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2

        45.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 표면의 온도 측정 결과, ‘후지’ 품종에서 무처리구가 44oC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미세살수 처리구가 35oC로 가장 낮아 사과의 표면온도를 직접적으로 낮추는데 가장 효과적이었고, ‘홍로’ 품종에서는 방풍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약 9oC의 온도하강 효과를 나타내었다. 조도 및 광량은 방풍망 처리구가 53.263lx로 무처리구의 90.283lx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오후 시간의 햇볕은 파장이 긴 적색광으로 과실의 품온이 증가하고 광합성량이 증가되는 반면 과실의 호흡량이 증가하여 색소 발현 및 저장양분의 축적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방풍망을 이용한 차광으로 빛의 강도와 온도를 인위적으로 낮추어 광포화점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에서 충분한 채광시간과 효율적인 광합성작용을 유도 하는 것이 과실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후지’와 ‘홍로’의 최대양자수율 Fv/Fm 값이 다른 처리들보다 무처리구에서 0.74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미세살수, 방풍망 처리구가 무 처리구에 비해 높은 광합성 효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후지’의 일소피해 조사결과 미세살수 처리구는 5%, 방풍망 처리구는 7%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일소발생이 약 15% 경감되었고 ‘홍로’의 경우는 미세살수 처리구는 22%, 방풍망 처리구는 25%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일소발생이 약 7% 감소하였다. ‘홍로’의 일소피해 발생이 ‘후지’ 에 비해서 높았던 이유는 ‘홍로’가 ‘후지’보다 비대 속도가 빠르며 광을 받는 과실 표면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컸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착색지수 중 적색도(a*)의 경우 ‘후지’ 품종에서 무처 리구에 비하여 미세살수와 방풍망 처리구가 각각 26% 및 34%로 착색향상을 개선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사과 주요 품종에 대한 미세살수 및 방풍망 처리는 추후 기후변화로 인인 사과생육기 고온증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과실일소 및 착색불량 등 과실품질저해 요인을 저감할 수 있는 현장적용이 가능한 기술로 판단 되었고, 또한 이로 인한 상품성 증가로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4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과일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는 실온 조건에서 한 주기가 12일 전후로, 세대가 짧고 번식력이 높아 일상생활 에서 다양한 피해를 주고 있다. 초파리 방제를 위해 살충제제 형태도 개발되어 있으나 주로 주방이나 음식물 근처에 발생하므로 약제 활용보다 살충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트랩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현 소비 트렌드에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소비량이 높은 실온 과일 중, 바나나의 초파리 유인도를 확인하고 실질적으로 초파리 트랩 제품의 효능을 검정하기 위해 특정 공간 내(1.5x1.5x1.5 m)에서 초파리 유인도를 확인하였다. 국내 및 해외에 유통 중인 초파리 트랩 제품은 단독 평가 시 바나나 반 송이를 기준으로 과일과 동등한 유인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과일과 함께 평가를 진행하는 경우, 과일에 유도된 초파리에 비하여 제품이 초파리를 유인하는 효과는 현저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초파리 트랩 제품 개발 시 실생활에 대한 환경을 상정하여 시험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4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apholita molesta (Busck) is a major pest of stone fruits. Immature fruits of apricot and plum are well known food source during early summer for G. molesta, but those immature fruits have rarely been evaluated. Thus, we assessed biological and behavioral attributes of G. molesta when provided with immature fruits of apricot and plum in laboratory. The initial response rate (when larva reached to the center from release point in Y-tube olfactometer) of first instar was not different between apricot (70.0%) and plum (60.0%) of which sugar content was more on plum (5.92 brix in apricot and 7.30 brix in plum). However, pupal weight was less in apricot (7.5 mg) than in plum (11.4 mg), and this might be affected by difference in hardness of the fruits (17.2 N on apricot and 13.3 N on plum). The preoviposition period was also longer in apricot (6.3 d) than plum (3.6 d), and fecundity was lower on apricot (64.5) than on plum (135.0). Therefore immature plum fruit would be better food source for G. molesta than apricot during early summer.
