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4 한국육종학회 차세대BG21사업단 골든씨드프로젝트사업단 공동심포지엄 (2014년 7월) 389

2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eating quality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top priorities in determining the agronomical value of rice. Thus the rapid evaluation of eating quality at early breeding generations in breeding programs for better eating quality is of great importance. However, it has been limited due to the complex nature of eating quality and the absence of standard evaluation method. In our previous study, we developed a evaluation method with a set of DNA markers that allows to predict the eating quality for japonica rices. Here we successfully developed another marker set for the eating quality of indica rices.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54 markers, which were preselected for their possible association with eating quality, using 24 indica varieties with different palatability scores. Of these markers, eighteen mark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latability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 Accordingly, a marker set in the model regression equation with a high R2 (0.997) was formulated to estimate indica rice palatability. Validation suggests that markers and the statistical parameters formulated by the equation could be a potential tool to predict the palatability of cooked Indonesian indica rice and could be reliable in developing country-dependent model equations for eating quality.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Next-Generation BioGreen 21 Program (Plant Molecular Breeding Center No. PJ0081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2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80 F7:8 recombinant inbred lines (RIL),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dent corn and waxy corn, were evaluated for 10 grain yield and eating-related traits over a two-year period. A total of 39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and 74 epistatic interactions were confirmed in 2011 and 2012. All QTLs detected in 2011 and 2012, qAC9 (amylose content), qEH4 (ear height), qSEL6 (setted ear length), and q100KW10 (fresh 100 kernel weight) had higher phenotypic variance and were observed in both years; therefore, they may be considered major QTLs. We reported that the QE interaction affects (QTLs and environmental changes) for qEH4, qSEL6, and q100KW10 in discussion. Some new QTLs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located on different loci compared with other studies. The genetic region (bin 4.08) strongly controls plant height and ear height, and results from pleiotropy and/or tight linkage. qST3 (including stem thickness) and qEH3 were co-located within two common adjacent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umc2275 and umc1273), whereas qEL6 (ear length) and qSEL6 were co-located within two common adjacent SSR markers (umc2309 and bnlg238). Thus, these SSR markers are a useful selection tool for screening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 traits.
2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itter buckwheat, also called tartari buckwheat (F. tartaricum), contains large amount of rutin and it has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common buckwheat. But after harvesting and processing, the discrimination of two species through visual inspection was almost impossible. Therefore we developed InDel markers to identify common and tartari buckwheat content based on th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We conducted complete full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tartari buckwheat and compared with common buckwheat chloroplast genome sequence (NC010776). Based on the mVISTA alignment, we found eight big InDel (above 50bp) regions. Among the InDel, 6 regions are intergenic region and two are genic region in ycf1. We designed InDel specific primers and applied to PCR with buckwheat genomic DNA to check the discrimination of two species. These InDel specific primers also applied to buckwheat germplasm, 75 tartari and 21 common buckwheat. Among the primers, 5 markers could be successfully amplified in all germplasm species specific amplicon. And we can detect 10pg/ul of DNA and processed food such as tea and noodle. These results could improve the QC (Quality control) of tartari buckwheat food
2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w QTLs were identified for high grain yield with long panicle in rice. A total of 137 F15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Dasanbyeo (Tongil) and TR22183 (japonica), together with the parents were evaluated for 16 agronomic traits at IRRI in dry and wet seasons under different phosphorus (P) and irrigation conditions. A linkage map was constructed using 236 polymorphic markers in 384-plex Bead Xpress indica-japonic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platform. P and water effects were significant in both wet and dry seasons. Both parents and RILs showed varying degree of sensitivities to scarcities in water and phosphorus in terms of panicle length. Collocating with 20 yield-related QTLs, the panicle QTLs on chromosomes 1 (pl01) ,2 (pl02), 9 (pl09), and 11 (pl11) under low P and rainfed conditions were identified. RILs with TR22183 allele at pl11 showed longer panicle length under low P input rainfed condition in dry and wet seasons. The whole-genome sequences of the two varieties are being compared to design the molecular markers for fine-mapping and candidate gene identification. Based on Nipponbare MSU 7.0 annotation, a total of 1464 genes with predicted function were identified within the four QTL regions. Candidate genes identified in other studies for QTLs under low P and water conditions, such as calmodulin and dehydrin genes, were targeted for designing molecular markers for fine-mapping and expression analysis. Pyramiding the panicle length QTLs correlating with yield QTL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of improving yield traits.
