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

        21.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느타리버섯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생산량이 많은 버섯으로 2002년 품종보호제도에 의해 가장 먼저 대상버섯으로 결정되어 현재 14개 품종이 품종보호출원 등록이 되어 있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품종은 품종생산판매신고만으로 판매가 가능하여 현재 80여 품종이 보급되고 있는데 이중 일부는 동일한 품종이 다른 이름으로 판매되어 농가의 느타리재배에 혼선을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느타리버섯 품종 가운데 가장 많이 재배되는 원형, 수한, 춘추2호에 대한 특이 분자마커를 개발하고 품종간 구분을 위하여 RAPD를 이용하였다. 우선 공시된 79개 시판품종을 대상으로 유사한 밴드양상을 보이는 품종을 정리하여 18품종으로 DNA 밴드 팬턴을 검색하여 세 품종에 대한 특이밴드를 찾았다. 3가지 품종에서 타품종에 없는 특이밴드의 단편을 elusion하여 cloning하고 sequencing하여, 그 염기서열 정보를 바탕으로 500~1,000bp 크기의 PCR 산물을 얻을 수 있도록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이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공시품종에서 원형, 춘추2호, 수한 품종에 대한 특이밴드를 보이는 SCAR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마커를 개발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에 사용된 전체 154개 random primer중에서 3개의 표준품종에만 형성되는 특이 밴드를 보인 primer는 춘추2호에서 2개, 원형에서 14개, 수한에서 3개로 나타났다. 젤에서 추출한 특이 band의 사이즈는 700~1300bp정도였으며, 특히 원형느타리에서 특이밴드를 보이는 primer가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특이밴드로부터 유래한 염기서열 정보를 바탕으로 제작된 프라이머는 대개의 경우 세 개 품종에 대한 유일하고도 명확한 단일밴드를 보이지는 않았다. RAPD 결과에서는 random primer 종류 중에서 OPH primer가 원형느타리에서 7개의 특이밴드를 나타내어 그 자체로 밴드 다양성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2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Kalopanacis Cortex (海桐皮) is listed in「The Korea Pharmacopoeia (KP)」as the original plant of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However, the dried cortex of Erythrina eariegata L (刺桐) is an adulterant, one of the most indiscriminately used herbal medicines because of its similar morphologic. Due to the morphological similarities of the dried cortex of this plant to those of K. septemlobus which is used as a substitute herbal for E. eariegata, distinguish these two species is extremely difficult. Meanwhile, K. septemlobus is a polymorphic species,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great diversity due to the different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this reason, it is conducted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to distinguishing these K. septemlobus with E. eariegata by using 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study, In order to clearly identify origin of K. septemlobus, E. eariegata was analyzed from four barcode regions of chloroplast DNA (psbA-trnH, rbcL, matK, atpH-atpF) and nuclear ribosomal DNA (ITS2) to evaluate the ability of discrimination for each barcode reg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nt of variable sites were provided the highest ITS2 (2.3%) followed by rbcL (8.2%), in oder to develop a species-specific primer that can distinguish K. septemlobus form E. eariegata. Conclusion : The INDEL marke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ivergence of each sequence, and it is possible now to identify the two species of K. septemlobus with just a single performance of PCR. This will not only prevent misused of the plant, but also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herbal medicine as well as to verify and guarantee safety for public health.
        2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 the KHP (the Korea Herbal Pharmacopoeia), the Cuscutae Semen (菟絲子) is defined as the seed of the Cuscuta chinensis Lamark (family: Convolvulaceae). Using authentic raw herbal materials is fundamental to herbal medicine quality and Cuscutae Semen is widely distributed in many asian countries. Due to having tiny bodies of seed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m from adulterants and closely related species by morphologic characteristics, leading to serious safety problems. For this reason, there was conducted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to distinguishing these Cuscuta chinensis with Cuscuta japonica and Cuscuta pentagona by using 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and Results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clearly and efficient method to identify Cuscutae Semen on the market. These samples (C. chinensis, C. japonica and C. pentagona) were analyzed from two barcode regions of chloroplast DNA (rbcL, psbA-trnH) and nuclear ribosomal DNA (ITS2). Based on genetic distance, the precent of variable sites were provided the highest psbA-trnH value (38.7%), followed by ITS2 (23.4%), rbcL (9.9%), in order to develop a specific primer that can distinguish C. chinensis, C. japonica and C. pentagona.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DNA barcoding was proved to be a successful tool for authentication the three species of Cuscutae semen. The adoption of DNA barcoding as an authentication tool by food safety agencies can safeguard the interests of both consumers and traders.
