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췌장염은 췌장 외분비 기능부전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지용성 비타민 흡수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영양 결핍이 흔하게 발생한다. 특히 비타민 D 결핍은 칼슘 항상성과 골대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골밀도 감소와 함께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위험을 높인다. 실제로 만성췌장염 환자의 다수 에서 비타민 D 결핍, 그리고 골밀도 감소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삶의 질 저하 및 골절 위험 증가와 직결된다. 따라서 본 종설에서는 만성췌장염 환자에서 지용성 비타민, 특히 비타민 D의 결핍이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병태생리, 진단적 접근, 치료 및 모니터링 전략을 고찰하였으며, ESPEN, AGA, JSGE 등 최신 국제 가이드라인의 권고사항을 비교함 으로써 임상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통합적 관리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강화학습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최적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으로 시간 및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시스템의 최적화에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 운영 조건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하수도 시설 및 취수원 등 현장 물환경 관리 최적화에 강화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학습이 상하수도 시설 및 물환경 관리에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상하수도 시설의 운영시 시설 운영의 목적에 맞는 처리수 수질을 유지하면서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 및 비용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강화학습은 데이터에 기반한 반복적인 분석을 통해 시스템 운영의 최적 조건을 학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연구 사례에서 강화학습의 적용을 통해 상하수도 시설 등의 운영 효율 개선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하수처리 시설의 경우 강화학습을 활용하여 운영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폭기조 산소 공급과 내부 반송 펌프 운전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정수장의 경우 약품 투입량 절감 등을 통해 운영비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용수 공급망과 저류조 운영의 최적화를 통해 상수도 및 하천 현장의 오염 발생을 저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강화학습을 활용하여 기존의 경험에 기반한 시설 운영 방식의 한계를 개선하고 상하수도 시설 운영 및 물환경 관리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projected the future toll revenue of privatized expressways in Korea as their concession periods expire to propose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effective public reinvestment. We focused on 17 expressways that are privately operated and currently in service as of late 2023. We constructed multiple scenarios extending from 2031 to 2050 to anticipate how toll revenues might evolve over time. Although these projections could prove inaccurate or anachronistic, we considered a range of outcomes. Legal frameworks such as the Toll Road Act and the Private Investment Act were also examined to explore whether reinvestment of toll income would be legally viable after the end of the concession agreements. We considered a scenario in which toll rates remained unchanged after the concession expired. In such a case, projected net revenues might reach roughly KRW 1.319 trillion by 2031 and increase to about KRW 10.146 trillion by 2050. That value is roughly KRW 11.8 trillion over two decades—a considerable sum. To put this in context, as of the end of 2023, this figure would represent a substantial slice of the total market capitalization of private expressways. On the other hand, lowering the tolls to match those of public roads would cut the revenue nearly in half. Of note, current laws mostly restrict toll income to basic maintenance; any broader use would require legislative reform. Legal revisions are needed to allow the reinvestment of surplus toll revenue from expired concessions into new SOC projects. Additionally, measures such as toll adjustment and integrated toll system management are recommended to enhance public benefit and investment sustainability.
In today’s project environment, significant changes are taking place, prompting a shift in project management knowledge from a traditional process oriented approach to one that is principle and performance based, allowing for more flexible application across diverse industry context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four key knowledge areas from the PMBOK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stakeholder management, planning management, project work management, and delivery management on both project perform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 research focuses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the target sector and additionally analyzes whether project size and company size function as moderating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 that a higher level of maturity in the key knowledge areas leads to improved project and corporate performance, with such positive effects being particularly pronounced in large scale projects and large enterpris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particular, the four knowledge areas were found to be closely associated not only with project performance but also with non-financial corporate performance indicators such as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loyalty, and corporate image.
