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016년 4월) 287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2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order to understand evolutionary characteristics of gene rearrangement in Lepidoptera, we collected all available complete mitogenome (mitogenome) sequences registered in GenBank (274 mitogenomes from 44 families in 23 superfamilies as of August 6, 2015). It turned up six rearrangements that differ from the arrangement of ancestral insects, including that of the gelechioid Mesophleps albilinella that we sequenced in this study. The M. albilinella mitogenome has a unique gene arrangement among the Gelechioidea: ARNESF (the underline signifies an inverted gene) at the ND3 and ND5 junction, as opposed to the ARNSEF that is found in ancestral insects. Most of the rearrangements can be explained by the tandem duplication-random loss model, but inversion, which requires recombination, is also found in two cases, including M. albilinella. Excluding the MIQ rearrangement at the A+T-rich region and ND2 junction, which is found in nearly all Ditrysia, most of the remaining rearrangements found in Lepidoptera appear to be independently derived in that they are automorphic at several taxonomic scales. Current mitogenomic data are limited, particularly for congeneric data. Thus, future research focused on congenerics could clarify evolutionary independency at the generic level also.
22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파프리카는 여름에 정식하여 이듬해 6월까지 재배하는 촉성작형에서는 천적을 이용하여 주요 해충을 방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파프리카의 주년 생산을 위하여 해발 500m 이상의 고랭지에서 3월에 정식하여 11월까지 재배하는 여름재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여름재배는 주 재배 시기가 고온기로 해충의 발생이 많아 방제에 어려움이 많다. 본 조사는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지역(해발 500m)에서 천적방제, 농약방제, 천적과 농약 병행방제를 하는 농가포장에서 주요 해충의 발생을 2015년 4월부터 9월까지 15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총채벌레는 4월 상순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7월에 발생이 가장 많았고, 최고발생은 7월 11일 농약과 천적을 병행한 농가에서 트래당 25마리로 천적(70마리/트랩)과 농약(59마리/트랩)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농가보다 발생이 적었다. 진딧물은 5월 하순에서 7월 상순까지 발생이 많았고 이후 감소하다가 9월 중순에 발생이 증가하였다. 최고발생은 농약과 천적을 병행한 농가가 6월 13일 트랩당 0.8마리였고, 농약 단독 사용농가는 7월 11일 트랩당 2.8마리, 천적 단독 사용농가는 5월 23일 트랩당 2.4마리를 나타내었다. 담배가루이는 5월 상순부터 발생이 시작하여 생육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고, 농약단독 방제를 하는 포장에서 9월 하순에 트랩당 59마리로 농약과 천적을 병행한 농가(22마리/트랩)와 천적단독(14마리/트랩)으로 방제한 농가보다 발생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총채벌레는 6월에서 7월, 진딧물은 5월에서 7월, 담배가루이는 7월 이후에 발생이 많았고, 농약과 천적을 병행하여 방제한 농가가 발생이 적은 경향이었다.

