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밀이용 및 난개발로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는 도립공원의 정밀한 자원조사가 필요하며 이 자원특성을 비교분석하여 그 특성에 맞는 자원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원특성을 파악하여 도립공원별 친환경적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를구축하는데 연구의 목표가 있는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둔산도립공원과 마이산도립공원, 선운산도립공원은 기암괴석이 발달한 도립공원으로 이다. 특히 마이산도립공원은기암절벽을 형성한 수성암 산으로 갖가지 형상의 봉우리들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었으며 타포니 지형발달이 발달되어있다.2. 전라북도 도립공원 식물의 종다양성은 대둔산도립공원이 913종으로 가장 풍부하며, 특히 모악산 도립공원은 북방계식물의 남방한계선이자 남방계북방한계선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대둔산도립공원이 곤충상 273종, 도립공원중 동물상은 천연기념물인 제 323호인 참매, 붉은배새매, 제 324호인 소쩍새의 5종, 보호종 참매와 말동가리의 2종, 보호야생동물은 파충류 중까치살모사가 확인되고 있어 생물적자원이 가장 풍부하다.3. 도립공원의 국보는 모악산 도립공원에 금산사 미륵전 1점, 보물은 금산사 사적에 10점이 있어 문화자원이 풍부하며,천연기념물로는 선운산도립공원에 3점, 마이산 도립공원에 2점이 있다. 그리고 대둔산도립공원의 천연기념물은 조류 5종이관찰되고 있다.4. 대둔산도립공원은 한국의 8경의 하나이며, 기암괴석과 수목이 어우러져 산세가 수려하고 선운산 도립공원은 자연 경관요소로는 동백나무숲이 가장 중요성 높은 요소이다. 모악산 도립공원은 호남4경의 하나로 주능선에서의 파노라믹한 경관전망이 매우 용이하며, 마이산도립공원은 진안 1경이 「마이귀운」이다.
On the leaf disc of fruit vegetables (cucumber, sweet pepper, tomato, egg plant, oriental melon), it has been evaluated that the capability of four predatory mites (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 Neoseiulus barkeri (Hughes), N. cucumeris (Oudemans), N. californicus (McGregor)) to prey on the eggs of Bemisia tabaci (Gennadius) and to lay own eggs. The most aggressive mite was A. swirskii which had consumed about 9~12 eggs in a day. The quantity of eggs consumed by N. barkeri, N. cucumeris and N. californicus was about 6~9, 4~6 and 1~4, respectively. The most productive mite was also A. swirskii which had laid about 1.2~1.9 eggs in a day. The others could not lay more than 0.5 eggs in a day.
With the comparison of native Orius strigicollis (Poppius) to European O. laevigatus (Fieber), we investigated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al period, fecundity, life span, predation ability, and augmentation after relea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five temperature condition, 15℃, 20℃, 25℃, 30℃, and 35℃. In the case of O. strigicollis, egg period was 3.1~14.9 days (hatchability: 46.7~88.2%), and developmental period of nymphs was 9.4~42.8 days (survival rate: 2.4~96.5%). Fecundity at each temperature was 28.1, 107.9, 123.6, 127.3, and 18.1, respectively. Life span of adults was 63.4, 40.1, 22.1, 18.3, and 11.0 day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O. laevigatus, egg period was 3.1~13.5 days (hatchability: 65.0~89.9%), and developmental period of nymphs was 9.3~42.0 (survival rate: 4.3~80.6%) days. Fecundity at each temperature was 101.8, 218.6, 224.5, 219.5, and 15.7. Life span of adults was 70.6, 66.4, 32.6, 34.5, and 7.3 days, respectively. In long-day condition (16L:8D), fecundity of O. strigicollis and O. laevigatus was 105.8 (18℃)~142.4 (25℃) and 109.5 (18℃)~191.5 (25℃), respectively. In short-day condition (10L:14D), fecundity of them was 1.0 (18℃)~31.8 (25℃) and 63.0 (18℃)~198.8 (25℃), respectively. Daily prey consumption of second instar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14.3 and 10.9, respectively. In greenhouse, density of O. strigicollis begins to increase from mid May and peaked about early July (1.8 individual/flower), while that of O. laevigatus begins to increase from mid March and peaked about early June (6.6 individual/flower).
