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barley(Hordeum vulgare L.) cultivar 'Youjin' with hooded spike type having good silage quality was developed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6. ‘Youjin’ showed both high yielding and cold resistance through the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PYT, AYT) from 2012 to 2013. We conducted regional yield trials(RYT) of ‘Youjin’ in six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14 to 2016. It had erect plant type, growth habit of II, the green leaf and hooded awn type. In the paddy field its heading date was April 24 and the maturing date was May 25. Plant height was 99 cm and the number of spikes per m2 was 696. It has high rate of leaf blades, resistance to BaYMV(Barley Yellow Mosiac Virus) and good winter hardiness. The average dry matter of Youjin was about 17.2 MT ha-1 in the field. And feed quality of ‘Youjin’ was 10.6% of crude protein content, 24.8% of ADF(Acid Detergent Fiber), 43.5 % of NDF(Neutral Detergent Fiber), 69.1% of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And also ‘Youjin’ had grade I of silage quality.
        4,000원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한’은 추위 및 도복에 강한 다수성이면서 총체적성이 우수한 청보리 품종육성을 목표로 2001년 추위 및 도복에 강하며 초형이 양호한 ‘SB00T2064’를 모본으로, 양질다수성으로 총체적성이 우수한 ‘수원385호(IT215831)’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익산487호’로서 전국 6개소에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6년에 육성되었다. ‘미한’은 기존 육성된 ‘영양’의 거친 망의 단점을 개선하여, 까락의 거치가 적은 반매끈망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미한’은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IV정도로 영양보다는 추파성이 강하였다. 미한의 잎은 녹색이며, 엽폭은 중간정도이며, 엽이의 안토시아닌색은 없으며, 초장은 96㎝, ㎡당 경수는 665개로 표준품종인 ‘영양’ 보다 적었으나, 엽신 비율이 17.9%, 이삭비율은 52.2%로 높다. 답리작(전주 등 5개 지역 평균)에서 출수기는 4월 23일로 ‘영양’보다 3일 늦었으나, 황숙기는 5월 23일로 ‘영양’보다 1일 늦었다. ‘미한’은 내한성에 대해서는‘영양’보다 강하며, 흰가루병에는 약하며,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3.9톤/ha으로 ‘영양’과 보다 5% 감수하였지만, 답리작에서 10.9톤/ha으로 ‘영양’과 같았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이 10.3%로 ‘영양’에 비해 높았으며, ADF는 26.1%, NDF는 46.9%로 ‘영양’보다 높았으며 TDN이 68.2% ‘영양’보다 다소 낮았으나, 사일리지 품질등급은 I 등급으로 ‘영양’보다 우수하였다.
        4,000원
        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barley(Hordeum vulgare L.) cultivar ‘Dachung’ having high forage yielding and good silage quality was developed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5. This cultivar was derived from a cross of the ‘Sunwoo’ and ‘Keunalbori1ho’ in 2002. And it’s promising line showed both high yield and lodging resistance through the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PYT, AYT) at Iksan from 2010 to 2012. It was designated as the ‘Iksan479’. ‘Iksan479’ was conducted to regional yield trials(RYT) in six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13 to 2015. And it was released as the name of ‘Dachung’. It has erect plant type, growth habit of IV and green leaf. In the paddy field its heading date was April 24 and maturing date was May 26, same day with ‘Youngyang’. Plant height of ‘Dachung’ was 99cm. Dachung’s spikes per m2 was 625. It has high rate of leaf blades, resistance to BaYMV(Barley Yellow Mosiac Virus) and better winter hardiness than that of ‘Youngyang’. The average dry matter of ‘Dachung’ was about 11.9 ton ha-1 in paddy field. And average feed quality of ‘Dachung’ was 9.0% of crude protein content, 31.3% of ADF (Acid Detergent Fiber), 54.4%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64.0% of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Dachung’ had grade I of silage quality.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8℃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4,000원
        4.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x hulless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 including 3 normal, 2 waxy, and 1 colored-waxy, was used to substitute 20% of wheat flour for pan-bread making. Replacing 20% barley flour significantly increased β-glucan content, which ranged in 0.98-1.36% for normal, 1.65-1.67% for waxy, and 1.50% for colored-waxy barley, which are all higher than wheat flour (0.14%). Pasting viscosity of barley flour blends varied by barley type and cultivar, presenting that barley cv. Dapung (DP) had the highest peak viscosity of 170.1 RVU, whereas the lowest value was 80.2 RVU in “Jasujeongchal (JSJC)”. Substitution of barley flour decreased the Hm and H'm value during dough fermentation and estimated a reduction of bread qualities compared to wheat bread. Bread loaf volume varied by barley type and cultivar, showing a slight decrease in loaf volume, but increase in crumb firmness compared to wheat bread. Among barley cultivars, DP barley showed high bread loaf volume (691.7 cm 3 /g) with lower firmness (11.8 N). In contrast, bread made from JSJC barley flour had the lowest bread-making qualities probably due to bran layer inclusion. It appeared that barley type influenced more than barley cultivars although the mean values of all quality parameters slightly varied by barley cultivar.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clusion of barley flour for bread-making could provide an elevated intake of β-glucan, which had health benefits by increasing dietary fiber content.
