및 열(세팅펌)시술을 통해 손상된 모발(D 집단)을 대상으로 저분자 미네랄 수, 미네랄 수, 저분자 정제수, 정제수를 각각 세정수로 사용하였다. 이후 미 네랄 성분 분석, pH 측정, 표면 원소 분석, 모발 거칠기 측정, 모표피 관찰, 미세구조 분석, 모발 굵기 및 인장강도 측정을 통해 세정 후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저분자 미네랄 수로 세정한 모발 시료는 황(S)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표면 거칠기 및 큐티클 구조 역시 다른 세정 군에 비해 가장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초기 모 표피 구조와 가장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미세구조에서도 큐티클 높이가 가장 높았다. 모발 굵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인장강도에서는 저분자 미네랄 수 세정 군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저분자 미네랄수는 손상된 모 발의 보호 및 회복에 효과적인 세정수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중성에 가까운 pH 특성과 우수한 보습 및 보호 효과는 기존의 정제수 대비 미용 시술 후 관리에 적합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저분자 미네랄수는 염색, 열펌 시술 등으로 인한 손상 모를 위한 고급 세정 솔루션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으며, 헤어 미용 산업에서 차별화된 고급화 전략의 일환으로 적용될 수 있다.
        5,200원
        5.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치매 가족 돌봄자의 대처전략이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거주하는 치매 가족 돌봄자 287명이며, 2025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 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면적 대처전략 중 ‘문제해결에 대한 확신’은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낮추는 반면, ‘가족수동성’은 오히려 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외면적 대처전략에서는 ‘종교적 지지’가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반면, ‘지역사회서비스’와 ‘친구 지지’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 는 기존 연구들이 주로 대처전략의 긍정적 효과만 강조해온 것 과 달리, 특정 전략이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처전략의 유형에 따른 이질 적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치매 가족 돌봄자의 스트레스 관리와 정신적 안정성 지원을 위한 제도적·사회적 개입 설계에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 학문적·실천적 의의를 갖는다.
        8,100원
        6.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 내 인공지능(AI)의 활용이 확산됨에 따라, 인적자원관리(HRM) 분야에서도 AI 기반 시스템의 도 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HRM에서 AI를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주체인 HR 부서 직원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인적자원관리(AI-HRM)가 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 적으로 AI-HRM이 두 가지의 시스템 효율성 형태인 업무 효율성과 의사결정 효율성에 대한 직원의 인식 을 강화시키며 이는 결과적으로 직무성과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하였다. 더 나아가 업무 효율성과 의사 결정 효율성 각각이 개인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HR 부서 직원의 민첩성 수준에 따라 차등적 영향 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직원 민첩성의 조절효과를 추가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HRM 분야에서 AI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에 종사하는 HR 부서 직원 173명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AI-HRM은 HR 부서 직원의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I-HRM과 직원의 직무성과 간의 관계는 직원들이 인식하는 시스템 효율성 (업무 효율성 및 의사결정 효율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AI-HRM은 업무 효율성 및 의사결정 효율성을 높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직원의 직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직원 이 AI 기반 HRM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인식할수록 개인의 직무성과가 향상되며, 이러한 긍정적 영향은 개인의 민첩성 수준이 높을수록 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HRM 시스템에서의 AI 도입 및 활용의 중요성과 개인의 민첩성 역량 강화를 강조하고자 한다.
