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2012년 5월) 195

141.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복숭아혹진딧물은 직접적으로 작물을 흡즙가해하여 영양분 고갈로 작물을 고사시키고 간접적으로 많은 식물바이러스도 매개하여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게다가, 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해 복숭아혹진딧물 개체의 저항성이 높아지고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부적절한 결과로, 새로운 생물학적방제제로서 곤충병원성 곰팡이의 활용이 각광받고 있다. 그리하여 이번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토양에서 분리된 다양한 347개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사용하여 복숭아혹진딧물에 병원성을 가지는 20균주를 분리하였고 분리된 균주들을 형태학적, 분자생물학적 동정한 결과, 3 strain의 Lecanicillium attenuatum, 9 strain의 Beauveria bassiana, 1 strain의 Metarhizium anisopliae, 1 strain의 Metarhizium flavoviride, 5 strain의 Paecilomyces lilacinus, 1 strain의 Aspergillus sp. 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20개 균주의 포자에 대한 고온안정성, 저온발아력, UV안정성과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병원력을 조사한 결과, Lecanicillium attenuatum SDMp1, Beauveria bassiana 4-2, Paecilomyces lilacinus 4-4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선발된 3균주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제로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14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병원성세균의 Bacillus thuringiensis(이하 B.t)는 친환경농업의 주요 농자재로 사용되는 생물농약 중의 하나이다. B.t는 그람양성세균이며 spore, crystal를 형성하고 parasporal inclusion를 형성을 한다. 포자 형성기에는 균체 내에 δ-내독소라는 독소단백질을 생성한다. δ-내독소는 곤충이 섭식 시 중장세포막에 binding 된 후 중장을 파괴하여 치사에 이르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김천 지역의 밭과 과수원 토양으로부터 총 8곳에서 sample을 채취하여 살충활성이 우수한 B.t를 분리 선발하고자 하였다. 토양희석액을 nutrient agar plate에 고르게 도말한 후 27℃에서 3~4일간 배양한 후 형성된 colony들 중에서 배양특성이 B.t와 유사한 80개의 colony를 선발하였다. 위상차현미경으로 spore형성과 crystal의 형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를 형성하는 16개의 B.t를 확보할 수 있었고, 그중bipyramial형 15개와 irregular형 1개가 확인되었다. 분리선발된 16개 균주의 살충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내 누대 사육한 나비목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에 실험한 결과, 높은 사충율을 나타냈다. 추후에 나비목 파밤나방(Spodoptera exgua)에 대한 살충활성을 확인한 후 SDS-PAGE를 통하여 단백질패턴을 분석할 계획이다.
143.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도, 베트남, 칠레, 중국, 필리핀, 케냐, 탄자니아, 페루, 인도네시아, 코스타리카, 그리고 라오스 외 총 23개국의 서로 다른 5000종 식물의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해서 뎅기, 뎅기열, 황열병의 주 매개체인 Aedes aegypti 에 대해 살충 활성을 검정 하였다. 유충의 사충률은 처리 후 24시간 후에 확인 하였다. 500ppm에서 사충률 > 90% 이상 되는 식물체는 49 종의 식물체로 확인 되었다. 49종의 식물체 추출물의 처리 농도를 희석 과정을 거쳐서 확인 후 최종적으로 3종의 식물체를 선별 하였다. 3종의 식물체는 인도에서 채집한 Araceae과의 Scindapsus officinalis (Roxb.) Schott, 케냐에서 채집한 Commelinaceae과의 Commelina africana L., 그리고 탄자니아에서 채집한 Fabaceae과의 Millettia oblata Dunn 이다. 이 3종의 식물체를 유기용매 4가지를 이용 하여 분획 과정을 거친 후 살충 활성 검정 후 높은 활성을 보이는 분획물의 LC50 값을 확인하였다. Scindapsus officinalis (Roxb.) Schott 는 클로로포름 분획물 (LC50-13.93), 부탄올 분획물 (LC50-15.65)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Commelina africana L 는 헥산 분획물(LC50-1.85), 에틸아세테이트 (LC50-5.5)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Millettia oblata Dunn는 헥산 분획물(LC50-8.77), 에틸아세테이트(LC50-9.73)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 세 가지 식물은 Aedes aegypti 유충 방제를 위한 좋은 원료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144.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딸기수출재배단지에서 발생하는 점박이응애, 진딧물류, 작은뿌리파리의 분포를 파악하여 방제에 활용하고자 조사를 수행하였다. 진주시 수곡면에 위치한 딸기재배단지의 농가 20곳(토경재배 15곳, 양액재배 5곳)을 선정하여 2주 간격으로 3개월간 조사를 실시하였다. 재배방법에 따른 해충발생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고, 전반적으로 점박이응애는 발생하였으나 진딧물과 작은뿌리파리 유충은 발생이 미비하였다. 