2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frica, rice is the fastest demanding staple food with a high growth rate of consumption at 4.5% per annum. Currently Africa occupies 32% of world rice imports, and pressure on rice is expected to rise in the near future. Faced with this deficit, Korea has launched the rice breeding project through Korea-Africa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KAFACI) of which goal is to increase rice productivity through accelerated development of improved germplasm and varieties in Africa. As of 2013, the ten African member countries joined the rice breeding projects of KAFACI program; they are Cameroon, DR Congo, Ghana, Kenya, Malawi, Mali, Nigeria, Sudan, Tanzania, and Uganda. We adopted the breeding strategy of intervarietal cross and anther culture to speed up high-yielding secondary populations using the Korean and African germplasm. Korean germplasm is composed of 1) temperate japonicas adaptable to tropical conditions of short-day length and high temperature 2) wide-cross derivatives from African wild species, O.glaberrima and O,longistaminata, and 3) tongil-type varieties. These germplasm is evaluated for adaptability in Africa and African partners make crosses with local germplasm with the best selections. Korea produce double-haploid populations from these crosses for another cycle of selection for high-yielding lines in Africa. Inter-varietal crosses and double-haploid technology could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high-yielding germplasm and new rice varieties in Africa within short project period.
2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특성 중 작부체계 및 기계화 적응성은 재배적 측면에서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조숙화로 인한 생육기간의 단기화는 9월 하순 파종, 6월 중하순 수확하는 양파나 마늘 같은 후작 작물의 작부체계 구성을 유리하게 한다. 또한 착협고의 증가와 내도복성은 콤바인 또는 바인더 등 기계화 수확 시 수량손실 감소에 기여할 수 있어 생산비 절감 등 수익 증대를 위해 조숙 기계화 적응성 품종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2003년 ‘신기’를 모본으로 ‘태광콩’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2004년∼2005년 F1, F2 세대를 양성하고, F3부터 계통 전개 및 선발하여 준조숙 고착협 내도복 특성의 장류 및 두부용 콩 신품종 ‘태선(밀양230호)’을 육성하여 2014년 품종보호 출원 및 국가품종목록으로 등재하였다. ‘태선’은 경장이 68㎝ 에 화색은 농자색, 모용색은 회색, 종실은 황색 구형, 배꼽색은 황색이며 100립중은 22.2g이다. 병해충 저항성 검정 결과 불마름병 저항성은 표준품종인 대원콩보다 강하였다. 특히 성숙기는 2011년에서 2013년의 지역적 응시험 평균 10월 4일로 표준품종인 대원콩보다 10일 빨라 생육기간이 짧아졌지만 수량은 303㎏/10a로 표준 품종인 대원콩보다 10% 증수하였고 착협고는 18㎝로 대원콩보다 7㎝높으며 내도복성 또한 시험포장과 검정 포장에서 대원콩보다 강하였다.