        6,600원
        7.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몰입 간의 관계에서 2차 문화활동과 생 활스트레스가 어떠한 간접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규명하고, 생활스트레스가 이러한 매 개 경로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이 생활몰입으로 이어지는 심리·행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과 삶 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활동 기반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차문화활동의 교육적·사회 적 활용 가능성을 학문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전국에 거 주하는 40~60세 중년 성인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 정 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척도, 생활몰입 척도, 2차 문화활동 참여도, 생활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8 버전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 은 생활몰입에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동시에 2차 문화활동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둘째, 생활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과 생활몰 입 간의 간접경로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어,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매개효과 의 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2차 문화활동을 통한 몰입 향상 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 해 중년기 성인의 생활몰입 증진을 위해 심리적 자원인 자기효능감의 강화와 더불 어, 문화활동 참여 촉진 및 생활스트레스 완화가 병행되어야 하며, 중년기 성인의 생활스트레스로 인한 스트레스와 정신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현재에 집중하고 감 정을 다스리는 프로그램을 통해 일상 생활 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에 도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800원
        8.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MX가 상대적 박탈감 및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상대적 박탈감의 매개효과를 검 증하고, LMXSC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25개 기업 278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MX는 상대적 박탈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대적 박탈감은 조직대 상 일탈행동과 개인대상 일탈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대적 박탈감은 LMX 와 조직대상 및 개인대상 일탈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는 상대적 박탈감을 통해 개인대상 및 조직대상 일탈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LMXSC는 LMX와 상대적 박탈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LMX가 상대적 박탈감에 미 치는 부의 영향은 LMXSC가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LMXSC는 LMX 와 조직대상 및 개인대상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대적 박탈감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구체적으로, LMX가 상대적 박탈감을 매개로 조직대상 일탈행동, 개인대상 일탈행동에 미치는 부의 영향은 LMXSC가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 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6,000원
        9.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은퇴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은퇴자의 사회 적 관계망과 성공적 노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25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S시와 K군에 거주 하는 베이비부머 은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60부 중 불성실 응답 16부를 제외한 244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활용된 사회적 지 지 척도(25문항)와 삶의 만족도 척도(16문항)를 사용하였고, 수 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 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은퇴자는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 쳤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도 수준에서 부분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은퇴자 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정서적 교류와 사회적 인정이 중 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지역사회와 복지기관은 은퇴자 들이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정서 적·사회적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주로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하거나 특정 집단에 국 한된 것과 달리, 베이비부머 세대라는 세대적 특수성에 주목하였 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7,000원
        10.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비스 산업의 경쟁 심화와 성과 중심 문화는 종사자의 심리적 부담과 직무 동기 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인을 대상으로 . 성과주의와 회복탄력성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미용 종사자 180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성과 주의는 평가·보상·승진제도로, 회복탄력성은 소통능력·생활만족도로, 자기효능감은 일 처리능력·과제난이도·자신감·자기조절력으로 도출되었으며, 모든 척도의 신뢰도는 양 호하였다. 분석 결과, 성과주의와 회복탄력성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보상제도와 소통능력·생활만족도가 자기효능감 향상 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인의 직무 역량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조직 차원 의 성과관리 체계와 회복탄력성 증진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 산업 종사자의 역량 개발 프로그램과 인적자원 관리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900원
        11.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노인 문제를 해결하고 대비하기 위하여 노인일자 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일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창출 또는 제공 하여, 노인에게 소득 창출 및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하였다. 즉,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를 통해 노인의 보충적 소득보장과 사회참여를 도모하는 것은 노인 문제 해결 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는 사회적 지지의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에 통계적 유의수 준하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사람들의 사회적 지지의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성공적 노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는 정 보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를 매개하여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간 접효과는 부분 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노인일자 리사업 참여 만족도를 높여주면 직접 성공적 노화를 높여줄 뿐 만 아니라, 높은 참여 만족도는 정보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를 높여주고 이로 인해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6,900원