        49.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upercooling property and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supercooling storage of fruits and vegetables. Freezing point and nucleation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hardness, sugar content, and pH of nineteen fruits and vegetables were measured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Freezing poi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isture content and sugar content (p<0.01), while ice nucleation temperature showed a correlation (p<0.05) only for sugar content. In particular, the water content and sugar content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the freezing supercooling difference (FSD).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SD, aerobic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yeast, and mold, FSD showed a correlation (p<0.01) with aerobic bacteria. The experiments of the saline solutions inoculated with aerobic bacteria at different concentrations showed FSDs of about 2 for saline inoculated with 9.4 log CFU/mL and about 6 for saline inoculated lower than 5 log CFU/mL. Therefore, the aerobic bacteria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to be a key factor affecting the supercooling storage of fruits and vegetables.
        4,000원
        50.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jube wines produced from various fruits (Campbell Early, aronia, apply). Before the preparation of jujube wine, jujube juice was extracted using hot water (100℃, 2 hr). Different blends of jujube wines were produced by blending jujube juice with various fruits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After 18 days of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 of jujube wines ranged between 11.5~12.7%. The pH of the wine ranged from 3.31 to 3.53 and the total acid content from 0.47 to 0.68%. The hue value of jujube wines ranged from 0.88 to 2.21 and the color intensity ranged from 0.93 to 6.29. The brightness of jujube wines ranged from 32.35 to 92.47, the redness from 0.85 to 59.05, and the yellowness from 17.35 to 51.02. By combining aronia with jujube juice,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wine was observ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401.77 mg%)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76.29%) were the highest in the jujube wine blended with aronia.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of jujube wines ranged from 81.66 to 135.98 mg% and the tannic acid content from 42.48 to 316.36 m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 suggest that jujube wine produced by blending jujube juice with aronia had excellent quality as well a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ine.
        4,000원
        5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replace hazardous methyl bromide (MB) post-fumigation on imported fruits, due to insufficient ventilation process in industrial practice, alternative fumigation with liquid ethyl formate (EF) with N2 application, which is multi benefits to safe to workplace and environment, has been developed by APQA. Although EF was found to be shown proven efficacy to invasive external feeders such as mealybugs and scales on export and imported fruits and vegetables, there was still some conflicts to accept one of the phytosanitary disinfestation method somewhere because of on reliable and confirmative studies on between MB and EF in terms of efficacy to mealybugs on perishable commodities. In here, we evaluated comparative efficacy of EF and MB to target citrus mealybug, which was seems to be hard control pest, based on the current disinfestation guideline of them in Korea. The potential benefits of using liquid ethyl formate (EF) for future quarantine use could provide for safer workplace involved on and post-fumigation such as cold and packing storages, cost-effectiveness as well as meet the environmental friendly solution.