2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 “중모5005(밀양43호)”는 내병 다수성 품종육성을 목적으로 모본 “한섬깨”와 부본 “SIG950033-2-2-1”을 2000 년 인공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한 품종이다. “중모5005”의 주요 형태적 특성을 보면 초형은 소분지형이고 꼬투리는 3과성 2실 4방형이며 화색은 백색이다. “중모5005” 의 개화기는 7월 6일로 표준품종인 “양백깨”보다 2일 늦고 성숙기는 8월 24일로 1일이 늦었다. 경장은 142cm로 “양백깨”보다 17cm 컸으며 착삭부위장도 컸고, 주당삭 수는 76개로 1개가 적은 경향이다. “중모5005”의 종실수량은 103kg/10a으로 “양백깨”와 같았다. 또한 “중모5005” 는 표준품종인 “양백깨”보다 역병, 도복에 강한 특성을 나타냈다. “중모5005”의 품질 특성을 보면 조지방함량은 50.1%로 높았으나 단백질 함량은 23.4%로 낮았고, 인체의 노화억제와 항암 효과가 있는 기능성 리그난성분인 세 사민 함량은 4.4mg/g으로서 표준품종 “양백깨”보다 1.3mg/g 많은 품종이다.
2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rought stress is one of the major stress affecting growth and productivity in rice. Drought tolerance is a complex trait governed by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mechanisms underlying it. We generated a set of 55 introgression lines via a backcrossing using Milyang23, a Korean Tongil-type rice variety as the recurrent parent and O. glaberrima (IRGC Acc. No. 103544), an exotic collection from Mali, West Africa as donor parent. 141 SSR markers were used to genotype 55 introgression lines. The 55 introgression lines with the Milyang23 were evaluated for physiological traits such as Fresh shoot weight (FSW), Fresh root weight (FRW) and Dry shoot weight (DSW) under control and 20% PEG-treated condition. Three lines (IL9, 12, 55)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with Milyang23 were selected. The genetic background of the three lines were similar to Milyang23 and it has four, four and two O. glaberrima homozygous segments, respectively. IL9 performed better than Milyang23 in all traits measured in the 20% PEG-treated condition. IL9 possessed four O. glaberrima introgressions on chromosomes 1, 2, 6 and 7. IL12 performed better than Milyang23 in FSW and FRW. IL12 contains four O. glaberrima introgressions on chromosomes 3 and 6. And IL55 contains two O. glaberrima introgressions on chromosomes 2 and 6. O. glaberrima segment delimited by markers OSR19-RM225 at chromosomes 6 was commonly present in these three lines. This region corresponds to the QTL region for drought tolerance reported by other previous studies. A set of introgression lines are being developed containing only few chromosomal segments from O. glaberrima in the Milyang23 background. These would be useful not only in developing drought tolerant lines in the breeding program but also in fine-mapping the genes/QTLs for drought resistance.
2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iant head(GH)형 밀은 보통 밀(금강)보다 이삭이 길고 립수가 많아서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높아 밀 생산 농업인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상기상에 대비한 병해및 재해안정성을 갖추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이에 GH형 밀 계통의 병에 대한 평가를 통한 저항성 계통을 육성하고 안정적인 생산을 할 수 있는 품종 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3년 주요 GH형 밀 19계통과 2014년 GH형 밀 176계통을 밀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흰가루병과 붉은곰팡이병 저항성 검정을 하였다. 흰가루병 검정 결과, 2013년 GH형 계통 중 GHW109는 유묘 검정에서는 R, 성체검정에서 1로 저항성을 나타냈고, 2014년 유묘검정에서는 GHW012, GHW018 2계통이 1반복 에서는 R, 2반복에서는 S로 반복간에 차이가 있었고, 이는 년차간 재현성이 낮았다. 붉은곰팡이병 검정 결과, 2013 년 19계통에서는 76.4∼100.0%, 2014년에는 176계통에서는 12.0∼100.0%를 나타냈다. 176계통 중에서 GHW135 계통은 12%, GHW114 계통은 22%, GHW53 계통은 40%, GHW011 계통은 39% 순으로 금강밀 100.0% 이병율에 비 해 낮게 나타났다. 향후 이삭이 길고 립수가 많은 GH형 계통 중에서 붉은공팡이병에 중도 저항성을 보인 4계통은 유전자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며, 붉은곰팡이병과 흰가루병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원을 GH형 밀에 집적하여 국산 밀의 병 저항성 증진 연구를 계속 수행할 계획이다.
