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박물관에서는 연극을 활용한 교육을 지향하는 이른바 뮤지엄 시 어터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뮤지엄 시어터(Museum Theatre) 를 관람한 관람객의 경험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오르기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고, 중국 고궁박물관의 뮤지엄 시어터 ‘녹단(甪端)’을 관람한 경험이 있는 10명의 관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객들이 지식, 정 보 습득을 위해 뮤지엄 시어터를 관람하면서 예술과 문화적 소양을 향상 할 수 있고 역사 이야기에 대한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문화재와 박 물관에 대한 지식을 확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뮤지엄 시어터 는 박물관의 유물과 관련된 역사 장면의 몰입감을 촉진하고, 관객의 참 여 열정을 불러일으키며 관람객들이 박물관에 관심을 갖도록 자극제 역 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뮤지엄 시어터는 첨단기술이나 시각 효과 등 흥 미 요소를 통해 관객들에 적극적인 관람 경험을 제공하며 일반적인 박물 관 교육보다 더 다양하고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 는 뮤지엄 시어터가 박물관 교육의 일환으로서 지식 확장 및 예술·문화 적 소양 향상의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 다. 이는 박물관 교육의 콘텐츠 개발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영유아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토의 수업에 참여한 H대학원생 어린이집 원장 7명의 세계시민교육 의식 변화를 탐색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 는 2024학년도 1학기 영유아세계시민교육 주제 토의 수업 10회에 참여하였 다. 연구 자료는 토의 수업 대화 전사본, 토의 수업 후 성찰지, 연구자의 연 구 노트 등이다. 자료 분석은 연구 문제를 따르는 구조적 내성 코딩법으로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토의 수업 실행을 통해 어린이집 원장은 영유아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의식을 재구성하고 변혁적 실천 교육 역량을 함 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영유아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집 중 토의 필요성과 소중함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한다. 특히, 영유아세계시민 교육을 주제로 한 집중 토의법은 영유아교사의 재교육 방법으로 적극 활용되 어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원장이 주체가 되어 원내 영유아 교사들과 세계시민교육 주제 토의 실천을 하는 질적 연구를 통해 영유아세계 시민교육에 대한 현장의 변혁적 역량 형성을 제고하는 심층적 연구가 필요함 을 제언한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comprehensive experiences of nurses who volunteered for medical services at Saemangeum Jamboree using a systematic qualitative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SWOT) analysis framework. Method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nurses between March and October 202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with ATLAS.ti 6.2 software. Subsequently, the derived subcategorie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classified within a SWOT matrix framework to provide structured insights into the experiences of the volunteer nursing. Results: The comprehensive analysis yielded 125 meaningful codes, which were systematically categorized into 23 distinct sub-themes and ultimately structured into 14 overarching themes within the SWOT matrix framework. The identified strengths included nursing expertise and clinical competency, building therapeutic trust through patient-centered car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in crisis situations. The identified weaknesses included experiencing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language barriers due to limited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and initial resource constraints that compromised the quality of care. The opportunities identified included patient thankfulness reinforcing commitment to duty and guardians, valuable experience in cross-disciplinary collaborat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eamwork, and increased sponsorship resources throughout the event progression. The identified threats encompassed a lack of response from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bsence of standardized nursing protocols or manuals, occurrence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ambiguity in roles and responsibility, and insufficient measures to ensure physical safety in the service area. Conclusion: The comprehensiv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nurse volunteers and enhancing volunteer satisfaction in future large-scale international events requires strengthened pre-event training programs,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response protocols for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foundational data and practical insights for planning and operating medical volunteer programs at similar international events and contributes valuable knowledge to the field of disaster nursing and humanitarian healthcare delivery.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essence, and structure of charge nurses operating in rotational appointment systems in tertiary hospitals.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adopt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participants were 11 charge nurses with rotational role experience working in tertiary hospitals in a metropolitan a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lasting an average of 40~60 minutes and, conducted between July 8 and August 30, 2024.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which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35 themes, 14 theme clusters, and five categories. Results: The study revealed five categories: (1) ‘Taking the first step as a charge nurse,’ (2) ‘Enduring the weight of being a charge nurse,’ (3) ‘Creating my own charge nurse role,’ (4) ‘Mixed emotions returning after completing the rotation,’ and (5) ‘Ready to take the leap to the next level.’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harge nurses experienced significant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while performing their roles. They demonstrated leadership, coordinated tasks and personnel, supported staff development, resolved issues, and facilitated communication. This role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individual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Despite initial feelings of anxiety and fear, charge nurses embraced challenges and contributed to improvements 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patient safety while setting new goals for continuous growth even after completing their roles. Even in the post-term, they continued to expand their perspectives as nursing managers, increased their influence, and set new goals while pursuing ongoing growth and development.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charge nurses in rotational systems in tertiary hospitals. Given the crucial role of charge nurses in the nursing leadership pipelin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comprehensive hospital-wide programs to nurture leadership skills among front-line nursing managers and create supportive policies that fully enable their engagement.
