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4 한국육종학회 차세대BG21사업단 골든씨드프로젝트사업단 공동심포지엄 (2014년 7월) 389

6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팥 소비와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서 전통적인 붉은색 팥만으로는 제품 다양화에 한계가 있다. 새로 개발된 팥 신품 종 ‘연두채’는 싹나물 제조가 가능한 녹색 종피의 품질이 우수한 팥 품종이며, 중생종으로 쓰러짐에도 강한 품종이 다. 개화기는 빠르지만 성숙기간이 길어 종자가 알차고 협당립수가 많다. 수량성은 지역적응시험에서 평균수량이 212kg/10a로 표준품종 대비 11% 증수하였다. 연두채는 1999년 SA9411-2B-1-1-2와 수원38호를 교배육종법을 통해 2013년 육성된 신품종으로 협색은 황갈색으로 충주팥(황색)과 구별되며, 종피색은 녹색(충주팥은 암적색)이다. 개화기와 성숙기는 8월 7일 및 9월 26일로 충주팥(8월 18일 및 10월 5일)보다 빨랐으며, 백립중은 9.7 g/100립으로 충주팥(14.1 g/100립)보다 작은 소립종이며, 도복 또한 충주팥보다 강하다. ’09∼’12년에 실시한 생산력검정시험 에서 263 kg/10a로 충주팥(197 kg/10a)보다 34% 증수되었으며, ’10∼’13년에 4개소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212 kg/10a로 충주팥(191 kg/10a)보다 11% 증수되었다. 연두채의 단백질 함량은 19.5%로 충주팥과 비슷하였고 폴 리페놀 함량은 2.68 mg/g으로 충주팥(1.96 mg/g)보다 높았으며, 연두채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650.8 mg TE/100 g으로 충주팥(456.6 mg TE/100 g)보다 높았다. 30℃에서 5일간 싹나물을 제조하여 수율과 싹길이를 측정한 결과 연두채는 각각 681% 및 26 cm로 충주팥(481% 및 18 cm)에 비해 우수하였다. 싹나물용으로 개발된 연두채는 팥의 신수요 창출과 소비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6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blast (Magnaporthe oryza B.) is one of the most widespread and devastating diseases of rice. Screening of valuable genetic resources harboring resistance genes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approaches against blast disease. Because the bioassay to rice blast in the field shows high variations, this study has performed to provide DNA profiles in the accessions of diverse countries using major blast resistant genes linked markers, identified and mapped in different genotypes of rice. Because durable resistance to blast is controlled by a combination of major resistance genes, we surveyed the distribution of blast resistant genes in the 1,500 accessions using major 12 blast resistance genes linked markers. These resistant genes found that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Pi-39 (66.9%), Pik-m (41.9%), Pit (40.5%), Pii (21%), Pib (19.3%), Pi-d(t)2 (12.7%), but Pita, Pita/Pita-2, Pik, Piz-t, Pi5 genes were identified in less than 10% frequency. Most of accessions contain from 1 to 4 different resistant genes. Pi39 and Pik-m genes amplified in the 69.1% and 51.7% among 356 Korean accessions, Pi39 (79.6%) and Pib (55.8%) in 113 China, Pit (80.6%) and Pib (32%) in 103 Philippines,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blast resistance degre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tribution of rice blast resistant genes in rice germplasm. This study will help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for managing rice blast disease in rice germplasm.
