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9

        81.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treatments on quality of frozen peach. Pretreatments including steam blanching, water blanching, high pressure, and osmotic dehydration were applied to two varieties (Daeokgye and Hwangdo). Pretreated peaches were frozen and thawed at -20oC and 5oC, respectively. Steam blanching and osmotic dehydration with ascorbic acid reduced ΔE values without change of pH and acidity. Osmotic dehydration with sucrose decreased drip loss and increased brix. Freezing/thawing resulted in an increase of maximum force, while maximum force decreased with increasing time of steam and water blanching. Furthermore, osmotic dehydration with calcium chloride increased maximum force. High pressure decreased maximum force of Daeokgye and increased that of Hwangdo compared with non-treatment.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improved by pretreatment including steam blanching, blanching, and osmotic dehydration with ascorbic acid.
        4,000원
        83.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ach jelly following the addition of various gelling agents (locust bean gum, carrageenan, xanthan gum). The various gelling agents were added to peach jelly at five levels (1.0, 1.5, 2.0, 2.5 and 3.0%), after which their effec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ies were investigated. The total titratable acidity (TTA) of peach jelly was decreased with increases in gelling agent. Additionally, the sweetness and pH of peach jelly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various gelling agents increased. Moreover, the lightness (L-value), redness (a-value) and yellowness (b-value) of peach jelly was decreased as the amount of gelling agent. Furthermore,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peach jel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gelling agent increased. Finally, the overall acceptance was higher for jelly containing 2.0% added gelling agent than for other samp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mixed gelling agents be added to peach jelly at 2.0%.
        4,000원
        84.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Gichuk years JagyeongjeonJeongilJinchan Misu. The banquet, Misu is offered to the king by the crown prince, crown princess, and vassal, according to procedure. JagyeongjeonJeongil Misu are offered as 49 dishes spanning seven courses, so seven dishes in each misu are offered. Various types of food, such as Gawjeong, fruit, soups and side dishes, are placed. Misu involves only the king, crown prince, and crown princess in the banquet. The number of misu dishes are different for the King and prince. The table used is called the Joochil Sowonban and the tableware used is brassware and pottery. Sangwha used Peonies, Chinese rose, Red peach blossom-samjihwa, and Red peach blossombyulgeonhwa in each misu.
        4,000원
        85.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investigating the anti-obesity effects of diets with a mixture of cheese, red ginseng and fermented mature fruit of Rubus coreanus Miquel. We fed the experimental diets (SC5, SC10) supplemented with 5% or 10% cheese containing of fermented mixture, then orally administered the extract of fermented mixture (RB100, RB300) at a concentration of 100 or 300 mg/kg body weight to SD rats with high fat diet (HF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ample cheese groups decreased visceral fat mass and adipocyte size of stomach compared to that of HFD group. Additionally, lipid droplets of liver in sample cheese groups were smaller than that in HFD group. The serum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tChol), glucose, leptin, and insulin levels in sample cheese group were lower than that in HFD group. But, the serum adiponectin and HDL-cholesterol (cHDL) levels were higher than that in HF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rmentation of red ginseng and Rubus coreanus mixed with cheese might be helpful in preventing obesity in high fat diet-fed rats.
        4,000원
        86.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2O3-SiC ceramic composites are produced using pressureless sintering, and their plasma resistance, electrical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evaluated to confirm their applicability as electrostatic-discharge-safe compon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Through the addition of Mg and Y nitrate sintering aids, it is confirmed that even if SiC content exceeded 10%, complete densification is possible by pressureless sintering. By the uniform distribution of SiC, the total grain growth is suppressed to about 1 μm; thus an Al2O3-SiC sintered body with a high strength over 600 MPa is obtained. The optimum amount of SiC to satisfy all the desired properties of electrostatic-discharge-safe ceramic components is obtained by fi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sma resistance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as a function of SiC amount.
        4,000원
        87.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루궁뎅이버섯의 국내 야생수집 18 균주와 재배종 ‘노루1호’, ‘노루2호’ 품종의 PDA배지에서 균사체 배양적 특성은 갈색색소생산, 기중균사형, 분지균사형으로 분류되었으며 KFRI 509, KFRI 1091, KFRI 1093, KFRI 1623의 균사생장율이 ‘노루1호’, ‘노루2호’보다 20% 이상 높았다. Ethanol 60%추출물이 페놀함량과 DPPH와 ABTS라디칼 소거능이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높았다. 노루궁뎅이버섯 수집 균주의 항산화활성은 KFRI 507, KFRI 508, KFRI 842, KFRI 1623균주가 재배종 ‘노루1호’, ‘노루2호’와 비교하여 DPPH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10%에서 40% 이상 높았으며 ABTS라디칼 소거능은 추출물 0.125 mg/ml를 기준으로 ‘노루1호’, ‘노루2호’보다 30%에서 60% 이상 높은 활성을 보였다.