        4,000원
        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보리 신품종 ‘유한’은 삼차망으로 가축 기호성이 좋고 보리호위축병에 강하면서 탈립이 적은 양질 다수성 품종이다. ‘유한’은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III이고. 엽색은 담녹색, 넓이는 중 정도이다. 초장은 107 cm로 장간이고, 경수는 m2당 641개로 다얼성이다. 출수기는 전작에서 5월 2일로 대비품종인 ‘유연’ 보다 1일 늦었으며, 답리작에서는 4월 28일로 2일 빨랐다. 황숙기는 전작에서 6월 4일, 답리작에서는 5월 31일로 ‘유연’과 같았다. 도복은 3 정도로 중강이고, 내한성은 ‘유연’ 보다 강하였으며, 보리호위축병은 익산(Ⅲ형), 나주(Ⅰ형), 진주(Ⅳ)에서 모두 저항성을 보였다. 건물수량은 전작 1개소 및 답리작 5개소 평균 12.6톤/ha으로 ‘유연’ 보다 6% 증수하였으며, 답리작에서는 12톤/ha로 5% 증수하였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 7.3%, ADF 26.8%, NDF 47.8%, TDN 67.7%로 ‘유연’과 비슷하였고, 사일리지 품질은 2등급으로 양호하였다. 적응지역은 1월 최저평균기온 -8℃ 이상으로 북부 산간내륙지방을 제외한 전국이다.
        4,000원
        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보리 신품종 '녹양'은 총체생산성이 높고 생육후기 녹체성이 우수하며, 도복에 강하고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인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1년 '낙영'을 모본, 육성계통인 'SB77368-B-145'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선발된 'SB01T2017-B-B-1-2' 계통을 2007년~2012년까지 관찰시험, 생산력검정시험과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2년에 육성되었다. '녹양'은 반포복 초형으로 파성이 III 정도이며, 잎은 담녹색이면서 넓고, 줄기 굵기는 중간 정도이며, 이삭은 길고 까락은 일반망이다. '녹양'은 잎과 줄기의 후기녹체성이 '영양'에 비해 오래 지속되었다. '녹양'의 초장은 104 cm로 대비품종인 '영양'에 비해 장간형이고, 평균 출수기와 성숙기는 각각 5월 6일과 6월 4일로 '영양'보다 늦었다. '녹양'은 '영양'보다 추위와 도복에 강하였고, 보리호위축병에 대하여 익산(III형), 나주(I형), 진주(IV) 등 모든 지역에서 저항성을 보였다. '녹양'의 평균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2.8톤/ha, 답리작에서 11.5톤/ha으로 영양'에 비하여 각각 7%, 2% 증수하였다. '녹양'과 '영양' 모두 황숙기에 곡실의 탈립 정도가 매우 낮았고,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 7.2%, ADF 25.9%, TDN 68.5%로 '영양'과 대등하였고, 젖산함량도 3.36%로 3.04%인 '영양'과 비슷하였으며, 사일리지 등급은 2등급으로 양호하였다.
