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using the microorganism attached on sponge and plates were examined. The denitrification and nitrification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under the anaerobic and aerobic condition for about 2 months. Because the basins of denitrification and nitrification were connected in series, wastewater was flowed from denitrification basin to nitrification one. The 90% of influent flowrate was returned from nitrification basin to denitrification one. Most of organic material was removed in nitrification basin, wherease the only exact amount of organics required in denitrification process was removed in denitrification one. This experiment resulted in that heterotrophic bacteria existing in aerobic basin governed the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compounds. In case the influent BOD concentration into nitrification basin was 80mg/l, it did not affect to accumulation of nitrifying bacteria, the balance of heterotrophic bacteria was prov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method such as anaerobic and aerobic cycling type.
제조 조건을 달리한 4가지 chitin으로부터 제조된 chitosan의 물리화학적 특성인 점도와 탈아세틸화도를 측정하였으며, 4종류의 chitosan이 첨가된 깍두기를 제조하여 chitosan을 첨가하지 않은 깍두기를 대조군으로 하여 20℃에서 2일, 4일, 6일, 8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pH, 적정산도, 깍두기 국물의 점도 및 미생물 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hitosan 용액의 정도는 313.1~98.8 cps로 나타났으며, chitin 추출시 염산의 농도가 낮은 것이 점도가 높았으며, 반응 온도가 낮을 때 더 높은 점도를 나타냈다. 그리고 chitosan 용액의 유동학적 특성은 의가소성 유체(pseudoplastic fluid)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IR 분석 결과 chitosan의 탈아세틸화도는 92~96%로 높게 나타나, 점도와는 달리 chitosan의 원료가 되는 chitin의 제조조건에 의해서는 크게 영향받지 않았다. 모든 시료군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pH는 감소하고 적정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대조군에 비해 chitosan 첨가군이 pH는 높고 적정산도는 낮은 값을 계속 유지하였다. 깍두기 국물의 점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저장 8일째에는 대조군이 chitosan 첨가군에 비해 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총균수는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chitosan 첨가군의 경우가 대조군에 비해 약간 많았고, Leuconostoc 속 미생물 수는 약간 적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김치의 부패균으로 알려진 Lac. plantarum의 수에 있어서는 제조시 HCl의 농도가 낮고, 반응 온도가 높은 chitosan C를 첨가한 군이 대조군이나 다른 chitosan 첨가군에 비해 저장시 증가 속도가 약간 느렸다.
Glutamate로부터 glutamine으로 전환하는 효소인 glutamine synthetase는 cofactor로서 ATP를 요구하는 endergonic reaction이므로, glutamine 전환반응에 요되는 ATP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서 acetate kinase에 의한 ATP 생성계를 도입하였다. Glutamine synthetase의 효소윈으로 사용된 미생물은 glutamine synthetase의 활성이 강화된 E. coli K-12로 부터 사용하였으며, acetate kinase는 E. coli K-12로 부터 부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Acetate kinase에 의한 ATP 생성계를 도입한 glutamine 전환반응의 최적조건은 100mM glutamate, 100mM NH_4Cl, 50mM acetyl phosphate, 5mM ADP, 40mM MgCl_2, 30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7.5) 5mM MnCl_2, 70units/㎖ glutamine synthetase, 99units/㎖ acetate inase이었으며, 상기의 최족조건하에서 6시간째 98%의 최대전환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생산량은 14.3g/ℓ 이었다.
Recent studies on enzyme reactions in organic solvents are revived. The reaction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heterogeneous, biphasic and homogeneous systems. The following subjects are described and discussed about the heterogeneous system. 1) The maximal expression of enzyme activity in organic solvents in terms of water content, hydration of enzyme, and equilibriun of water between enzyme and substrate solution. 2) Solvent effect on the catalytic power of enzyme. 3) Thermostability and thermoreactivity. 4) Applications of the enzyme reactions to synthetic chemistry.
호도나무의 식엽성해충인 벼슬집명나방(Locastra muscosalis Walker)의 기생식물 종류, 생활사 및 천적의 종류를 충북지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기생식물로 혹호도나무, 폐칸, 중국 굴피나무, 가래나무가 추가조사되었다. 벼슬집명나방은 연 1회 발생하였으며 성충 우화시기는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였고 최성기는 7월 10일경이었다. 산란수는 560개 정도로서 기주식물 잎표면에 무더기로 산란하였음 란기간은 7~12일로 란기의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유충은 7월 중순경부터 잎을 거미줄로 묶고 군서하면서 잎을 식해하고 9월 중순부터 땅으로 내려와 토양 속 1cm 정도에 고치를 만들고 유충태로 월동하였으며 6월 중순경부터 용화하기 시작하였고 용기간은 평균 16일이엉ㅆ다. 또한 천경으로 기생성 3종, 포식성 6종및 병원미생물이 조사되었다.