포스터

22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무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 (Hemiptera : Aphididae))은 주로 십자화과 작물(배추, 양배추, 무 등)을 기주로 하는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해충이다. 진딧물은 상대적으로 짧은 세대기간과 높은 번식력을 가지고 있는 종으로, 향후 지구온난화 에 따라 다발생이 우려되는 해충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생명표통계량을 이용하여 RCP 8.5 기상시나리오에 따른 무테두리진딧물의 기후적응능력 및 잠재적 발생세대 수를 평가하였다. 무테두리진딧물의 내적자연증가율(r)과 온도와의 관계는 곤충발육율 모형에서 주로 사용되는 비선형모형 을 적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였고 잠재적 발생세대수는 생명표통계량 인자 중 하나인 세대기간(T)을 이용하여 온도의존적 세대완료율모형을 작성한 후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발생세대수를 추정하였다. 기후적응능력 평가의 경우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내적자연증가율을 기반으로 개체군 크기의 증가를 유도하는 서식처 온도분포의 폭을 나타내는 TSM(thermal safety margin)을 계산한 후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라 10년단위로 비교하였다. TSM은 내적자연증가율이 최고치가 되는 온도를 최적온도(Topt)로 설정한 후 각 시기별 온도와 Topt와의 차로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표통계량을 활용한 기후변화 관련 개체군 영향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무테두리진딧물의 조기관리방안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2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딸기는 시설하우스에서 여름철에 육묘를 하고 가을에 본포에 이식한 후 이듬해 6월까지 수확하는 작형으로 재배되고 있다. 이러한 재배과정에서 점박이응애의 발생이 연중 지속되고 있다. 본 조사는 점박이응애의 연중 발생 패턴을 분석하여 방제계획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2013~2015년에 익산, 완주, 정읍 등 전북지역 딸기재배농가포장에서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봄철에는 전 생육기간에 걸쳐 점박이응애가 발생하였고, 전체적으로 W자형의 발생형태를 보였다.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증가하면 농가에서 방제를 하여 밀도를 낮추고, 이후 밀도가 다시 증가하면, 방제를 반복 하면서 전체적으로 W자형 발생 패턴을 보였다. 농가의 방제에 대한 관심여부에 따라 농가간 발생 차이가 큰 경향이었다. 여름철 육묘장에서는 6월에는 모주가 본포에서 이식된 직후라 점박이응애 밀도가 높았지만 이후로는 밀도가 낮아졌다. 이는 본포에서는 농가가 딸기를 수확하기 때문에 방제에 어려움이 많았지만, 육묘장에서는 수확에 대한 부담이 없는 관계로 충분한 방제가 이루어져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가을철 본포 이식 후에 점박이응애의 발생이 적었다. 이러한 경향은 외부 기온이 낮아지고, 과일 수확을 하지 않는 생육초기로 방제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발생이 적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전체적으로 봄철에 점박이응애의 발생이 많고, 여름철 육묘기간과 가을철 생육초기에는 밀도가 낮았으며, 이듬해 봄철에 온도가 상승하고, 과일 수확으로 방제가 소홀해지면서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2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큰28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는 감자, 토마토, 구기자 등 가지과 식물을 가해하는 저작형 해충으 로, 유충과 성충 모두 줄기와 잎의 엽육만을 가해하여 그물모양의 흔적을 남긴다. 큰28점박이무당벌레는 섭식량이 매우 많아 대발생할 경우에 상품성과 수량에 막대한 피해를 준다. 뿐만 아니라, 이동성이 높고 기주가 구기자의 경우 약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화학적 방제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RNA interference(RNAi)는 dsRNA로 인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기작으로, 최근 이를 해충방제에 이용하려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딱정벌레목 해충에 대해서는 해충방제를 위한 RNAi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NAi를 이용하여 큰28점박이무당벌레를 방제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RNAi에 이용할 target 유전자를 선발하기 위해 큰28점박이무당벌레의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RNAi에 적합한 약 100~500bp의 insert를 확인하였고, 이를 LITMUS 28i transcription vector에 cloning하여 T7promoter를 이용해 dsRNA를 합성하였다. 향후에는 dsRNA를 큰28점박이무당벌레에 주입하여 방제에 효과적인 target 유전자를 선발하고, 나아가 transgenic plant를 통해 섭식에 의한 RNAi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22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작물을 포함한 약 400여종 이상의 작물에서 해충이다. 이러한 이유로 살충제를 과용하였으며 따라서 여러 살충제 종류에 저항성을 가진 M. persicae개체군을 야기했다. 본 연구에서는 저항성 개체군의 섭식행동을 연구하기에 앞서 감수성 개체에서 접촉 및 섭식독성, 침투성 살충제 처리에 따른 섭식행동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M. persicae감수성 개체군은 살충제에 노출되지 않고 누대 사육한 것이며 무시형 성충을 사용하였다. 접촉 및 식독 작용을 하는 Deltamethrin계, 침투이행성의 Imidacloprid계 살충제를 각각 선발하여 처리하였으며, 처리 후 24h, 48h, 72h에 살충률을 비교하였다. EPG기록은 4시간 동안 지속되었으며, 살충제 처리 후 1시간부터 진행하였고 물을 처리한 대조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두 처리구의 섭식행동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첫 번째로 potential drop이 일어난 시간, 총 탐침시간, 총 섭식시간 및 섭식행동을 하지 않고 구침을 식물체에 접촉하지 않은 총 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포스터

