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협동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폰 의존, 긍정적 친구관계,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청 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의 4차 년도(2021년) 자료를 이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2,2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 료는 AMOS 26.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은 자아존중감과 협동의식에 통계 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긍정적 친구관계는 자아존중감 과 협동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존중감 은 협동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스마 트폰 의존과 협동의식 간의 관계와 긍정적 친구관계와 협동의식 간의 관 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그러므로 고등학생의 협동의식의 향상을 위해 스마트폰 의존을 줄이고, 긍정적 친구관계를 향상 시키는 전략과 함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태양 복사’가 ‘가시광선 복사’로, ‘지구 복사’가 ‘적외선 복사’로 상호 대체될 수 있는 개념인가에 대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각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드러낼 수 있는 질문지를 통하여 지 구과학 I을 이수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과서의 서술 및 삽화를 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모두 태양 복사를 가시광선 영역에서만 방출되는 복사로 인식하고 있으며, 지구 열수지에서 대류·전도·숨은열을 복사에 의한 에너지 전달로 인식하고 있는 학생 들도 약 35%로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I 6종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2종에서는 ‘단파 복사’와 ‘장파 복사’라는 용어를 도입하지만 이들에 대한 설명이 없었으며, 다른 2종에서는 태양 복사를 각각 ‘주로 가시광선 형 태의 복사’ 또는 ‘파장이 짧은 가시광선 복사’로 서술하였다. 그 밖의 2종 교과서에 있는 태양 복사와 지구 복사에 관 하여, 파장 영역에 대한 설명이 없거나 ‘단파장/장파장’이라는 모호한 용어가 사용되었다. 아울러 2종의 교과서에서 열 수지 삽화에 일부 오류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교과서들이 단파 복사와 장파 복사에 관한 정확한 용어 정의 없이 태양 복사와 지구 복사를 설명함에 따라 학습자들은 태양 복사와 지구 복사를 각각 가시광선 복사와 적외선 복사라는 개념 으로 인식할 개연성이 있다. 이를 종합해 보면, 교과서에 기술된 불분명한 진술이나 오류가 학생들의 오개념을 유발하 거나 재생산할 수 있음을 함의한다. 이 연구에서 논의된 바가 지구의 열수지와 복사 평형에 대한 교수·학습 과정의 유 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추후 교과서 집필에서도 합리적인 서술 방안을 제안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여자 중학생 전문선수(10명)와 방과 후 배드민턴 수업에 참여하는 일반학생(10명)의 하이클리어 동작 시 COM과 COP의 수평거리, 그리고 COM과 COP의 이동패턴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두 그룹 간 하이클리어 스트로크 이후 착지 시점(E4)에서 COM과 COP의 X 축과 Y축에서의 수평거리와 백스윙, 포워드스윙, 스윙전체의 X축, Y축, 그리고 Z축에서 COM의 최대이 동범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첫째, 하이클리어 스트로크 임팩트 이후 착지 시점(E4)에서 여자 중학생 전문선수는 전후방향(X축)에서 COM와 COP지점이 일반학생에 비해 매 우 가깝게 위치하였다. 둘째, 전문선수는 COM의 수직움직임, 일반선수는 COM의 수평움직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숲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화성시 B동에 위치한 고등학교의 학생 26명으로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실험집단과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통제집단으로 나누었고, 각 집단은 매주 1회 2시간씩 5회기의 숲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고등학생 들의 정신적 심리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숲에 대한 환경태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해 사전과 사후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과 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숲체험 활동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숲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증가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증가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었다. 학업스트레스에 있어서는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감소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감소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었다.
