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및 국제심포지엄 (2017년 10월) 322

26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뽕나무 부산물을 이용하여 최근 사육량이 증가하고 있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안정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전정된 가지와 열매 착즙 후 버려지는 오디박을 이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 발육 특성을 검토하였다. 뽕나무톱밥을 이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사육한 결과 발육기간은 1령 9.9일, 2령 20.7일, 3령 130.5일로 총 161.1일이었으며유충 출하기준인 부화 후 100일 이내의 평균 최고 무게는 2.5g이었다. 뽕나무톱밥에 오디박을 10% 첨가하여 유충발육기간을 조사한 결과 1령 8.8일, 2령 12.4일, 3령 21.3일이었으며, 부화 후 35일경에 유충 평균무게가 2.9g 으로가장 무거웠다. 참나무톱밥에 오디박 10% 첨가하여 유충 발육기간을 조사한 결과 1령 8.5일, 2령 11.8일, 3령 21.0일이었으며, 유충 평균 최고 무게는 부화 후 약 35일경에 2.5g이었다.
26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메리카왕거저리는 곤충강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사료용, 식약용, 환경곤충으로 이용되고있으며 최대 5cm까지 자라 갈색거저리에 비해 지방 함량이 높다. 본 연구는 아메리카왕거저리의 최적 수확시기를설정하고자 령기별로 구별하여 9령에서 12령까지 아메리카왕거저리를 채취하여 동결건조한 후 영양 및 기능성분을조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은 AOAC 방법을, 아미노산은 아미노산자동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은1.36~5.06%로 령기가 높을수록 많았고 단백질 함량은 52.4~55.7%였으며, 지방 함량은 30.6~35.7%로 령기가 낮을수록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4.8~8.1%로 령기가 낮을수록 높았으며 아미노산 중 프롤린 함량이0.9~2.3%로 가장 많았다.
26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istribution of mosquitoes collected in Cheongju area in 2016 and 2017 were compared. The collection sites wereestablished from residential area, migratory bird sanctuary, and cattle feedlot using BL trap and BG trap. Culex pipienswere the most collected in residential area, and Aedes vexans were the most collected in migratory bird sanctuary andcattle feedlot in both years. BG trap was more collected than BL trap in residential area and migratory bird sanctuary.However, cattle feedlot was more collected in BL trap. A variety of mosquito species were collected from BG trap thanBL trap. However, the number of Anopheles sinensis collected in cattle feedl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BL trap and BG tra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effective monitoring of mosquitoes mightbe done by using appropriate trap type according to the region
26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gray mold disease caused by Botrytis cinerea, are importantpest and plant disease. To control these, many people have been relied on chemical methods for a long time. However,their continuous use has resulted in resistance of pest and disease. To surmount or avoid these problems, we evaluatedantifungal activity of the selected fungi with high virulence to mite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the dual control of notonly T. urticae but also B. cinerea. To maximize the use of spores and cultural filtrates, the virulence to mite was evaluatedusing culture products, and effective culture condition was investigated against blastospore production and antifungal activity.Consequently, the 2 fungal isolate selected in this study were confirmed to have diverse potential and would be usedeffectively for dual control agents against the two-spotted spider mite and plant diseases
26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opulation of managed honeybees has been dramatically declining the recent past in worldwide. N. ceranae causessignificant detriment to honey production and results in economic losses critically. In our knowledge, Fumagillin is theonly antibiotic approved for control of nosemosis in honeybees. In this study, to select isolate with anti-Nosema activityagainst N. ceranae. Entomopathogenic fungi cultural filtrates were screened using in vitro polar tube germination assay.These fungi cultural filtrates were used to evaluate the safety of honeybees and their inhibition of nosemosis. As a result,P. marquandii 364 and Pochonia sp. 60 showed inhibitory activity on the growth of N. ceranae in honeybees and did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urvival rate of honeybees. These may be employed as antibiotic agents and a good featureto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new biocontrol agents of nosemosis.
