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Peperomia 속 두 종(P. argyreia ‘Watermelon’과 P. obtusifolia ‘Variegata’)을 대상으로 실내환경에서 광질(백 색, 청색, 적색)이 생장, 색소 조성, 무늬 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적정 광질 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생장 반응 은 엽장, 엽폭, 초장, 엽수 등 모든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 ≥ 0.05), 이는 실내 광도 수준에서 광질 변화가 생장에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침을 나타낸다. 그러 나 색소 조성과 무늬 면적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P. obtusifolia ‘Variegata’는 적색광 처리 시 chl a와 b, 총 car 함량이 감소하고, 무늬 면적 또한 유의하게 줄어드는 반응 을 보였다. 반면 청색광에서는 chl a와 car 함량 증가, chl a/b 비율 상승과 더불어 printed area의 안정적인 유지가 확인되 어, 청색광이 생리적 활성 유지에 유리한 광질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무늬의 발현 방식에 따라 광질 반응성이 다르며, 실내 재배 시 광질 조절이 관상성과 생리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핵심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ircraft Noise is a sound that humans do not want. In this study, based on the Rotax 914 engine used in Korea, the Propeller blade angle was changed by 1 degree for the 3-leaf “K company” Propeller and the 3-leaf “G” wooden Propeller, and the engine RPM was changed to examine the Noise and thrust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Noise and thrust loss are the least at the engine's maximum RPM, and to propose an aircraft operation plan in the noisy aerodrome area based on the values. This research further seeks to identify optimal propeller configurations that balance acoustic performance and thrust efficiency. The results are expected to aid in formulating guidelines for quieter flight operations near populated areas.
본 연구는 경상북도(경북; 안동시, 청송군, 영주시, 의성군), 경상남도(경남; 밀양시), 전북도(전북; 장수군), 경기도(경기; 파주시), 강원도(강원; 정선군) 등 한국의 8개 주요 사과 생산지에서 기후변화가 ‘후지' 사과의 수확시기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과 과수원은 경북지역은 위도 36도, 경남과 전북지역은 35도, 경기와 강원지역은 37도에 위치하였다. 그리고 사과의 착색기인 10월 최저 기온은 청송 5℃, 장수 6.4℃, 정선 5.7℃로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지리적 차이와 관계없이 과실의 수확시기에는 약 10일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수확시 과실의 경도는 경북과 경남지역 과실은 56.6-64.1 N으로 다소 낮았던 반면, 전북, 경기, 강원지역은 67.8-72.2 N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역 간 산 함량 및 내생 에틸렌 발생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과피의 적색도 또한 청송 25.8, 정선 27.5, 파주 26.2로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여 재배지 간 뚜렷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8개 지역의 과실을 수확후 180일간 저온저장하였을 때 안동, 밀양, 파주지역의 과실 경도는 59.4-64.5 N으로 높게 유지되었고, IEC는 87.0-112.5 μL·L-1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산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지면서 감소하였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RCP 4.5와 8.5 시나리오에서 기온 상승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한국 사과재배 지역에서 ‘후지’ 사과의 과실품질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lake morphology, water quality, and water-level fluctuations (WLF) collectively shape wetland plant communities across 90 lakes in the Republic of Korea. By analyzing morphological indices (Index of Basin Permanence; IBP, Rawson Index; RI), WLF, water quality, and vegetation data, we identified four distinct lake groups through cluster analysis. Group C, comprising large dams, was characterized by the highest IBP and extreme WLF. Despite having favorable water quality, this group exhibited the lowest species richness, suggesting that severe physical disturbance from WLF is a primary limiting factor for wetland plant community. In contrast, Group A (estuarine reservoirs) showed stable water levels but high nutrient concentrations, which led to eutrophic conditions and communities dominated by a few tolerant species. Group D, which included small agricultural reservoirs and floodplain wetlands, had complex shorelines (highest RI) and supported the higher diversity of aquatic plants. This indicates that habitat heterogeneity can mitigate moderate physical disturbances and enhance richness.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nd Variation Partitioning Analysis revealed that community structure is primarily influenced by hydrological disturbance, chemical stress (eutrophication), salinity, and shoreline complexity. These analyses confirmed that the interplay of these environmental factors explains community variation more effectively than any single factor alone.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lake plant communities are shaped by a complex interaction of geomorphological, hydrological, and chemical factors. Therefore, effective lake management must adopt an integrated approach, considering both water-level regulation and shoreline complexity to enhance ecological integrity.