6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em rust of wheat caused by Puccinia graminis f. sp. Tritici is historically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s of crops worldwid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creen the growth habits and yield of wheat accessions in Korea winter condition. We collected ninety stem rust resistant germplasms from USDA-Grain and plan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yield in 2013. We measur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lant type, leaf color, heading date, stem length, spike length, awn length, number of spikelet, number of tiller, and 1,000 kernel weight (g). Early maturity is most important wheat breeding target in double cropping system such as Korea. Heading dates of ninety cultivars ranged from May 17 to June 7. The Keumkang control cultivar headed on May 23. Heading dates of seventeen accessions had as early as Keumkang control (May 23). The numbers of semi-erect and intermediate type for growth habit were 45 and 33 respectively. The 1000 kernel weights were also measured. Mean 1000 kernel weights ranged from 16.7g (Webster) to 41.8g (123 A1C2). The average of stem length was 100.2cm and Keumkang was 58.4cm. These results showed that A4849-60P-7P-1P (Chile), MG 31492 (Ethiopia), 1338.F.6.C.3.B (Kenya), 1203 A1C2 (Kenya), and II-90-20/3-1R-1M- 3R (Mexico) were best lines for agronomic characteristic such as early heading date and grain yield
6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다미”는 국립식량과학원 상주출장소에서 중산간지 재배에 알맞은 고품질 벼를 육성하고자 2003년 하계에 고 품질인 히토메보레를 모본으로 하고 중산간지 적응성 조생 상주27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F3이후 계통육종 법에 의하여 육성 선발하면서 주요 농업형질 조사 및 병해충․미질검정을 실시하였다. 2010~2011년 생산력검정을 실시한 결과 내도복이며 수량성이 우수한 YR24905-129-3-1-1-3 계통을 선발하여 “상주46호”로 계통명을 부여하 였다. 2011~2013년 지역적응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대조품종에 비해 수량성이 높고 내도복성, 내수발아성 및 도 열병에 강하며 외관품위와 도정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2013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신품종으 로 선정하여 “온다미”라 명명하였다. “온다미”는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7월 27일로 오대벼와 같은 조생종이며, 등숙비율이 88.8%로 오대벼보다 높으며 현미천립중이 21.7g으로 중소립종이다. “온다미”는 도열병 에 중도저항성을 보이나, 줄무늬잎마름병, 흰잎마름병, 기타 바이러스병 및 해충에는 약하다. 쌀알은 심복백이 없 이 맑고 투명하며 도정률 및 완전미 도정수율이 각각 75.8, 73.1%로 오대벼보다 높다. 쌀수량은 지역적응시험의 보 통기 보비재배에서 5.29MT/ha로 오대벼보다 4% 증수되었으며, 만기재배에서는 5.12MT/ha로 금오벼보다 10% 증 수하였다. “온다미”의 적응지역은 남북부중산간지, 남부고냉지 및 동해안 북부해안지이다.
6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가축의 기호성은 가축의 선택적인 채식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사료의 소화율과 가축의 채식량 간에 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벼의 잎이나 종실에 존재하는 강모의 대부분은 규소결정체로 이루 어져 있어 이는 가축이 소화하기 어렵다. 이에 가축의 기호성을 증진할 목적으로 잎과 종실에 강모가 없어 매끄러 운 특성을 갖는 총체사료용 벼 ‘중모1038’을 육성하였다. 출수기가 평균 8월23일로 만생종인 ‘중모1038’은 저온발 아성이 높고 잎도열병 검정결과 중정도 이상의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며 기타 흰잎마름병, 바이러스 및 멸구류에 는 약하다. 보통기 다비재배로 중부, 호남 및 영남평야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평균 총체건물수량이 1,716 ㎏/10a로 ‘녹양’에 비해 21% 증수되었다. 조사료의 소화율 및 섭취량에 관여하는 산성세제불용섬유소(ADF)는 33.5%, 중성세제불용섬유소(NDF)는 48.5%이고 가소화양분총량(TDN)은 62.4%로 ‘녹양’보다 약간 적은편이나 매끄러운 잎 및 종실을 가지고 있어 가축의 기호성을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6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nges in cold hardiness were confirmed with relative electrolyte leakage (REL) method in the shoots of two peach cultivars (Prunus persica Janghowon Hwangdo and Odoroki) during cold acclimation and deacclimation. Changes in proline (Pro) content and related gene expressions were also analyzed. Particularly, transcript accumulations of P5CS and P5CR were examin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RT-PCR. REL in the shoots of two peach cultiva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Cold hardiness of two cultivars increased gradually to December 2012, and then decreased to April 2013, whereas Pro contents of ‘Janghowon Hwangdo’ and ‘Odoroki’ were reduced from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to February 2012 and then increased in the spring. Interestingly, P5CS gene encoding an enzyme, which catalyzes conversion from glutamic acid (Glu) into glutamic-γ-semialdehyde (GSA) in the first step of Pro pathway, showed the contrasting patterns with Pro contents of two cultivars. On the other hand, P5CR gene encoding an enzyme, which catalyzes conversion from Δ1-pyrroline-5-carboxylate(P5C)intoPro in the final step of Pro pathway, showed the similar patterns to Pro contents in two cultivar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Pro responds negatively to low temperatures in the shoot of different peach cultivars, including the supplemental 10 peach cultivars, and expression of both P5CS and P5CR genes could show contrasting patterns from each o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identification of both P5CS and P5CR genes are required necessarily for accurate analysis of Pro biosynthesis because Pro accumulation is affected more by expression of P5CR gene.
