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식용 버섯의 조리방법에 따른 항산화 생리활성의 평가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감소 효과를 통해 조리방법을 달리한 버섯 추출물의 유전독성학적 방호효과를 살펴보았다. Human lymphocyte에 조리방법을 달리한 3가지 버섯(느타리, 팽이, 표고)의 추출물을 처리하고, hydrogen peroxide(H2O2)로 산화적 손상을 준 후, DNA 감소 효과를 Comet assay로 평가한 결과, 모든 시료군에서 산화적 손상에 의한 DNA 손상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3가지 버섯 모두 비조리군이 조리군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는데, 이는 조리과정에 의한 페놀성 화합물의 감소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조리군 중에서 볶기와 전이 비교적 낮은 DNA 손상 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은 조리 시 첨가되었던 대두유의 가열 산화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조리된 버섯은 생버섯에 비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감소효과가 낮으나,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손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네 가지 조리법(굽기, 데치기, 볶기, 전) 중 DNA 손상 감소에 효과적인 조리법은 대두유를 사용하지 않은 굽기와 데치기인 것으로 판단된다.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for whole barley yogurt prepared with lactic acid bacteria combination such a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sei (1:1:1) with the addition of whole barley flour at 3%. The barley yogurt had lower pH, higher titratable acidity, and higher sugar content than control yogurt. The viable cell number of the barley yogurt was lower than the control yogurt. However, the viscos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barley yogur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yogurt. In up to 12 d of storage at 4oC, pH decreased whil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in both control yogurt and barley yogurt. The sugar content and brightness increased slightly. The viable cell number of the barley yogurt decreased during storage. However, the viable cell number of the barley yogurt met the standard suggested by the KFDA. Although the viscosity of the barley yogurt decreased, it corresponded to the required viscosity of a curd yogurt. Antioxidant activity slightly increased up to 9 d and then decreased, but the decrease of antioxidant activity was smaller in barley yogurt than in the control yogurt. During storage, there was no curd separation, change in scent, etc. Thus the storage quality of barley yogurt was relatively good.
본 연구에서는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의 비율(0%, 3%, 6%, 9%, 12%)을 다르게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하고,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을 평가한 결과, pH는 대조군이 6.79로 가장 높았고,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대조군이 5.88%로 가장 낮았고, 첨가군이 7.7~11.98%로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이 점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색도 측정 결과, L값과 b값은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기계적 조직감은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낮은 조직감을 나타내었고,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효소 발효 흑마늘 페이스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보였다. 기호도 평가 결과,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 첨가 비율이 3~6%일 때,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9%를 초과함에 모든 기호도가 확연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를 6%까지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한다면 양갱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기능성 식품으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갯벌토 및 준설토를 기질로 이용한 Mesocosm 실험을 통하여 염생식물의 서식안정성을 평가하였다. Mesocosm 실험구는 기질 및 식생의 식재 여부에 따라 Mesocosm A(갯벌토+퉁퉁마디 식재), Mesocosm B(준설토), Mesocosm C(준설토+퉁퉁마디 식재)로 조성하였다. 그리고 Mesocosm 실험구 내 염생식물의 서식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질(COD, T-N, T-P, 수온, 염분), 저질(COD, T-N, T-P), 식생성장률의 서식환경 인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서식안정성지수(HSI)를 산정하였다. Mesocosm C에서의 HSI는 0.87~0.95로서 Mesocosm 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HSI가 높게 산정되어, 준설토를 이용한 해안염습지의 복원/조성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과 교각의 직접충돌해석을 통하여 기존 설계기준(도로교설계기준, AASHOTO LRFD)에서 아직 고려하고 있지 않은 동적영향을 고려한 실제 교각의 충돌 파괴 거동을 다양한 경계조건별로 검토하였다. 선정된 차량은 10톤, 16톤, 38톤의 Cargo 트럭이며 교각은 경부고속도로 상 일반적인 제원으로 선정하였다. 