길이가 긴 터널 내부에서 TNT와 같은 화약의 폭발을 해석할 때, 재연소 현상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재연소 현상을 해석 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재연소 에너지와 지속 시간을 적절히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과 유사한 구조인 충격파관 실험을 통 해 해석 조건을 검증한 뒤, 이를 바탕으로 터널 입구로부터 내부 폭발 위치 변화에 따른 재연소 지속 시간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폭발 해석에 적용하여 터널 내부 폭압과 충격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해석은 입구 면적이 0.785m2인 정사각형 단면의 터 널을 모델링하여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터널 내부 폭발 위치가 입구에서 깊어질수록 재연소 지속 시간은 일정하게 증가하며 특정 지 점에서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재연소 지속 시간 증가를 반영한 폭발 해석 결과, 터널 내부 최대 폭압은 폭발 위치가 내부로 이 동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특정 폭발 위치 이후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When manufacturing a square plate with a pinhol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size of the grid filling the inside of the plat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inhole on the stress concentration factors. 1.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pinhole, the overall stress concentration factors is twice as high as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pinhole.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pinhole, it can be seen that the stress concentration factors fluctuates at a certain standar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inhole and the internal grid, and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pinhole, it decreases at a certain point and then increases again. 2.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pinhole, when the L/H ratio increases from 0.1 to 0.3, the Kt value increases from 1.8 to 2.7, an increase rate of approximately 50%. Similarly, in the case of a pinhole, when the L/H ratio increases from 0.1 to 0.4, the Kt value increases from 2.0 to 3.0, an increase rate of about 50%.
이 연구는 동절기 노면 결빙 또는 블랙아이스 저감을 위하여 상변화물질을 혼입한 포장용 콘크리트의 온도변화 및 역학적 특성을 파악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캡슐로 코팅된 상변화물질을 단위시멘트량의 30%까지 혼입한 포장용 콘크리트를 배합하 여 온도측정용 실험체 및 강도시험용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온도측정은 실험체의 표면과 내부에서 열화상카메라와 열전대를 이용하였 으며, 강도시험은 각 배합마다 3개씩 제작된 공시체를 이용하여 휨 및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상변화물질을 혼입한 포장 콘크리트 노면의 온도는 보통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최대 2도 상승하였으며, 내부의 온도는 깊이와 혼입률에 따라 최대 3-4도 상승하였다. 그리고, 압축강도는 상변화물질 혼입률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모든 혼입률에서 국가건설기준에서 규정하는 설계기 준강도를 만족하였다. 휨강도 역시 보통 포장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감소하였으나, 압축강도와 다르게 상변화물질 혼입률에 따라 휨강 도는 증가하였으며, 30%에서는 설계기준강도를 만족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마이크로캡슐형 상변화물질은 노면과 내부 에서 온도상승 효과가 있으며, 기준 또는 지침에서 규정하는 기준강도를 만족하므로 동절기 콘크리트 포장에 적용이 가능할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IoT-based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data in a cooking room at a high school in Seoul.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ype and concentration change of cooking fumes generated during roasting, frying, and stir-fry, each cooking method showed a different pattern. Some cooking fumes were observed high du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not during cooking, and it is necessary to observe and control indoor air quality during the entire process of cooking, storage, and distribution as well as various elements of cooking fumes. Through these results, we propose the addition of an IoT-based real-tim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and ventilation facilities linked to i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and the changes in tidal flat soil characteristics following the flooding season in the closed estuary of the Geumgang River basin. We found that after the flooding season, a brackish water area expanded due to increased river discharge, which also introduced low concentrations of dissolved organic carbon from the river. Dissolved inorganic carbon predominantly originated from the sea in proportion to salinity, indicating that in the closed estuary area, dissolved carbon supplied from the sea remained a significant source even after the flooding season. Additionally, a substantial amount of tidally transported silt and clay was deposited near the estuary dam after the flood, and its effects continued to influence the sediment characteristics downstream in the intertidal zone. As an empirical study in the closed estuary, our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conservation measures for the World Heritage Site in the area.
Cold-pressed rapeseed oil (CPRO) is a rich source of bioactive components, but it is more susceptible to deterioration due to absence of chemical refining. Proper storage conditions are essential to maintain oil quality.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properties of seed-stored oil (SSO) and oil-stored oil (OSO) under various storage conditions. Both the seeds and the CPRO obtained from the ‘Jungmo7001’ and ‘Yuryeo’ varieties were stored for 24 months at 4℃, 25℃, and ambient temperature (AT). After 24 months, the acid value (AV) at 4℃ was lower than at 25℃ and AT. Additionally, the AV increased by 3.0-fold in SSO and 1.9-fold in OSO at AT compared to initial storage levels. OSO was found to be relatively more stable against oxidation than SSO. The canolol content in SSO increased with both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but this was not observed in OSO. However, no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or tocopherol content were noted based on the storage conditions, indicating that these properties remained relatively stable during storage. These result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stable distribution of CPRO.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f bracken powder as a substitute for textured vegetable protein (TVP) in meat analogs during frozen storage (-18°C for 3 months). The color, texture, antioxidant properties, and sensory attributes of patties with varying bracken content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color and L*, a*, and b* values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bracken. Hardness of the patties increased with higher bracken content and reduced TVP levels. After freezing for one week, patties had decreased texture attributes, particularly hardness and chewiness. In addition, the antioxidant effect of patt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bracken content, and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frozen storage. For the electric nose tests, patties containing 3% bracken exhibited a flavor similar to that of raw beef patties. These findings offer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endeavors to explore the utilization of bracken in plant-based meat analogs within the food industry.