266.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aculovirus expression vector system (BEVS) is an effective and widely used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recombinantproteins in insect cells or larvae. However, the expression efficiency of recombinant proteins using the polyhedrin promotercould not acquire the protein yields observed for native polyhedrin.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hyper expressionvector by the optimal combination of previously reported various enhancer factors. The selected enhancer factors for optimalexpression consists homologous region5 (hr5), VP39 promoter and burst sequences. Seven recombinant viruses were madeto compare EGFP expression level. Each recombinant viruses showed different expression levels respectively, and themost of expression level was observed with higher than those of the previous vectors. This study suggests a new optionfor hyper expression of useful recombinant protein using the BEVS.
26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eamed and freeze-dried mature silkworm powders (SMSP) have various health improvement effects. However, westill do not know which substances are reponsible for varius health improvement effect yet. In this study, we comparedcontents of phytochemicals in SMSP to mulberry leaves and other silkworm powders. We found that SMSP have certainlevels of phyttochemicals and silk proteins. Our data suggested that various substances in SMSP are responsible for healthimprovements effect. (Project title: Elucidation the health improvement effects of boiled silk worm larvae, Project No:PJ010828012017)
26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흡혈성 절지동물에 의한 질병매개 감염 확률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로부터 개인 보호 수단으로 가장유용한 것이 기피제의 활용이다. DEET나 icaridin을 유효성분으로 한 다양한 기피제들이 상업화되어 이용되고 있으나,이들에 필적할만한 천연제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모기 및 진드기에 강한 기피력과 기피지속력을나타내는 천연소재(NRS-1) 및 상대적으로 미흡한 천연소재의 기피력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소재(NRSC-1)에 대한실내 유효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천연소재 NRS-1은 DEET나 icaridin에 견줄만한 기피력을 나타냈고, 합성소재 NRSC-1은 그 자체로서 DEET와 유사한 기피력을 보였다. 또한 후자는 천연소재와 혼합을 통해 향상된 기피지속력도 나타냈다
26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안산시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들과 Bti 그리고 이산화탄소 유인 트랩 등을 활용하여 주로 모기 발생을 관리하고있다. 안산시에서 발생하는 모기 종들은 약 16종으로 얼룩날개모기류 7.2%, 흰줄숲모기 0.4%, 작은빨간집모기 1.2%등 질병매개와 관련된 매개체 발생율은 약 9% 미만이었다. 가장 흔한 모기 종은 빨간집모기(82.4%)이었고 다음으로금빛어깨숲모기(3.9%)였다. 모기 유충 발생지에서 관찰된 식물은 26과 47속 56분류군이었고 동물은 8속 8종이었다.거주지 인근 하천에서 발생하는 성충 모기를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검정색과 노란색 점착트랩의 활용성이 높아보였고, 고인 웅덩이나 논 등에서 발생하는 모기 유충은 개구리밥의 활용도 검토할 만 하였다. 또한 잔효력에기반한 살충제 침지한 네트의 효율성 평가로 향후 안산시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모기 관리 수단으로서 이들방법들의 유기적인 조합을 도출할 예정이다.
27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확산 추세에 있는 소나무재선충병을 매개하는 솔수염하늘소가 우화후 신초 후식과정에서살충제 수간주사에 의해 살충시킴으로서 교미 및 산란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러한 살충제 수간주사방법은 신초를 후식하는 하늘소류만을 소화중독에 의해 살충시키는 방법으로 기존의 항공방제에 비해 환경에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시중에 나무주사 약제로 등록되어 있는 Thiamethoxam DC을 비롯한 9개 약종을소나무에 나무주사 후 가지에 망대를 설치하고 각 망대에 솔수염하늘소 1마리씩을 접종하여 전 개체가 살충되는소요시간을 조사하였다. Thiamethoxam DC의 경우 약제가 충분히 확산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나무주사 후 50일경과된 시점에서 솔수염하늘소를 망대 접종한 결과 1.1±0.2일에 100% 살충이 이루어져 약제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현장 실연사업 결과 나무주사를 한 처리구에서는 산란유인목에 산란이 이루어지지 않은것으로 보아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7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gar beet cyst nematode (SBCN), Heterodera schachtii is a well known pathogen on Chinese cabbage in thehighland fields of Korea. However, recent reports have shown a coexistence of SBCN with the clover cyst nematode,H. trifolii in Korea. This study aimed at detailing and review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conceivablyessential in differentiating the two nematode species. A comparison of morphometric measurements of both infective juvenilesand vulval cones of cy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yst nematodes. Indeed, using assorted cystsfrom field populations for molecular analysis resulted into a mixture of bands after gel electrophoresis, indicating a combinationof the two species. Thus, this study confirms the coexistence of the two species on Chinese cabbage fields in Korea.