        4,000원
        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보리 신품종 ‘녹양’은 총체생산성이 높고 생육후기 녹체성이 우수하며, 도복에 강하고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 인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1년 ‘낙영’을 모본, 육성계통인 ‘SB77368-B-145’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선발된 ‘SB01T2017- B-B-1-2’ 계통을 2007년~2012년까지 관찰시험, 생산력검정 시험과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2년에 육성되었다. ‘녹양’ 은 반포복 초형으로 파성이 Ⅲ 정도이며, 잎은 담녹색이면 서 넓고, 줄기 굵기는 중간 정도이며, 이삭은 길고 까락은 일반망이다. ‘녹양’은 잎과 줄기의 후기녹체성이 ‘영양’에 비해 오래 지속되었다. ‘녹양’의 초장은 104 cm로 대비품종 인 ‘영양’에 비해 장간형이고, 평균 출수기와 성숙기는 각 각 5월 6일과 6월 4일로 ‘영양’보다 늦었다. ‘녹양’은 ‘영 양’보다 추위와 도복에 강하였고, 보리호위축병에 대하여 익산(Ⅲ형), 나주(Ⅰ형), 진주(Ⅳ) 등 모든 지역에서 저항성 을 보였다. ‘녹양’의 평균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2.8톤/ha, 답리작에서 11.5톤/ha으로 영양’에 비하여 각각 7%, 2% 증수하였다. ‘녹양’과 ‘영양’ 모두 황숙기에 곡실의 탈립 정 도가 매우 낮았고,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 7.2%, ADF 25.9%, TDN 68.5%로 ‘영양’과 대등하였고, 젖산함량 도 3.36%로 3.04%인 ‘영양’과 비슷하였으며, 사일리지 등 급은 2등급으로 양호하였다.
        4,000원
        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 품종 선발을 하고자 호남지역 익산(호남농업연구소)에서 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50% 출수기는 품종간에 비슷하였으나 긴쌀보리만 5월 3일로 가장 늦었다. 건물률은 쌀보리와 겉보리가 각각 37.9%와 37.1%였다. 건물수량에 있어 쌀보리인 새쌀보리와 내한쌀보리에서 11,260와 11,160 kg/ha으로 많았고 긴쌀보리에서 7,530 kg/ha으로 적었다. 그리고 겉보리에서는
        4,000원
        10.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품종 선발을 위해 경기 수원(축산연)에서 1999 ∼ 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사료가치 및 TDN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총체보리의 유숙기 때의 ADF 함량은 27.3 ∼ 29.1% 이었고 황숙기의 경우 27.4 ∼ 30.4%이었다. 또한 유숙기와 황숙기 때의 NDF 함량은 50.6 ∼ 55.9% 그리고 53.1 ∼ 60.6. 유숙기와 황숙기의 TBN 함량은 65.4 ∼ 67.4% 그리고 64. 3 ∼ 6
        4,000원
        11.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품종 선발을 하고자 경기 수원(축산연), 전북익산(호시), 경남 밀양(영시)에서 1999∼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수원지역 보리의 출수기는 4월 30일에서 5월 4일까지고 익산지역은 4월 24일에서 5월 3일 그리고 밀양지역은 4월 17일에서 29일까지였다. 그리고 황숙기 수확시 생초수량은 수원, 익산 그리고 밀양에서 각각 24.07∼29.88, 23.18∼32.07 그
        4,000원
        1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imited use of barley for food is mostly due to undesirable color and unfamiliar flavor of barley based food products. So, preventing the browning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barley. ‘Yeongbaekchal’is a new naked waxy barley cultivar which is not get discolored. It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3.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Radiant’which is a proanthocyanidin free and ‘Saechalssal’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winter hardness, lodging tolerance, waxy endosperm and good cooking. The initial cross was done in 2006 and the selected line, ‘Iksan116’(HB16953-B-B-7), had no proanthocyanidin and showed good quality characteristics under yield trial test from 2012 to 2013. Heading and maturing date of ‘Yeongbaekchal’ were 3days late than those of ‘Saechalssal’. It had 90 cm of culm length and 5.0 cm of spike length. It showed 840 spikes per m2, 63 grains per spike, 25.1 g of 1,000-grain weight, and 831 g of test weight. ‘Yeongbaekchal' showed better resistance to BaYMV (Barley yellow mosaic virus) and similar water absorption rate and expansion rate with the check cultivar. Its average yield of the pearled grain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3.42 MT/ha in paddy field, which were 5% lower than that of the check cultivar. It showed a little discoloration during the storage after cooked.