작은뿌리파리 성충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기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며, blue sticky trap보다 yellow sticky trap에서 더 많이 채집되었다. 따라서 점박이응애, 진딧물류는 천적을 활용하고, 작은뿌리파리는 yellow sticky trap을 이용하여 방제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145.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is one of the important pest of soybean, apple, and sweet persimmon. Since its aggregation pheromone was identified,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est by using aggregation pheromone have been developed. Aggregation pheromone of R. pedestris is comprised of (E)-2-hexenyl (E)-2- hexenoate (E2HE2H), (E)-2-hexenyl (Z)-3-hexenoate (E2HZ3H), tetradecyl isobutyrate, and octadecyl isobutyrate. For developing more facile synthetic method, Steglich esterification was applied for syntheisis of E2HE2H and E2HZ3H under various conditions. E2HE2H and E2HZ3H were prepared in a single step with (E)-2-hexenoic acid for E2HE2H and (Z)-3-hexenoic acid for E2HZ3H, and (E)-2-hexenol in aprotic solvents (CH2Cl2, diethyl ether and toluene). Yields of E2HE2H was 59.7-77.3%, 56.1-57.7% and 75.6-77.6% under CH2Cl2, diethyl ether and toluene solvent systems, respectively (purity: 92.8-97.0%). Yield of E2HZ3H was 87.2-90.8% under CH2Cl2 condition (purity: 96.2-97.0%). The applied Steglich esterification method gave as same yield as previously reported method and saved time and cost.
146.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is a worldwide crop pest with a high insecticide resistance and an extensive host rang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aeciPora®, which was formulated from the aerial conidia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Paecilomyces lilacinus strain HY-4, to control T. urticae in cucumber field. In the field study, conidia of P. lilacinus HY-4 and a chemical acaricide azocyclotin were investigated for their control of the adult females of T. urticae. The strain produced a mortality of 56.0% on day 3 and 63.6% on day 7 post-treatment respectively at 1×107 conidia/mL, and no evidence of a mortality benefit was seen in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in the pesticide injury test, no agrochemical damage was found in hot pepper, watermelon, Chinese cabbage, oriental melon or strawberry by spraying PaeciPora® on them. The results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P. lilacinus HY-4 as a micro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T. urticae in the Integrated Pest Management program.
147.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habditis blumi, isolated from Exomala orientalis, is a necromenic type of nematode that possesses several attributes of a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 such as ease in culture conditions, high rates of reproduction and virulence, short life cycle and rapid multiplication etc. Pathogenicity of R. blumi was tested against 5 coleopteran species and 5 lepidopteran species. All insect larvae were susceptible to R. blumi, showing over 60% mortality except for Holotrichia kiotoensis and Ectinohoplia rufipes. The highest mortality was observed in Plutella xylostella (88%), followed by Artogeia rapae, Exomala orientalis, Spodoptera litura and Anomala rufocuprea (over 70%). Reproductive capacity of R. blumi differed from each insect species, ranging from 17 to 656 dauer juveniles/mg of insect larva. Dauer juvenile production was most in Plutella xylostella larvae, producing 656 dauer juveniles/mg of host body weight, followed by E. orientalis, H. kiotoensis, and A. rapae larvae (over 100 dauer juvenile per mg).