6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pper mottle virus (PepMoV) is frequently occurring virus in pepper field. PepMoV infected plants show symptoms including mosaic leaf, distortion of foliage and fruit deformation. The dominant gene Pvr7 from Capsicum annuum ‘9093’ confers resistance to PepMoV. Previous research reveals that Pvr7 is located in 10 chromosome and linked to the dominant potyvirus resistance gene Pvr4 and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resistance gene Tsw. To identify the Pvr7 gene, we constructed an intraspecific F2 mapping population from a cross between C. annuum ‘9093’ (PepMov resistant) and C. annuum ‘Jejujaerae’ (PepMoV susceptible). Resistance of F2 plants were screened with green flouorescent protein (GFP) tagged PepMoV.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F2 individuals and markers were developed using C.annuum ‘CM334’ whole genome sequence (WGS). Several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that were co-segregated with Pvr7 were developed. We are expecting that this Pvr7 SNP marker can be used to breeding PepMoV resistant cultivars and fine mapping of Pvr7.
6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억새(Miscanthus spp.)는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대표적인 섬유질계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로 다년생 C4 식물이며 배수성이 다른 유전자원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외국에서는 자연 생태계 교란 방지를 위해 종자번식 억새의 재배 를 규제하고 있어 불임성 억새 품종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국내 수집 1,500여 종의 유전자원 중 재배년수가 비슷한 물억새 518점, 참억새 297점 등 총 815점을 대상으로 불임성 억새품종 육종에 필요한 종별 개화 특성을 조사 하였다. 억새의 자가불화합성은 물억새 3종, 참억새 3종 및 3배체 억새 이삭에 봉지를 씌워 개화 후 이삭의 지경수, 총영수 및 결실 종자수를 조사하였다. 억새 유전자원의 개화기(FS3)까지의 전체 생육일수 210일에서 220일 사이 에 개화하는 물억새는 전체의 80% 이상, 참억새는 56%였다. 또한 억새 유전자원의 자가불화합성을 검토한 결과, 자연수분 조건에서 참억새의 임실률은 45.7%인 반면, 봉지를 씌운 참억새의 임실률은 8.3%로 매우 낮았다. 한편, 2배체 참억새와 4배체 물억새 종간 교잡종으로 알려진 3배체 억새는 자연수분 조건에서도 임실률이 0.9%로 매우 낮아 기존 보고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6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lletotrichum spp.에 의해 발생하는 고추 탄저병은 국내외 고추 재배 시에 가장 많은 피해를 주는 병해이다. 