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68

        1821.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ariation of microorganisms (activated sludge, Saccharomyces cerevisiae, Aureobasidium pullulans) caused by the biosorption of Pb2+ was observed by TEM and microscope. By the TEM observation of S. cerevisiae, the plasmolysis and lysis of cell wall or cell membrane were occurred by the penetration of Pb2+ into the inner cellular region. However, in the case of A pullulans, the plasmolysis and lysis of cell wall or cell membrane were not occurred because of the prevention of Pb2+ penetration by the extracelluar polymeric substances (EPS). A floccula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case of A. pullulans, was observed by the Pb2+ accumulation after 3∼4 h and the color was changed from white to black after 1 day. The flocculation of activated sludge was improved by the accumulation Pb2+ after 1 h, however, the floc was broken up and the settling efficiency decreased after 1 day.
        1822.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15 종의 생약재 중에서 식품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생약자원을 검색한 결과 식품부패성 세균 Bacillus subtilis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인 것은 단삼, 관중, 가자, 독활, 파고지, 오미자이었으며, 식중독균인 효모 Candida albicans IFO6258에 대해서는 지모와 관중 두 생약재가, 식품부패성 효모 Schizosaccharomyces sp.에 대해서는 지모, 관중, 원지가 각각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서는 관중, 단삼, 소목, 방기, 오미자, 오배자, 고삼, 목향이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피부 각층 및 모발에 침입하여 피부병을 야기하는 백선균 Trichon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해서는 지모, 강황, 목향, 호장근, 지유, 황금, 가자들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항균spectrum이 넓으면서 비교적 항균활성이 강한 관중, 단삼, 가자, 황금에 항균활성이 강한 생약자원인 가자, 계피, 방기, 황금등의 생약재를 각각 1 : 1로 혼합한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혼합 추출물에서 단독 추출물 보다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1823.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남 서천군 춘장대에서 채취한 갯벌을 통수칼럼에넣고 오염물질 정화능력을 평가 해 보았다. 각 칼럼에 사용된 시료수는 하수를 G2여과지(6㎛)로 여과한 여액(R1), 생하수를 GF/C여과지(1.2㎛)로 여과 후 하수중의 미생물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압멸균기(autoclaver)로 120℃에서 15분간 멸균한 하수( R2), 여과·멸균된 하수를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해수와 1:1(하수:해수)로 혼합한 시료수(R3) 그리고 R3에서 사용된 하수와 해수를 이용해 그 비를 1:2로 혼합한 시료수(R4)를 이용하였다. 4종류로 조제된 시험수를 이용한 통수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통수실험에 의해 제거된 COD 양은 시료수에 하수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암모니아질소의 경우 각 칼럼에서 580분 실험한 후 총 누적 제거양은 R1 90.1㎎, R2 81.0㎎, R3 27.6㎎, R4 4.1㎎이었다. R1과 R2에서 총 누적 제거 양이 해수가 1:1로 함유된 R3보다는 약 3배 높았고, 생하수와 해수가 1:2로 함유된 R4보다는 약 20배 높아 시료수에 하수의 함량이 높을수록 COD와 마찬가지로 암모니아질소가 잘 제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인의 경우 각 칼럼에서 580분 실험한 수 제거된 총 누적 양은 R1 3.4㎎, R2 4.2㎎, R3 5.6㎎, R4 2.0㎎이었다. 평균 유입수 농도와 평균 유출수 농도로 구한 Pb의 평균 제거율은 R3와 R4에서 94.6%와 94.9%로 R1과 R2에서의 66.5%와 77.0%보다 약간 높았고, Cd의 평균 제거율도 R3와 R4에서 93.1%와 88.5%로 R1과 R2에서의 61.2%와 82.7%보다 약간 높았다. 이상과 같이 칼럼실험에서 중금속은 해수가 첨가된 시료에서 제거율이 높았다. 하지만 초기 20분간 흡착된 중금속의 양은 580분 동안 흡착된 총 양의 3∼4%로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1825.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항균성 필름의 생산방법으로서 corona 저려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LOPE) 필름에 천연항균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딸기의 포장에 적용하였다. 보다 안정한 항균제 코팅 필름의 생산을 위하여 결착제와 함께 코팅한 필름의 생산방법을 검토한 결과, polyamide수지용 과 항균생 물질을 함께 코팅함에 의하여 안정한 코팅을 행성할 수 있었다. 이의 항균성을 미생물 평판 배지 상에서 확인한 결과, 1% 자몽종자추
        1828.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치미에서 분리한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 brevis를 무주스에 접종하여 에서 2일간 혼합 배양하여 와 8에서 각각 30분, 15분으로 열처리하여 25, 15, 5에서 8주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한 무주스에서는 미생물이 전혀 검출되지 않아 모두 사멸되었음을 알수 있었으며 이화학적 품질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열처리를 하지 않은 무주스의 경우는 저장온도가 높
        1829.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소잎중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2종의 부패곰팡이(Aspergillus flavus KCTC 6143, Aspergillus jlavus KcrC 6961) 및 5종의 식중독세균 ( isteria monocytogenes ATCC 15313, Staphylococc따 aureus 196E ATCC 13565, Escherichia coli 0157:H7 ATCC 43895,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331
        1831.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ctic aicd bacteria(LAB)는 전통적으로 식품의 발효과정 중에 사용되는 미생물이다.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bacteriocinogenic culture와 lactic acid bacteria에서 생산되는 산물은 식품의 부패에 원인이 되는 미생물과 병원성균에 대한 생육억제효과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생선제품, 유제품. 육제품과 발효되지 않은 냉장식품 등의 식품저장에 lactic acid bacter
        1833.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study the natural preservation of food, sixteen kinds of medicinal plants were extracted by 80% methanol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investigated against various kinds of microorganisms. The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showed good effects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except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O-157. Especially, the extracts of Artemisia annua, Aster scaber, Solidago virganrea shower good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bacteria to the cooling preservation foods, and Artemisia annua was decreased of the TMA(Trimethylamine) test. the result thus indicate that Artemisia annua, Aster scaber, Solidago fischeri extract inhibitory effects on cooling preservation foods, so that it may be potential as a natural preservatives.