148.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작은뿌리파리(Bradysia difformis)는 유충이 직접 뿌리를 가해하거나 간접적으로는 토양 중 식물병원균 Fusarium, Pythium 등과 함께 작물체에 복합피해를 유발하는 해충이다. 작은뿌리파리는 2008년 이전에는 주로 육묘장, 수경 및 양액재배 작물에서 피해를 일으켰으나, 2008년 충주, 2009년 담양, 2009년 익산, 2010년 화성에서 토양재배 시설 토마토에서 심각한 피해가 나타났다. 그 후 전국적으로 토양재배 토마토에서 피해가 나타나고 있어 경기도 및 충남 지역의 주요 토마토 재배지역을 중심으로 작은뿌리파리의 발생밀도와 피해 및 방제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경기도 화성, 충남 아산과 천안의 토양재배 토마토에서 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작은뿌리파리의 발생밀도를 조사한 결과 화성에서는 5개 트랩 당 반촉성재배 시 0∼38.2마리, 억제재배 시 0.6∼110.2마리, 아산에서는 반촉성재배 시 0.6∼34.0마리, 억제재배 시 0∼33.4마리, 천안에서는 반촉성재배 시 1.2∼235.6마리, 억제재배 시 1.2∼52.8마리로 조사되었다. 각 지역마다 임의로 50주에 대해 피해주수를 조사한 결과 화성과 아산에서는 반촉성 및 억제재배에서 피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천안에서는 반촉성재배 시 0∼22.4주에서 피해가 나타났으며 억제재배에서는 피해가 없었다. 작은뿌리파리에 대한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행재배농가에서는 티아메톡삼 입상수화제, 루페뉴론 유제,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를 교호로 3회 살포하였다. 또한 무농약 토마토 재배농가에서는 총채가시응애(Hypoaspis aculeifer)를 m2당 15.2마리(15,000마리/300평) 밀도로 3회 방사하였다. 그 결과 살충제 및 천적 처리구의 작은뿌리파리 밀도는 각각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90% 이상 감소되었다.
149.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ubstrate affinity and insecticide sensitivity of acetylcholinesterase (AChE) from Daphnia magna S., Bombyx mori L., Musca domestica L., Myzus persicae S., Anguilla anguilla L., Cyprinus carpio L., Oryzias latipes T.&S., Homo sapiens L., Bos taurus L. were tested. The Km values of M. domestica AChE to acetylthiocholine (ATCh), propionylthiocholine (PTCh), butyrylthiocholine (BTCh) were 57.3 μM, 13.4 μM and 85.9 μM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those of A. anguilla, C. carpio, O. latipes, H. sapiens and B. taurus. In nontarget organisms, the I50 values of AChE to fenitroxon and DDVP were 1.5×10-6 M~7.8×10-5 M and 2.4×10-6 M~1.1×10-4 M respectively, thus they have lower sensitivity compared with M. domestica. The I50 value of M. persicae AChE to pirimicarb was 1.3×10-8 M, which was higher sensitivity compared with other test animals except D. magna. The I50 values of D. magna AChE to fenitroxon, DDVP, carbaryl, eserine, pirimicarb were 5.2×10-10 M~2.1×10-8 M, which were higher sensitivity compared with the other test animals used for this study. cDNA of Daphnia magna AChE precursor was sequenc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Musca domestica, Drosophila melanogaster and Torpedo californica.