        5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서 재배하는 주요 핵과류(복숭아, 자두, 매실, 체리)에 발생하는 깍지벌레는 뽕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entagona), 말채나무공깍지벌레(Lecanium corni), 무화과깍지벌레(Coccus hesperidum), 가루깍지벌레류(Pseudococcus sp.) 4종이 발견되었으나, 뽕나무깍지 벌레는 2017년에 총 113과원 중 103과원(발생과원율 91.2%), 2018년에는 77과원 중 64과원(발생과원율 83.1%) 모든 핵과류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여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 2017년도에는 5월 상순부터 부화를 시작하여 암컷성충 1마리가 평균 75.5개(47∼159개)의 알을 낳으며 모든 알이 부화하는데 약 19일이 소요되었으며 5월 20일경에 월동성충의 모든 알이 부화하였다. 그러나, 2018년에는 4월 하순부터 부화를 시작하여 (부화율 72%) 부화유충(1령)으로 이동 후 5월 중순부터 고착유충(2~3령), 6월 중순부터 2세대 성충이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부화유충기(1령)에 약제 살포를 하면 살충율이 100.0%이었으나, 고착유충기(2~3령)에는 살충율은 2.7%에 불과하였다. 부화약충기를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몸체가 밀납깍지로 덮여 있어 약제를 살포하여도 직접 접촉되지 않아 치사율이 낮았다. 따라서 반드시 부화약충기에 약제를 살포하여야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5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노린재류는 복숭아, 매실, 자두, 살구 등 핵과류 과실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 핵과류 과원에서 과실을 가해하는 노린재 종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어 효과적인 방제대책을 수립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우리는 2017년과 2018년에 핵과류 과실을 가해하는 노린재의 종류와 발생 밀도를 다양한 계절에 여러 지역에서 육안으로 조사하였다. 핵과류 6종(매실, 자두, 복숭아, 양앵두, 플럼코트, 살구)을 가해하는 노린재류는 총 4종으로써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가시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였다. 매실, 복숭아, 양앵두, 살구를 가해하는 우점 노린재는 썩덩나무노린재였던 반면, 자두에서는 갈색노린재의 밀도가 가장 높았다. 핵과류를 가해하는 노린재 중에서 썩덩나무노린재가 차지하는 비율은 64.2%였고, 갈색날개노린재는 23.7%를 차지하여 이 2종이 약 88%를 점유하였다. 따라서 핵과류에서 피해가 가장 큰 썩덩나무노린재의 체계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5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hyl bromide (MB) had been routinely used in quarantine and pre-shipment (QPS), despite of strong recommendations to replace technically feasible alternatives of it by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and current hazardous issues in workplace related post-fumigation process of imported perishable commodities. Due to insufficient ventilations post-fumigation on imported fruits such as citrus, fumigators and related workers in cold storage, load/unload and packing room has been exposed to hazardous conditions (5-100 ppm, MB’s TWA_TLV = 1 ppm). It’s time to replace newly developed phytosanitary disinfestation methods such liquid ethyl formate (EF) with N2 application. It could provide for safer workplace involved on and post-fumigation process, cost-effectiveness as well as meet the environmental friendly solution.
        55.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는 당해 농산물에 등록된 농약 잔류허용기준이 없으면 일률기준 0.01 mg/kg을 적용하는 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에서 유통되는 열대과일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PLS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국내 재배 열대과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내 유통되는 열대과일류 120건에 대해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에 따라 잔류농약 220종을 검사한 결과 바나나, 망고, 키위 3품목 7건에서 6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다. 바나나에서 azoxystrobin와 chlorpyrifos, 망고에서 chlorfenapyr, 키위에서 chlorothalonil, iprodione, pro-cymidone이 검출되었다. 그 중 국내산 망고에서 chlorfenapyr, 국내산 키위에서 chlorothalonil이 각각 1건씩 검출되었고 PLS 적용 결과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 판정 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재배되는 열대과일류를 대상으로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4,000원
        57.
        2017.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fection with Helicobacter pylori leads to gastritis, peptic ulcers and gastric cancer. Moreover, when the gastric mucosa is exposed to H. pylori, gastric mucosal inflammatory cytokine interleukin-8 (IL-8) and reactive oxygen (ROS) species increase. Tribulus terrestris L. is an annual creeping herb of the family Zygophyllacea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ribulus terrestris L. fruits extract (TTE) extract on H. pylori-infected human gastric epithelial cells was examined.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the tetrazolium salt reduction method using WST-1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GS cells were pretreated with TTE extract for 24 hrs followed by H. pylori infection for up to 24 hrs. IL-8 secretion in AGS cells was measured by ELISA. The extract yield of the fruits of Tribulus terrestris with 50% ethanol was 20.60%. We analyzed TFE composition by LC. The concentration of Protodioscin in TFE was 310 μg/mL. It was confirmed that exposure to 100 μg/mL of TT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ell proliferation at the concentrations examined (12.5–200 μg/mL). It was therefore concluded that TTE at these concentrations had no cytotoxic effects on AGS cells and could be used in this study. Pretreatment of H. pylori-infected AGS cells with 12.5, 25, 50 and 100 μg/mL of TTE for 24 hrs significantly decreased IL-8 production by 12.5%, 25%, 27.5% and 50%, respectively, compared to H. pylori-infected cells without TTE.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TE inhibited H. pylori-induced IL-8 secretion, thus augmenting their benefit in regard to protection of gastric epithelial cells. This study suggests that ingestion of these plant extracts could have therapeutic implications for patients with H. pylori induced gastritis and duodenal ulcer.