해석결과 가장 많은 파괴는 상부구조의 고려없이 교각의 상부면을 구속하였을 시에 발생하였으며 상부구조는 2차적인 영향을 교각에 전달하기 보다는 충돌에너지를 일부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파괴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해석의 효율성을 위해 차량과 강체간 충돌시 발생하는 충돌하중이력곡선을 교각에 외력으로 부여한 간접충돌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직접충돌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해석결과 직접충돌해석 결과와 매우 유사하게 교각의 거동을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해석효율성 또한 높아져 해석시간은 약 92%정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간접충돌해석법은 다양한 기존 모델이나 다른 해석프로그램에도 쉽게 부여될 수 있어 그 활용범위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부박(CPM)을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CPM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L값은 대조구 CPM-O과 처리구 CPM-I, CPM-II, CPM-III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b값은 CPM-III 에서 14.26로 가장 낮았으며, 동부박(CPM)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텍스쳐 프로파일의 결과는 대조 구 CPM-O와 동부박 첨가 처리구 CPM-I간에는 응집성 (cohesiveness)을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처리구 별 pH는 6.36~6.52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탁도는 1.46~1.81 범위로 CPM 첨가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일반 세균수는 CPM-III에서 4.40 × 102CFU/g로 대조구와 유의 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Esterichia coli의 경우, 대조구 CPM-O와 전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적인 분석 결과는 동부박 현탁액 첨가비율이 10%인 처리구 CPM-I 의 경우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동부 묵 제조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두부제조에 적용할 때는 동부박 첨가 비율이 10%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Isoflavone glycoside (IG)는 genistin, daidzin, glycitin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동부박(CPM)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그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Isoflavone-aglycone (IA)는 IG보다는 함량이 낮았으며, genistein과 daidzein이 glycitein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동부박 첨가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odor (hydrogen sulfide) dispersion around a cubic building by using commercial FLUENT CFD code. The FLUENT Shear-Stress Transport (hereafter SST) k-ω turbulence model was used to simulate odor dispersion from an odor source.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a wind tunnel experiment and other simulation results. SST k-ω turbulence model provided good grounds for making reasonable predictions about the building surface concentrations and concentration profiles of selected leeward positions of the cubic building. It was found that a vent, which was positioned 7 m above the top of the square building center, decreased the plume length lower by 0.73 and increased the plume height by 1.43 compared to roof top vents. It was also found that by increasing the vent height there a corresponding decrease in the maximum dimensionless concentration around the roof surface.
The conventional clustering approaches are mostly based on minimizing total dissimilarity of input and output. However, the clustering approach may not be helpful in some cases of clustering decision making units (DMUs) with production feature converting multiple inputs into multiple outputs because it does not care converting function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has been widely applied for efficiency estimation of such DMUs since it has non-parametric characteristics. We propose a new clustering method to identify groups of DMUs that are similar in terms of their input-output profiles. A real world example is given to explain the use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And we calculate similarity value between its result and the result of a conventional clustering method applied to the example. After the efficiency value was added to input of K-means algorithm, we calculate new similarity value and compare it with the previous one.
The present paper takes it as focal point is New Land Reform in China. Through New Land Reform, The Chinese Government seeks to increase peasant’s incom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rural land. Since 2008, in many areas of China has been experimenting with the distribution of rural land. Chongqing model(The system of land quota) is watched by Chinese society with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ertify whether the increase in peasant’s income through Chongqing cit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enforcement of the system of land quota, Chongqing peasant’s income has increased more than China and Chengdu City. Second, Chongqing peasants are growing rapidly property income more than business income and earned income. Third, Urban-rural income gap in Chongqing city was reduced more than China but no difference with Chengdu city.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are many problems the system of land quota but Has a positive effect on peasant’s income.