        13.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development new variety ‘Miho’ (Hordeum vulgare L.) is a favorite with livestock feed and develop varieties resistant to disease and lodging. ‘Miho’ was carrying the growth habit of group Ⅲ, green and mid-wide leaf. Awn that are related to preference of livestock is a semi-smooth awn. This cultivar had 96cm of culm length, 650 of spikes per m2. Heading date of ‘Miho’ is April 27, and maturing dates on May 30, which were later than cultivar ‘Youngyang’. It also showed strong winter hardiness, and similar resistance to shattering and BaYMV compared with those of check one. The best thing among the traits of one is a new good quality with the plant green at the latter growing period. The average forage dry matter yiel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about 13.1, 12.1 MT per ha in upland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which were 9%, 2% higher than that of the check cultivar. It’s also showed 6.8% crude protein, 27.1%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67.5%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whose daily minimum temperature was above -8℃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14.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미’는 답리작 적응 내재해 다수성 청보리 품종육성을 목표로 1999년 내재해성으로 총체적성이 우수한 ‘수원337호’를 모본으로 하고, 도복에 강한 ‘수원355호’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 선발된 ‘익산438호’로 전국 7개소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0년에 육성되었다. ‘조미’는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Ⅰ정도이고, 잎은 녹색이며, 잎귀가 없는 무엽이 품종으로 가축기호성이 높다. 초장은 90㎝이고, m2당 경수는 846개로 표준품종인 ‘영양’보다 194개 많은 다얼성이며, 엽신 비율이 높다.답리작에서 출수기는 4월 23일로 ‘영양’보다 3일 빠르고, 황숙기는 5월 25일로 1일 빠른 조숙종이다. 내한성은 ‘영양’보다 다소 강하였으며, 흰가루병에는 감수성을 보였지만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5.7톤/ha ‘영양’과 같았으나 답리작에서 10.3톤/ha으로 ‘영양보다 5% 적었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이 8.3%로 ‘영양’에 비해 높았으며, ADF는 26.2%, NDF는 48.3%로 ‘영양’보다 낮았으나 TDN이 68.2%로 ‘영양’보다 다소 높고, 사일리지 등급은 II 등급으로 양호하였다.
        15.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품종 ‘보석찰’쌀보리는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자색 찰성 쌀보리 신품종으로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도복과 내한성이 강하고 찰성으로 립백도와 정맥율이 높으며 취반특성이 우수한 특성을 지닌 ‘찰쌀보리’와 ‘함안군북찰쌀보리’를 인공교배한 후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하였다. 전작 및 답리작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답리작 적응성이 높으며, 도복 등 내재해성에 강한 특성과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자색영을 가진 계통임이 입증되었다. 출수기는 전작에서 새찰쌀보리보다 1일 빨랐으며, 답리작은 새찰쌀보리와 같았고, 성숙기는 전작과 답리작에서 새찰쌀보리와 같았다. 간장은 87 cm, 수장 5.0 cm, m2당 수수는 601개로 새찰쌀보리보다 많았고, 천립중은 29.0 g으로 소립종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표준품종인 새찰쌀보리와 비슷하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180.1 ㎍/g이었으며, β-glucan과 아밀로스는 새찰쌀보리와 비슷하였으며, 흡수율과 퍼짐성은 다소 높았다. 수량성은 전작에서 3.44 MT/ha, 답리작에서 3.56 MT/ha이었다.
        16.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안찰’은 답리작 적응성이 높은 조숙 내한 내도복 유색 찰성 겉보리로 육성된 품종으로 파성은 Ⅲ이며, 이삭의 밀도는 밀수형으로 까락 긴 장망형이다. 출수기와 성숙기는 각각 2일 빠른 조숙종이다. 흰가루병과 보리호위축병은 서둔찰보리와 비슷하였다. 내한성과 내도복성은 서둔찰보리보다 다소 강하였다. 간장(79 cm)은 작고, 수장은 서둔찰보리보다 약간 작다. m2당 수수는 854개로 서둔찰보리보다 많고, 1수립수는 43개로 적다. 천립중은 서둔찰보리보다 작은 중소립종이며, 1ℓ중은 다소 가벼웠다. 단백질 함량, β-glucan 함량과 정맥률은 비슷하였고, 입백도는 낮았다. 취반특성 중 흡수율과 퍼짐성은 비슷하였고, 안토시아닌 함량은 181.1 ㎍/g으로 높았다. 수량은 전작에서 2.96 MT/ha, 답리작에서 3.91 MT/ha 있었다.