        2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urcumae Longae Rhizoma (薑黃) is listed in「The Korea Pharmacopoeia (K P)」as the original plant of Curcuma longa L (Zingiberaceae). Meanwhile, Zeodariae Rhizoma (莪朮) is listed in 「The Korea Pharmacopoeia (KP)」as the original plant of C. phaeocaulis, C. aromatica and C. Kwangsiensi (Zingiberaceae). Due to the morphological similarities of the dried roots of this plant to those of C. phaeocaulis, C. aromatica and C. Kwangsiensis which is used as a substitute herbal for C.longa, distinguish these four species is extremely difficult. Methods and Results : A total of 90 collected samples were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clearly distinguish of Curcumae Longae Rhizoma and Zeodariae Rhizoma were analysis based on sequence of the chloroplast DNA (trnK, rbcL, trnL-F, atpB-rbcL) and nuclear ribosomal DNA (ITS2).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nt of variable sites were provided the highest trnK (2.3%), in oder to develop a species-specific primer that can distinguish C.longa form C. phaeocaulis, C. aromatica and C. Kwangsiensis. In addition,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C. longa were sequenced by a 454 sequencing platform, and the structure of the obtained chloroplast genome was also analyzed. the result used that INDEL (insertion/deletion) marker for distinguish C.longa form C. phaeocaulis, C. aromatica and C. Kwangsiensis. Conclusion : The INDEL marke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ivergence of each sequence, and it is possible now to identify the four species of Curcumae Longae Rhizoma with just a single performance of PCR. This will not only prevent misused of the plant, but also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herbal medicine as well as to verify and guarantee safety for public health.
        26.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Codonopsis genus belongs to the Campanulaceae, and it is recorded that there are four species of Codonopsis genus in Korea, such as Codonopsis lanceolata, Codonopsis pilosula, Codonopsis minima, and Codonopsis ussuriensis. C. lanceolata has been proved to be safety and efficacy, and has been widely used for medicinal and edible purposes for a long time in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However, little genetic research has been done. Methods and Results : Ten species of Codonopsis plants were collected and DNA was extracted using CTAB (cetyl trimethylammonium bromide) method. The extracted DNA was diluted to 5 ng/㎕ for the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cess. C. lanceolata genome was used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by searching insertion and deletion regions (InDel) in the chloroplast sequence. The developed markers were applied to 4 individuals per Codonopsis species. PCR amplific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denaturation at 94℃ for 30 sec, annealing at 58℃ for 30 sec and extension at 72℃ for 30 sec, repeated for 35 total cycles. The PCR products were separated in a 4% agarose gell at 100 V for 40 min. Conclusion : Using the molecular markers developed in this study, genetic diversity of Codonopsis genus was tested, and at the same time, a specific molecular marker was developed to differentiate C. lanceolata from the Codonopsis plants.
        28.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is a widely used medicinal perennial woody plant.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genetic diversity of plant populations is highly important for conservation and germplasm utiliza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derived from chloroplast genomic sequences to identify distinct Korean-specific ecotypes of C. tricuspidata via amplif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 (ARMS)-PCR analyses. We performed molecular authentication of twelve C. tricuspidata ecotypes from different regions using DNA sequences in the chloroplast TrnL-F intergenic region. Methods and Results : SNP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nucleotide sequence for the intergenic region of TrnL-TrnF gene (chloroplast). Molecular markers were designed for those SNPs with additional mutations on the second base from SNPs for amplif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polymerase chain reaction (ARMS-PCR). HRM patter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Mx3005P QPCR System (Agilent Technologies, CA, USA). Conclusion : We collected 12 individual lines of C. tricuspidata from various region in South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in the trnL-trnF intergenic region of these lines, six SNPs and a deletion of 12 bps were identified and 12 individual lines were able to be grouped in one Korean ecotype and two different ecotypes of chinese lines, chinese line 1 and 2. The SNP marker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useful for rapidly identifying these specific C. tricuspidata ecotypes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29.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advancement of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dramatically reduces the cost for sequencing and it contributes to create a new research environment that utilizes large amount of genome sequences to answer many biological questions. With this new research trend, reference genome sequences of several major crops have been released to the research community and utilized in various researches in agriculture. Coupled with molecular breeding technology, NGS based genome research will possibly allow selecting a new plant material possessing useful traits in early stage and efficiently developing a superior cultivar. Methods and Results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collecting various genetic variations (SNPs, indels and TE mediated variations) in major and minor crops,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using NGS based genomic data (resequencing, GBS, transcriptome), and to develop a visualization tools to enhance the utility of the NGS data. Currently major analysis pipelines have been developed to detect SNPs, indel and polymophic SSRs using whole genome and transcriptome data, and a pipeline for identification of MITE insertion polymorphism is under development. In addition to that, for orphan crop, we also implemented an efficient and robust method to assemble a complete chloroplast, mitochondria and 45S rDNA using low coverage whole genome data in order to develop an inter- and intra-specific molecular barcode markers. Conclusion : NGS provide a new level of researches in many crop plants. Large amount of genomic information provide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domestication and genetic variations, and to develop a better crop for future.