3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는 탄닌, 안토시아닌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능성이 우수한 작물로 육종의 방 향은 수량뿐만 아니라 기능성 품종의 개발이 필요하다. 수수 중모4002는 항혈전활성이 우수한 찰수수로 2013년 육성된 신품종으로 고유특성은 이삭 측면 모양이 타원형으로 밀수형의 형태를 가지며, 이삭밀도는 중간이다. 종 실의 받침껍질색은 짙은 갈색이고 종실색은 적갈색이며, 배유특성은 찰성이다. ’12년 2개소에서 실시한 평균 출수 일수는 중모4002는 68일로 63일인 황금찰수수보다 5일정도 길었으며, ’13년 6개소에서 실시한 평균 출수일수는 중모4002이 65일, 황금찰이 58일로 7일정도 차이를 보여 ’12∼’13년 6개소 평균 출수일수는 중모4002는 67일, 황금 찰이 61일로 6일 정도 늦었다. 간장은 164 cm로 황금찰에 비해 9 cm 크며, 이삭길이와 폭은 큰 차이가 없다. 줄기직 경은 황금찰에 비해 2.1 cm가 더 굵어 도복에 강하고 엽장은 길지만 엽폭은 비슷하다. 중모4002의 주당 이삭수는 1.1개로 황금찰과 비슷하고 1수당 이삭중은 53.9 g, 이삭당 종실중은 35.4 g, 천립중은 20.3 g으로 황금찰과 비슷하 다. ’11∼’12년 밀양 지역에서 실시한 생산력 검정시험에서 중모4002의 현곡 평균 수량이 182 kg/10 a으로 황금찰 수수(175 kg/10 a)와 비슷하였다. ’12∼’13년 6개소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중모4002 현곡 평균 수량이 316 kg/10 a으로 황금찰(323 kg/10 a)과 비슷하였다. 중모4002은 황금찰수수보다 단백질, 칼륨,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함량은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항산화활성에 관여하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 은 황금찰보다 높았다. 혈액의 응고능력을 측정하는 상대적 트롬빈(thrombin) 시간을 측정한 결과 지표물질인 아 스피린 보다 적은 농도인 5 mg/mL에서 중모4002가 190.5%로 황금찰보다 12% 높은 활성을 보였다.
3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품종 ‘중모1031’은 기상이변으로 조생벼 재배지대의 재해 및 병해 발생 증가에 대비 벼 조생 품종의 내재해성 및 내병성을 증진할 목적으로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02년 하계에 조생종인 상미벼와 운봉31호와 인공교배하여 2003년에 F1세대, 2004년에 F2세대, 2005년 F3세대 이후부터는 포장에서 계통육종법에 의해 선발하면서 주요 병해 충 및 미질검정을 병행하였다. 선발된 우량계통에 대해 2008~2010년 3년간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한 결과 조생 종이면서 도열병 및 흰잎마름병에 강하면서 쌀 외관이 양호한 SR28111-27-3-2 계통을 철원84호 계통명을 부여하 여 2011~2013년 3년간 지역적응시험 실시한 결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 저항성이 인정되어 2013년 12월 농촌 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중간모본 ‘중모1031’으로 명명하였다. ‘중모1031’은 출수기가 보 통기 보비재배에서 7월26일로 오대벼와 비슷한 조생종이다. 벼 키는 오대벼보다 12cm 작은 단간종으로 쓰러짐에 강하고, 주당수수는 13개로 오대벼와 같으나 수당입수는 80개로 오대벼의 67개보다 13개가 많다. 잎도열병과 흰 잎마름병 K1, K2 그리고 K3에 강한 편이다. 저온발아성에는 양호하였으며, 수발아도 잘 안되는 편이다. 