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1.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fisheries, the importance of designing efficient fish cages is being emphasized as aquaculture has become more production than capture fishing. Particularly, the gravity cage system is one of the popular fish cage system in Korea. Currently, gravity cage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are being widely designed and installed in offshore and inland seas. The cage is subject to external forces, such as currents and waves, and the shape of the structure and tension on the ropes changes according to these external forces. Thus,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calculate these dynamic behavior, including the external forces and tension on the structure during the design stage.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cage systems with an equal internal volume of 8000 m3 were analyzed using mass-spring models and their behavior was interpreted through simulations. These simulat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behavior and tension of the ropes in response to currents and waves to aid in the selection of individual cage sizes for a given total volume. The numerical calc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depending on the flow rate, the most resistant system is System 1, which has eight strays, and System 2 and System 3 have 69.4% and 54.8% of the resistance of System 1. Further, total resistance increased as the number of cages increased for all flow rates.
        4,200원
        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otective immunity of a combination of seven Brucella abortus recombinant proteins; superoxide dismutase (rSodC), riboflavin synthase subunit beta (rRibH), 50S ribosomal protein (50s rL7/L12),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rNdk), malate dehydrogenase (rMDH), arginase (rRocF), and elongation factor (rTsf) cloned in a pMal vector system and expressed in DH5α. Mice groups were immunized thrice with a combined subunit vaccine (CSV-7) at 0, 2, and 5 weeks and subsequently challenged with B. abortus at 5 × 104 CFU at 6 weeks. At four weeks post-infection, the mice were sacrificed and the bacterial burden in their spleens was quantified. Results revealed bacterial log reductions of 0.63 and 0.34 in comparison to PBS and maltose-binding protein (MBP), respectively. Cytokine profiling revealed a marked increase in IFN-γ (interferon-gamma), MCP-1 (macrophage chemoattractant protein-1) and IL-6 (interleukin 6) cytokines at 5-weeks post-immunization. On the other hand, only TNF was heightened at 7-weeks post-immunization. In general, this cytokine profile is consistently reflective of a Th1 immune response, which is beneficial for host immunoresistance.
        4,000원
        4.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진청에서 수행하고 있는 아프리카 국제협력프로그램인KAFACI 사업의 일환으로 우간다 등 8개국에 ‘통일형 다수성벼 품종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아프리카에서정상적인 생육과 수량을 나타내는 다수성 통일형 품종인 밀양23호와 아프리카의 재래종인 O. glaberrima를 이용하여 밀양23호의 유전적배경을 보유한 근동질 계통인 BC4F1을 육성하고, 약배양을 통해 유전적 고정계통을 육성하였다. 이 중 50개계통을 우간다에서 생물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프리카에서 문제시되는 Yellow Mottle Virus (RYMV), Bacterial LeafStreak(BLS), 흰잎마름병 및 도열병에 복합저항성인 계통으로판명되었다. 특히 RYMV에 대한 저항성은 저항성원이 결여되어 있는 병으로 본 연구를 통해 육성한 계통들은 향후 아프리카에 적응하는 내병성 다수성 품종개발에 유용한 재료를 활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liva from the oral cavity was collected from 129 patients with periodontitis and 54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were isolated from these samples. The S. aureus isolates were tested for their resistance patterns against 15 antibiotics using the disc diffusion method. The percentage of S. aureus isolates resistant to ampicillin was the highest (92.6%).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S. aureus isolates resistant to penicillin, oxacillin, cefotetan, cefepime and erythromycin was 90.7%, 11.1%, 11.1%, 9.3% and 5.6%, respectively. However, S. aureus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gentamycin, clindamy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nd vancomycin. 96.3% of S. aureus isolates were resistant to antibiotics. Among them, the percentage of two antibiotic-resistant S. aureus isolates was 74.1%, the percentage of one antibiotic-resistant S. aureus isolates was 5.6%, the percentage of three antibiotic-resistant S. aureus isolates was 3.7% and the percentage of S. aureus isolates resistant to more than 4 antibiotics was 13%. The most common multiple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was AM-P. Furthermore, the percentage of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isolates was 11.1% and they were resistant to more than 3 antibiotics.
        4,000원
        6.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SSM i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pests on various orchard trees and garden plants. Abamectin resistance mechanisms in two resistant TSSM strains (PTF, ca. 155-fold; AbaR, ca. 3700-fold) were investigated with an emphasis on target site insensitivity mechanism. Detoxification enzyme assays revealed that metabolic factors contributed by EST and/or P450are involved in abamectin resistance. Synergistic assays showed that enhanced detoxification enzyme activity is not enough to account for the high level of abamectin resistance, further suggestive of the involvement of additional resistance mechanism, most likely target site insensitivity. As a putative target site for abamectin, we cloned the cDNA fragments of glutamate-gated chloride channel (Tuglucl) and determined its full length nucleotide sequences. Amino acid sequence comparison among the four strains showed that the Gly323Asp mutation located in the third transmembrane domainis only found in the AbaR strain, suggesting it is likely associated with the target site insensitivity conferring a high level of abamectin resistance.