        1835.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폴리시알린산 (polysialic acid)은 미생물로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포의 세포 표면 복합당사슬에 공유 결합하는 당사슬의 일종이다. 최근 성게 난자의 젤리층과 성게 난자의 표면에서 폴리시알린산이 연결된 당단백질이 발견됨으로써 폴리시알린산의 생합성과 그 기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둥근성게의 난자와 배에서 추출한 효소액과 CMP-[ C]Neu5Ac를 기질로 사용하여 Neu5Ac를 endogenous acceptor에 전달하는 CMP-N
        1836.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민속주 제조에 널리 사용되어온 국화꽃잎에서 에탄올 추출하여 식품부패에 관련된 미생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검색하고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활성과 최저 생육저해 농도를 조사하였다. 국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산국이 B. subtilis에 대해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소국은 E.coli에 대한 항균활성이 산국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8종의 부패균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산국이 소국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산국 에탄
        1837.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패하는 두부에서부터 각종 미생물 18종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B. cereus, X. luminescens, A. calcoaceticus, Kl. pneumoniae, S. typhimurium, Pantoea sp., Bacillus sp., Cardiobacterium sp., E. coli, St. aureus, Yersinia sp. 등 11종의 각기 다른 미생물로 나타났다. 실온에서 두부의 부패 과정중 이들 미생물의 존재 함량은
        1838.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iscussed about the effect of Zoogloea ramigera on the initial microorganism attachment and the biofilm growth. The additions of 5, 10 and 15%(w/w) of Zoogloea ramigera were facilitated for the initial attachment on the surface of the acryl disk. At biofilm growth, the more Zoogloea ramigera added to the activated sludge, the more biofilm dry weight was obtained. In order to get the stable biofilm and to minimize the start-up periods, initial biofilm formation using activated sludge with floe forming microorganisms like Zoogloea ramigera was recommended rather than that without floe forming microorganisms.
        1839.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develop of support media for biofilm react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ttachability of surface of activated carbon, clay mineral, non-clay mineral, and waste mold sand were examined. Measur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terials were surface roughness, mean particle size, surface area, hydrophobicity, and surface charge. At a tested materials, activated carbon was the best attachable material and microorganisms were attached 20.1 × 10^7 CFU/㎠ at surface, compared with diatomaceous earth which were attached of 9.2 × 10^7 CFU/㎠. In our research, surface area and hydrophobicity showed more influence than any other factor on attachment of microorganisms.
        1840.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iscussed effect of the surface roughness and the hydrophobicity of support material on the microbial attachment in a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The hydrophobicity of each support material was determined by the measurement of contact angle of water and the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by the surface roughness instrument. Microorganisms have well attached on the surface of more hydrophilic support material like Nylon6 than that of the hydrophobic support material like PE. When the relatively hydrophilic surface was roughen, the microbial attachment was increased but when the relatively hydrophobic surface was roughen, the attachment was slightly increased because the hydrophobicity of support material was increased by roughening the hydrophobic surface. Although both variables, the surface hydrophobicity and the surface roughness, have influenced the microbial attachment, the influence of the surface roughness overruled that of the surface hydrophobicity. Support material whose surfaces were roughened about l㎛, 6㎛ and 11㎛ were allowed for attached 3, 7 and 24hr, but the differences of maximum and minimum attachment of each material gave nearly constant values and similar trend with time.
        91 92 93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