최근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은 해양 분야에 도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국제해사기구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 ‘0(Net-Zero)’ 달성을 목표로 하는 온실가스 감축전략을 채택하며, 친 환경 선박 기술 개발과 보급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액화천연가스, 메탄올, 수소 및 암모니아 등 다양한 대체에너지원이 활용되고 있으나, 이들 에너지원은 간헐성 및 공급 안정성 측면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서 탄소 배출이 없고 소형화 및 모듈화를 통해 안전성이 향상된 소형모듈형원 자로는 미래 해양 에너지 공급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소형모듈형원 자로의 해양 이용은 단순한 기술적 문제를 넘어선 다양한 국제법적 쟁점을 동 반하며, 기존 해양법 및 원자력 규범과의 정합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 고 있다. 이 연구는 소형모듈형원자로의 해양 이용과 관련된 국제법적 문제를 중심으 로, 유엔해양법협약의 해석을 통해 소형모듈형원자로 선박과 해상 소형모듈형 원자로 발전소의 법적 지위 및 각 해역에서의 통항권과 관할권 문제를 분석하 였다. 소형모듈형원자로 선박은 일반적으로 유엔해양법협약상 ‘선박’으로 인정 되어 통항권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무해통항 요건, 사전통보의무 및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연안국의 권한 행사 등 다양한 쟁점이 존재한다. 해상 소형모듈형 원자로 발전소의 경우, 고정 구조물로서 각 수역에서의 설치 및 운영과 관련한 연안국의 규제 권한, 안전수역 설정 가능성 등 복합적인 법적 문제들이 수반된 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소형모듈형원자로 해양 이용과 관련된 법령 간 중복 적용, 해상교통안전 규정의 미비 등 제도적 보완이 요구된다. 향후 소형 모듈형원자로의 해양 활용이 해저자원 개발, 인공섬 전력 공급 등 다양한 분야 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제기구 간 협력과 통일된 지침 마련 마련 이 필수적이며, 이는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대응해야 할 이슈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목적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학교에서의 장애 학생과 접촉 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또한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의 유익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 비장애 고등학생(176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관심, 학교생활에서 접촉 경험 등에 관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시각장애 체험 장비를 활용하여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 후 장애체험 관련 설문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21.0을 통한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다중회귀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과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 와 관련된 세부 항목들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응답자의 학년이 높을수록, 장애 학생과 반에서 함께 생활 경험이 있는 응답자일수록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에 대한 인 식’이 긍정적일수록 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응답자의 연령과 학년이 높을수록 시각장애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확인되었고, 장애 학생과 반에서 함께 생활한 경험이 없는 응답자일 수록 시각장애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결론 : 비장애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였으며 시각장애인과의 접촉 경 험이 적은 학생들에게 시각장애 체험프로그램을 적용 시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을 제고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caused significant disruptions in global air travel demand, presenting new challenges for accurately forecasting passenger volumes. This study analyzes the monthly air passenger demand data from 2010 to 2022 to identify key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passenger demand. Our analysis shows that the number of international visitors to Singapore is a critical determinant of passenger demand. Consequently, we propose a SARIMAX (Seasonal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with eXogenous variables) model to forecast monthly air passenger demand at Singapore's Changi Airport, integrating international visitor numbers as an exogenous variable. Through comprehensive model identifica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we select the best SARIMAX configuration.