        30.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is a perennial plant of mainly Campanulaceae family, which have been widely used as a food ingredient and herbal medicine in East Asia. Although demands on related products and yearly cultivation area for balloon flower are increasing, diverse fundamental technologies and molecular breeding studies are not very well supported in Platycodons. In this study, 30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RAPD) primers were test in an attempt to explore genetic diversities. In addition, sequences information of the actin gene, a well conserved gene encoding a globular protein that forms microfilaments, was retrieved and analyzed. Two actin homologs were recovered; 3.4 kb fragment is a Pg-actin and 1.4 kb fragment is a Pg-actin homolog with 28.6% similarity. We have confirmed that the Pg-actin gene is configured into 4 exons and 3 introns.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G↔A, was detected on the intron 3, which served as a target for the CAPS marker development. The marker Pg-Actin-Int3 was applied to 32 balloon flower accessions. Balloon flower DNA sequence information genera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nalysis and molecular breeding and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balloon flowers.
        31.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2개의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계통들에 대하여 300개의 SSR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 계통유연관계 및 집단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전적 다양성 분석 결과, 300개의 SSR primer들은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12계통들에 서 총 1,331개의 대립단편을 증폭시켰으며, SSR primer당 대 립단편들은 최소 2개에서 최대 10개까지 나타나 평균 4.44개가 증폭되었다. MAF는 0.25에서 0.92의 범위로 나타났고, 평균값은 0.48을 나타내었다. 총 1,331개의 대립단편 중에서 221개의 대립단편들은 색소옥수수 계통들에서 특이적으로 나 타났고, 408개의 대립단편은 비색소옥수수 계통들에서 특이 적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702개의 대립단편들은 색소 및 비색소 계통들에서 공통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총 163개의 SSR 마커에서 색소옥수수 특이적 대립단편이 확인되었다. 집 단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 12개의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핵심집단 계통들은 groups I, II, III, admixed group으로 구 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옥수수 육종연구에서 색소 및 비색 소옥수수 계통들의 식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3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에서 새로운 기능성 색소옥수수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육성한 총 12개 의 색소옥수수 계통들과 찰옥수수 및 일반옥수수 계통들에 대하여 SSR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 집단 구조 및 association m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석에 이용된 300개의 SSR primer들은 12개의 옥수수 자 식계통들에서 총 1,331개의 대립단편을 나타내었으며, 각 SSR primer 당 증폭된 대립단편의 수는 2개(umc1515, umc2249, umc1158, umc1659, phi102228, umc2262, umc1058, nc004, phi092, umc2308, umc1314, umc1178, umc1352a, umc2092, phi057, umc1139, umc1473, umc2338, umc2093, umc1107, umc1054)에서 10개(mmc0111)의 범위로 나타났 으며, 평균 대립단편 수는 4.44개였다. 집단구조 분석결과, 12개의 옥수수 자식계통들은 groups I, II, III, admixed group으로 구분되었다. 2개의 자식계통(10S4015, 10S4026)은 group I에 포함되었고, Group II는 총 4개의 자식계통 (Mo17, B14A, HW7, HW3)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4개의 자식계통(11CS4117, 11CS4124, 11CS7014, HW9)은 Group III에 포함되었으며, 2개의 자식계통(10S4032, KW7)은 admixed group에 포함되었다. 더욱이 본 연구에서는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자식계통들에서 분석에 이용된 300개 SSR 마커와 4개의 양적 형질(간장, 착수고, 간경, 수술길이) 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population structure(Q) 값을 이용하여 Q GLM 분석을 실시하였다. 