목 적 :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MRCP)에서 관상면(Coronal plane) 확산강조영상의 프로토콜 적용을 위한 최적의 b-value 값을 영상분석으로 산출하고, 축상면(Axial plane) 확산강조영상과의 비교를 통해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용장비는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Achieva, Philips medical system) 장비와 32-channel SENSE Cardiac coil을 사용하였다. 영상은 b-value(0s/mm², 400s/mm², 800s/mm²)값을 다르게 하여 관상면 single-shot echo-planar diffusion weighted image(SSEPDWI)로 획득하였다. 영상획득의 매개변수는 TR/TE : 1280/ 60msec, Slice Thickness/Gap : 5/2mm, FOV : 220x220x220mm³, Matrix : 92x124, NEX : 3, EPI factor : 33, Acquisition Time : 3min로 하여 조영 후 영상을 얻었다.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을 Philips사의 EWS(Extended MR workspace 2.6.3.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b-value 마다 총담관 및 담낭과 주변조직인 간 실질의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신호 대 잡음 비, 대조도 대 잡음 비를 산출하였다. 더불어 현성확산계수 영상(ADC map)을 통해 정량적 분석과 함께 정성적 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v12.k을 사용하여 ANOVA와 Pair T-test 통해 검증하였다.
결 과 :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b-value가 증가함에 따라 총담관과 담낭의 경우 대체적으로 신호 대 잡음 비, 대조도 대 잡음 비, 현성확산계수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총담관 종양과 담낭 결석이 있는 환자에게서는 b-0와 b-400의 차이가 적었으며 일부에서는 b-400이 더 높게 나왔다. 신호 대 잡음 비 평균값은 b-0에서 담낭이 407.9로 가장 컸으며 b-400에서는 이보다 조금 낮은 304.0이 나왔다. 대조도 대 잡음 비에서는 b-400과 b-800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 b-800보다는 b-400이 더 높게 나왔다. 현성확산계수 평균값은 b-value 값이 증가할수록 ADC 평균값은 약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b-0는 확산경사자장이 인가되지 않은 영상이므로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b-800보다 b-400의 신호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에서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은 총담관, 췌관 및 담낭 등의 해부학적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양의 진단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적정한 b-value값이 적용 된다면 축상면 확산강조영상과 함께 기타 복부검사에도 확대 적용이 가능하기에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프로토콜 적용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최근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경제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사회적경제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회적경제에 관련한 기존연구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사회적경제의 학문적 접근의 변화를 점검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사회적경제에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장 마련과 함께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목 적 : 3.0T 자기 공명 영상에서 강자성 임플란트로 인해 발생한 자화감수성 인공음영에 대한 시퀀스별 WARP기법의 적정한 VAT(view angle tilting)값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자화감수성 인공음영(susceptibility artifact image)이 head용 워터 팬텀영상의 왜곡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head용 워터 팬텀에 강자성 임플란트(ferromagnetic implant)인 금속 와이어를 부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진행하였고(VAT(view angle tilting)) Warp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3.0T MRI system(MAGNETOM Skyra, Siemens, Munich, Germany)이었으며 20ch head/neck coil을 사용하여 TSE T2, TSE T1, FLAIR, Turbo IR T1 시퀀스에 WARP를 적용하여 VAT를 0~100% 범위내에서 10%씩 변화하여 각각 24개의 axial 영상을 얻었다. TSE T2 영상변수는 TR/TE 4410ms/79ms, Matrix 512×291이었으며, TSE T1 영상변수는 TR/TE 693ms/10ms, Matrix 512×291이었으며, Turbo IR T1 영상변수는 TR/TE 2000ms/9.5ms, Matrix 384×307이었으며, FLAIR 영상변수는 TR/TE 9000ms/96ms, Matrix 384×180이었다. 시퀀스별로 slice thickness 4mm, slice gap 0.4mm, NEX 1, bandwidth는 500Hz 였다. 정량평가는 팬텀영상의 대부분을 ROI로 설정 하여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정성 평가는 팬텀 영상 내에 dark area크기, image blurring 정도를 5점 척도로 하여 영상의 변화가 없는 경우 1점, 영상의 질이 약간 우수한 경우 2점, 보통 3점, 우수한 경우 4점, 매우 우수한 경우 5점으로 숙련된 방사선사 3명이 관찰 후 평가하였다.