자연유기물을 처리하는 혼합 오존-세라믹 한외여과 수처리 시스템에서 막의 운전조건과 처리수의 화학적 조성이 세라믹 막의 투과플럭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오존주입량, 막간압력 그리고 교차흐름속도를 포함한 운전조건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 막의 투과플럭스는 오존주입량과 교차흐름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막간압력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오존주입으로 인한 막오염의 감소는 교차여과에서 오존기체방울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물리적인 역수송보다는 촉매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 세라믹막 표면에서 발생하는 오존과 자연유기물간의 화학반응에 의한 영향에 더욱 의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막오염의 감소는 상대적으로 높은 막간압력을 적용 시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델 자연유기물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높은 pH에서는 칼슘의 첨가로 인해 투과플럭스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pH에서는 투과플럭스 감소에 대한 칼슘의 효과는 저하되었다. 혼합 오존-세라믹만 시스템에서 연속적인 오존주입은 세라믹막 표면에서 발생하는 촉매오존산화에 의한 자연유기물의 분해로 운전 초기 막의 투과플럭스의 감소 후 궁극적으로는 막의 투과플럭스를 회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게임 내 광고(In-Game Advertising)는 그 어느 때보다 더 게임개발사/퍼블리셔 및 광고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게임내 광고가 게임 및 광고산업을 전혀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배너 및 빌보드 광고가 게시된 온라인 레이싱 게임에 대한 실험을 통해 게임내 광고에 대한 경험적 연구결과를 담고 있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 현재 유럽지역에서 서비스 중인 3D 온라인 레이싱게임 호보런을 연구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이전의 연구결과와는 상이한 점을 보이기도 하지만, 게임내 광고의 잠재적 가능성을 예증한다. 또한 게임관람자의 게임내 광고에 대한 인식률 실험을 통해 E-Sports와 관련한 게임내 광고의 가능성을 논의한다.
목적 :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상지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신경학적으로 더 이상의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 18명을 대상하였다. 편마비측에 4주 동안 전기자극 치료의 적용 없이 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고, 이후 4주간은 전기자극 치료를 1회 20분, 1일 1회, 주 5일간 마비측 상지에 적용하여 기능의 변화, 동작을 분석하였다. 전기자극은 수지의 파악, 주관절의 굴곡, 주관절의 신전, 수지의 이완 등의 순서로 식사동작을 모방하여 작동되도록 조작하였다. 상지의 기능회복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지 근력, 상지의 근력 측정과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및 지각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정량 분석을 위하여 삼차원 동작 분석기(CMS10 measur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지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결과 : 전기자극을 적용하기 전에서는 편마비측 수지 및 상지의 근력과 Fugl-Meyer 운동기능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기능적 전기자극을 적용한 경우에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편마비측 견관절과 주관절의 굴곡, 완관절의 신전 근력이 증가하였으며, 수지 근력,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다(p<.05). 삼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한 상지 기능의 평가에서 회내-회외운동 동작에서 진폭과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가 보였으며,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검지 두드리기와 손바닥 두드리기 동작에서는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와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p<.05). 결론 :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마비측 상지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는 상지 운동기능의 호전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이 글은 조선시대 귀신과 요괴는 어떤 모습이었으며 어떻게 변모해 갔는가 하는 궁금증에서 시작하였다. 이에 필기와 야담집, 그리고 몽유록과 소설 등에서 관련 기록을 살펴보았다. 귀신․요괴의 형상이 구체적으로 표현되기 시작한 것은 서사 적 이야기가 많이 수록된 조선초기 필기서인 용재총화 였는데 여기에서는 초자 연적 현상에 대한 설화적 경이를 주로 담고 있었다. 이후 임병 양란을 거치면서 문학작품에는 귀신과 요괴의 형상이 훨씬 구체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으니 강도 몽유록 의 그로테스크한 귀신의 형상과 어우야담 에 실린 풍부한 요괴담이 그것 이다. 이들 작품은 참혹한 귀신과 요괴의 모습을 통해 부패하고 부정한 현실에 대해 비판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귀신의 형상은 18세기로 오면서 약화되었다. 그렇다고 이 시 기에 귀신담 자체가 약화된 것은 아니었으니 천예록 의 경우는 작품의 반 이상 이 귀신담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조선후기 강고해진 유교이념에 의해 귀신담은 주로 조상의 제사와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었고 요괴나 그로테스크한 귀신의 모 습은 필기․야담집에는 거의 사라지게 된다. 대신 19세기 이후 고전소설에는 원 귀형 여귀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뒤이어 1900년대 이후 완성된 여귀의 원형이 된다. 19세기 원귀형 여귀들은 이전 설화 속 여귀의 계승이며 조선후기 가부장적 이념 하에 여성에게 가해진 폭압을 의미한다. 1900년대 초중반에 가면 외국 영화의 영향과 60년대 이후 폭발적 인기를 끌었 던 전설따라 삼천리 의 영향으로 한국 공포 영화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된 다. 반복적으로 영화화 되었던 장화홍련전 의 경우 초기에는 고전소설의 내용과 동일하게 가정비극적 성격을 지녔다면 후기로 갈수록 공포영화적 기법이 확대되 어 괴기스런 원귀의 모습을 보인다. 바로 그것이 현재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그로테스크한 여귀의 형상이다. 현재 우리에게 친숙한 여귀의 모습은 근대 시각 문화가 발달한 1960년대 이후의 산물이다.