        1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rent consumers have interest in nutrition and health. So, the interest in barley for other food and industrial applications is increasing. Noodles, which have been consumed largely in korea, are usually made from wheat flour, salt and appropriate amount of water. A New Six-rowed Naked Barley Cultivar “Dahan” was developed in 2012, have high winter hardness, lodging tolerance and good noodle property. It was crossed in 2001, and an elit line was selected in 2010 and designated as ‘Iksan 106’. It showed good agronomic performanc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from 2010 to 2012. The average heading and maturing dates of “Dahan” were April 29 and June 3 in paddy field, which were two day earlier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Saessalbori’ respectively. The new cultivar, “Dahan”, had 92cm of culm length and 3.9cm of spike length. It showed 625 spikes per m2, 54 grains per spike, 31.3 g of 1,000-grain weight, and 815 g of test weight. “Dahan” showed better resistance to BaYMV (Barley yellow mosaic virus)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Its average yield of the pearled grain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4.32 MT/ha in paddy field, which were 16% higher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It showed higher breakdown and setback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Texture properties of noodle was better in hardness, adhesiveness, chewiness.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industrial application as noodle and bread.
        18.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혜’는 답리작 적응 조숙 내재해 다수성 등을 목표로 조 숙 대립 특성을 지닌 ‘수원318호’를 모본으로, 보리호위축병 에 강한 ‘수원311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 육성 선발된 ‘익산 409호이다. 파성은 Ⅲ형이며, 이삭의 밀도가 조밀한 편이며 까락이 길지만 탈망성이 좋다. 출수기와 성숙기는 각각 4일 빠른 조숙종이다. 흰가루병은 ‘올보리’와 비슷하며, 보리호위 축병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냈다. 내한성과 내도복성은 ‘올보 리’보다 다소 강하였다. 간장(88 cm)과 수장은 ‘올보리’와 비 슷하였으며, m 2당 수수는 666개로 ‘올보리’보다 7개 적고, 1 수립수는 52개로 2개 많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천립 중은 ‘올보리’와 비슷한 대립종이며, 1 L중은 다소 가벼웠다. 단백질 함량, β-glucan 함량과 정맥률은 비슷하였고, 입백도 는 약간 높았다. 엿기름의 효소력가는 ‘올보리’보다 25 DP 높았다. 수량은 전작에서 4.00 MT/ha, 답리작에서 4.11 MT/ha 이었다.
        19.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Youhan’ (Hordeum vulgare L.), a new whole crop barley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breeding team at the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2. ‘Youhan’ has the growth habit of III, light green and middle size leaf, hooded and lax-type spikes. The cultivar showed 107 cm of culm length, 641 spikes per m2. Heading date of ‘Youhan’ was May 1, one day later than that of check cultivar ‘Yuyeon’ in upland, and 2 days earlier than that of check in paddy field. Maturing time was similar to check cultivar ‘Yuyeon’ as June 4 in upland and May 31 in paddy field. ‘Youhan’ also showed better winter hardiness, the resistance to lodging and disease than those of check cultivar. The average forage dry matter yiel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about 12.6 and 12.0 ton ha-1 in upland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which were 6%, 5% higher than that of the check. It also showed 7.3% of crude protein, 26.8% of ADF(Acid Detergent Fiber), 47.8% of NDF(Neutral Detergent Fiber), and 67.7% of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grade of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Fall sowing cropping of ‘Youhan’ is recommended only in areas where average daily minimum mean temperatures in January are higher than -8°C, and it should not be cultivated in mountain areas of Korea.
        20.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ungmo2503’ (Hordeum vulgare L.), a new ruminant-palatability forage barley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breeding team at the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1.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Dongsanpi81’ and ‘Kangbori’. Among the cross made in 1999, a promising line, SB992028-B-B-B-B-B-2, showed good characteristics in potential forage yield in the yield Trial tested at Iksan in 2007 to 2008 designated as Iksan 449. The lin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tested in eight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09 to 2011, and was released as the name of ‘Jungmo2503’. It has the growth habit of group Ⅰ, erect plant type, green leaf and hood spike. Its average heading and maturing dates were on May 2, and May 29, respectively, with are similar to check cultivar ‘Yuyeon’. The cultivar had 102cm of culm length, 691 spikes per m2 and it showed better rate of leaf, winter hardiness, and resistance to BaYMV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The average forage yield of ‘Jungmo2503’ was about 10.9 ton ha-1 in dry matter in paddy field. ‘Jungmo2503’ also showed 9.4% of crude protein content, 27.3% of ADF (Acid Detergent Fiber), 49.0%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67.3% of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grade of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