결 과 : 정량분석으로 TSE T2와 TSE T1의 표준편차(SD)는 VAT 10%에서 VAT 적용전보다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 VAT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IR 계열의 FLAIR와 Turbo IR T1은 WARP의 적용에 따른 영상차이가 없었다. 변동계수는 모든 시퀀스에서 30%이하였다. 또한 VAT 변화에 따라 영상의 위치변화도 나타났다. 정성분석으로 TSE T2는 VAT가 30~60%일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TSE T1은 VAT가 10~70%일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FLAIR와 Turbo IR T1은 WARP사용에 따른 영상의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WARP는 TSE T2와 TSE T1의 자화감수성 인공음영을 줄이는데는 매우 효과적인 영상기법이었다. 그러나 WARP는 VAT를 증가시키면 image blurring도 증가함으로 VAT값을 최소화해서 사용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 적 : 좌심실의 기능(left ventricular function)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의 임상적 진단이나 치료 전략 및 예후 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대동맥판막 협착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좌심실 기능평가를 dual source computed tomography(DSCT)와 two dimensional-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2D-TTE)와 비교하여 심장 검사에서 MRI의 활용에 대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우수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2008년 08월부터 2010년 09월까지, AS로 진단된 환자 중, 2주 이내에 DSCT, 2D-TTE, CMR를 모두 시행한 93명(남성 48명, 여성 45명, 평균연령 57.7세)을 수술 전 비교 평가하였다. EDV, ESV, SV, EF은 M mode를 사용한 2DTTE, threshold-based technique를 사용한 DSCT, 심슨의 방법을 사용한 CMR을 통해 계산하였다. LV 기능의 파라미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CMR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분석한 두 명의 방사선사 사이의 관찰자간 일치도를 평가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값 0.05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보았다.
결 과 : 총 환자수는 93명(남성 48명, 여성 45명, 평균연령 57.71±13.7, 1.5T MRI 69명, 3.0T MRI 24명) 이었다. EDV, ESV, SV, EF을 위한 CMR과 DSCT는 매우 우수한 상관관계(r=0.93, 0.94, 0.83, and 0.85, 각각, p<0.01)를 나타내었으며, CMR과 2D-TTE는 우수한 상관관계(r=0.81, 0.92, 0.56, and 0.77, 각각, p<0.01)를 보여주었다. DSCT는 CMR에 비해 EDV(130.48ml), ESV(40.74ml), 그리고 SV(89.74ml)에서 낮은 측정치를 보였으나, EF(71.1%)은 높게 나타났다. CMR을 이용한 LV 기능 평가의 관찰자간 일치도 평가에서 매우 높은 상관관계(r=EDV; 0.96, ESV; 0.94, SV; 0.92, EF; 0.84, 각각, p<0.01)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 DSCT의 회귀계수(Β=EDV; 0.91, ESV; 0.72, SV; 0.86, EF; 0.68)는 2D-TTE의 회귀계수(Β=EDV; 0.21, ESV; 0.53, SV; 0.13, EF; 0.32)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결정계수(r2)는 각각 0.88, 0.91, 0.71, 0.78로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심슨의 방법을 사용한 CMR 측정은 재현성과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대동맥판막 협착증을 가진 환자의 LV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CMR의 폭 넓은 활용과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적 : 운전을 하고 있는 뇌졸중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 경험을 통한 어려움 및 전략들을 알아보고자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 경험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연구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현재 운전을 하고 있는 장애 4, 5등급의 뇌졸중 환자 5명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 해 가정을 방문하여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내용은 녹음 및 필사로 담아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3개의 주제와 12개의 중심의미 및 24개의 의미단위로 도출하였다. 대상자들은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한 불안감, 주변인의 간섭 및 반대, 지각손상의 경험, 환경적 장애 등을 경험하였고, 직접 정보수집, 자 기 격려, 보조도구 설치 및 기어변경, 위험노출의 최소화와 적극적인 사회적 권리 추구 등의 대처 전략 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전을 통해 역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휴식 및 레져가 가능 해졌고 결과적으로 자기 만족이 향상되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 및 운전재활 전문가들이 운전 재개시 어려움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전략 을 세우는 것이 효율적이고 안전할 것이다. 본 연구가 그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 수 있을 것이다.