0.01의 유의수준 에서, Q GLM 분석을 이용하여 총 17개의 SSR 마커가 4개의 형질과 association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12개의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집단구조 및 association mapping 분석의 결과는 앞으로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에서 기능성 색소옥수수 품종개발을 위한 계통 육성 및 교배조합 구성 등에 유용 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3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배추 엽색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은 안토시아닌의 합성 유무 또는 축적된 양의 차이에 기인한다. 양배추의 엽 색 관련 분자마커 개발을 위하여 안토시아닌 색소의 축적이 다른 양배추 계통을 이용하여 RNA Seq을 수행하고 분 석하였다. 양배추 시료는 자색양배추, 녹색양배추, 저온에서 안토시아닌 발현되는 양배추, 저온에서 안토시아닌 발현이 없는 양배추를 각 2종씩 사용하여 색 관련 유전자 마커의 선발과 분류를 용이하게 하였다. RNA Seq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안토시아닌 합성관련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 자색양배추에서 MYB2, TT8, F3’H, DFR, ANS 유전자의 발현이 많았다. 또한 RNA Seq 데이터를 기반으로 SSR 마커로 활용가능한 프라이머 45개 세트를 선별, 작성하고 PCR방법으로 검정한 결과 9개의 프라이머 세트를 선발하였다. 그 중 1개를 양배추 F1 품종을 대상으로 검정하여 자색양배추 또는 저온에서 자색을 나타내는 양배추를 구분할 수 있었다. 안토시아닌 합성과 관련된 상 류유전자와 구조유전자들의 게놈 구조를 분석하고 상류유전자 18개, 구조유전자 15개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기위 해 각각 33개, 21개 프라이머 세트를 작성하였다.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F3’H, DFR, MYB2, 유전자에서 총 10개의 SNP(Exon 4개, Intron 6개)와 1개의 SSR(Intron)을 발굴하였다.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농촌진흥청․ 산림청 Golden Seed 프로젝트 사업(원예종자사업단, 과제번호 : 213003-04-2-SB230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3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도열병저항성유전자(Pi40), 흰잎마름병저항성유전자(Xa4, xa5, Xa21), 벼멸구저항성유전자(Bph18) 와 연관된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진부벼 유전적배경에 이들 저항성 유전자를 모두 집적한 14계통을 육성하였으며, 이들 계통들은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벼멸구 생물검정에서도 모두 강한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이들 14계통 중에 서 초형이 양호한 3계통(GPL1, GPL2, GPL3)을 선발하여 수량 등 농업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출수기는 3계통 모두 진부벼보다 4∼5일정도 늦었으며, 간장은 비슷하거나, 다소 작았고, 수장은 길어졌고, 수수는 1∼4개정도 적어졌 다. 수당립수는 진부벼보다 29∼34개 많아졌으나, 등숙율이 66∼73%로 상당히 낮아졌다. GPL1계통은 진부벼보 다 수량성이 7.5%증가하였고, GPL2계통은 6%감소하였으며, GPL3계통은 진부벼와 수량성이 비슷하였다. GPL1 계통은 진부벼보다 등숙율이 낮은데 수량성이 증가한 이유는 주당수수가 많아졌고, 수당립수가 많아졌으며, 천립 중이 증가한데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미질특성에서 내병충성복합계통들은 단백질함량, 아밀로스함량 및 알카 리붕괴도는 진부벼와 유사하였으나, 심복백이 다소 많이 보이는 경향이었다. GPL2와 GPL3계통은 이삭선단이 퇴 화된 표현형을 보였고, 수발아율이 16%이상으로 높았고, 내냉성도 진부벼에 비해 다소 약하였다. GPL1계통은 진 부벼와 비교하여 수량성도 다소 높고, 표현형도 우수하며, 내냉성과 수발아율도 양호하여 내병충성육종에 유용한 중간모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6.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iz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od and feed crops in the world including Southeast Asia. In spite of numberous efforts with conventional breeding, the maize productions remain low and the loss of yields by drought and downy mildew are still severe in Asia. Genetic improvement of maize has been performed with molecular marker and genetic engineering. Because maize is one of the most widely studied crop for its own genome and has tremendous diversity and variant, maize is considered as a forefront crop in development and estimation of molecular markers for agricultural useful trait in genetics and breeding. Using QTL (Quantitative Trait Loci) and MAS (Marker Assisted Breeding), molecular breeders are able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drought tolerance or downy mildew resistance maize genotype. The present paper overviews QTL/MAS approaches towards improvement of maize production against drought and downy mildew. We also discuss here the trends and importance of molecular marker and mapping population in maize breeding.