The hydrogen embrittlement could lead to big damages in bolt/nut, fittings, especially, high pressure valve and high leak-proof valve and so on. Thus, special alloy, for instance, such as Monel and Inconel, is recently used to suppress the problems of hydrogen embrittlement in semiconductor facilities,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 and hydrogen gas s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atio change between drawing and extrusion of Monel material within elastic limit through numerical analysis. As the results, the possibility of plastic deformation in case of drawing was greater than that of extrusion. Consequently, the safety factor related to plastic deformation shows the results depending on the ratio change of force between drawing and extrusion.
To utilize textured vegetable protein (TVP) in food manufacturing, TVP was soaked in salt solution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TVP were then measured. When TVP was soaked in a salt solution, the pH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However, the pH decreased after 18 hours of soaking. The salinity of the control decreased slightly from the initial value depending on the soaking time. The group treated with salt solution showed higher salinity than the control. Water absorption capacity of the control increased as the soaking time increased. However, water absorption capacity of the group treated with salt solution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salt solution increased. Lightness of the group treated with salt solution showed less change than the control during soaking. The rednes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salt solution increased. The yellownes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during soaking.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control decreased during soaking in water. The group treated with salt solu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as the concentration of the salt solution increased. However, adhesiveness, elasticity, and cohesiveness generall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현재 도로포장 유지보수 과정으로부터 노화된 폐 아스팔트가 발생하며, 순환 아스팔트로서 재활용하기 위해 아스팔트 오일을 첨가제 등과 함께 혼합하여 노화된 아스팔트의 성상 회복 및 유동성을 개선하여 도로포 장 재료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아스팔트 오일의 사용은 저온영역의 성능 개선에도 영향을 미쳐 개질아스팔트 제작에도 활용하고 있으며, 개질 아스팔트는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SBR(Styrene Butadiene Rubber)등 고무계열의 폴리머와 오일 등을 원 아스팔트에 혼합하여 아스팔트 바인더의 공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폴리머는 아스팔트의 고온 영역의 물성, 오일은 저온영역의 물성을 개선하는데 사용된다. 이 중 폴 리머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아스팔트에 사용하는 오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 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오일의 사용으로 인한 아스팔트의 물성 변화에 관한 실험적인 검토가 필요 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스트론튬 이온(Sr²⁺) 처리가 수화 시멘트 복합체의 공극분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물- 시멘트비(w/c) 0.3, 0.4, 0.5로 제조된 시멘트 페이스트 시편을 21일간 탈 이온수에서 수중 양생한 후, 각각 두 개의 그룹 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그룹은 탈 이온수에서 추가로 7일간 양생하였고, 두 번째 그룹은 30% 질산스트론튬(Sr(NO3)2) 수 용액에서 동일기간 동안 추가 양생하였다. 양생기간 및 조건에 따른 각 시편에 대하여 수은압입법(MIP: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을 사용하여 공극률 및 공극 크기 분포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물-시멘트비가 낮을수록 공극률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1일과 28일간 탈 이온수에서 양생한 시편 간에는 공극률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21일 수중양생 후 스트론튬 이온에 7일간 처리된 시편은 공극률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물-시멘트비 0.3인 경우 에는 공극률이 33% 이상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공극 크기 분포 특성 분석 결과, 모든 물-시멘트비 조건에서 21 일 양생된 시편에 비해 7일간 추가 양생된 시편은 큰 공극의 양이 줄어들면서 작은 공극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 하였다. 특히, 스트론튬 이온에 처리된 시편의 경우 50nm 이하의 매우 작은 공극의 양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로써 스트 론튬 이온 처리에 의해 수화 시멘트 복합체의 미세조직이 치밀해짐을 확인하였으며, SEM 분석을 통해 이러한 결과를 시 각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트론튬 이온을 활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표면처리 기법이 노후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 물에 대하여 수분 침투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유지관리 기술로서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황해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군집 구조와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9년 계절별로 15개 정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동계와 춘계에는 규조류가 높은 출현율을 나타내었으며, 하계와 추계에는 20μm 이하의 미동정 미소편모조류가 높은 출현율 을 나타내었다. 이는 낮은 농도의 영양염류로 인한 것으로, 특히 인산염의 경우 검출 한계까지 낮게 나타남에 따라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심각한 저해 현상을 가져온 것으로 판단된다. 성층이 강화되는 하계와 추계 표층 혼합층에서 초미소형 크기의 식물플랑크톤 기여도가 높 았으며, 중복분석 결과 초미소형 크기의 식물플랑크톤은 영양염(질산염, 인산염) 및 수심에 대해 강한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결 론적으로 하계와 추계 성층 강화로 인한 표층 혼합층 내에서의 영양염 감소는 영양염류의 요구량이 낮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식물플 랑크톤 성장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며,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는 소형화가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