목 적 : 환자의 피폭을 줄이기 위하여 발작성 심방세동(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환자의 경우 전극도자절제술(RFCA) 시술 전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시행되는 영상의학 검사로써 Pulmonary-Vein MRI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왼 심방의 용적을 측정하거나 섬유화 된 조직과 같은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는 원발 부위를 찾는데 용이한 3D Inversion Recovery Turbo Filed Echo Late Gadolinium Enhancemnt 영상에서 왼 방실판막(Mitral valve)과 정상적인 혈류(Blood pool) 간에 신호대조도를 높이기 위한 적정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들에 대해 시술 전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한 3D IR TFE영상에서 지연시간에 따른 신호대 잡음비(SNR)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의 측정을 통하여 적정 지연 시간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2월 1일부터 2월 5일까지 발작성 심방세동으로 내원한 환자 중 체중이 60~70kg 사이의 환자 10명(남자 7, 여자 3, 평균연령 5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장비는 3.0T 초전도자기공명영상장치 Achieva TX(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를 사용하였고, Coil은 32-channel SENSE cardiac coil을 사용하였다. 영상변수는 TR: 4.9ms, TE: 1.48ms, Matrix: 200×200, Slice thickness: 1.5mm, NEX: 1로 하였으며, 조영제 주입 후 5분, 10분, 15분, 20분, 25분마다 3D IR TFE영상을 얻었으며, 왼 방실판막과 정상혈류 간에 신호강도, 신호대 잡음비 그리고 대조도 대 잡음비를 측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으며, 정성적 평가로는 10년 이상 경력의 4명의 방사선사가 4점을 기준으로 하여 점수화 하였다.
결 과 : 정량분석 결과 5분의 지연시간을 가질 때 왼 방실판막에서의 평균 SNR과 정상적인 혈류와의 평균 CNR은 각각 88.48과 12.35, 10분에서는 119.92과 22.34, 15분에서는 124.39와 32.86, 20분에서는 106.82과 29.59, 25분에서는 74.96과 29.97으로 조영제 주입 후 15분이 지난 후의 영상에서 가장 높은 대조도의 차이가 생겼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적인 신호강도가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시간에 따른 SNR과 CNR에서의 차이는 p값 0.05이하로써 통계적으로도 유의함을 증명하였다. 정성적 분석에서도 조영 후 15분이 지난 모든 영상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결 론 : 3D IR TFE LGE기법은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들에게 시술을 위한 원발 부위 치료계획을 설정함에 있어 매우 유용하다. 그 중에서도 조영 후 15분이 지난 후 얻게 되는 영상에서의 진단학적 가치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환자에 따른 체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영제 양과 체적에 비례한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검사를 진행한다면 양질의 진단적 가치가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조직 내 교환관계에서 부하에게 제공되는 다수의 보상원천에 대해 상사와 부하가 이것을 다양한 원천이라고 지각하는가 아니면 동일한 원천이라고 지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이러한 물음에 답하기 위하여 먼저 상사로부터 많은 보상을 제공받는다고(상사로부터의 유인) 지각하는 부하들은 그들의 상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성과를 보일 것(부하의 기여)이라는 가설 1을 설정하였다.둘째,직무로부터 많은 보상을 제공받는다고(직무로부터의 유인)지각하는 부하들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기울일 것(직무에 대한 기여)이라는 가설 2를 설정하였다.이러한 두 가지 가설은 조직 내 교환관계에서 상사와 직무로부터의 보상에 대해 상사와 부하가 다양한 보상원천이라고 지각하는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견해와는 반대로 상사와 부하가 다양한 보상원천을 동일하다고 지각하는 경우 상사로부터의 보상과 상사를 만족시킬만한 성과의 제공 그리고 직무로부터의 보상과 직무에 대한 시간과 노력의 투입이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룬다는 가설 3을 설정하였다.이와 더불어 상사는 상사-부하 간 유인과 기여와 직무로부터의 유인과 기여를 구별하지 않는 반면, 부하는 상사-부하 간 유인과 기여, 직무로부터의 유인과 기여를 구별할 것이란 가설 4를 설정하였다. 10명의 상사와 76명의 부하를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친 상사와 부하의 응답 각각을 분석한 결과 부하들은 상사-부하 간 유인과 기여와 직무로부터의 유인과 기여를 각각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상사는 상사-부하 간 유인과 기여와 직무로부터의 유인과 기여를 구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 4가 뒷받침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부분에서는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의미를 상사의 관점, 부하의 관점, 그리고 상사와 부하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상사의 관점에서 상사들이 유인과 기여의 두 가지 모형을 구분하지 않는 이유를 후광효과(halo effect) 측면에서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 역시 이루어졌다.