현재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내는 종은 C. acutatum이며 베노밀 등 일부 살균제에 내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 므로 탄저병 피해 경감을 위한 방법으로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판매되고 있는 저항성 품종이 극히 일부이며 보급면적이 아직 확대되지 않아 대부분 약제에 의한 화학적 방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C. baccatum 종에서 저항성 유전자를 도입하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종간교잡으로 인한 임성저하 등의 문제점으로 저 항성 품종 육성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다양한 유전자원과 육성계통을 대상으로 무상 처접종법과 포장검정을 통하여 기존에 알려진 저항성 이외의 새로운 저항성 계통을 탐색하여 고추 탄저병 저항성 품종육성에 이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고추 육성계통 및 유전자원 932점을 대상으로 수확과실을 이용한 분무접종 방법과 포장검정을 통해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무상처 분무접종결과 강한 저항성을 나타낸 자원은 13A101 등 15 점이었으며 나머지 평가자원들은 감수성으로 확인되었다. 포장결과도 무상처 분무접종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 며 저항성으로 13A37등 28점, 중도저항성으로 18점을 선발하였다. 인공접종결과와 포장저항성 결과를 비교하여 평가방법에 상관없이 저항성이였던 13A263등 C. baccatum 6점과 13A691등 C. annuum 2점을 선발하였으며 이는 고추 탄저병 저항성 품종육성 재료로 지속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7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대지역의 벼 품종을 열대지역 재배시 불수출수로 인하여 수확량이 급감하는 경향을 보이는 데 중․만생종이 이러 한 환경변화에 더욱 민감하다. 이러한 장벽을 극복하고자 필리핀 국제벼연구소내 한국지소에서 열대지역에서도 정상적인 생육을 나타내는 ‘진미‘와 밥맛이 좋고 병해에 강한 ‘철원46호‘를 교배하여 열대지역에서도 잘 생육하여 수량성도 높으면서 병에도 강한 온대벼 ‘아세미(수원574호)‘를 개발하였다. 필리핀 현지에서는 간장이 66cm로 작 고 주당수수 12개 수당립수 84개였으며 등숙률을 보면 현지 품종(IR 72)의 등숙률이 63%인데 ‘아세미‘는 77%로 높았고 수확량도 헥타르 당 4∼5 톤으로서, 현지 품종인 ‘IR72’보다 10% 가까이 많았고, 밥맛도 좋았다. 우리나라 에서는 출수기가 8월1일로 ‘화성‘(8월 12일)보다 11일 빨랐으며 간장은 82cm, 수장 21cm, 수수 12개, 수당립수 109 개, 등숙률 83%였고 현미천립중이 22.5g인 중립종이다. 생리장해 저항성으로 유묘적고가 거의 없고 감수분열기 임실률도 높아 내랭성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었다. 잎도열병 저항성은 보통 수준이었고 흰잎마름병에는 약하나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했다. 또한 심복백정도 백미완전미율 등 미질특성은 ‘화성‘과 비슷하였다. 수량성은 중북 부 내륙지와 중서부 해안지에서 ‘화성‘보다 10%정도 높았고 중북부 산간지에서는 ‘오대‘보다 13%높은 수준을 보 였다. 이처럼 ‘아세미‘는 열대지역이나 우리나라에서 잘 재배되는 것으로 보아 아시아 지역에 재배가 가능한 비감 광성 광지역적응성을 갖춘 벼 품종임이 확인되었다.
7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부지역에 재배되는 벼 품종은 중생종으로 ‘화성’, ‘대안’, 중만생으로는 ‘삼광’, 칠보’ 정도로 농민들이 선택할 수 있는 다양성이 부족하고, 재배안전성이 부족한 외래품종의 재배면적이 넓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벼 품종개발 이 필요하고, 또한 친환경 재배를 위하여 복합내병성 외에 소비료재배 적성 품종이 필요한데 아직까지 ‘청해진미’ 와 ‘청청진미’가 개발되었으나 내병성이 부족하다. 복합내병성이면서 소비재배 적성이 우수한 품종을 개발하고 자 육성된 ‘미소미’의 출수기는 중부지역 보통기 재배에서 8월 14일이고, 쌀이 맑고 투명하며, 밥맛은 추청 보다 우수하다. 수량성은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4개소)에서 5.68MT/ha, 소비료재배에서도 5.00MT/ha로 추청, 화성 보다 높다.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줄무늬잎마름병에도 강하여 재배안정성이 높은 품종이다. 특히 ‘미소미’ 는 밥알의 부착성이 좋고 식은밥 맛이 우수하여 간편식 가공밥으로 적합한 품종이다. ‘미소미’는 중부지역 적응 벼 품종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생산자, 가공업자 및 소비자가 모두 만족하는 특성을 갖고 있어 고품질 쌀 안정생산 으로 농가소득증대가 기대된다.