150.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oxicity of 102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third instars of cecidomyiid gall midge, Camptomyia corticalis, was examined using a vapor-phase mortality bioassay.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a conventional insecticide dichlorvos. Based on 24 h LC50 values, all essential oils were less toxic than dichlorvos (LC50, 0.027 mg/cm3). The LC50 of caraway seed, armoise, sage (Clary), oreganum, lemongrass, niaouli, spearmint, cassia special, sage (Dalmatian), thyme red, bay, garlic, and pennyroyal essential oil is between 0.55–0.60 mg/cm3. The LC50 of cassia pure, thyme white, cassia redistilled, star anise, peppermint, wintergreen, cinnamon bark, majoram, chamomile romon, eucalyptus, rosemary, cedar wood, pimento berry, savory (summer), lavender, and coriander oil is between 0.61–0.99 mg/cm3. All other essential oils tested exhibited low toxicity to the cecidomyiid larvae (LC50,>0.99 mg/cm3). The active principles of active essential oils were identified by GC-MS analysis. The major active principles are such as pulegone, thujone, camphor, 1,8-cineole, a-pinene, thymol, menthol. At a rate of 5 mg/cm3, pulegone, and thujone, exhibited 100% morality whereas camphor, 1,8-cineole, α-pinene, thymol and menthol showed 90% mortality at 15 mg/cm3. Global efforts to reduce the level of highly toxic synthetic insecticid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justify further studies on the essential oils and their constituents described as potential insecticides for the control of the mushroom fly as fumigants with contact action.
151.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oxicity of red pine needle hydrodistillate (RPN-HD), 19 RPN-HD constituents and 12 structurally related compounds and control efficacy of four experimental spray formulations containing RPN-HD (0.5. 1, 2 and 3% sprays) to adult Dermatophagoides farinae was evaluated. RPN-HD (24 h LC50,68.33 μg cm–2) was toxic. Menthol was the most toxic compound (12.69 μg cm–2) and the toxicity of this compound and benzyl benzo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each other. High toxicity was also produced by α-terpineol, bornyl acetate, geranyl acetate, thymol, linalyl acetate, terpinyl acetate, citral, linalool and camphor (18.79–36.51 μg cm–2). These compounds were more toxic than either deet or dibutyl phthalate. In vapour-phase mortality tests, these compounds were consistently more toxic in closed versus open containers, indicating that their mode of delivery was largely a result of vapour action. RPN-HD 3% experimental spray provided 95% mortality against adult D. farinae, whereas permethrin (cis:trans,25:75)2.5gL–1 spray treatment resulted in 0% mortality. In the light of global efforts to reduce the level of highly toxic synthetic acaricides in indoor environments, RPN-HD and the compounds described merit further study as potential biocides for the control of Dermatophagoides populations as fumigants with contact action.
15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oxicity of materials derived from the seed of Pongamia pinnata to third instars of insecticide-susceptible Culex pipiens pallens and Aedes aegypti and wild Aedes albopictus was examined using a direct contact bioassay.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urrently used insecticides fenthion and temephos. The active principles of Pongamia pinnata were identified as the karanjin (1), karanjachromene (2), pongamol (3), pongarotene (4), oleic acid (5), and palmitic acid (6) by spectroscopic analysis. Based on 24 h LC50 values, karanjin (14.61 and 16.13 mg/L) was the most toxic compound, followed by oleic acid (18.07 and 18.45 mg/L) and karanjachromene (18.74 and 20.57 mg/L). These constituents were less toxic than either fenthion (LC50, 0.0031 and 0.0048 mg/L) or temephos (0.021 and 0.050 mg/L) against Ae. aegypti and Cx. p. pallens. Low toxicity was produced by pongamol (LC50, 23.95 and 25.76 mg/L), pongarotene (25.52 and 37.61 mg/L), and palmitic acid (34.50 and 42.96 mg/L). Against A. alpopictus instars, oleic acid (LC50, 18.79 mg/L) was most toxic. Low toxicity was observed with the other five constituents (LC50, 35.26- 85.61 mg/L). P. pinnata seed-derived active principles, particularly karanjin, karanjachromene, and oleic acid, merits further study as potential mosquito larvicides for the control of mosquito populations in light of global efforts to reduce the level of highly toxic synthetic larvicides in the aquatic environment.