        12.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재취업자의 삶의 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직무 적응과 심리·사회적 지원 방 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25년 7월 1일 부터 7월 31일까지 S시와 K도의 재취업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 중 불성실 응 답 31부를 제외한 21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 로는 [23]이 수정·보완한 삶의 만족도 척도(24문항)와 [21]이 수 정·보완한 자기효능감 척도(12문항)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삶의 만족도는 사회적 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삶의 만족도는 자기 수용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삶의 만족도는 자기 성취감에 유의한 정 적 영향을 보였다. 넷째, 삶의 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일부는 자 기효능감의 모든 하위 요인에 걸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재취업자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것이 자기효능감 전반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며, 안정적인 고용 유지와 직업 적응을 위해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성을 강조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과 직종을 포함한 표 본 확대와 장기 추적 연구를 통해 보다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6,700원
        13.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면서, 소비자들은 단순한 가격과 품질 기준을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 한, 국내에서는 소비자중심경영(CCM: Consumer-Centered Management) 인증이 소비자 신뢰를 상징하 는 중요한 지표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ESG 경영을 실천하거나 CCM 인증을 보유하더라도, 소 비자의 신뢰와 행동 의도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진정성 있는 실천과 일관된 노력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CCM 인증 인식이 기업에 대한 태도 및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ESG 경영 기대와 기업 태도의 매개효과를 함께 검토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활용한 분석 결과, 소비 자의 CCM 인증 인식은 ESG 경영 기대, 기업 태도, 이용 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ESG 경영 기대와 기업 태도 역시 이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 태도가 소비자의 이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이는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의 관점에서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가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는 핵심 요인임을 실 증적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는 CCM 인증이 소비자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 로써, 소비자 인식과 행동 간의 인지-정서-행동 경로를 명확히 제시하였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CCM 인 증과 ESG 경영을 연계한 전략적 마케팅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 신뢰와 장기적 이용 의도 증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종단적 연구 설계와 다양한 소비자 특성을 고려한 확장 연구가 필요하다.
        5,400원
        14.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적으로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와 경제 수준의 향상, 그리고 식품 제조, 포장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50대 전후로 진 행되는 갱년기 시기에 호르몬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진행되는 장 기능의 저하로 인 하여 장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장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다중그룹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성인남녀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변수들 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태도(남성 3.74+0.72 vs. 여성 3.90+0.68, p=0.043)와 지각 된 행동 통제(3.80+0.64 vs. 3.96+0.63, p=0.030)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이어서 다중그룹 경로분석을 하였을 때, 태도 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남성과 여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 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남성에 비해 여성은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높았다. 지각된 행동 통제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이 0.372인데 비해 남성은 0.445로 높 은 수치를 보였다. 주관적 규범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여성은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남성(0.388+0.091, p<0.001)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매 의도가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0.283+0.108, p=0.007)만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 325명으로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한 계를 갖는다. 하지만 장 건강기능식품의 구매와 관련되어 연구가 질적으로 양적으로 제한되어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보다 진전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충분히 역할 을 하였다고 사료 된다.
        5,400원
        15.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내재적 메커니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서비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지각된 따뜻 함, 지각된 유능함, 기업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관념 내용 모델을 적용하여 설 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서비스 기업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 집하였다. 수립된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서비스 기업 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소비자의 지각된 따뜻함, 지각된 유능함, 기업 신뢰 간 대부 분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서비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지각된 따뜻 함, 지각된 유능함, 기업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관념 내용 모형을 적용하여 설 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관련 연구와 서비스 기업에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4,800원