22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무당벌레는 진딧물, 깍지벌레, 응애와 같은 연조직으로 된 곤충에 대한 천적으로써 생물적 방제인자로 잘 알려져 있는 유익한 곤충이다. 그러나 무당벌레의 유전자 기능은 거의 연구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RNA interference(RNAi)를 통해 무당벌레의 유전자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RNAi에 적용하기 위해 gateway system을 이용하여 무당벌레 cDNA library를 제작하였고, 그 결과 4.43x104 titer의 무당벌레 cDNA library를 완성하였다. cDNA library의 임의의 유전자들은 transcription vector인 LITMUS 28i vector의 T7 promoter를 이용하여 dsRNA로 합성한 후, 무당벌레 4령 유충에 주입하여 표현형 변이가 나타나는 개체들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스크리닝으로 성충 시기에 표현형의 변이가 나타나는 임의의 유전자들은 추후에 race를 통해 유전자의 전체 시퀀스를 알아내어 유전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무당벌레뿐 만 아니라 다른 곤충 내의 유전자 기능 분석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2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 Kuwana)는 많은 작물들과 과수류를 가해하는 주요한 해충이다. 이런 가루깍지벌레를 방제하기 위해 합성살충제와 같은 화학적방제를 이용해 주로 방제 하는데 가루깍지벌레는 나뭇가지의 틈이나 밀랍에 의해 합성살충제에 의한 방제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해충 중 하나이다. 또한 최근 친환경 농작물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런 화학적방제 외에 성페로몬이나 천적을 이용한 친환경적 방제가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방제법들은 해충의 생물적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가루깍지벌레는 암컷성충과 수컷성충이 이형성을 가지는 충으로 유성생식을 통해서만 번식이 가능하고 수컷성충이 암컷성충의 성페로몬을 감지해 비행하여 교미하 는 행동을 보인다. 이 실험은 Y-tube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가루깍지레 암컷성충의 개체수(개체군 밀도)에 따른 수컷성충의 선택 정도와 빛에 의한 수컷성충의 교미행동에 변화가 있는지 관찰하였다. 또한 암컷성충의 연령에 따른 수컷성충의 교미율 변화와 암컷성충의 기주 정착높이에 따른 수컷성충의 선택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2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alybugs (Hemiptera: Pseudococcidae) are major pests of a wide range of crops and ornamental plants worldwide, and represented by 56 species in Korea. Occurrence of, or damage by, the longtailed mealybug, Pseudococcus longispinus Targioni-Tozzetti has not been reported since 2002. However, for the first time in many years, P. longispinus was reported at Phalaenopsis orchids by Kim et al in 2015.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P. longispinus which is usually found inside a greenhouse or a building where the host plants are. We have collected 129 mealybug samples at 254 sites from Korea. Among these, 27 of P. longispinus and 62 of an unidentified Pseudococcus species were found mainly in ornamental plants such as Heteropanax fragrans, commonly known as happy trees in Korea.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unidentified mealybug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P. longispinus. However, the genetic variability in COI sequence comparis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speci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valid name for this unidentified species, and we are currently working on it.
23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Korea, six mealybug species have been reported on pea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mealybugs in 19 pear orchards from 2013 to 2014. Two species, Crisicoccus matsumotoi (Siraiwa) (Hemiptera: Pseudococcidae) and Pseudococcus comstocki (Kuwana) were mainly found. The dominant species was C. matsumotoi identified on 73% of infested fruit. Toxicities of 14 registered insecticides (7 single formulations and 7 mixed formulations) commonly used to control P. comstocki were evaluated to C. matsumotoi nymphs and adults at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As a results, all insecticides exhibited strong insecticidal activity with 100% mortality of both nymphs and adul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14 insecticides can be used in control for C. matsumotoi in field.