27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조사지역인 설악산 국립공원은 해발 1,708m로 남한에서 한라산, 지리산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산이다. 본조사는 1,473m, 1,368m, 949m, 524m 고도에서 지점을 선정하여 함정트랩(pitfall trap)을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한후 군집구성을 분석하였다.조사결과 17속 24종 7,487개체가 딱정벌레류(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가 확인되었으며, 조사지역 세부 지점별로차이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윤줄납작먼지벌레(Colpodes xestus), 청진민줄딱정벌레(Aulonocarabus seishinensisseishinensis), Synuchus sp.1, Synuchus sp.2, Poecilus sp., 강원우리딱정벌레(Eucarabus cartereti cartereti)가 우점종 및아우점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조사를 통해 딱정벌레 분포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한다.
27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imals must maintain proper balance between energy intake and expenditure. Recently, we descovered the enzymaticco-factor tetrahydrobiopterin (BH4) inhibits feeding in Drosophila. BH4 biosynthesis requires the sequential action of theconserved enzymes Punch, Purple, and Sepiapterin Reductase (Sptr). Although we observe increased feeding upon lossof Punch and Purple in the adult fat body, loss of Sptr must occur in the brain. We found Sptr expression is requiredin four adult brain neurons that express NPF, the fly homologue of the vertebrate appetite regulator NPY. Mechanistically,we found BH4 deficiency reduces NPF levels, while excess BH4 increases NPF accumulation without altering its expression.
27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NKTECH)는 남북한 간의 과학기술교류를 지원하고, 통일 한국을 준비하고자 북한의 과학기술 및 관련 지식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다. 학술논문은 과학원통보, 기상과 수문, 기술혁신, 김일성종합대학학보-자연과학, 산림과학, 생물학 학술지 등에서 검색하였다. 곤충과 관련된 북한의 연구를 검색하여 정리한 결과, 주된 연구의동향은 생태, 천적, 살충제 연구 등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더 많은 문헌 검색 후 남북한 간에 상이한 국명을 재정립할필요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27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esidual amount of fumigant was measured over time after fumigation on pine wilt disease infected Pinus koraiensislogs in the forests of Yeoncheon and Pocheon. Dimethyldisulfide (DMDS, 99.6%) was treated in large scale fumigation(100m3) in Yeoncheon and measured after removing tarpaulin cover in the 2 weeks of fumigation. DMDS was detectedat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77.9 mg/kg in the 2nd week of treatment and decreased to 0.6 mg/kg in the 24th week.Metam-sodium (25%) was treated in small scale fumigation (1m3) in Pocheon and the amount of methylisothiocyanate(MITC) was measured after removing tarpaulin cover at each time of investigation. MITC was detected at the highestconcentration of 72.0 mg/kg in the 2nd week of treatment and then decreased to 7.0 mg/kg in the 24th week. However,unlike DMDS, MITC in the 12th week was detected at high concentration similar to the 1st week, indicating that thecontinuity of the sealing with tarpaulin would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the residual amount change in fumigated logs.
276.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til recently, molecular detection method for Bursaphelenchus xylophilus (Bx) infesting pine trees and killing themhas been developed several ways such as RFLP, Real-time PCR and LAMP. However, these were not only time-consumingprocess but also could not confirm the result in a short time. Furthermore, these methods also need thermo cycler orthermostat which are not portable and inexpensive. For above reasons, we had been developed the detection method forBx remaining in the pinewood chips without using electronic devices. In this study, we had used DUNT buffer that isable to extract genome DNA from Bx in the pinewood within 10 min and isothermal amplification that could be amplifiedthe specific DNA fragment of Bx at 37 ℃ for 10 min. As a result, our method is able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of Bx in pine trees within 20 min and could be used in the field as it does not require the electronic devices.