쌀알의 크 기는 현미 천립중이 22.0g으로 오대벼 26.3g보다 적은 소립이고 쌀의 외관은 맑은 편이다. 쌀수량성은 5.47톤/ha으 로 오대벼보다 5% 증수되었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조생벼 재배지대에서 흰잎마름병 발생이 빈번한데 ‘중 모1031’은 향후 흰잎마름병 저항성 조생품종 육성에 중간모본으로서 역할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3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벼 재배지역은 북방한계 지역으로 파종기에서 등숙기까지 전 생육기간을 통하여 냉해에 노출되어 있 고, 지구의 온난화가 도래하는 과정에 돌발적인 저온 내습의 잠재적 위험성 내재하고 있다. 그래서 지구온난화 등 기후 변화에 대응 우리 품종의 내냉성에 대하여 안정성을 증진시키고자 2013년 중국 운남성 마롱(해발 2,124m)과 국내 진부(해발 576m) 지역에서 국내 벼 6품종 및 계통을 시험지별 표준재배법으로 관리 재배하고 이들 품종의 출 수일수, 작물학적 특성 및 내냉성 등을 조사하였다. 시험 품종들의 평균 출수일수는 중국 운남에서는 73일 한국 진 부에서 70일로 중국 운남에서 3일 정도 길었다. 간장은 중국 운남과 한국 진부에서 63∼64cm로 거의 비슷한 경향 이었다. 주당수수는 한국 진부에서 14개로 중국 운남에서 보다는 5개가 많은 반면, 수당입수는 중국 운남에서 102 개로 한국 진부에서 보다는 43개가 많았다. 또 현미천립중은 중국 운남에서 25.5g인 반면 한국 진부에서는 23.0g으 로 중국 운남에서 현미천립중이 다소 무거운 편이었다. 내냉성과 관련된 임실율은 중국 운남에서 60.3%, 한국 진 부에서는 65.7%로 한국 진부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고, 등숙율은 한국 진부에서 90.3%로 중국 운남의 55.7%에 비하여 매우 높은 편이었다.
3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북 세 지역의 귀리포장(익산, 전주, 김제)에서 귀리의 보리황화위축바이러스(Barley yellow dwarf virus, BYDV) 병징을 관찰한 후 이를 면역혈청학적 방법 및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진단하여 귀리의 BYDV 감염을 확인하였다. 귀리는 BYDV의 기주식물이며 감염 시 잎과 잎집이 붉은색으로 변하고 생육이 위축되는 특징을 보이므로 감염여 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 가능하기에 지금까지 귀리 육종 및 재배시험 과정 중 귀리의 BYDV 감염을 관찰하여 왔 으나 병징 육안관찰 외의 방법으로 귀리의 BYDV 감염을 진단 및 보고하지 않았기에 아직 한국식물병명목록에 귀 리의 BYDV 감염이 등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세 지역에서 전형적인 BYDV감염 병징을 나타내는 귀리를 채집하 여 RT-PCR 진단 및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세 지역에서 수집한 귀리 모두가 BYDV에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여 우 리나라에서 귀리의 BYDV감염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귀리 재배포장에서 올해 특히 BYDV 감염 병징이 확연 히 드러난 것과 올겨울이 4월 상순까지 평년에 비해 1.5℃ 따뜻하였던 결과로 미루어볼 때 따뜻한 겨울조건에서 매개충인 진딧물의 월동률이 높아지고 생육시기가 빨라졌기에 진딧물 매개 BYDV 감염이 증가하였으리라 추정 가능하며, 전지구적 기후변화와 맞물린 귀리의 BYDV 발병증가에 대비하기 위한 귀리의 BYDV 저항성 검정과 이 를 위한 검정체계 개발이 요구된다.