7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climate changes due to global warming are gradually introducing adverse circumstances for winter survival of temperate fruit trees. Particularly, late winter or early spring thaws followed by hard freezes can cause severe injury to deacclimated flower buds. Thus, the selection of later or slower deacclimating cultivars is needed to avoid frost injury in late winter or early sprin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cold hardiness and bud development under an experimental deacclimation condition for 10 Prunus persica cultivars (Aikawanakajima, Daewol, Izumi Hakuto, Janghowon Hwangdo, Kiraranokiwami, Mihong, Misshong, Soomee, Suhong, and Sun Gold). The rate of deacclimation was not correlated with hardiness before the deacclimation treatment. On the other han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ld hardiness and stage of bud opening.
7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ong the abiotic stresses, heavy metal (HM) toxicity is thought to be one of the major abiotic stresses leading to hazardous effects in plants. In spite of its potential physiological and economical significance, morphological alterations induced by heavy metals in plants have so far been grossly overlooked. In the present study,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leaf of sorghum plants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0, 50, 100, and 150 μM) of CdCl2. Results revealed that plants endured reduction in growth and morphological changes amazingly altered by cadmium. The growth of sorghum seedlings treated with 150 μM cadmium was more inhibited than that of sorghum seedlings treated with 100 μM Cd, 50μM and non-treated plant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the cadmium stress inhibited the root and shoot elongation after growing the rise seedling in the presence of cadmium. In the case of ion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s of Zn2+, Ca2+ were decreased whereas Fe2+ concentration was increased except 100 μM under cadmium stress. In confocal microscopy, results showed that the absorption degree of cadmium was increased by the higher concentration of cadmium.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cadmium was also increased. Thus, it seemed that cadmium has an influence on sorghum in the case of early stages of sorghum. This study reported the effects of heavy metal, cadmium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rghum seedlings, hoping to provide references on the mechanism of heavy metal damaging plants, and phyto-remediation for heavy metal polluted soil.
7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3 ubiquitin ligase plays a central role in determining specificity of the ubiquitination system by selecting appropriate candidate proteins. Compared with other eukaryotic species there are significantly more U-box protein-encoding genes in plant genome. The rice genome contain 77 U-box-type E3 encoding genes. The 77 members of the rice plant U-box (PUB) E3 family can be placed into 8 major groups based on their domain organizations. In this study, we generate and analyze phylogenomic data integrating anatomical expression patterns consisting of anatomical and stress responsive expression patterns base on 1150 affymetrix arrays to the phylogenic tree of rice plant U-box E3 family. We further developed functional gene network meditated by E3 ligases and refined the components in network by integrating gene expression patterns in response to drought stresses. We expect that our analysis will be a useful platform to facilitate the functional identification for each of U-box E3 family.
7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global climate changes drastically, pre-harvest sprouting (PHS) is expected to pose serious problems in rice production. CBL-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s (CIPKs) have been implicated to play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various abiotic stresses such as cold, salinity and drought.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this gene under pre-harvest sprouting in rice, a cDNA clone encoding CBL-interacting protein kinase 15 (CIPK15) was isolated from rice flowers. This gene is 2,818 bp long with 1,332 bp coding region that encodes a polypeptide of 443 amino acids. We constructed a recombinant vector carrying the OsCIPK15 under the control of the CaMV 35S promoter and Tnos terminator and transformed into rice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Insertion of the gene was verified in transformants using HPT resistance test and genomic PCR. Transcriptional profiling using tissues of wild type, Gopum, revealed expression of the gene in whole plant tissues with level of expression highest in the seeds suggesting possible role in dormancy. Comparative expression analysis of the gene in transgenic and wild type through semi-quantitative RT-PCR and real-time PCR showed higher expression in transgenic rice lines. Moreover, screening in the mist chamber showed overexpression lines that were resistant to the PHS. This result suggests the involvement of OsCIPK15 in the regulation of pre-harvest sprouting.