포스터

23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wo spotted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is a global pest, and has developed severe resistance to several types of acaricides. This study compared the development in susceptible (S) and acequinocyl, bifenazate, pyridaben, abamectin and etoxazole-resistant (AcR, BR, PR, AbR and ER) strains of T. urticae by X-ray irradiation. When eggs were irradiated with 100 Gy, the egg hatching was completely inhibited in all strains. When nymphs were irradiated with 200 Gy, their hatching was completely inhibited in all strains. When adults were irradiated, the fecundity and egg hatching was decreased at 150 Gy and above, and hatchability of F1 generation was completely inhibited at 300 Gy in all strains. Adult longevity was slightly increase at 150 Gy and above. In addition, we performed quantitative real-time PCR on several gene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all strains on radiation stress-induced gene expression, we performed quantitative RT-PCR (qPCR) of several known stress-induced genes.
23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hosphine(PH3) is very effective fumigant and is widely used to control pests. Oxygen treatment was found to enhance phosphine toxicity and reduce fumigation time. We researched the insecticidal activities and synergistic effects of oxygen with phosphine(PH3) against on adult stage of 6 agricultural pests as Frankliniella occidentalis, F. intonsa, Pseudococcus comstocki, Planococcus citri, Myzus persicae and Tetranychus urticae. Adults F. occidentalis, F. intonsa, P. comstocki and P. citri was highly susceptible to PH3 at 2mg/L for 2h treatment. However, M. persicae and T. urticae were showed very low fumigation effects at 2mg/L for 2h treatment. These 2 pests were treated with PH3 to increase the times (16h and 20h). And we also researched the synergistic effects of PH3 under controlled atmospheres of 50% and 80% oxygen(O2). Increase of the time and atmospheric oxygen showed improving activities of the PH3 in the 2 agricultural pests. Therefore, PH3 is an effective fumigant against F. occidentalis, F. intonsa, P. comstocki and P. citri, and its synergistic effect with oxygen is effective to control M. persicae and T. urticae. PH3 with oxygen could be useful for managing the agricultural and quarantine pests.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3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마늘에 발생하는 마늘혹응애(Aceria tulipae(Keifer))(Acari: Eriophyoidae)는 마늘 수확 후 저장중 인편을 주로 가해하지만 재배생육 중에도 잎을 가해하여 생육을 저해한다. 마늘의 파종부터 수확까지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히는 해충으로 판단되어 시기별 약제처리방법을 달리하여 약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마늘 종구방제를 위한 침지처리에서는 Emamectin benzoate가 침지처리 1, 3시간 모두에서 가장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파종전 토양입제처리 방법에서는 마늘 수확 후 마늘혹응애 밀도를 조사한 결과 1/2량 처리구에서 Bifenthrin+Terbufos 합제와 Phorate가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마늘의 생육중 경엽처리 방법에서는 유기인계 계통인 Fenitrothion은 100%의 방제효과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아바멕틴, 에마멕틴벤조에이트, 밀베멕틴에서 99%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Abamectin과 Fenitrothion에서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 다. 경엽처리결과 가장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낸 Fenitrothion의 시기별 약제처리하였을 때 4월 중순과 하순에 처리시 한 인편당 0.2±0.41마리의 매우 낮은 밀도가 조사되었다.
23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시설포도 재배면적은 2006년 1,824ha에서 2012년 2,591ha로 42.1% 증가되었다(통계청). 이후에도 수입과실에 대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늘어 응애류, 총채벌레류, 애매미충류, 깍지벌레류 등의 미소해충 발생이 증가되고 있다. 이 중 잎응애인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차응애(T. kanzawai), 사과응애(Panonychus ulmi)가 포도원에서 발견되었고, 점박이응애가 우점종으로 알려져 있다. 시설재배시 고온으로 인해 해충 번식속도가 빠르고 연중 번식이 가능하여 많은 회수의 약제 살포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방제비용 및 노동력이 많이 들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미립 자동연무기(삼영바이오, NSY-350)를 이용하여 시설포도원에서 점박이응애의 방제효율을 검정하고자 수행하였다. 10a 기준 관행 동력분무기에 비해 80.3%의 약제량과 3.6%의 물량으로 사이에노피라펜 액상수화제를 살포했을 때 점박이응애를 100% 방제하였다. 살포준비를 위한 시간도 관행에 비해 10%밖에 안 들었으며, 포도잎이 겹친 사이에 농약 흡착지를 놓고 농약부착능력을 검정한 결과, 관행 일반분무기에 비해 부착효과가 인정되었다.