This study adopts a flow theory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learning engagement levels of 224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uring EFL classes and the factors that may relate to differences in their engagement. Engagement was defined as the simultaneous experience of concentration, interest, and enjoyment.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was employed to measure 10th and 11th graders’ appraisals of instructional activities. Each participant was sampled twice randomly during each of three observed lessons. Momentary levels of engagement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students’ appraisals of activity qualities (importance for future goals, difficulty, possessed skills/competence in the area of the activity), and contextual factors (gender, grade, teacher, ability-track). Descriptive analyses, ANOVAs, and t-tests revealed that only 13% of the students were optimally engaged in lessons that were predominantly teacher-centered; increased engagement was associated with students’ appraisals of activity importance for future goals and with feelings of competence; and learner group engagement differed according to who taught them. Some teachers seemed to use an approach more conducive to eng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s of the Sino Korean Writing Chinese education on Attention to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for attaining the purpose of study, this study's samples was conducted to a total of 79 student(girls 40, boys 39) of the third grad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pre‐test and post‐test. At first, the pre‐test method was applied to the total of 79 students bef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Writing Chinese education for the strengthening Attention. And then post‐test method was applied to the total of 79 students afte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writing Chinese for the strengthening Attention. The questionnaire by Likert 5 point measurement as a test method was used. The respondence from the questionnaire were processed in SPSS/WIN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the effects of Attention for the whole sample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cores in post‐test after it was applied to the of writing Chinese for the strengthening Attention was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s in pre‐test. Second, In case of the effects of Atten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oys sample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cores in post‐test after it was applied to the of Learning elements such as Writing Chinese in the high academic achievement group was the highest than others' groups for the strengthening Attention. In case of girls sample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cores in post‐test after it was applied to the of Learning elements such as Writing Chinese in the medium academic achievement group was the highest than others' groups for the strengthening Attention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we found that the Writing Chinese teach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for growing the student's affective domain such as Atten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자살생각과 절망, 우울,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ㆍ고등학교 학생 600명과 대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스트레스 척도, 절망 척도, 우울 척도, 자살생각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그 변인들 간의 관계와 특성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살생각에 대해 청소년과 대학생 집단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성별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은 서로 유의한 상관을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대처신념을 제외한 모든 척도들은 서로 양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대처신념의 저하가 자살을 이르게 할 수 있는 위험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청소년 집단도 대학생 집단과 마찬가지로 우울과 절망에 대한 자살의 회귀효과가 유의하였다. 자살생각에 대한 모든 예측변수와 매개변수인 스트레스의 효과를 알아본 결과, 매개변수인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대하여 독립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의의와 그 시사점을 논하고 제언을 제시하였다.
Kimchi is the most well-known Korean traditional food, but it is also the main leftover of school lunch and dinner menus. This study aimed to familiarize teenagers with kimchi through school meals and to increase their daily kimchi intake, ultimately by appealing to the young generation's tast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Ansan area to examine student's acceptability of kimchi and their attitudes toward kimchi. Approximately 65% of males and 67% of female students liked the moderately fermented and pungent taste of kimchi. Kimchi served in school meals was regarded as nutritional but cheap. Approximately 72% of male and 82% of femal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liked menu items using kimchi. Approximately 48% of students responded that menu items using kimchi in schools are not diverse. Students preferred meat as an ingredient in kimchi. The preferred cooking methods were stir-frying and frying, whereas boiling was the least favorit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en kimchi menu items had been developed. The suitability of the menu was evaluated by students and cooks. Six kimchi items, including Kimchi mixed with rice, chicken, soybean sprouts, Kimchi cheese rice, stewed beef ribs with kimchi, rice topped with kimchi curry, kimchi cheese meat roast, and kimchi udong were considered appropriate for school meals, whereas kimchi kangchong, kimchi topokki, kimchi stew with surimi, and frozen Pollack kimchi soup were not suitable as menu items. Kimchi topokki was not accepted by students, while kimchi kangchong was not accepted by cooks. Cooks judged the suitability of a menu item by the cooking process and cooking times, whereas students judged an item by its sensory preference. Approximately 63% of students responded that kimchi intake has increased by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kimchi dishes.