7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omparison of seed yields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rates, seeding time and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ations in yanji Region of Chin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commercial farmland at Yanji region in 2013. Al the experimental fields were designed following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3 replicates. The plant spacing was applied as 65×1cm distance. To check the effect of seeding rate, two different seeding rate, 0.2kg/0.1ha and 0.5kg/0.1ha were applied. The higher seed yields was observed in low seeding rate(0.2kg/0.1). The application of fertilizer(mixture of N and P) showed different results following different experimental fields. However, there was little positive effects following fertilizer application into commercial farmland. When we compare seed yields between two different seeding dates, 4th May and 29th May, the earlier seeding date(4thMay) showed higher seed yields. In considering these results, low seeding rate and early seeding time is important for getting high camelina seed yields.
7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는 꿀풀과 1년생 식물로 우리나라 주요 유지작물 중 하나이다. 들깨의 국내 재배면적은 2013년 30.1천ha로 꾸 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이유 중 하나로 들깨의 종실은 기름 함량이 40-50%이며 기름의 지방산 조성 중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알파-리놀렌산이 심장질환 예방, 학습능력 향상, 알레르기 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 로 알려서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들깨는 주로 조미용이나 착유용으로 많이 이용되므로, 종피가 부드럽고 기 름함량이 많은 품종을 선호하고 있다. 2013년에 개발된 ‘들샘’은 2003년에 ‘밀양28호/YPS72’ 모본에 ‘대실들깨’를 부본으로 하여 육성된 품종으로 계통육종법에 따라 육성하였으며, 수량 및 종실특성이 우수하여 2011년 ‘밀양57 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들샘’은 소비자의 기호에 적합한 품종으로, 종피가 갈색이며, 부드럽고 기름함량이 43%로 높으며, 착유량 또한 39%로 많다. ‘들샘’은 성숙기 10월 7일로 기존 품종과 비슷한 시기에 수확할 수 있다. 6월 중하순경 파종하였을 경우, 경장이 134 cm이고, 화방군수가 77개로 많았다. 종실의 수량성은 3년간 지역적응 시험 결과 표준품종인 새엽실들깨보다 5% 증수하였으며, ㏊당 수량은 1.43MT이다.
7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유채(Brassica napus L.)는 논 이모작(벼·유채) 재배가 가능한 동계 유지작물이다. 유채는 종자 기름 함량이 45%로 많고, 올레인산(C18:1) 함량도 65% 정도로 높아 바이오디젤 원료작물로 유망하다.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유채 6품종(‘선망’, ‘탐미’, ‘탐라’, ‘내한’, ‘영산’, ‘한라’)에 대해 개화 초기(early flowering stage)에 침수처리(3, 6, 9, 12일)를 통해 개화기 토양 침수에 의한 습해반응과 이에 따른 수량구성요소와 종실수량 변화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침수 3일 처리구는 무처리구와 비교해 유채 6품종의 생육에 차이가 없으나, 침수 4~9일 처리구에서는 꽃봉우리 정단부 꺾임현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내한’과 ‘영산’ 유채는 침수 9일 처리구에서 꽃봉우리 정단 부 꺾임현상이 나타나 침수처리에 강한 반응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유채는 개화기에 토양 침수가 4일 이상 지속되 면 꽃봉우리 정단부 꺾임, 안토시아닌 과다형성, 도복, 개화기 연장 및 등숙 지연 등 생식생장기 생육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유채는 개화기에 침수 스트레스가 6일 이상 지속되면 주당협수, 협당립수, 결실율 및 천립중 현저하 게 감소하였고, 각각의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최종적으로 종실수량 감소로 이어졌다. 무처리구 대비 침 수 6일 처리구에 대한 품종별 종실수량을 보면 ‘선망’(54%), ‘탐미’(35%), ‘탐라’(33%), ‘내한’(78%), ‘영산’(70%) 및 ‘한라’(32%)로 나타났다. 하지만 침수처리에 따른 종자의 지방산 조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6 시험품 종 중에서는 ‘영산’ 유채가 개화기 내습성이 강한 품종으로 나타났다.