153.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심비디움(Cymbidium spp.)의 시설 재배 시 가장 피해가 큰 해충은 점박이응애 (Tetranychus urticae)이다. 양란 재배 농가에서 응애의 방제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약제 중 사이에노피라펜액상수화제, 사이프로루메토펜액상수화제, 스피로디클로펜수화제, 에톡사졸액상수화제 등 4종의 약제에 대한 점박이응애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3년생 심비디움에 약제를 처리한 후 살충효과를 7일, 14일 후에 조사하였다. 처리 후 7일차에 에톡시액상수화제를 제외하고 3종에서 7.1% 이하의 생충율을 보였고, 14일차에서도 에톡시액상수화제를 제외한 모든 약제에서 3.4% 이하의 생충율을 보였다. 점박이응애에 대한 방제효과는 에톡시액상수화제를 제외한 3종의 약제에서 96.5%이상의 방제효율을 보였다
154.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는 온실재배 조건에서 토마토에 커다란 피해를 끼치는 해충으로 가루이 관리를 위해 점착트랩의 직접적인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색깔에 대한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의 유인효과를 확인하였는데 두 종 모두 대부분의 성충이 백색, 청색보다 황색 트랩에 포획되었다.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 성충이 황색점착트랩에 포획된 수와 유의차 없이 천적인 담배가루이좀벌과 온실가루이좀벌 성충 또한 트랩에 포획되었다. 콤비락 안에서 토마토 높이별로 점착트랩을 설치하였을 때 담배가루이가 포획된 마리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온실가루이는 상부에 설치한 트랩에 37.4마리가 포획되어 하부 6.8마리보다 많았다. 토마토 재배 온실에서 가루이 성충은 하단에 설치한 트랩보다 상단에 설치한 트랩에 많이 포획되었다. 온실가루이의 경우 크기가 작은 기주조건에서 트랩에 더 유인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트레이육묘상에서 황색점착트랩을 설치한 결과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 모두 8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점착트랩의 가루이 방제효과를 포장에서 검정하기 위해서 방제용 황색점착트랩을 설치한 온실에서 트랩당 일일 포회수가 0.96마리로 무처리온실 3.11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방제용 트랩을 제거한 뒤 5일 동안에도 처리구의 가루이 성충 밀도는 트랩당 1.39마리로 무처리 3.34마리보다 낮게 유지되어 실질적으로 가루이 밀도 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토마토 트랩을 설치하고 천적을 사용하여 그 혼합효과를 보았는데, 천적과 점착트랩 처리포장에서 성충의 밀도는 최종 트랩당 14.64마리로 나타났고 천적만 사용한 포장은 21.64마리로 나타났다.
155.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기지역에 새롭게 문제가 되고 있는 차먼지응애에 대한 피해양상 및 방제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선발하였다. 차먼지응애는 주로 시설재배농가에서 저온기인 동절기에 다발생하여 피해를 주는데, 크기가 0.1~0.2mm 내외로 매우 작아 육안 관찰이 어려워 초기 발견이 어렵다. 발생지역은 안성시 미양면, 평택시 진위면, 여주시 점동면 등이었으며, 주 피해작물은 오이, 고추, 파프리카, 토마토, 잎들깨, 가지 등이었다. 가장 일반적인 피해양상은 잎 말림, 경화 및 과실의 코르크화 증상이다. 차먼지응애 성충의 약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대조약제인 emamectina benzoate와 대등한 친환경 유기농자재 2종을 선발하였다.