        4,000원
        8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land-use (cover) and water quality,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were studied with 193 samples from estuaries of Korean peninsula between 2015 and 2016. Of total 394 taxa classified, Nitzschia perminuta (19.6%) and N. inconspicua (14.0%) were the 1st and 2nd dominant species. Using a cluster analysis,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of Korean estuar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1-G4).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followed: G1 was located in estuaries of the East Sea, and characterized by high forest land-use and high DO and low nutrients; G2 was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 Sea, and characterized by low turbidity and nutrients; G3 was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 Sea, and characterized by high agriculture, low electric conductivity and low salinity; G4 was the Yellow Sea, and characterized by high nutrients. The environmental factors having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iatom distributions were as follows: TN to G1, turbidity to G2, agriculture to G3, and TP to G4. Moreover,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indicator species were forest land-use for Fragilaria construens var. venter in G1, turbidity for Rhoicosphenia abbreviata in G2, urban land- use and total phosphorus (TP) for Bacillaria paradoxa and Hantzschia amphioxys of G3, and TP and turbidity for N. ovalis and Stephanodiscus invistatus of G4. These results collectively indicate that the distribution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Korean peninsula was largely effected by water quality and land cover/use.
        4,800원
        89.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various freezing and thawing condition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dish. White radish was blanched and cooled down to corresponding freezing temperatures of -20℃, -40℃ and -60℃ and, thereafter, the radish was finally frozen in a -20℃ refrigerator for 24 h. The frozen radish was thawed at 4℃, 25℃ and with running water, radio-frequency thawing machine. As quality parameters, pH, drip loss, hardness, color, and sensory evaluation were evaluated. No effect of freezing and thawing conditions on color, pH, and total bacterial count was observed for the samples. Samples that underwent immersion freezing (-60℃) had lower drip loss and higher hardness than samples in other freezing conditions.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color, hard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freezing tempera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emperature of freezing affects the quality of radish.
        4,000원
        90.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도료의 내후성 및 내광성을 향상 시키고 광택도 및 비극성수지와의 결합을 조절하기 위해 수용성 도료와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물성 변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SiO2, TiO2를 실란커플링 제로 표면개질 하여 수용성 도료에 혼합하였으며, 볼밀을 이용하여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를 수용성 도료에 분산 시켰다. (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GPS)로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를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저장 안정성 평가 및 광택을 측정하였다.
        4,000원
        91.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실리카는 코팅제 및 복합체의 충전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실리카 표면의 실라놀기를 커플링제와 반응시켜 특정한 작용기를 도입하는 표면 처리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이산화탄 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실리카 나노 파티클을 실란커플링제로 표면 개질 하는 반응을 연구하였다. 실란커플링제로 3-(trimethoxysilyl)propylmethacrylate (MPS), (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GPS),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APS) 세 가지 종류를 사용하였다. TGA 측정 시 감소된 양은 실리카의 표면 개질된 실란커플링제의 비율로 볼 수 있다. MPS로 개질된 실리카는 6시간 반응 시 6%, 12시간 반응 시 7%, 24시간 반응 시 9% 감소하였다. APS로 개질된 실리카는 6, 12 및 24시간 반응 시 15% 감소를 보였다. GPS로 개질된 실리카는 6시간 반응 시 6%, 12시간 반응 시 10%, 24시간 반응 시 30% 감소되었다. 가수 분해 된 GPS의 수산기가 실리카 표면의 에폭 사이드 그룹과 반응 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 시간이 길어질수록 GPS 비율이 증가합니다.