7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nerally, the virus was detected by the ELISA using the serological method and RT-PCR based on the genetic information. Recently, NGS (next-generation nucleotide sequencing) has been used in genome analysis and diseases diagnostics. To identify distribution aspects of viruses, we collected diseased samples twice in soybean breeding field. After extraction of total RNA from the collected bulk samples, RNA was sequenced by the NGS method. The NG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bioinformatics software. With newly produced NGS data, the identification of distribution aspects of organisms in field was estimated in this study. Sequence based identification method should be more accurate diagnostic tools of the target diseases and be able to predict occurrence of potential and new pathogens. NGS method will also provide the basic data by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of using bacteri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tracted RNA from the collection of approximately 3000 samples. Consequently, we confirmed the following types: the 7,089 kinds of bacteria including Burkholderiaceae, the 13,397 kinds of Eukaryota, the 952 kinds of viruses from the first bulk samples, the 4,160 kinds of bacteria including Burkholderiaceae, the 10,475 kinds of Eukaryota, and the 576 kinds of viruses from the second bulk samples
8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웰빙 트랜드에 따라 잡곡수요는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조의 경우 태풍, 폭우 등 급증하는 환경 재해에 취약하여 수량이 낮은 실정이므로 재해저항성이 강하고 수량이 높은 조 품종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 황메는 충북 보은지역에서 2008년 수집된 재래조를 기본집단으로 하여 분리육종법을 통해 2013년 육성된 신품종 이다. 다황메의 고유특성은 잎은 녹색이나 생육후기에는 황록색으로 변하고 노화속도는 늦고 줄기의 분얼개도는 직립이고 강하며, 마디수는 많은 편이다. 이삭의 형태는 방추형으로 길며 아래로 처지는 자세이고 착립밀도는 보 통이고 탈립은 잘 안되며, 낟알은 황색을 띄고 배유특성은 메성이다. 출수기는 대비품종인 황금조보다 보통기에 서 3일, 이모작재배시 5일 늦고, 생육일수는 보통기 108일로 황금조(105일)보다 3일 많은 조생종이다. 간장(131 cm)과 수장(20.3 cm)은 황금조(각각 122 및 19.8 cm)에 비하여 큰 편이며, 줄기의 마디수는 17개로 3개 정도 많다. 다황메의 주당 수수는 황금조와 비슷하나 수당 종실무게는 13.3 g으로 황금조보다 2 g 정도 무거우며, 등숙비율은 67.8%로 황금조보다 2% 정도 높다. 천립중은 조곡 2.84 g, 현곡 2.57 g으로 대비품종 황금조(각각 2.74 및 2.44 g)에 비해 무겁다. 도복은 황금조보다 강한 편이고 불임내성 또한 강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조도열병과 조노균병은 발생하지 않았고 줄무늬잎마름병은 경미한 발생을 보였다.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다황메의 조곡 평균수량은 보통 기 및 이모작재배에서 각각 400 및 293 kg/10a으로서 대비품종인 황금조에 비하여 각각 17 및 16% 증수되었고 특히 만식재배(257 kg/10a)에서는 62% 증수되어 내만식성이 우수하였다. 지역적응시험에서 전국 7개 지역의 수량은 대 비품종 황금조에 비하여 보통기재배 평균수량은 296 kg/10a로 24% 증수되었고 이모작 재배는 263 kg/10a로 23% 증수되었다. 다황메의 제현율은 82.4%, 도정수율 75.6%, 완전미도정수율 71.3%로 대비품종 황금조(각각 79.7, 72.0 및 67.9%)보다 높았다. 품질특성은 대비품종 황금조에 비하여 아밀로스 함량은 약간 높은 펀이나 조단백, 칼 리, 칼슘 및 마그네슘 함량은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