156.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생식용 쌈채소 중 하나인 비트에 발생하는 파밤나방의 친환경 방제기술을 개발하고자 본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실 조건에서 1~2령과 3~4령 파밤나방 유충을 접종하고 고삼제 등 11종의 시판 친환경자재와 송순추출물 등 4종의 농가 자가조제 자재 및 화학농약인 루페뉴론 유제를 살포한 후,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고삼제, 데리스제가 처리 1일차에 모두 사멸하여 방제효과가 높았으며 농가에서 자가조제한 고추씨오일, 자리공추출물, 미생물제, 송순추출액 등은 생존율이 1~2령충은 30~76.7%, 3~4령충 46.7~86.7%로 높아 방제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포장에서 비트를 정식하고 파밤나방 유충을 접종한 후 친환경자재를 살포하고 비트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초장과 엽수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고삼제, 데리스제, 맥반석가루 처리에서 피해엽률이 각각 37.7%, 42.3%, 40.2%로 낮았다. 주당 상품엽수도 고삼제 5.9매, 데리스 5.7매, 맥반석가루 5.9매로 많았고, 엽상품 무게에서도 고삼제 72.7g, 데리스제 71.7g, 맥반석가루 73.8g으로 많았다. 그러나 맥반석 가루는 균일한 살포가 어렵고 비트잎에 붙어 있어 미관이 좋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비트에 발생하는 파밤나방을 친환경자재를 이용하여 방제할 때에는 고삼제와 데리스제가 살충효과가 높고, 상품성도 높았다
157.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lueberry gall midge, Dasineura oxycoccana (Johnson)(Diptera: Cecidomyiidae), has known as a key pest of blueberries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Europe and Canada. It can cause considerable damage to developing blueberry flower buds and also injure vegetative growth by distorting and blackening shoot tips. Similar symptoms of damage, which mighty be caused by D. oxycoccana, have been investigated on blueberry plants(damage rate: 20~80% of total shoot tips), Vaccinium spp., in Hwaseong-si of Gyounggi-do in 2010. And,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on the occurrences of D. oxycoccana and its damages in 2010~2012. We emphasize caution concerning the possibilities that D. oxycoccana could infest flower buds and shoot on blueberries and developed monitoring methods and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strategies for D. oxycoccana on buleberry.
158.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딸기에서 점박이응애에 대한 생물적 방제인자로서 칠레이리응애 평가와 선택독성 약제인 acequinocyl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시설하우스 온실에 6개의 배드(1.5×3m; 딸기 20주)를 조성한 후 점박이응애를 접종(2011. 10. 5; 20주당 100마리)하였다. 칠레이리응애 처리구, acequinocyl 처리구, 칠레이리응애 +acequinocyl 처리구를 두고 점박이응애와 칠레리응애를 7일 간격으로 조사한 결과, 칠레이리응애+acequinocyl 처리구에서 점박이응애가 가장 효율적으로 방제되었다. 칠레이리응애 처리구에서도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낮게 유지되었으나, acequinocyl 처리구에서는 점차 점박이응애 밀도가 증가하여 약제처리 1달 후에는 처음의 밀도로 회복되었다. 농가포장에서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높았을 때 칠레이리응애 방사 후 acequinocyl 처리가 점박이응애를 효율적으로 방제 할 것으로 평가된다.
159.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다양한 식물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약제 저항성 발달이 빠르기 때문에 방제가 어렵다. 이에 야외에서 채집한 곤충병원성 곰팡이인 Paecilomyces javanicus를 이용해 담배가루이에 대한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P. javanicus의 포자를 접종한 경우와 상청액과+tween20을 처리한 처리구가 대조구 및 무처리에 비해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습도 80%로 설정한 방에 20, 25, 30℃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가장 효과가 좋았던 온도는 20℃였으며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살충률이 낮아졌다. 또한 온도 20℃로 설정한 방에 습도 40, 60, 80%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80%에서 가장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냈으며 습도가 낮아짐에 따라 살충률이 낮아졌다. 살포횟수에 따른 효과는 산란 후 31일차에서 3회 이상 살포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41%의 살충 효과를 보였다.
160.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global trades and protection of agro-ecosystem in importing and exporting countries against quarantine pest, quarantine and pre-shipment(QPS) fumigation in perishable commodites like strawberry is critical in terms of quality maintenance of fumigated commodites. Currently, there are limited use of MB fumigation on fruits and vegetables due to low temperature storage and phytotoxic effect or damage in postharvest qualities in many commodites. In this paper, efficacy and quality accessment of methyl bromide(MB) alternatives, ethyl formate and phosphine gas are presented for export strawberry. Efficacy of phosphine gas and ethyl formate are described in terms of concentration × time (CT) products to Frankliniella occidentalis, Aphis gossypii and Myzus persicae.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