3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il salinity limits crop productivity in many regions. This problem would be more serious as the global climate changes and worldwide water shortages would accelerate soil salinization. This study is fulfilled with aim on resolve crop cultivation in dry/saline land as an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project with Tunisia. Total 48 lines of wheat cultivars including 32 common wheat (16 Korean wheat, 16 Tunisian common wheat) and 16 Tunisian durum wheat were incorporated in this study. Salt stress was applied for 2 weeks by submerging the pots into 500 mM NaCl at 3-leaf stage followed by re-watering for restoration in greenhouse. Numerous agronomic/growth parameters were scored for tolerence. SSR primers that have been known to be related to salt tolerance were applied to explain selected popul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PCR-based length polymorphism of selected lines and their resistance were evaluated. The obtained information will aid selection for salt tolerance hexa/tetraploid wheats.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EST) (No. 2012K1A3A1A09028123) and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for Agriculture Science &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title: Development of high yielding wheat with stress tolerance via molecular breeding strategies, Project No. PJ00803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3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obtain a better insight into a possible common regulatory mechanism shared in response to heat and cold stresses in model monocot plant, expression profiling for several selected transcripts of rice (O. sativa L.) was examined from meiotic stage panicle samples of a number of different cultivars including both heat/cold tolerant and susceptible varieties. Induction of several of these genes in response to heat stress treatment was observed across all different rice varieties tested, but no differential induction kinetics between the heat-tolerant and susceptible varieties was discernable for these genes. On the other hand, a few genes that are known to be involved in ROS signaling showed different induction kinetics between the tolerant and susceptible varieties, suggesting that these genes might be playing a key role in conferring the heat/cold stress tolerance at reproductive stage of tolerant rice varieties. This approach was also augmented by comparative gene expression data analyses, utilizing expression data of other monocots and dicots model plants available in the database. Based upon these results, a preliminary gene pyramiding effort to estimate contributing factor of several selected alleles after putting these genes together is underway.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Next-Generation BioGreen 21 Program (Plant Molecular Breeding Center No.PJ00907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3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백(밀양44호)’은 고품질, 다수성 참깨 품종 육성을 목적으로 2001년 모본 ‘성분’과 부본 ‘SIG950006-4-1-1”를 인 공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한 품종이다. 주요 형태적 특성을 보면 초형은 소분지형이고 꼬투리는 3과성 2 실 4방형으로 달리며 꽃과 종피는 흰색이다. ‘건백’의 개화기와 성숙기는 7월 6일과 8월 24일로 표준품종인 ‘양백’ 보다 조금 느리다. 반면에 경장은 149 cm로 크고 주당삭수가 90개로 많으며 역병 및 도복에도 강한 특성을 나타내 었다. 종실수량은 전국 7개 지역 평균 119kg/10a으로 표준품종인 ‘양백’보다 15% 증수하여 국내 참깨 육성 품종 중 최대 수량성을 보였다. ‘건백’의 품질 특성을 보면 조지방 함량은 50.2%이며, 리그난의 주요성분인 세사민 함량은 396 mg/100g을 나타내었다.
