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801

        9181.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녹차 및 매실추출물이 아질산염 소거, 전자 공여능 및 NDMA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질산염과 아민이 풍부한 식단(CW)에 인공타액과 위액을 이용한 "simulated digestion" 에서 확인하였다. 녹차와 매실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pH 1.0, 4.2 및 6.0에서 실험 결과, pH가 낮을수록, 시료 첨가량이 많을수록 효과적이었으며 pH 1.2에서 녹차 추출물 0.5ml 첨가시킬 경우 99.6%의 높은 소거작용을 나타내었고, 매실 추출물 3ml 첨가시 77.2%의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녹차 및 매실 추출물의 전자공여 작용은 각각 70.6%, 75.1%로 높게 나타났다. 녹차와 매실 추출물의 NDMA 생성억제 효과는 pH 1.2 에서 가장 뛰어났고, 시료량이 증가할수록 억제효과가 높아 3ml 첨가시에 82.1%와 73.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식이에 녹차 및 매실 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인공소화시킬 때 NDMA 생성억제 효과는 시료 첨가량에 비례하여 각각 20ml 첨가시 녹차 추출물은 57.9%, 매실 추출물은 48.4%의 NDMA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9182.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능성을 갖고 있는 녹차가 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녹차를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녹차빵은 녹차 물추출액 0%, 50%, 70%, 100%를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30℃로 저장하면서 24시간 간격으로 7일간의 수분, pH 및 산도, 총세균수 등의 변화, 그리고 관능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녹차 물추출액의 첨가는 수분의 손실을 감소시켜 식빵의 노화속도를 감소시켰다. pH 및 산도의 변화는 5일 후에 큰 변화가 나타났는데, 녹차 물추출액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변화 폭이 적었다. 총 세균수의 경우 녹차 물추출액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세균수의 증가폭이 적게 나타나 부패시기가 적어도 1 ~ 2일 정도 늦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녹차 물추출액 첨가가 식빵의 기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기존의 식빵에 대한 관념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수명 연장의 효과가 있었다. 결국 녹차 성분은 식빵에 있어서 천연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3,000원
        9183.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령전 아동의 zinc absorption, excretion, balance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Zinc absorption은 남자아동의 경우 29.7%, 여자 아동의 경우 23.3%, 평균 25.8%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zinc absorption은 zinc intake와는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zinc balance와 유의적 상관 (p<0.01)을 보였다. Zinc balance는 남자 아동의 경우 평균 3.25mg/day, 여자 아동의 경우 1.78mg/day, 평균 2.34mg/day로 1명의 대상자를 제외하고 모두 positive balance를 보였다. Fecal zinc loss는 평균 6.31mg/day, nary zinc loss는 평균 0.16mg/day였다. zinc intake는 fecal zinc loss및 zinc balance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1), urinary zinc는 intake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우리나라 학령전 아동의 zinc absorption 및 balance, 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방면의 연구 자료가 많지 않아, 성장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zinc nutrition에 대한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9184.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공포장이 냉장 돈육의 지질산화 및 육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위해 돈육의 등심부위를 진공포장한 후 30일 동안 4℃에서 냉장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라 TBA가, pH, 홍색화 시간 및 CIE L^*a^*b^*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TBA가 랩포장육의 경우 저장 7일 이후에 급격히 증가되었으나, 진공포장육은 저장 30일까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pH도 랩포장육의 경우 저장 7일 이후에 급격히 증가되었으나, 진공 포장육은 저장말기까지 매우 완만하게 증가되었다. CIE a*값과 반사도의 측정 결과 진공포장육의 홍색화 시간은 포장 개봉 후 30분이었다. 따라서 진공포장 개봉 직후와 개봉 30분 후에 CIE L^*a^*b^*값을 측정하여 랩포장육과 비교하였다. CIE L*값은 랩포장육의 경우 저장 7일부터 급격히 감소되었으나, 진공포장육은 개봉 직후의 경우 저장말기까지 점차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개봉 30분 후의 경우 개봉 직후보다 약간 높거나 큰 차이가 없었다. CIE a^값은 랩포장육의 경우 저장 7일까지 점차 증가되었고 그 후 급격히 저하되었으나, 진공포장육은 개봉 직후의 경우 저장초기에는 랩포장육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었고,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차 증가되었으며, 개봉 30분 후의경우 개봉 직후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CIE b^*값은 랩포장육의 경우 저장 4일째에 크게 증가되었고 그 후 급격히 저하되었으나, 진공포장육은 개봉 직후의 경우 랩포장육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고,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완만하게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개봉 30분 후의 경우 개봉 직후보다 매우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4,000원