        3,000원
        58.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fruit vinegar made from fruit wine has been famous due to its health function and nutrition. Therefore, there are many fruit vinegar products manufactured by major big food companies and small company as well as one person through the internet shopping mall. In this study, 4 type citrus fruits vinegar (grapefruit, tangerine, orange, lemon)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quality of vinegar for consumers’ wise selection. Commercial vinegar which are commonly produced by fermenting mixture of brown rice vinegar with fruit extracts were analyzed that sugar content, pH, acidity, turbidity, DPPH assay, FRAP assay, TPC and manufacture method. Among all samples, 4 tangerine vinegar acidity were suit with standard quality (4~29%) by MFDS. pH scale of all vinegar was from 2.76 to 3.48 and lemon vinegar was lowest. Average sugar content (brix%) was lowest at tangerine vinegar as 17.4.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samples. In the TPC study and FRAP assay, lemon vinegar showed the highest value, while grapefruit, tangerine, and orange vinega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sult, product type, and qualities and suitability as vinegar product of various citrus fruits vinegar were observed and it was found that although product name is ‘vinegar’, some vinegar products were not suit with standard quality (acidity%).
        5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절기 엽수 관리는 딸기 재배 농가마다 상이한데 촉성 작형으로 ‘설향’을 토경 재배할 때 동절기 엽수 조절이 딸기 수량 및 과실 당도에 미치는 영향을 2작기 (2013-2014년 및 2014-2015년)에 걸쳐 검토하였다. 12월 상순에서 2월 하순 사이에 엽수를 성엽을 기준으로 6매 및 9매를 남기고 주기적으로 적엽하거나 노화되어 황화된 엽만 제거한 무적엽 처리구를 두어 실험하였다. 2014-2015년 작기에서 엽수를 6매 및 9매를 남기고 적엽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무적엽 처리구에서 2월 하순까지의 조기 상품과 수량 및 상품과 총수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동절기 엽수 조절에 따라 1-3월 사이에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무적엽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수확 전기간 평균 12oBrix 내외로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부족한 일조량과 단일 조건으로 충분한 동화산물의 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노화엽과 이병엽을 제외하고 최소한으로 적엽하여 관리하는 것이 딸기 과실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을 판단된다.
        4,000원
        6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tion activity and di-peptide (anserine, carnosine) contents of marinated pork loin from Korean native black pig (KNBP) and crossbred of Landrace×Yorkshire×Durock (LYD) by addition of fruits (pineapple and gold kiwi). Sliced pork loin (13~15 mm) was marinated in three different treatments: 1) no fruits addition, 2) with seasoning and pineapple for 5 h, 3) with seasoning and kiwi for 5 h. Addition of fruits significantly decreased pH, hardness and chewiness of marinated KNBP and LYD pork loin. Anti-oxidation activity in pork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dition of fruits. Especially, addition of gold kiwi in the pork loin marinated for 5 h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on activity and carnosine contents. Also, it showed the highest score i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juiciness and tendernes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ork loin marinated with gold kiwi for 5 h could be one of the solutions to enhanc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rinated KNBP and LYD.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