27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물검역선충 검사는 선충분리[직접검경→침지→체법→변형베르만깔대기법→해부현미경 검경]와 종 동정[해부현미경검경→표본제작→광학현미경검경, 해부현미경검경→분자생물학적 종 동정]으로 이루어진다. 선충분리는 깔대기법으로 식물체를 검사할 경우 시료양의 변화를 수용할 수 없으며, 여름철 고온기 부패로 선충 검출이 되지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침지법을 도입하여 해결하였으나, 높은 선충 검출율로 높은 검역처분이 가능하였졌으나,체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 따라 분리효율이 차이나고, 작업과정이 힘들어서 작업과정을 표준화 및 노동력절감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계화 표준화를 위한 매뉴얼 체법 기계를 개발하였다. 그리고,작업과정에서 선충의 비산을 막으면서 선충을 쉽게 다룰 수 있는 노즐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매뉴얼 체법기계와 노즐을 도입한 식물기생선충 분리 자동화 장비 사양 개발을 추진하였다. 최종적으로 [투입, 부유, 분리,수집, 보관, 세척, 모니터링 및 제어부]로 구성된 무인자동화 선충분리 시스템의 사양을 개발하였다.
27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재식용식물은 국제적으로 병해충 유입 및 확산 고위험품목으로 규정되고 있으며, 현장 검역과정에서 재식용식물의병해충 검출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미국 등 선진국과 중국, 동남아시아 국가는 이미 재식용식물에 대한 위험분석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로 수입된 묘목류는 약 10만건(화물 수입건 기준)이며, 수입 묘목류 전체 해충검출건수는 약 1만건(600여종 이상), 규제․잠정규제해충 검출건수는 약 7천건(400여종 이상)이다. 연도별 묘목류 해충검출건수는 ‘12년부터 ‘16년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해외병해충의 유입 또한 크게 우려되고 있다. 수입 묘목류 중 해충검출이 많은 품목으로는 드라세나, 고무나무, 폴리시아스등이 있으며 검출 빈도가 높은 해충으로 긴꼬리가루깍지벌레(Psuedococcus longispinus), 검정날개버섯파리과(Sciaridae),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 등이 있다. 이처럼 고위험 품목인 수입 묘목류를 통한 해외 병해충의 국내유입 방지를 위해 생산지에서부터 병해충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품목별 위험분석을 통한 위험관리방안 적용이필요하다.
27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제 교역 규모의 증가 및 기후변화는 과거와 달리 다양한 해외 병해충의 국내 침입 및 토착화 가능성을 증가시킬수 있다. 해외에서 유입되는 식물병해충은 국내의 자연생태계와 농업환경 전반에 걸쳐 피해를 줄 수 있기에 국가차원에서 선진화된 검역기법을 통한 병해충의 조기차단과 침입한 병해충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국내로 유입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의 해외병해충에 대한 선제적 연구를 위해 해충전용 밀폐연구시설의 국내 조성 필요성 및 인식에 관한 내용을 곤충학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 설문응답자중 중견연구자와 신진연구자의 경우 각각 85%와 60% 이상 밀폐연구시설의 국내 조성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설은국가주도로 이루어져야한다고 전체 피설문자의 75% 이상이 응답하였다. 또한, 전체 설문 응답자의 95% 이상은밀폐연구시설이 국내 식물검역기술개발과 검역관련 정책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이 답변하였다.
28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ood pellets are used by Biomass-solid refuse fuel (Bio-SRF) has been imported from many East-Asia countries especially,Vietnam in Korea. Wood pellets are made through grind and high-pressure process shows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zationlike high methyl bromide (MB) absorption unlike other wood materials. Furthermore, detected pests in wood pellets havesimilarity with detected pests in stored grain. In this study, we analyzed susceptibility on pupa and adult stages of red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in wood pellets against mixture of MB and phosphine (PH3). Mixture treatment ofMB and PH3 was more effective than single MB treatment compare with control. Pupal stage showed more tolerant thanadult stage on each fumigant and 100% mortality was determined at 27 mg/L of MB only at 20°C. However, PH3 increasedMB toxicity on pupae that 100% mortality was observed at 100:1 ratio of MB (5 mg/L) and PH3 (0.05 mg/L) at 20°C.Based on this study, mixture treatment of different type of fumigant will be applied to control of quarantine p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