        8.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9년도에는 KC47KCB14, KC220KC268 조합의 및 여교배 집단과 KC47-1KC263(AC2258), KC47-1KCB13-2-1, KC47-1KCB13-4-2 조합의 집단에 대하여 잎점무늬병과 역병을 차례로 접종, 복합저항성 개체를 선발하여 차세대를 육성하였다. 2000년도에는 같은 조합의 및 세대에 대하여 잎점무늬병과 역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여 복합 저항성인 개체로부터 차세대 종자를 확보하였다. 선발세대의 경과에 따라 두 가지 병에 대한 저항성에서 현저한 진전이 관찰되었다.
        4,000원
        9.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풋마름병과 역병에 복합저항성인 계통을 육성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앞서 역병 저항성으로 육성한 계통(16-2-3-2 = 역병 저항성 '칼미초', 19-1-3-7-1-1, 19-2-4-5-3-2 = 역병 저항성 '수비초', 김 등, 1996)과 풋마름병 저항성 계통(KC350 = MC 4, KC353 = PBC631)을 교배하여 육성한 와 , 와 세대에 대해 1999년과 2000년에 각각 풋마름병과 역병에 대한 복합저항성을 검정하였다. 풋마름병과 역병에 복합 저항성을 보인 개체를 선발하여 다음 세대의 종자를 채종하였다.
        4,000원
        10.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31개 땅콩품종을 공시하여 녹병, 검은무늬병, Phaeoisariopsis 점무늬병에 대한 복합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7개품종이 저항성이었고 11개품종은 중도저항성이었다. 각 품종들의 발병 정도와 수량에 대한 효과가 논의되었다.
        3,000원
        11.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isomi' is a rice variety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obi’ which has adaptability of low fertilizer cultivation and SR21110 (Ilpum/Jinbu19) by the rice breeding team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3. The heading date of ‘Misomi’ is August 14 and six days later than check variety, ‘Hwaseong’. It has 83 cm of culm length and 121 spikelets per panicle. It showed weaker cold tolerance than that of ‘Hwaseong’ during exposed to cold stress. ‘Misomi’ showed resistance to blast disease, K1, K2 and K3 race of bacterial blight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ility to K3a race, other viruses and planthoppers. The milled rice of this variety exhibits translucent,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and short grain shape. It has low protein content (6.2%) and similar amylose content (19.4%) to that of ‘Hwaseong’. ‘Misomi’ showed better palatability index of cooked rice than that of ‘Hwaseong’. Particulary, ‘Misomi’ showed excellent processing adaptability than ‘Chucheong’ and ‘Hwaseong’ on palatability index of cold and aseptic cooked rice. Its milled rice recovery rate is similar to those of ‘Hwaseong’. However, whole grain rate of milled rice is higher than that of ‘Hwaseong’. 'Misomi' has 5.68 MT/ha of milled rice productivity in ordinary cultivation, which was 12% higher than that of ‘Hwaseong’. 'Misomi' could be adaptable to the middle plain area and Midwest coast area in Korea (Grant No. 5635).
        1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nhost resistance is a plant immune response to resist most pathogens. The molecular basis of nonhost resistance remains poorly understood but recognition of pathogen effectors by immune receptors, a response known as effector-triggered immunity, has been proposed as a component of nonhost resistance. We performed transient expression of 54 P. infestans RXLR effectors in pepper accessions using optimized heterologous expression methods and analyzed the inheritance of effector-induced cell death in an F2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two pepper accessions. Pepper showed a localized cell death response upon inoculation with P. infestans, suggesting that recognition of effectors may contribute to nonhost resistance in this system. Nonhost pepper accessions recognized from 2 to 36 effectors. Among the effectors, PexRD8 and Avrblb2 induced cell death on a broad range of pepper accessions. Segregation of effector-induced cell death in an F2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two pepper accessions fit a 15:1, 9:7 and 3:1 depending on the effector. Our genetic data suggests that single or two independent/complementary dominant genes are involved in the recognitions RXLR effectors. Our findings indicate that multiple loci recognizing a series of effectors underpin nonhost resistance of pepper to P. infestans and may confer resistance durability.