        4,000원
        93.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2D 영상이 재생되는 자동 시기능 훈련기구를 이용하여 훈련 전과 후의 시기능의 개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자동 시기능 훈련기기(WISDOM社, China)를 이용하여 30분 간 재생되는 영상을 보면서 시기능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훈련 전과 후의 폭주력, 조절력, 버전스 용이성(3△BI/12△BO), 조절용이성(±2.00D)검사를 시행하였다. 자동 시기능 훈련기구는 0.00~6.00D 범위의 조절과 0~6 M·A 범위의 버전스 훈련을 자동으로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결과: 시기능 훈련 30분 전과 후의 시기능 변화를 확인한 결과, 양안 조절력은 12.63 ± 4.17D에서 15.02 ± 5.96D로 2.39 ± 2.89D 증가하였으며(p<0.05), 폭주력은 13.96 ± 4.99D 에서 16.02 ± 6.03D로 2.05 ± 2.85D 증가하였다(p<0.05). 양안 조절용이성은 16.58 ± 6.52 CPM에서 20.65 ± 6.51 CPM으로 4.07 ± 4.59 CPM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버전스 용이성은 16.40 ± 6.49 CPM에서 23.2 ± 6.95 CPM으로 4.8 ± 2.98 CPM으로 증가하였다 (p<0.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2D 영상을 이용한 자동 시기능 훈련기구의 시기능 개선효과를 알 수 있었다. 이는 평소 좋아하는 영화나 드라마 등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훈련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기존의 단조로운 시기능 훈련에서 벗어난 새로운 훈련방법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9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우리나라는 외래해충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심각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제법에 대한 연구가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다량의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고 있는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에 대한 연구는 다른 외래해충에 비해 연구가 미흡하다. 따라서 우리는 미국선녀벌레의 효과적인 방제 및 예찰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모종 4종류(상추, 배추, 오이,양배추)와 묘목 3종류(대추나무, 블루베리나무, 아로니아나무)에 2회에 걸쳐 60마리의 미국선녀벌레를 풀어놓고1일 2회씩 4일에 걸쳐서 각 기주식물 마다 미국선녀벌레의 수를 카운팅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미국선녀벌레는키가 작은 모종 종류에 대해서는 기주 선호도가 거의 없다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묘목 중에서는 키가 약 1M 되는식물들에는 강한 선호도를 보이는 결과를 얻었다. 특히, 4종류의 묘목 중에서 대추나무에 대해서 가장 큰 선호도를보였다.
        95.
        201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접착제 가장 큰 단점인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용성 첨가제를 개발하였다. 수 용성 첨가제는 diisocyanate 그룹을 가지는 분자들을 아황산수소나트륨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었다. FT-IR 측정 결 과 isocyanate 그룹이 완전히 사라진 것을 볼 수 있었고, DSC의 측정결과는 150℃ 이상의 온도에서 아황산수소나트 륨이 제거되어 isocyanate를 재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발된 수용성 첨가제를 본사 제품인 DM-95 접착제 에 0.5 wt% 첨가하였을 때 높은 접착성능 및 향상된 내수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기존의 복잡한 접착 공정을 요구하는 2 액형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생산 공정이 간단한 1 액형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산업 전반에 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6.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복령(Poria cocos)을 인공재배하기 위해서는 소나무속의 수종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들어 소나무재선충병이 확산되면서 소나무뿐만 아니라 잣나무 등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중부 이남 지역까지 재선충이 확산됨에 따라 소나무 수종의 감소가 불가피한 실정이며, 특히 소나무재 선충이 감염된 소나무류는 훈증, 소각, 파쇄 등 목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을 활용한 소득품종 육성을 위하여 재선충, 재선충 감염목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실험을 위하여 소나무 재선충 수집 및 분리 동정(춘천/2개소)을 실시하였으며, 비교 대상 균은 BC균 (Botrytis cinerea)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배지 및 접종량 : Potato dextrose agar(PDA), 피펫으로 각각 10㎕씩 분주하였고, 생육온도 및 기간은 인큐베이터에서 25°C로 1주~ 3주간 배양후 촬영하였고, 소나무재 선충 및 BC균 확인은 OLYMPUS SZ2-LGB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접종 후 3일이 경과된 후 복령균에서는 재선충이 사멸, BC균에서는 재선충이 서서히 증식하였으며, 접종 7일후에서는 재선충을 접종했던 부분까지 복령균이 다시 생장하였고, BC균에서는 재선충이 완전히 증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7.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복령(Poria cocos)은 소나무 절단목의 뿌리 부분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분류학상 담자균강 다공균목 구멍장 이버섯과 복령속에 속하며, 예로부터 옥령, 만령, 정외 등으로 불리어져 왔다. 복령은 항암성분(pachyman) 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약제조제시 반드시 첨가되는 버섯으로 만성위염, 심신장애, 불면증, 정신안정제에 좋은 한약약제 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복령의 인공재배기술을 위한 기초 단계로 유전자원 수집을 통한 균사특성을 비교하고 우량 균주를 선발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내 지역 춘천시(GFRI 201501), 정선군(GFRI 201502), 고성군(GFRI2016PC001)에서 자생하는 복령을 채집ㆍ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각 지역에서 발생한 복령 균사 및 균사체의 기초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온도와 pH조건이 다른 고체 배지에서의 균사 생장 실험에서는 PDA(Potato Dextrose Agar)를 사용, 둘째, pH조건이 다른 액체 배지에서의 균사체 생장 실험에서는 PDB(Potato Dextrose Broth)를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실험 결과 5가지 배양온도조건에서 3지역(춘천, 정선, 고성)에서의 복령균사 모두 배양온도 25°C에서 기초생장특성(균사생장량, 밀도, 속도 )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10가지 pH조건 이 다른 고체배지에서 3지역(춘천, 정선, 고성)에서의 복령균사 모두 산성배지에서 우수한 생장량을 보였으 며, GFRI201502(정선)균은 pH 민감도가 높지만 산성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량을 보였다. 