현대 청소년은 경제적 어려움, 가정해체, 정신건강 악화, 학업 스트레스 등 복합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드림스타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청소년동반자사업 등은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부처 간 칸막이와 서비스 단절 등 일련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2025년 1월 <학생맞춤통합지원법>이 제정되었고, 이 법에 근거해 2026년 1월부터 ‘통합교육맞춤지원사업’이 시행될 예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국의 청소년복지정책의 변화를 분석한다. 통합교육맞춤지원사업 은 교육·복지·보건을 아우르는 생애주기별 통합 지원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며, 예방 중심, 통합 중심, 개인 중심의 사례관리 원칙을 강조한다. 본 논문은 통합교육맞춤지원사업의 법적 기반, 전달체계, 정보 시스템, 인력 등을 검토하고, 나아가 이 사업의 정책적·실천적 의의를 분석한다. 통합교육맞춤지원사업 이 청소년복지 전달체계의 현대화와 국가 책임성 강화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우리 사회가 노력할 필요 가 있다고 본 논문은 제언한다.
본 연구는 보건관리자의 협력업체 보건관리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는 2023년 8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협력업체 보건관 리 경험이 있는 보건관리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차마즈 (Chamaz 2006)의 구성주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론적 표집방법을 통하여 최종 7개의 이론적 범주를 추출하였다. 보건관리자가 협력업체 보건관리를 하며 경험한 이론적 범주는 ‘강화된 제도속의 관리 불확실성’, ‘협력업체 자율관리 부재 및 관리의 역설’, ‘법적 책임과 권한 불균형’, ‘협력업체 보건관리의 난제들’, ‘업무과중과 잠재적 역할 제약’, ‘현장 기반 실천전략의 활용’, ‘효율 극대화를 위한 기술·정서 통합전략’ 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협력업체 보건관리를 위한 매뉴얼 의 확대보급 및 협력업체 규모와 특성을 고려한 보건관리자 배치 기준의 재검토, 협력업체 자율 안전보건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정부의 재정적, 관리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대기업 보건관리와 다른 소규모 협 력업체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보건관리자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비교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중‧한 양국의 음악 저작권 집중 관리 시스템의 핵심 특성, 상이점, 그리고 공동으 로 당면한 문제점들을 심층적으로 고찰한다. 분석 결과, 중국은 「저작권법」을 근간으로 '법정 강제와 행정 주도'의 모형을 구축하고, 중국음악저작권협회(MCSC)를 통해 법정 이용 허락 과 집중 이용 허락 기제를 통합 운용한다. 한편, 한국은「저작 권법」및「저작권 집중 관리법」에 기반하여 이중 구조의 시스 템을 세우고, 한국저작권위원회(KOMCA)의 감독 권한과 한국 음악저작권협회(KOMCA)의 시장 중심적 운영을 결합하여 강 제 시행과 다원적 경쟁이 함께 이루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양 국 시스템 간의 주요 차이는 권리 관리의 근본적인 논리에서 기인한다. 중국은 행정 주도를 통한 통일성 확보에 방점을 두 는 반면, 한국은 권리 분류에 기반한 창작자의 자율적 선택 특 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양국이 공통적으로 마주하는 세 가지 주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첫째, 회원 가입 문턱이 높게 설정되어 비회원 저작물 관리의 난항을 겪는 점이다. 둘째, 디지털 기술 발전 환경에서 저작권 권리 규제 및 감독이 복잡성을 띤다는 점이다. 셋째, 관리 수수료 분배 과정 의 투명성 부족 문제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양국이 디지 털 시대에 부합하는 저작권 보호 시스템을 구축하고 산업 발전 과 창작자 권익 간의 조화를 이루는 데 학술적인 참고을 제공 한다.
This study utilized real-time particulate matter (PM10) monitoring equipment mounted on vehicles and drones to measure PM10 concentrations in industrial complexes and track potential emission sourc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four industrial complex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Hwaseong Songsan Technopark, Incheon Geomdan, Incheon Namdong, and Hwaseong Mado) from August to October 2022, with a total of five measurement sessions. A vehicle-mounted light-scattering PM-monitoring device, Sniffer4D, was used to measure PM10 concentrations across the industrial complexes, followed by additional drone-based measurements in high-concentration area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variations in PM10 concentrations across different industrial complexes, ranging from an average of 10.3 mg/m3 to 51.6 mg/m3. In certain areas, PM10 levels exceeded the air quality threshold for poor conditions (80 mg/m3). Notably, in the high-concentration areas of Namdong and Mado Industrial Complexes, where PM10 exceeded the threshold, elevated measurements were observed at altitudes of 25~40 m, with concentrations reaching 164.4 mg/m3 and 189.0 mg/m3,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M10 emissions from industrial facilities may be more concentrated at specific altitudes rather than at ground level.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onventional ground-based monitoring alone has limitations in accurately identifying emission sources and that three-dimensional drone-based measurements provide a more effective approach for emission source tracking.