포스터

23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abbage whitefly Aleyrodes proletella L. (Hemiptera: Aleyrodidae) is a specialized insect that uses its mouthparts(stylets) to feed from the phloem of its host plants, which are found among the Brassicaceae and Asteraceae. Female whiteflies lay their eggs in circular patterns embedded in wax on the underside of the leaves. These were collected from the leaf of triangular lettuce, Crepidiastrum sonchifolium throughout the whole Chungnam province, 2013. We reared the cabbage whitefly on the egg-plant. The elongate-oval eggs are laid upright in a semicircle on the underside of Brassica leaves but didn’t in lab. Initially pale and translucent, the eggs become darker. Nymphs are scale-like and covered with wax; their color is white with two yellow spots on the abdomen. On the dorsal surface of the last abdomial segment is the vasiform orifice charactersitic of the group. The fourth instar is called the “pupa”. The pupa is thicker, immobile, and pale in color with red eyes. The adults are tiny, about 1.5 mm long, and moth-like. The head and thorax are dark. The abdomen is yellow and covered by a conspicuous white waxy layer. The forewings have a faint, dark bar. If disturbed, the adults fly readily. The duration of development of immature stages of Aleyrodes proletella decreased with increase in temperature, the mortality was higher below 16 ℃ and above 28 ℃.
23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는 노린재목 가루깍지벌레과로 포도원에서 나무껍질 사이에 알, 약충 및 성충으로 월동하고, 봄철 포도나무 수액이 이동할 즈음 활동을 시작한다. 개체수가 증가하는 7월 중순에 이동을 시작해 결과지와 봉지를 씌운 포도과실에서 흡즙하고 감로를 배설하여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7월 하순 ~ 8월 상순 경에 포도 과실 지경에 알을 낳으며, 포도 수확기인 9월 상순 무렵 약충이 증가함에 따라 그을음이 늘어 포도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더욱이 유기포도원 의 알렉산드리아 같은 청포도계통의 포도에서 피해 증상이 뚜렷이 나타나 농가피해가 심하다. 본 연구는 가루깍지벌레의 피해를 줄이고자 식물로부터 유래하는 기피물질을 탐색하고자 수행하였다. 27종의 essential oils을 4 Choice Insect Olfactometer(4 CIO)의 2구를 이용해 후각검정을 실시한 결과 반응을 보인 8 essential oils을 1차 선발하였고, 8 essential oils을 4 CIO의 4구에 각각 5㎕, 10㎕, 15㎕, 무처리로 처리한 결과 Orange oil에서 73%의 기피효과를 보였으며, Castor oil, Gerarium oil, Thyme oil에서도 기피효과를 보였다.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3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대추에 발생하고 있는 나방류 해충 중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i), 복숭아유리나방(Synanthedon bicingulata), 그리고 사과유리나방(S. haitangvora)은 과실이나 줄기 속을 파고들어 가해하여 한번 침입하게 되면 사실상 방제가 어려운 해충이다. 이 시험에서는 대추 재배농업인들이 정확한 시기에 방제를 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대추과원에서 시기별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보은지역 대추과원 11개소에서 2015년 5월부터 10월까지 페로몬 트랩을 이용해 15일 간격으로 조사한 결과 복숭아심식나방 성충은 6월 중순 처음 발생하여 10월 중순까지 발생하였으며, 발생최성기는 7월 중순으로 트랩당 평균 17.9개체이었다. 복숭아유리나방은 5월 중순 첫 발생하여 10월 중순까지 발생하였으며, 2회에 걸쳐 발생최성기를 나타내었다. 1차 발생최성기는 6월 중순으로 트랩당 평균 2.5개체 이었으며, 2차 발생최성기는 9월 중순으로 트랩당 3.9개체였다. 사과유리 나방의 경우 다른 나방류 해충에 비해 발생량이 많지 않았으며,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으로 트랩당 평균 1.7개체를 기록하였다.