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traditional time series methods such as SARIMA, various exponential smoothing methods, and advanced machine learning methods like LSTM (Long Short-Term Memory) and Prophet were compared for forecasting monthly air passenger demand at Changi Airport in 2023. The results show that the SARIMAX model significantly outperforms all other tested models, achieving the best performance across multiple forecasting metrics, including th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가 인식한 평생학습 참여동기, 교수 신뢰, 학습 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D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 학습자 20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인 학습자가 인식한 평생학습 참여동기, 교수 신뢰, 학습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 신뢰는 부분 매개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 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성인 학습자들의 학습 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해 이들의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강화하고 교수와 학습자 간 상호신뢰를 구 축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관측 시상은 천체관측을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평 균 시상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그 시상이 계절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밀양아리랑우주천 문대의 0.7m 망원경을 이용해 관측을 2 4회 진행했으며, 그 관측은 2 02 2년 6월부터 2 02 3년 5월까지 진행됐다. 그 결과, 측정된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연평균 시상은 3.1"±0.8"이었다. 계절별로는 여름철의 평균 시상이 2.2"±0.3"로 가장 좋 았으며 이어서 봄(2.8"±0.4"), 가을(3.1"±0.7"), 겨울(4.1"±1.1"), 순으로 시상이 좋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산에 위치한 한 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천문대에서의 시상 계절 변화와 비교해 논의했다. 추가적으로 시상이 풍속 및 미세먼지 농도와 관계가 있는지 조사해 보았으나, 뚜렷한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향후에는 시상 관측 자료와 기상 정보를 장기적 으로 종합해, 시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이 무엇인지 보다 자세히 규명하고자 한다.
수륙재는 법식을 베푸는 시식의식의 가장 큰 형식으로, 성인과 범부를 청하여 공양함으로써 그 공덕으로 망자나 무주고혼이 왕생극락하게 하고, 아울러 설판자의 소원 성취를 위해 개설하는 재회이다. 수륙재의 비용을 제공하는 것을 설판(設辦)이라고 하며, 재회 설행의 구체적인 목적은 수명(壽命)의 늘어남이나 재물과 복덕의 늘어남, 아귀 (餓鬼) 등의 구원, 여타 복합적 목적 등을 이루기 위해서이다. 현재 한국불교 수륙재에서의 설판 비용은 대체로 동참자의 비용, 외부 기관의 지원 등으로 충당된다. 하지만 의례의 본래 목적 달성을 위해서 는, 실제 수륙재 설판 비용을 출연해서 공덕을 짓는 재자(齋者)의 출현이 절실하다. 본래 수륙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전통의 의례 중심에서 벗어나야 하 며, 현대에 적합한 일차(日次) 아래, 헌향(獻香), 헌다(獻茶) 등 동참 대중 의 직접 참여 속에 의례가 실행돼야 한다. 또 수륙재의 주요한 행위인 도속(道俗: 출가・재가자)에게 재식(齋食)을 무차(無遮)로 공양(供養)하는 행위를 의례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ermination rate,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sprouted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wheat (Triticum aestivum L.) sprouts depending on cultivar and growth duration. Four cultivars Keunalbori1ho, Saekeumkang, Arijinheuk, and Jokyoung were tested under hydroponic and nutrient solution conditions. The germin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under hydroponic conditions compared to nutrient solution treatment. Sprouts were harvested at 0, 4, 6, and 8 days for subsequent analysis. Chemical compositions, such as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ether extract (EE), and crude ash (CA), were analyzed following AOAC (2005) protocols, whil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Van Soest et al. (1991). In vitro digestibility was assessed by incubating ground samples with rumen buffer in DaisyII incubators for 48 h. At day 6 of growth, Keunalbori1ho showed the highest NDF and ADF concentrations (48.6% and 26.2%), reflecting its high structural fiber and the lowest digestibility (IVDMD 52.2%, IVNDFD 37.2%). However, it maintained consistent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cross all growth stages, suggesting potential as a stable forage source. In contrast, Saekeumkang exhibited the highest IVNDFD (59.1%) along with relatively low NDF (30.5%) and ADF (16.7%) values (p<0.05), indicating superior digestibility likely attributed to a simpler cell wall structure and higher NFC availability. Notably, digestibility sharply declined by day 8, implying that the optimal harvest window lies around day 6.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ultivars Keunalbori1ho and Saekeumkang possess complementary strengths in term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digestibility,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optimizing cultivar selection and harvest timing to enhance the potential of cereal sprouts as high quality forage.