The amount of waste water generated from the domestic sources is consistently increasing in proportion to economic growth, and the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is widely being used for general waste water treatment. Bu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ecomes stringthent treatment standards of N and P (less than 20mg/L of N, 2mg/L of P) to prevent the eutrophication of lake water, and therefore highly advanced treatment technology is required not only in the existing treatment plants where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is being used, but also in newly constructed treatment plants for the treatment of N and P. This study is aimed at highly operating the engineering technology method was developed by domestic to eliminate N and P at the same tim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treatment plant located in Yong In city. The bioreactor was started from the principal equipment for the elimination of N and P and the elimination of organic compounds. It consists of an internal recycle piping from the end of the aerobic tank to the anoxic tank and external recycle piping from the final settling basin to the denitrification tank. By experiment of 4 types separate inflow of waste water to the denitrification tank and the anaerobic tank, and changes in staying time at the anoxic tank and the aerobic tank, the elimination of organic compounds in each type and the relationship in the efficiency between the elimination of N and P were research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commercial Gangjeong.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nine different Gang-jeong as commercial products. To accomplish this research,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ine samples, including moisture, crude lipid, sugar contents, acid value, color values, and texture, were measured. In addition, consumer panels evaluated the overall acceptability, appearance, flavor, sweetness, and texture of samples using a 9-point Likert type scale as well as the perceived intensities of sweetness and rancid odor by a 9-point Just-About-Right (JAR) scale.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ll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p<0.001). Analyses of consumer acceptability and JAR ratings of the nine samp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understanding of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etween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s. Subjects were 400 elementary school parentsliving in Jeonn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School foodservice program helped to solve unbalanced diets, develop minds and bodies, and improve eating habits. Mothers showed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for school foodservice contain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primary reason for favor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as improvement of health and securing safe food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of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was sanitary control of food materials>sanitary control of foods>sanitary conditions of place for meals>sanitary conditions of cooker>sanitary conditions of tableware. In conclusion, school foodservice should be financially responsible to make policies eff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consu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selection attributes of specialized coffee shops and also understand the effects of consumer satisfaction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revisit intention. Through positive analysis, the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In the factor analysis of selection attributes of specialized coffee shops, there were six factors: ‘quality’, ‘brand image’, ‘economic feasibility’, ‘menu diversity’, ‘the atmosphere and convenience of the shop’, and ‘service’. Among these factors, ‘brand image’, ‘economic feasibility’, and ‘menu diversity’ were found to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Second, consu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revisit intention. Third, consumer intention to revisit specialized coffee shops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commendation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