        13.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terial spot of tomato is a disease complex caused by at least four species of Xanthomonas and leads to severe yield and quality losses in humid growing conditions in the world. Five physiological species (T1-T5) have been defined by their virulence on tomato varieties. These races are associated with three species: X. euvesicatoria (T1), X. vesicatoria (T2), and X. perforans (T3-T5). Recent epidemics of X. gardneri has occurred in the Midwest United Stat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germplasm with resistance to multiple species of bacterial spot. Six advanced breeding lines with at least three different source of resistance were crossed and their F1 hybrids were inter-mated to produce a complex breeding population consisting over 1,100 progeny. Three lines (OH7663, OH7667 and 2k7-6117-S2) were selected by field evaluations of the population against T1, T2, T3, and X. gardneri. Graphical genotypes demonstrated that these breeding lines contain a QTL and Rx-4/Xv3 in coupling phase on chromosome 11 as well as Rx-3 on chromosome 5. In order to test the combining ability of the lines, we developed hybrids from multiple crosses and conducted replicated field trials to evaluate bacterial spot resistance and yield. As a male parent, OH7663 showed acceptable combining ability for yield and for resistance against multiple species of Xanthomonas. Several hybrids produced yields tha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yields of commercial varieties.
        14.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옥찰’은 내도복성이며 복합내병충성을 갖춘 중만생종 찰벼 품종을 육성하고자 국립식량원 기능성작물부에서 육성된 새로운 찰벼품종이다. ‘백옥찰’의 출수기는 중부평야지 및영․호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20일로 ‘신선찰벼보다 9일 늦은 중만생종이며, 이모작에서는 ‘남평벼’ 보다 1일 늦고, 만식에서는 ‘남평벼’ 보다 3일 늦은 중만생종이다‘백옥찰’의 줄기 두께는 ‘신선찰벼’와 같이 중간 정도이나 강도는 ‘신선찰벼’보다 강한 편이고 분얼개도는 보통이며, 탈립은 ‘신선찰벼’에 비해 잘 되는 편이다. 주당수수는 ‘신선찰벼보다 3개가 적으나 수당립수는 20여개가 많고 등숙비율은 ‘신선찰벼’에 비해 9% 높으며 현미 천립중 또한 ‘신선찰벼에 비해 무거운 편이다. 도정특성은 ‘신선찰벼’보다 다소 높으며, 특히 백미 완전립율이 ‘신선찰벼’에 비해 월등히 높은 편이다. 현미 장폭비는 1.71로 ‘신선찰벼’에 비해 쌀알이 약간 작은 편이며 단백질 함량 및 알카리 붕괴도 등 이화학적 특성은 ‘신선찰벼’와 같은 편이다. 불시출수가 없었으며, 성숙기의 엽노화가 중간 정도를 보였다. 내냉성 검정 결과 ‘신선찰벼’보다 출수지연은 적었고 및 냉수구 임실율은 약간 높았으며 수발아는 잘 안되는 편이었다. 도복관련형질에 있어서 벼키는 ‘신선찰벼’와 같으나 중심고, 좌절중, 모멘트 및 도복지수 등 도복관련 형질에서는 전반적으로 ‘신선찰벼’보다 큰 편이었고 포장 도복은 없었다. 잎도열병 밭못자리 검정결과 ‘백옥찰’은 전국 평균 도열병 저항성 정도가 ‘신선찰벼’와 비슷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목도열병의 경우 현지 포장검정에서는 발병되지 않았고 내구저항성은 강하였다. 흰잎마름병(K1-3),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이고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에는 감수성이었다. ‘백옥찰’의 수량성은 중부평야, 호남․ 충남평야 및 영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 6개소에서 쌀 수량은 526 kg/10a으로 대조품종보다 9% 증수된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백옥찰’은 중부 및 영호남내륙평야 1모작지대에 적응성이 높은 중만생종이다.
        15.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다수성이며 복합내병성인 고품질 통일형 벼를 육성하고자 복합내병성이며 수량성이 높은 ‘밀양160호’(‘아름벼’)와 준조생이며 내만식성이 높고 복합내병성 다수성 품종인 ‘용주벼’(‘수원333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하여 ‘세계진미’를 육성하였다. ‘세계진미’의 출수기는 평야지 보통기 다비재배에서 8월 17일로 중만생종이며, 간장은 82 cm로 ‘다산벼’보다 약간 크고 수당립수는 ‘다산벼’보다 적은 편이며 현미 천립중은 22.2 g으로 ‘다산벼’와 비슷하였다. ‘세계진미’는 불시출수, 수발아 및 포장도복은 없었으며, ‘다산벼’에 비해 내냉성은 약한 편이다. ‘세계진미’는 잎도열병, 목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오갈병 및 흰잎마름병(K1, K2, K3, K3a)에 강하고, 검은줄오갈병에는 중정도의 저항성을 보였으나 벼멸구에는 감수성이다. ‘세계진미’의 단백질함량은 7.9%로 ‘다산벼’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나, 아밀로스함량은 17.2%로 ‘다산벼’와 비슷하였다. 특히 ‘세계진미’의 물리성과 밥맛 관능검정결과 일반벼인 ‘추청벼’ 수준 이상의 양호한 취반특성을 보였다. ‘세계진미’의 쌀수량성은 2006부터 2008년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다비재배(6개소)에서 7.01 MT/ha로 ‘다산벼’ 대비 8% 증수 되었다. ‘세계진미’의 적응지역은 중부 및 영호남 평야지이다.