In this study investigation, 550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school in Gyeonggi Area were surveyed for their knowledge of well-being percep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boys found themselves in a better health compared to the girls. Students recognized the well-being food as all kinds of foods, which can improve their health although they had a significantly different opinion on the other things (p<0.001). The students acquired information on well-being through TV shows and the Internet. The students thought that physical and environmental well- being are the most important. In terms of physical well-being, they emphasized regular workout, balanced diet and enough sleep, while reduction of food waste and the use of disposables along with restriction of behavior not to generate environmental hormone were the important aspect for environmental well-being. In terms of eating-out habits, the girls choose healthy menus more often than the boys, and their menu choice was the most influenced by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V and newspaper. Generally, the boys expressed more satisfaction with healthy menus than the girls, but the former didn't have a strong intention to reorder the same menu. Although the boys and girls did not have a same reason to select specific menu, both group choose menu to promote their health. The balance of taste and nutrition was identified as the top priority for their choice of well-being menus.
This study is to present a female high school summer blouse with high movement functionality and satisfying appearance. For the experimental research 6 subjects with closest average body shapes and their body surface was measured at beginning and after selecting a representative movement the tested uniform was worn and the appearance and movement functionality was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research with the aims to improve the sleeve designed the height in 3 types as A.H/4+3, A.H/4+2, A.H/4+1 and their evaluation showed that in the order of best appearance was A.H/4+2, A.H/4+1, A.H/4+3. In the order of best comfort was A.H/4+2, A.H/4+3, A.H/4+1 and the best order for movement functionality was A.H/4+1, A.H/4+2, A.H/4+3. Additional height types designed produced from elastic materials were A.H/4+3, A.H/4+2, A.H/4+1 and the resulting order of appearance was A.H/4+3, A.H/4+2, A.H/4+1, order of comfort was A.H/4+3, A.H/4+2, A.H/4+1 and the order of movement functionality was A.H/4+1, A.H/4+2, A.H/4+3. Integrating these results shows that in using the same concurrent materials, the experiment pattern of setting the sleeve height as A.H/4+2 was the best while in using elastic materials, the experiment pattern of setting the sleeve height as A.H/4+3 was the best.
In this investigation, 480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school in Seoul, Incheon were surveyed for their knowledge of seaweed and their preference of seaweed products provided during school meal service. Femal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seaweed more than male students. When asked to explain their preference for seaweed, most students who preferred seaweed responded ‘it is tasty’ (82.9%), while those that did not like seaweed responded ‘I don’t like the texture when chewing it and it is not tasty’ (47.8%). Most students reported that they usually eat ‘laver’, and the number of times that they at seaweed was ‘3-4 times a week’. The primary place in which they ate seaweed and the place where they feel it had the best taste was a ‘house’. The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regarding seaweed was mass media including TV, newspapers, magazines and the internet (48.8%). With regard to seaweed in school meals, which is offered twice a week, most students reported, ‘I eat seaweed and leave it to some extent.’ They perceived ‘laver’ to be most often provided in school meals, and 57.7% reported that their favorite seaweed meal was ‘laver’. When asked why they dislike seaweed in school meals, the most common responses were ‘I didn’t like seaweed the first time I tried it’ (27%) and ‘Its taste is different from what I eat at home’ (24.6%). The most common request regarding seaweed provided in school lunches was for the taste to be improved (48.2%). Evaluation of the preference for seaweed menus in school meals revealed that both males and females had higher preferences of more than 4 points for ‘fried laver’ and ‘broiled laver’.