본 연구는 소백산국립공원 천문대~비로봉 구간의 식생복원 및 지속적 모니터링을 위해 구간내 탐방로 주변 현존식생과 식생구조를 분석하였다. 현존식생은 총 18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중 신갈나무군집이 225,337m2로 가장 넓은 면적이었고 능선부 탐방로 주변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철쭉꽃은 14.59%, 낙엽활엽수군집은 11.06%이었다. 현존식생을 고려하여 총 23개의 Belt-transect(BT)를 설치하였으며 신갈나무군집내에 9개소, 낙엽활엽수군집내에 3개소, 주목 군집내에 2개소, 훼손복원지내에 9개소를 설정하였다. 신갈나무군집내에 설정한 9개소는 종다양도 0.4290~1.0496, 종수 7~22종, 개체수115~481개체이었고 낙엽활엽수군집내에 설정한 3개 BT의 경우 종다양도 0.6712~1.0096 종수 14~17종, 개체수 158~453개체이었다. 주목군집내에 설정한 2개 BT는 종다양도 0.5413~0.9923, 종수 14~15종, 개체수 223~406개체이었다. 훼손복원지내에 설정한 9개 BT는 종다양도 0.1899~0.9217, 종수 3~23종, 개체수 105~485개체이었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others' nutrition knowledge on preschoolers' obesity and dietary habits. The subject population included 456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aged 3 to 5 years, who were enrolling in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KyongGi-Do,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mothers responded correctly to those questions concerning obesity-related nutritional knowledge, but responded incorrectly to questions regarding basic nutritional knowledge. 2. The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wa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the mother's age (p<0.05) and degree of education (p<0.05). 3. The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obesity, but not with their preschoolers' obesity. 4.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was determine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interest in nutritional information and food selection in regard to weight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ir kids. 5. In general, preschoolers whose mother had excellent nutrition knowledge evidenced better dietary habits than preschoolers whose mothers had poor nutrition knowledge. In particular, one question regarding serving siz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thers' general level of nutritional knowledge(p<0.05).
To satisfy the demand of higher cutting performance, mechanical properties with tungsten carbide (WC-Co) tool materials were investigated. Hardness and transverse rupture strength with WC grain size, Co content and density were measured. Compared to H, K, and S manufacture maker as tungsten carbide (WC-Co) tool materials were used for high-speed machining of end-milling operation. The three tungsten carbide (WC-Co) tool materials were evaluated by cutting of STD 11 cold-worked die steel (HRC25) under high-speed cutting condition. Also, tool life was obtained from measuring flank wear by CCD wear measuring system. Tool dynamometer was used to measure cutting force. The cutting force and tool wear are discussed along with tool material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the end-mill of K, H manufacture maker showed higher wear-resistance due to its higher hardness, while the S maker endmill tool showed better performance for high metal removal.
Development of T. urticae was studied on the leaves of eggplant grown in hydroponics with nitrogen contents of 5 mM, 10 mM, 30 mM, and 60 mM. As the nitrogen level in hydroponics increased, it also increased in the plant whereas that of K, Ca, and Mg decreased. More nitrogen in hydroponics resulted in increased contents of water and crude protein, and decreased ash, carbohydrates, and fibers within the plant. Biomass was the heaviest as 989.5 g at 10 mM and the lightest at 60 mM. Leaf thickness and the content of chlorophyll increased as the content of nitrogen increased. Laboratory leaf disc tests obtained from plants grown at various nitrogen levels revealed that feeding and oviposition preferences of T. urticae were high at 30 mM and low at 5 mM. Ratio of damaged leaf by naturally occurring T. urticae on eggplants of 99 days post-transplant in the greenhouse was the highest as 98% at 60 mM. Degrees of damage on eggplants with and without T. urticae infestation turned up more as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nitrogen in the hydroponics get bigger. No definite differences in the rate of T. urticae development was found between nitrogen treatment levels but, mortalities in immature stages dropped as the nitrogen levels went up. Adult longevity was the longest of 11.9 for female and 6.9 days for male at 60 mM. Oviposition period was also the longest as 11.7 days at 60 mM and shortened as the level of nitrogen decreased. The number of eggs oviposited was the most as 144.4 at 60 mM while it was the least as 41.0 at 5 mM. Sex ratio was 0.75 in favor of female at 10 mM. R<SUB>o</SUB> and T increased, no trends were detected in r<SUB>m</SUB> and , while Dt decreased as the levels of nitrogen went up.
Secondhand smoke (SHS) is one of major public health threats in morbidity and mortality. Several national and regional comprehensive smoke-free regulations have been implemented to prevent public health exposure, but not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was to review impacts of the national or regional smoke-free legislations on indoor air quality, health effects and smoking behaviors. Indoor air quality has been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smoke free policy. Such improvement was measured by fine particulates and urinary cotinine.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health effec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smoke free policy. This is an indirect evidence of association between secondhand smoke exposure and the health effects. Respiratory symptoms were improved as short as one month after smoke free policy. Smoke free policy was also associated with improved perception of danger of secondhand smoke. Reduction of smoking prevalence was also unexpected benefit of smoke free policy. As reviewed in this paper, smoke free policy can be beneficial to indoor air quality, health effects and smoking behaviors. Since Korea does not have comprehensive smoke free policy yet,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implement national comprehensive smoke free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