        16.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물리적·화학적 미용 시술 과정에서 모발 보호를 위한 기능수의 효과를 규명하고, 특히 미네랄 성분을 함유한 저분자수의 효용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 었다. 이를 위해 버진 모발에 염색, 탈색, 퍼머넌트 등의 시술을 실시한 후, 정제수, 미네랄수, 저분자 정제수, 저분자 미네랄수를 각각 적용하여 세척하였다. 이후 미네 랄 성분 분석, pH 측정, 표면 원소 및 거칠기 관찰, 모표피 구조 및 미세구조 분석, 모발 굵기와 인장강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저분자 미네랄수는 정제수 대 비 Ca, Mg, Na, S 등 주요 무기질 함량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네 가지 물 의 pH는 7.21~7.29 범위로 모두 중성에 가까워 화장품 원료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 인할 수 있었다. 표면 원소 분석에서는 저분자 미네랄수로 세척한 경우, S 성분의 비율이 가장 높게 유지되었으며, 표면 거칠기와 모표피 손상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 게 관찰되었다. 더불어 모발 굵기와 인장강도 측정에서도 저분자 미네랄수 처리군이 우수한 보존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저분자 미네랄수가 물리적·화학적 시술 후 손상된 모발을 보호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기능수임을 시사 한다. 따라서 미용 시술 후 모발 관리뿐만 아니라 화장품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5,200원
        17.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이 인식한 부모지지와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공격성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기(MAPS 2기)의 5차년도(2023) 데이터를 활용하여 SPSS 25.0 및 Process Macro 4.2(model 4)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외로움 수준은 성별과 주관적 가정경제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거주지역 규모 및 부모의 외국인 여부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부모지지와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공격성이라는 세 변수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부모지지가 외로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자아존중감) 및 행동적(사회적 위축, 공격성) 요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부모와 외로움의 관계를 다중매개변수를 통해 종합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다문화 청소년의 외로움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부모지지뿐만 아니라 청소년 개인의 심리·행동적 특성을 고려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5,700원
        18.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EDCs), such as perfluorooctanoic acid (PFOA), have been linked to adverse effects on reproductive health. However, the impact of PFOA exposure during the embryonic stage on hypothalamic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neurons, which are central to the regulation of the hypothalamic–pituitary axis, that controls the reproductive system,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immortalized embryonic mouse hypothalamic cells (mHypoE-N46) were used to evaluate alterations in GnRH expression following PFOA exposure in vitro.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Pnx, Gpr173, BDNF, and Ntrk2—upstream signals known to regulate GnRH expression—were examined. mHypoE-N46 cells were treated with PFOA for 2-24 hours, and gene expression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were evaluated. PFOA significantly altered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Pnx, Gpr173, BDNF and Ntrk2. GnRH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both the mRNA and protein levels. In conclusion, exposure to PFOA may perturb the upstream signaling of GnRH and may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expression of GnRH, suggesting that PFOA may alter the GnRH regulatory network.
        4,300원
        19.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참가자의 참가동기를 파악하고, 참가동기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광몰입의 참가동기와 재방문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지속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축제를 위한 운영 방안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295부의 유효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축제 참가동기를 도출하였고, 구성요소는 친교성, 일탈성, 체험성, 신기성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참가동기요인 중에서 체험성, 신기성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가요인 중에서 체험성(β=.299)이 재방문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축제 참가자들이 춘제 공연의 관람 접근성을 쉽게 하고, 축제가 개최되는 지역 고유의 문화와 예술을 경험하고, 축제 관련 식음료를 체험하고 직접 요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관공몰입은 축제 참가동기 중에서 체험성과 신기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축제 참가자가 축제에 집중할 수 있꼬, 축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체험하며, 축제의 주제와 목표를 인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내용으로 구성하여 참가자의 관광몰입도를 높여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제와 지역의 축제에 대한 시계열분석, 심층면접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통한 마케팅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5,200원
        20.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feeding betaine or monosodium glutamate on the growth and carcass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according to the fattening stage under high-temperature stress. Farms in an area where THI was 78 or higher for more than 100 days were selected, and 30 head in the early fattening stage (14-15 months of age), 30 head in the mid-fattening stage (16-18 months of age), and 30 head in the late fattening stage (24-25 months of age) were tested, and 10 head were assigned to each treatment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control, T1 with 96% of the amino acid compound additive and 4% betaine, and T2 with the amino acid complex additive and 4% monosodium glutamate. 50 g per head were fed every morning for a total of 5 months from May 1, 2022 to September 30. In this study, there was no effect of betaine and monosodium glutamate on the growth and rectal temperature of Hanwoo steers at each fattening stage, but monosodium glutamat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in rib eye area and decrease in back fat thickness in steers in the late fattening stage (P<0.05).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onosodium glutamate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growth of fattening Hanwoo steers, but it is though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ib eye area and back fat thickness through protein metabolism and muscle development.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