또한 10가지 pH조건이 다른 액체배지에서 3지역(춘천, 정선, 고성)에서의 복령균사체 모두 산성배지에서 우수한 생장량을 보였으며, 균사체 생장량이 커질수록 배지 내 pH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복령 인공재배시험시 액체배양 배지 조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98.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as sensor sensitivity value of three methods (simple application method, vaporization method, and chamber method) were compared in order to establish a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liquid odor substances. In order to select the representative sensors from among the 16 sensors constituting the gas sensor array, cluste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Sensors with excellent correlation in terms of reactivity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sensors of each measurement method.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reactivity and the correlation increased in the order of simple application method < vaporization method < chamber method. Through a variance analysis using the sensitivity values of selected representative sensors, it was shown that the simple application method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at the level of 99.9% (p<0.001) in three of the representative sensors in four clustering groups. The vaporization method and the chamber metho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t a level of 99.9% (p<0.001) for all representative sensors in each clustering group. If the reactivity wer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the simple application method and vaporization method could also be used as a method of measuring the liquid material with gas sensor array.
        4,000원
        99.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ditions of blanching, freezing, and thawing for Shepherd’s purse (Capsella bursa-pastoris [L.]) were studied to improve its quality attributes during frozen storage. The washed samples were blanched with water at 100oC for 10, 20, 30, and 40 s. They were then soaked in cold wat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such as pH, texture, hardness, color value, and total viable cell were analyzed. The samples blanched for 30 s were frozen and thawed under several conditions and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pH value of raw sampl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lanched sample. The values of br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decreased after blanching except the L* value of root at the condition of blanching for 40 s. Upon considering the bacterial cell counts, the proper condition was determined to be 30 s of blanching time. Blanching for 30 s was the optimal pre-treatment for minimizing the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shepherd’s purse for freezing. Regarding its color change and microbial safety, faster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made less changes on the quality of frozen samples. Consequently, immersion freezing and radio-frequency thawing were the most effective in minimizing the quality change.
        4,000원
        10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류는 BC 5,000년부터 농산물을 발효하여 먹어 왔을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농사를 주업으로 하고 3 면이 바다에 접하여 곡류, 두류, 채소류를 사용한 발효 식품이 통일신라시대 이전에 이미 식생활에 이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발효는 미생물이 농산물을 분해 변화하여 사람이 먹었을 때 흡수력 증대, 영양성분의 변화, 신물질 생성, 항산 화 효과 등의 좋은 점이 있다. 최근에 100세 시대를 맞이하여 몸에 좋은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고조되며. 특히 검 은색 농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오디는 전통적인 기능성 식품으로 동의보감에서 당뇨, 오장에 좋고, 오늘 날에는 안토시아닌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생산량은 (’09) 5,613 → (’10) 5,626 → (’11) 6,752 → (’12) 6,160톤으로 2011년까지 증가 추세였다. 최근에 소비가 주춤하면서 소비확대를 통 한 생산자의 소득확보를 위해 가공식품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오디의 발효액 제조를 위한 장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착즙기 및 발효요인시험장치를 사용하여 기초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오디의 착즙은 햄 머밀로 1차 분쇄후 유압식 착즙기를 이용하는 방식과, 분쇄 없이 바로 착즙하는 방식으로 하였고, 발효는 착즙액+설탕 →살균→젖산균 접종→발효(30°C, 7일)에서 실시하였다. 이때 착즙에는 생과와 냉동과를 각각 사용하였으며 착즙률이 높은 시료 착즙액을 대상으로 발효를 하였다. 조사내용은 착즙률, pH 등을 조사하였다. 착즙률은 냉동과를 해동후 분 쇄 없이 바로 착즙하였을 때가 84.2% 가장 높았다. 이는 냉동에서 과육의 조직이 파쇄 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반 면 분쇄하였을 때는 생성된 작은 입자들이 착즙기에서 배출되는 작은 구명을 막아 즙액의 배출을 방해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발효액의 pH를 측정한 결과 4.42(0일)→4.44(3일)→4.36(6일)→4.34(9일)→4.34(12일)로 6일 이후에는 큰 변화 가 없어 발효기간은 1주일 정도가 가장 적당한 기간으로 생각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