최근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면서, 소비자들은 단순한 가격과 품질 기준을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 한, 국내에서는 소비자중심경영(CCM: Consumer-Centered Management) 인증이 소비자 신뢰를 상징하 는 중요한 지표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ESG 경영을 실천하거나 CCM 인증을 보유하더라도, 소 비자의 신뢰와 행동 의도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진정성 있는 실천과 일관된 노력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CCM 인증 인식이 기업에 대한 태도 및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ESG 경영 기대와 기업 태도의 매개효과를 함께 검토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활용한 분석 결과, 소비 자의 CCM 인증 인식은 ESG 경영 기대, 기업 태도, 이용 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ESG 경영 기대와 기업 태도 역시 이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 태도가 소비자의 이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이는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의 관점에서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가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는 핵심 요인임을 실 증적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는 CCM 인증이 소비자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 로써, 소비자 인식과 행동 간의 인지-정서-행동 경로를 명확히 제시하였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CCM 인 증과 ESG 경영을 연계한 전략적 마케팅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 신뢰와 장기적 이용 의도 증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종단적 연구 설계와 다양한 소비자 특성을 고려한 확장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외 사교육 공급시장 및 공급관리 정책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사교육 현상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제공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사교육 문제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공급시장의 건실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보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외 사교육 공급시장(국가별 시장규모 및 성장률, 유형 및 유형별 특징) 및 사교육 공급시장 관리 방안과 정책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시장 규모 및 성장률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이고,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하여 더욱 커졌으며, 소득 및 외부환경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비탄력적인 양상을 보인다. 둘째, 사교육 공급시장의 유형은 개인과외, 사교육센터 (학원), 온라인 사교육, 학습지 사교육, 학교교사 사교육, 진로·진학·학습컨설팅 사교육 등이 대표적이고, 공급자 간 경쟁 과 사회변화에 부응하면서 세분화되었다. 사교육 유형별 특징은 운영과 교육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차이가 있지만, 모두 공통적으로 개인 맞춤형 교육을 지향한다. 셋째, 사교육 공급시장 관리 정책은 사교육에 대한 인식과 공급자에 대한 규 제 정도에 따라 촉진적 접근, 자유방임적 접근, 제도적 접근, 통제적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교육에 대한 논란은 증 가 추세이지만, 정책으로 사교육시장 규모나 사교육 문제를 경감한 나라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사교육 공급시장 관리 정 책은 단순한 규제나 문제 완화 중심에서 벗어나, 사교육 문제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공급자의 건실한 경영을 유도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ap between statutory calculation standards and actual field conditions in estimat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OSHME) for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The current fixed-rate method, based on construction type and cost, fails to account for on-site factors such as project complexity, duration, and workforce structure, often leading to discrepancies between estimated and actual costs. To address this, data from 21 completed projects over KRW 5 billion were analy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variables including material and labor costs, project duration, floor area, number of floors, and the number of safety personnel.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alculated and actual OSHME, and the proposed model explained 95.3% of the variance (R2 = 0.953). Variable selec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improve prediction accuracy by addressing multicollinearity. The model offers practical value for early budgeting and supports policy improvements that align safety expenses with real on-site need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small service enterprises,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ESG) is perceived as an abstract and broad in perspective of management, and there is lack of specific methodologies to implement ESG management philosophy. Especially in safety-prioritized industries such as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electricity where the Severe Disaster Punishment Act directly applied, many companies are studying which aspect should be emphasized to establish practical safety culture and system in the organiza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evaluation item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o settle the industrial safety and the safety culture that a small size enterprise executes ESG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