        37.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원도 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에서 튀김옥 수수 품종개발을 위하여 육성한 79개의 자식계통들에 대하 여 대표적인 분자마커인 SSR마커를 이용하여 집단구조 및 association m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구조에 대한 분 석 결과에서 79개의 튀김옥수수 자식계통들은 groups I, II, III, IV, admixed group으로 구분되었다. 4개의 옥수수 자식 계통은 group I에 포함되었고, Group II는 총 17개의 자식계 통들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6개의 자식계통들은 Group III에 포함되었으며, 22개의 자식계통들은 Group IV에 포함되었 다. 그리고 admixed group에는 30개 옥수수 자식계통들이 포함되었다. 튀김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하여 50개 SSR 마 커와 10개의 양적 형질 사이에서 association mapping 분석 을 하였다. Q GLM 분석에서는 0.01의 유의수준에서 92개의 marker-trait association을 확인하였으며, 반면에 Q+K MLM 분석에서는 0.01의 유의수준에서 6개의 marker-trait association 을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79개의 튀김옥수수 자식계통들 에 대한 집단구조 및 association mapping 분석의 결과는 앞 으로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에서 튀김옥수수 품종개 발을 위한 계통 육성 및 교배조합 구성 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38.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원도 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에서 튀김옥수수 품종개발을 위하여 육성한 79개의 자식계통들에 대하여 SSR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집단구조 및 association m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구조 분석결과, 79개의 튀김옥수수 자식계통들은 groups I, II, III, IV, admixed group으로 구분되었다. 4개의 옥수수 자식계통은 group I에 포함되었고, Group II는 총 17개의 자식계통들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6개의 자식계통들은 Group III에 포함되었으며, 22개의 자식계통들은 Group IV에 포함되었다. 그리고 admixed group에는 30개 옥수수 자식계통들로 구성되었다. 더욱이 본 연구에서는 튀김옥수수 자식계통들에서 분석에 이용된 50개 SSR 마커와 13개의 질적, 양적 형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association mapping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false positive associations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population structure(Q), kinship(K) 값을 이용하여 Q GLM과 Q+K MLM 분석을 실시하였다. 0.05의 유의수준에서, Q GLM 분석을 이용하여 총 44개의 SSR 마커가 12개의 형질과 association을 보였고, Q+K ML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총 25개의 SSR 마커가 12개의 형질과 association을 보였다. 그리고 0.01의 유의수준에서, Q GLM 분석에서는 34개의 SSR 마커와 12개 형질의 association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Q+K MLM을 이용하여 8개의 SSR 마커는 5개의 형질과 association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79개의 튀김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집단구조 및 association mapping 분석의 결과는 앞으로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에서 튀김옥수수 품종개발을 위한 계통 육성 및 교배조합 구성 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40.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총 50개의 SSR primer를 이용하여 색소옥수수(색소종실 옥수수 12계통, 색소찰 옥수수 12계통) 및 비색소옥수수(종실옥수수 2계통, 찰옥수수 5계통) 계통들에 대하여 유전적 다양성, 계통유연관계 및 집단구조를 분석하였다.1. 그 결과 50 개의 SSR primer들은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31계통들에서 총 282개의 대립단편을 증폭시켰으며, SSR primer들에서 증폭된 대립단편의 수는 최소 2개에서부터 최대 11개까지의 범위로 나타나 평균 5.64개가 증폭되었다. MAF(major allele frequency)는 0.23(bnlg279)에서 0.90(umc2338)의 범위로 나타나, SSR primer 당 평균 0.45개로 나타났고, 유전적 다양성(GD)값은 0.17(umc2338)에서 0.86(bnlg279)의 범위로 나타나, SSR primer 당 평균 0.67의 값을 나타내었다. 2. 31개의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계통들의 집단구조를 분석한 결과, 이들 옥수수 계통들은 Groups I, II, III, IV, V, admixed로 구분되었다. Group I은 찰옥수수 1계통, 색소종실옥수수 1계통, 색소찰옥수수 5계통이 포함되었고, Group II는 찰옥수수 1계통, 색소찰옥수수 3계통이, Group III는 색소종실옥수수 3계통, Group IV는 색소종실옥수수 2계통이, Group V는 종실옥수수 2계통, 찰옥수수 2계통, 색소종실옥수수 5계통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admixed group에는 찰옥수수 1계통, 색소종실옥수수 1계통, 색소찰옥수수 4계통 이 포함되어 있었다.3. UPGMA법에 의한 계통유연관계 분석 결과, 31개의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계통들은 유전적 유사성 27.4%의 수준에서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Group I은 10개의 옥수수 계통(종실옥수수 2계통, 찰옥수수 2계통, 색소종실옥수수 6계통)을 포함하고 있었고, Group II는 20개의 옥수수 계통(찰옥수수 3계통, 색소종실옥수수 5계통, 색소찰옥수수 12계통)을, 그리고 Group III은 색소종실옥수수 1계통을 포함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강원도 농업기술원 옥수수시험장에서 색소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선발과 품종 육성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