23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진디혹파리와 미끌애꽃노린재는 각각 진딧물과 총채벌레의 유용한 천적이나 총채벌레가 없을 경우 작물의 화분과 진딧물, 가루이류 같은 다른 해충을 포식하는 다범식성인 미끌애꽃노린재에 의하여 진디혹파리의 진딧물 포식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미끌애꽃노린재와 진디혹파리 간의 상호관계를 밝혀 최적의 천적 활용 매뉴얼을 제시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끌애꽃노린재암컷 1마리가 포식하는 진디혹파리 알 포식률은 24h 56.5%, 48h 96.1%의 포식률을 보였고, 유충의 포식률은 이보다 낮은 24h 24.7%, 48h 46.4%의 포식률을 보였다. 미끌애꽃노린재의 후각반응 조사에서 미끌애꽃노린재는 꽃노랑총채벌 레를 선호하였으며, 동일 공간에서 진디혹파리 알, 유충을 대상으로 꽃노랑총채벌레와의 Choice-test를 수행한 결과, 대부분 꽃노랑총채벌레를 선호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꽃노랑총채벌레의 밀도가 낮을수록 진디혹파리의 알과 유충의 포식력이 높아졌다. 목화진딧물의 발생이 오이 엽당 10마리 수준임을 가정하고 진디혹파리 방사량 2,000마리(200평기준)임을 고려할 때 1㎡ 당 3마리 수준을 기준으로 진디혹파리 암컷 0, 2, 4, 8, 16 마리 방사한 후 교미된 미끌애꽃노린재 암컷 1마리를 접종한 결과, 진디혹파리 8마리 이상 방사 수준에서 진딧물의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포스터

23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pply and to utilize the digital forecasting information for Integrated Pest Management at pepper field in Chungbuk province. Chemical spray according to the forecasting prediction using FarmIPM and NCPMS were compare to the that of no control and conventional control. Pests such as Oriental tobacco budworm, Western flower thrips, and Cotton aphids were investigated the control effect by the forecasting modeling information at three pepper plots. Damaged fruit ratio (%) of Oriental tobacco budworm was ordered into no treatment (30) > forecasting (20) > conventional (12), but damages by other pest was insignificant. The frequency of forecasting control was ordered into NCPMS (31) > conventional control (17) > FarmIPM (8). Damaged fruit ratio (%) of Oriental tobacco budworm was ordered into no treatment (35.5) > NCPMS (26.1) > FarmIPM (24.6) > conventional (13.9). Density of western flower thrips was higher but had no problematic by the chemical control when it is hard to analyze the damage by cotton aphid occurrence. Damage by cotton aphids has no prediction of forecasting but done with 6th chemical spray, and their damage ratio (%) was ordered into no treatment (67.7) > FarmIPM (16.2) > NCPMS (11.3) > conventional treatment (4.8). At an analysis of economic value, gross profit was highest in FarmIPM and next to NCPMS > conventional control.
24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increased the cultivating areas of several minor crops for medicine such as Glycyrrhiza uralensis, Astragalus membranaceus, Taraxacum platycarpum, Gynanchum wilfordii, and Purple granadilla, the occurrence of major pests and their damages were severed. Primarily occurred pests on five minor crops were observed small in size pests such as whiteflies, aphids and thrips, but the other pests are insignificantly infest. Whiteflies showed higher density in G. uralensis but its damage was insignificant level. Aphids were showed higher density at June in all minor crops and then sharply decreased the density with lower degree of damage. The high damage on initial growth stage will be judge to affect on the yield. Thrips on T. platycarpum showed higher density with 44.1%, compare to other crops, sharply increased the density in late-June and optimal peak in mid-July and decreased in late-Aug. Conclusively, major pests on crops, green peach aphid, mites species on A. membranaceus and G. uralensis, olender aphid, mites species and thrips on G. wilfordii were damaged. Detailed investigation and analysis for economic value of the damaged pest for the continual production will be promoted and then followed the procedure the registration of agrochemic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