        9186.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ferences of 814 elderly living in Incheon for dishes, food materials and cooking methods were investigat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 2000 to Jan. 2001 by questionnaires. Subjects preferred cooked rice with beans, kalkooksoo(hot noodle), gomtang(soup with beef), bibimbap(rice with assorted mixture) to other staple dishes. However, preference for hashed rice or curried rice was very low. More than 50% of the subjects liked soybean paste soup and stew, and the ratio of elderly who liked Chinese cabbage kimchi was 68.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pan-fried foods according to food materials in them. Subjects liked injolmi(waxy rice cake), shikhye(fermented rice drink) and coffee the most. Most subjects preferred plant foods like vegetables, legumes and seaweeds to animal foods. Preference of elderly for milk and yoghurt was reatively high; however, that for ham, butter and cheese was low. Elderly in Incheon liked roasted beef, beef soup and roasted pork the most. Chicken was preferred when it was boiled in water with garlic, ginseng, and so on. Cooked and seasoned vegetables (Namul) were the most preferred type by elderly. Preferences for dishes and food materials were more affected by living places of the subjects than by sex, and the reverse was true in preference for cooking method of food materials.
        4,300원
        9189.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9198.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성능 전개판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개판 주변의 유동장을 계측할 수 있는 해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CFD를 이용한 유동장의 수치 해석과 유동장의 정량적, 정성적 계측이 가능한 PIV 실험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전개판 주변의 가시화된 영상을 PIV 기법을 이용한 화상처리로 유동특성을 해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CFD에 의한 해석 결과와 유동 패턴을 비교하였다. 또한, 회류 수조에서의 양력 계수 및 항력계수의 계측 결과를 상호 비교 하였다. 그 결과, 수치 해석된 결과와 PIV의 실험 결과는 정성적으로 매우 잘 일치하였으며, 물리적으로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개판의 유동장 분석을 위하여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가시화 실험을 실시하고, PIV 기법으로 화상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동입자의 흐름으로도 충분한 정성적인 유체운동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2) PIV해석결과가 정량적인 결과이므로 이를 다양한 후처리 방법을 통해 속도벡터장, 순간 유동장, 평균 와도로 나타내어 유동장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3) 최대전개력계수가 나타난 영각 24˚에서 비교한 CFD와 PIV 해석 결과, 유동 패턴은 유사하였고, 두 경우 모두 전개판 후연에서 약간의 경계층 박리가 발생하였으나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4) PIV에 의한 속도 벡터도, 순간 유선도, 평균 와도로 후처리한 결과, 영각 24˚에서부터 경계층 박리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영각 28˚이상이 되면 심하게 전연으로 발생지점이 이동하게 되고, 그 폭도 확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cC〈/TEX〉의 고온수가 제주도의 동.서쪽 연안을 통하여 마라도 주변해역과 연결될 때는 마라도 어장에 풍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마라도 주변해역의 추.동계어장은 한국남동부 및 한국남해로부터 월동장 내지는 산란장으로 남하하는 방어군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4. 추자도 및 마라도 주변해역의 추.동계 방어 어장의 풍흉은 제주도 주변 해역의 수온분포에 의해 크게 좌우되지만 염분분포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같다. 5. 마라도 주변해역의 추.동계 방어채낚기어장은 한국연안역으로부터 월동장 내지 산란장으로 남하하는 방어어군이 마라도 주변에 나타나는 연안계수와 외양계수(대마난류) 간에 형성되는 수온.염분전선, 섬주변의 소규모 와, 강한조류 및 지형적 특성(불규칙한 해저지형 및 고립도서)에 의해 이루어지는 왕성한 수평 및 연직 혼합 등과 같은 어장학적 호조건에 의해 마라도 주변에 체류하게 되고, 이들 체류어군은 조류방향에 따라 섬의 조상 측에 농밀군을 형성하는 섬의 조상측 어장이다.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청소년 각자의 식습관 및 식품 섭취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d with an MR peak in the vicinity of the coercive field. The low-field tunnel-type MR characteristics of thin films deposited on different substrates originates from the behavior of grain boundary properties. 않고 단지 안전 보호측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졌을 뿐이었다. 따라서 서열환경하에서 머리부분의 쾌적성을 고려한 다양한 작업 안전모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4,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