3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Biotype 1 벼멸구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계통의 저항성 반응을 검토하여 벼멸구 저항성 품종 육성에 필요한 정보를 알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시충은 남평벼(저항성 유전자 없음)에서 10세 대 이상 누대사육한 Biotype 1 벼멸구를 사용하였다. 벼멸구에 대한 유묘저항성 반응은 벼가 3~4엽기에 개체당 10 마리를 접종한 후 조사하였다. Bph1, Bph3, Bph18 유전자를 보유한 계통은 매우 강한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며 Bph2, Bph6, bph7, Bph9 유전자 보유 계통은 중도저항성을 나타냈다. bph5, bph8 유전자 보유 계통 및 남평벼는 벼멸 구에 매우 약한 감수성 반응을 보였다. 벼멸구 비선호성(antixenosis)을 접종 후 24시간 마다 3번 조사한 결과 72시간 후에 남평벼는 50% 이상, bph5, bph8 유전자는 40% 이하, Bph6, bph7, Bph9 유전자는 30% 이하, Bph1, bph2, Bph3, Bph18 유전자는 20% 이하의 식이선호성을 보였다. 벼멸구의 비선호성은 유묘저항성 반응과 비슷한 결과로 저항 성 유전자별 그룹화 되었다. 접종 10일 후 벼멸구 생존율은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계통은 30% 이하인데 반해 남평 벼는 70% 이상이었다. 본 실험결과 저항성 유전자 다양화 및 향상을 위해 저항성 반응이 뛰어난 Bph3, Bph18 유전 자를 이용한 벼멸구 저항성 품종의 육성이 유용할 것이다
3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light purple rose cultivar ‘Violetta’ was bred from the cross between light purple standard cultivar ‘Ocean Song’ and yellow standard cultivar ‘golden gate’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e & Herbal Science. The cross was made in 2010 and ‘Violetta’ was finally selected in 2013 afte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for three years from 2011 to 2013. ‘Violetta’, a light purple color standard cultivar grows vigorously and has good shape and good vase lif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is cultivar are 167.1 stems/㎡/year in yield, 77.9±6.0 cm in length of cut flower, 12.8±0.3 cm in flower diameter, 55.5±4.9 in petal number, and 13.1±1.6 days in vase life. This cultivar can be propagated by both cutting and grafting. The consumer’s preference of this cultivar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cultivar, ‘Aqua’.
3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직파재배의 장점은 노력시간을 절약하여 생산비를 이앙재배대비 8%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재배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직파재배는 ‘95년 118천 ha (벼재배면적의 11%)를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직파적응성 품종, 잡초, 앵미, 미질 등 재배여건 등이 크게 관여 했는데 품종적 측면에서는 저온발아성, 담수토중출아성 등 초기입모관련 특성과 내도복성, 군집의 균일성 등 재배안전성이 가장 큰 요인이다. 본 연구에 서는 초기 입모와 관련한 저온발아성 (13 ℃, 15일, 유아장 1 mm이상), 담수토중출아성 (5월 중순, 토중 1 ㎝, 수심 10 ㎝, 15일후 입모조사), 도복검정(담수직파)을 실시하여 실제 담수직파재배 생육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저 온발아성은 담수직파 포장에서의 입모율과는 직접 연관이 적으며 담수토중출아성은 상관이 인정되었다. 초기신 장성은 입모와 관련 중요한 특성이며 이후 제초제 처리 등 포장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특성이다. 그러나 초 기 신장성이 우수한 계통은 후기생육까지 영향을 주어 도복에 취약한데 HR27035-23-2-4, HR27035-39-3-1은 초기 신장성이 우수하고 성숙기 간장이 73 ㎝로 양호하였다.
4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모1035호는 생산비 절감을 위한 직파적응성이 우수한 고품질 품종개발을 목적으로 2005/2006년 동계에 국립식 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단간, 복합내병성, 다수성인 익산488호 (IT235282)을 모본으로 하고 HR21050-B-50-1을 부 본으로 육성되었다. 육성방법은 인공교배 후 F2 및 F3는 집단으로 F4 이후부터는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육성선발하 면서 주요 병해충 및 미질특성을 조사하였다. 2010~2011년 생산력검정을 실시한 결과 초형이 우수한 고품질 직 파적응성 HR26399-B-14-1-4 계통을 선발 “익산54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주요 특성으로 출수기는 8월 17일 로 중만생종이며 간장이 73 cm로 단간이고, 수수는 328 개/㎡이다. 13℃에서 15일간 실시한 저온발아성은 88%로 높았고 적고에도 강했으나 수발아가 40.1%였다. 주요 병해충 특성은 도열병에는 중도 저항성이고, 흰잎마름병 K1, K2, K3 및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하나 해충에 대한 저항성은 없다. 수량성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25 kg/10a, 담수직파에서 523 kg/10a이다. 직파관련 특성으로 저온발아성이 우수하고 입모가 123 개/㎡로 양호하며 도복에 강 하다. 그러나 담수토중출아성, 밥맛, 수량성 등이 미흡하여 2011~2013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중모1035 호”로 명명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