1978년 2월에 소곡주의 시험양조를 행하고 발효과정중의 성분변화와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밑술의 발효에서 3일만에 젖산균의 최우세미생물이 되고 술덧의 pH는 4.2로 낮아졌다. 그러나 7일에 가서는 최우세미생물이 젖산균에서 효모로 바뀌고, pH는 3.6이 되었으며, 술덧의 당화효소 활성도는 초기의 10에서 3.6으로 줄어들었다. 덧술의 발효과정중 pH와 산도는 큰 변화없이 pH 3.5∼3.7 및 산도 8.0∼8.8을 유지하였다. 20일까지는 에탄올 발효가 왕성하게 진행되었으나 40일 이후에서는 에탄올 18.5%에서 발효가 정지상태를 맞이하면서 발효하지 못한 환원당을 술덧에 남기기 시작했다. 술덧의 당화효소 활성도는 발효말기까지 지속되긴 했지만 너무 미약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60일간 발효기켜 여과한 소곡주 최종제품은 에탄올 18.8%, 환원당 5.0%, 총산 0.44%, 휘발산 0.057%, 아미노산 0.206% 및 extract 7.3%를 함유하였다. 관능 검사에서 소곡주는 시판되는 법주나 청주와 비슷한 수준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 색은 담황색이고, 누룩의 맛과 냄새가 부드럽게 느껴지며, 신맛이 약간 강하였다.
논토양 중에 벼의 근권에 서식하여 벼에 협력적인 관계로 질소를 공급해 주는 질소고정 미생물인 Klebsiella oxytoca를 미생물 비료로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질소고정 균주의 육종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Klebsiella oxytoca NG13, Klebsiella oxytoca SH31, Klebsiella oxytoca SH161에 pMC71A를 형질전환 한 경우, 무질소 배지에서 원래의 균주의 질소고정력에 비해 질소고정력이 각각 6.4배, 17.2배, 13.5배 증진되었다. 2. 15mM의 NH_4^+ 존재하에서, Klebsiella oxytoca NG13, Klebsiella oxytoca SH31, Klebsiella oxytoca SH161의 경우는 모두 질소고정능의 완전한 저해를 받은 반면 pMC71A가 도입된 Klebsiella oxytoca NG13 /pMC71A, Klebsiella oxytoca SH31 /pMC71A, Klebsiella oxytoca SH161/pMC71A, 의 경우는 무질소 배지에서의 질소고정력에 비해 각각 13.7%, 7.7%, 6.2%의 질소고정 활성을 보였다.
A microorganism, isolated from soil and designated Pseudomonas sp13, produced two kinds of rhamnolipid in the medium containing glucose as carbon source. There were both rhamnolipid contain L-rhamnose and β-hydroxydecanoic acid. Coumpound A and B elucted chloroform-methanol mixed solution of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and recrystallized from a mixture of ether and n-hexane.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se products reveled that compound A is L-rhamnopyranosyl-β-hydroxydecanoyl-β-hydroxydecanoic acid and compound B is L-rhamnopyranosyl-L-rhamnopyranosyl-β-hydroxydecanoyl-β-hydroxydecanoic acid.
우리 나라 논에서 분리된 Azospirillum 균주로부터 메가플라스미드를 확인한 결과 Azospirillum lipoferum AS192로부터 5개의 메가플라스미드를 확인했다. Azospirillum lipoferum AS192와 Azospirillum brasilense AS112의 메가플라스미드가 Rhizobium meliloti의 nod ABC와 유사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으며, 이 결과로부터 토양 미생물과 식물체 간의 관계의 초기 과정에 공통적인 기작이 존재한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Lipases catalyzed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esters and various primary and secondary alcohols in a 99% organic medium, porcine pancreatic, yeast, mold lipases can vigorously act as catalysts in a number of nearly anhydrous organic solvents. Various transesterification reactions catalyzed by porcine pancreatic lipase in hexane obey Michaelis-Menten kinetics. The dependence of the catalytic activity of the enzyme in organic media on the pH of the aqueous solution from which it was recovered is bell-shaped, with the maximum coinciding with the pH optimum of the enzymatic activity in water. The catalytic power exhibited by the lipases in organic solvents is comparable to that displayed in water. In addition to transesterification, lipases Can catalyze several other processes in organic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