        16.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0년대 후반 국내 쌀 소비량의 지속적인 감소와 MMA물량으로 인한 국내 양곡 재고부담이 가중되면서 쌀가공품에대한 관심과 함께 원료곡의 원가절감 대안으로 초다수성 품종이 재조명을 받게 되었다. 따라서 가공용으로 사용되는 원료곡의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복합내병성이며 수량성이 높은 ‘한아름2’를 육성 하였다. ‘한아름2’의 출수기는 평야지 보통기 다비재배에서 8월 14일로 중생종이며, 간장은 76㎝로 ‘다산벼’보다 약간 크고 수당립수는 ‘다산벼’보다 약간적은 편이나 등숙률이 85.7%로 높고 현미천립중은 23.0g으로 비슷하다. ‘한아름2’의 불시출수와 수발아 및 포장도복은없었으며, 내냉성은 약한 편이다. 잎도열병, 목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오갈병 및 흰잎마름병(K1, K2, K3, K3a)에 강하고,검은줄오갈병에는 중정도의 저항성을 보였고 벼멸구에는 감수성이다. 쌀알은 맑고 심백이 약간 있으며 단백질함량은 8.2%로 ‘다산벼’보다 높았으나 아밀로스함량은 17.5%로 ‘다산벼’보다 낮았다. ‘한아름2’의 쌀수량성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보통기 다비재배(6개소)에서 7.58MT/ha로 ‘다산벼’대비 13% 증수되었다. ‘한아름2’는 중부 및 영호남 평야지가 적응지역이다.
        1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호진미’는 쌀의 외관과 밥맛이 양호한 고품질 벼를 육성하고자 ‘03/'04 동계에 밥맛이 우수한 양질미 히또메보레와단간이면서 내병성이 양호한 주남벼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육성하였다. 그후에는 조기에 고정된 계통을 얻고자 약배양을 실시하였으며, YR24733Acp10 계통을 선발하여 밀양228호의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07~’09년 3개년간 지역적응시험결과 우수성이 인정되어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 등재 품종으로 선정되었다. ‘영호진미’는 영남평야 1모작지에 적응성이 높은 중만생 고품질 벼 품종이다.‘영호진미’의 출수기는 남부평야지와 남부 및 서남부해안지보통기재배에서 8월 21일로 ‘남평벼’보다 5일 늦은 중만생종품종이다. 간장과 수당립수는 ‘남평벼’보다 적은 편이고 현미천립중은 ‘남평벼’보다 약간 무거운 편이다. 도정특성은 ‘남평벼’와 비슷한 편이고 단백질함량은 ‘남평벼’보다 낮고 밥맛은 양호한 편이다. 불시출수는 없으며, 수발아는 ‘남평벼’와비슷하였으며, 내냉성은 중정도이고 냉수구 출수지연일수가긴 편이다. 잎도열병 밭못자리 검정 결과 약한 반응을 보였고,흰잎마름병에는 레이스 K1, K2, K3에는 저항성이지만 K3a에는 이병성이다.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이지만 오갈병과검은줄오갈병에는 약하고 벼멸구 등 해충에도 약하다. ‘영호진미’는 영호남 평야지 1모작 적응 품종으로, 수량성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남부 및남서 해안지와 호남평야지, 영남평야지의 보통기 보비재배 10개소에서 5.44 MT/ha로 ‘남평벼’보다 3% 감수되었다.
        1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청’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중만생 고품질 복합내병충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서해안지, 호남 및 영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9일로 ‘남평벼’보다 2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2. 간장은 87 cm로 ‘남평벼’보다 크며, 수당립수는 많고 등숙비율이 다소 낮은 중립종에 속한다. 3. 위조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남평벼’보다 잘 되는 편
        20.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광’은 1997년 중부지역 적응 고품질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양질 다수성 계통인 SR15926-10-2-3-3-3와 익산431호를 인공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에 따라 육성하였다. 교배 후대에서 선발하여 육성된 우량계통에 대해 2년간(2005~2006) 생산력 검정시험을 실시한 결과, 중생종이고 도열병 및 흰잎마름병에 저항성이면서 도정특성과 쌀 외관 및 밥맛이 양호한 SR23725-55-3-2-3-2 계통을 선발하여 ‘수원514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