This study aims at making a basic data in order that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high school help the students'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lesson and help them learn an active exercise function, by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the factors and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10학년 학생 73명을 선정하여, 인지 사고 수준이 상, 중, 하인 학생 5명을 표집, 질적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학생의 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지구와 달의 공전과 자전에 대한 개념이 비교적 논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정립되어 있었다. 인지 수준이 중간인 학생의 경우, 보편적으로 수업 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비판 없이 무조건 수용하고 암기하려는 수동적인 학습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파지된 개념이 확장되지 못하고 쉽게 망각되었다. 또한, 지구와 달의 운동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유년적 개념 및 직관과 오인이 나타났으며 논리적 오류를 범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달의 위상 및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설명에서 학생들의 오개념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대체로 과학을 비롯한 학업 성취도가 낮음을 이유로 의욕적인 논리적 사고를 하려고 하지 않았으며, 개념을 인지하고자 하는 태도에서도 소극적이었고, 수동적인 ‘학습된 무기력’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천문영역에서 STAD 모형의 협동학습이 고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천문영역에 있어서 향상 점수에 근거한 협동 학습과 교사 주도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통적 학습 사이의 영향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2개 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협동학습 집단의 학생들은 협동학습 방법으로 주당 4시간씩 4주 동안 수업을 받았다. 협동학습을 받는 동안에 학생들은 매주 ‘태양계 탐사와 별’ 단원에 대한 형성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위의 두 가지 접근 방법은 학생들의 천문학적 지식에 있어서 상당히 다른 영향을 주었으며, 학생들이 전통적인 학습방법보다는 협동적인 학습방법에 보다 긍정적인 과학적 태도를 취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협동 학습은 천문학적 지식의 학습과 과학적 태도에 있어서 전통적인 학습보다 보다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은 미래 학습의 핵심으로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지만, 현행 교육 정책은 여전히 학생을 배제한 채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시선으로 우리 고등학교 교육의 현실을 바라보고 미래교육을 예측하며, 학습자가 주도하는 프로젝트가 고교 교육에서 어떻게 적용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학생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담아내고자 본 연구는 학생 주도 프로젝트 실행 기법(Student Agency Driven Action Research, SADAR)을 구안하고 적용하였다. 경기도의 아홉 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제안하고 만들어가는 교육정책’이라는 주제로 ‘미래교육 제안 프로젝트’를 실시한 결과, 고교교육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하여 첫째, 배움의 목적과 학교의 의미, 둘째, 배움의 내용과 과정, 셋째, 배움의 방식과 평가, 그리고 사회적 관계, 넷째, 꿈과 진로, 그리고 미래, 다섯째 학교에서의 삶과 학생의 목소리의 총 다섯 개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교육을 고민하고 미래를 전망할 때 학생들을 보다 적극적인 교육의 주체로 인식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잠재은퇴 학생선수들의 체계적인 진로교육체제 확립을 위해 직업기초능력을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한 후 이를 토대로 직업기초능력 인식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체육고등학교 및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 생선수 및 교사로 하였다.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필요한 기초능력의 수준으로 신체활용능력을 가장 높게, 다음으로 진취성 및 책임감, 도구활용능력과 리더십, 그리고 조직이해능력 등의 순으로 인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해서 신체활용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다음으로 팀워크능력, 진취성 및 책임감, 도구활용능력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은 의사소통능력, 국제문화이해능력, 자기계발능력 문제해결능력, 수리 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선수들은 학교에서 학업 활동을 소홀히 하는 이유로 인하여 직업기초 능력의 인식 수준이 전반적으로 매우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이들의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교 내의 정규 및 비정규 교육과정 개발 및 사회적인 교육 시스템의 정립이 절실히 요청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dimensions of English learning style which is manifest in English underachieving student in high school. In this study, 148 English underachieving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 when it comes to English learning style. The items in the questionnaire were based on Learning Style Inventory (LSI) by Kolb (2007) who categorized student's learning style. The subjects'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ere submitted to SPSS version 20.0 to analyze the salient dimensions of English learning style. The statistical results of factor analysis revealed three dimensions of English learning style of underachieving student: self-direction, creativity and reactivity. The contribution of three dimensions to English proficiency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regression and cluster analysis, in which the more dimensions they had, the higher they had English proficiency lev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English learning style held by underachieving student could be explored on the basis of differentiated features in isolation from intermediate and high level studen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의 구안과정은 박인우(1995)의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과정을 거쳤으며, 이론전문가와 현장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총 11회기로 구성된 최종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경기도 소재 G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중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30명)과 통제집단(30명)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사도구는 Schlein과 Guerney의 ‘관계성 변화 척도’를 문선모가 우리 실정에 맞도록 번안한 대인관계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통계적 분석과 집단원들의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능력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분석에서도 실험집단 참가자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