South Korea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the major OECD countries. The suicide rate in Seoul ranges from 21.3 to 23.2 per 100,000 individuals.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individuals attempting suicide on Han River bridges, the Seoul Fire Department began installing CCTVs on these bridges in 2012 and has been monitoring them to assess their effectiveness using collected data.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operational impact of deploying professional monitoring personnel and establishing an integrated video monitoring center by comparing suicide statistics before and after its implementation. The analysis distinguished between two periods: one when water rescue team members monitored the footage themselves after installing their own video monitoring center and the other when deploying professional monitoring personnel and establishing an integrated video monitoring center. After deploying professional monitoring personnel and operating the integrated video monitoring center, the number of rescue dispatches increased by an average of 50%, the survival rate improved by an average of 4.9%, and the mortality rate declined by an average of 4.9%.
Within the Pungnap-dong Earthen Fortress in Seoul, various archaeological remains and artifacts that constitute an ancient capital have been excavated, including residential site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as well as public buildings, ritual facilities, large-scale waste pits, pit dwellings, roads, waterways, and earthen fortess. The reconstruction focuses on Building Site No. 44 in the Gyeongdang zone and Pit-Dwelling Site No. Ga-30 in the Mirae Village area. Based on the traces of these structures, the study reconstructs various architectural elements, including floor plans,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s, flooring treatments, pillar arrangements and frameworks, wall construction techniques and openings, as well as roof materials and forms. Building Site No. 44 in the Gyeongdang zone exhibits features characteristic of a transition to above-ground architecture, such as a rectangular floor plan, the construction of a separate foundation, a deliberately planned pillar layout, and independently built walls. Pit-Dwelling Site No. Ga-30 in the Mirae Village area, on the other hand, was designed as a pit structure with thick load-bearing walls to create a large interior space, differing from earlier forms. In this case, materials such as wood, stone, and earth were combined, reflecting an understanding of the distinct properties of each materia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discovery that, although both buildings share similarities with pit dwellings in terms of floor plan and certain structural aspects, they also reveal attempts to implement new wall construction techniques in order to elevate the structures above ground and to construct large-scale buildings.
본 연구는 10·16 부마민주항쟁의 발생사에 해당하는 부산상대생 시위 의 발생 경과와 동인(動因)을 주로 검토한 것이다. 부마항쟁 발생일로부 터 거의 반세기가 경과했지만 아직까지 10.16의 발생사는 제대로 정리되 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운동권 중심설이 등장하여 심각한 역사 왜곡이 더해지고 있다. 본고는 1979년 10월 16일의 부산상대생의 시위를 온전 하게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의 객관성을 담 보하기 위해 부산시경 분석자료 등 공적 기록에 근거하여, 역사적 사실 에 부합하는 증언과 구술을 활용하여 부산대학생의 내적인 사회비판의식 의 성장을 해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말하자면 운동권 중심설에 대치 되는 내재적 접근법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내재적 접근법에 따르면 부산 대의 10·16 민주운동에서 상대생 시위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50명의 상대생 시위가 상상을 초월하는 대규모 학생대중투쟁으로 전화했 던 것도 이런 내재적 요인들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이었다.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in-situ target strength (TS) of the moon jellyfish (Aurelia aurita) using a 200 kHz scientific echo sounder in a natural coastal environment. The acoustic survey was condu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Soho Port, Yeosu, Korea, from June 4 to 5, 2024. T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installing the transducer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orientations, and the T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measured TS values ranged from -89.8 to -64.8 d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rom -90.0 to -59.1 dB in the vertical direction,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tection orientations (p<0.05). Additionally, a bell diameter-wet weight relationship for Aurelia coerulea was derived based on the specimens collected at the survey site. The empirical TS model proposed by Mutlu (1996) was applied to estimate TS values using the measured morphological data, and the results exhibited a similar trend to the field-measured TS distribution. These finding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acoustic monitoring and stock assessment of jellyfish populations in natural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