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식생활 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서울지역 다소비 음식점 메뉴를 대상으로 나트륨함량이 높은 국 및 탕류, 찌개 및 전골류, 면류 등에 대한 나트륨 및 칼륨 함량을 조사하였다. 음식점 메뉴는 생선찌개 등 25종류 144건과 김치 50건이다. 음식점 메뉴 중 김치의 나트륨 및 칼륨 평균 함량이 각각 554.9 ± 155.5 mg/100 g, 225.1 ± 69.1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설렁탕의 나트륨 및 칼륨 평균 함량이 각각 24.2 ± 5.8 mg/100 g, 12.7 ± 3.9 mg/100 g으로 가장낮게 나타났다. 음식점 메뉴의 나트륨과 칼륨 평균 함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782(P < 0.01)로 양의 선형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칼륨비는 불고기가 1.17 ± 0.44로 가장 적합한 비를 나타내었고, 우동, 잔치국수, 칼국수의 나트륨/칼륨 비는 10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칼륨 함량에 비해 나트륨 함량이 높음을알 수 있었다. 음식군 분류별 나트륨 및 칼륨 평균 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음식군별 나트륨 평균 함량은 김치류가 554.9 ± 155.5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찌개 및 전골류, 국 및 탕류, 볶음류, 면류 순이었다. 칼륨 평균 함량도 김치류가 225.1 ± 69.1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볶음류, 찌개 및 전골류, 국 및 탕류, 면류 순이었다. 음식군 분류별 나트륨/칼륨 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볶음류가 1.18 ± 0.44로 나트륨/칼륨 비가 1에 가장 근접하였고 김치류, 찌개 및 전골류, 국 및 탕류, 면류 순이었다. 적절한 나트륨/칼륨 비의 유지가 건강에 도움이 되므로 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칼륨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홍보와 함께 효과적인 식단 및 식생활교육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들메나무, 버드나무, 참조팝나무, 신나무, 다릅나무, 호랑버들 6종의 식물을 심적 산림 습지 내에서 생육하는 개체와 습지 밖의 산지사면에서 생육하는 개체의 광합성 특성과 엽록소 형광반응의 차이를 조사하여 습지환경이 이들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조팝나무와 들메나무의 경우 습지 내 생육하는 개체가 산지에서 생육하는 개체에 비하여 기공전도도의 저하로 인해 대기로부터 CO2와 수분의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증산량 감소, 기공제한 증가 및 엽육세포 내 CO2 농도 감소 등 광합성 활성에 관련하는 반응들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참조팝나무는 습지에서 생육하는 개체가 산지에서 생육하는 경우보다 광계 Ⅱ의 광화학반응 과정에서 에너지 전달 효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합성 기구의 활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산지와 습지환경의 차이가 광합성 반응 및 엽록소 함량의 변화를 가져오며, 수종마다 다른 경향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raw out planning principles and structure of Iksan imperial capital city in late Baekje, especially in view of the relationship among imperial capital city planning area, skeletal axis and the location of royal castle. With site survey and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old maps, topographical maps, archeological excavation data, land registration map of 1915, some significant inferences were drawn out.
Firstly from the point of topological conditions, the contiguous line of a stratum from Mireuk mountain(彌勒山) to Wangkung-ri castle(王宮里遺蹟) and two waterways made a topological axis of Iksan Imperial capital city. Secondly district of Iksan imperial capital city can be deduced to the inner area north to Kummado soil wall(金馬都 土城), south to the confluence of Iksan river(益山川) and Busang river(扶桑川), west to Okum mountain fortress(五 金山城) and Galjeon river(葛田川), east to line near to eastern wall of Jesuksa temple(帝釋寺). Iksan ssang-reung(益 山雙陵) was located outside western boundary line of capital city. Thirdly axis from Wangkung-ri castle to northern Kummado soil wall made a skeletal axis of city structure. It got through northern lowland along Buk river(北川) between Yonghwa(龍華山) and Mireuk mountain. Fourthly the location of royal palace can be deduced to the north part of the city around Kumma town area along the planning principle of northern royal palace.
It is not easy to clarify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architect through his architecture. Exceptional cases, it will be the time to design a history museum. As an institution, a Museum already became an apparatus to represent the history to it itself. Libeskind’s Jewish museum Berlin has been presented as the controversial case most of all. In particular, in that it instead of dealing with history positive, that contains a tragic history, this building is a building that history a unique interpretation of the architect has been a problem.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ind a suitable example to Libeskind’s Jewish museum in Berlin to try and look at the problem of the history of contemporary history and interpretation of the architect. In this paper, I am trying to interpret Libeskind’s Jewish Museum Berlin through the aesthetics and history philosophy of Theodor Adorno and Walter Benjamin. They are Jewish and the central figures of the Frankfurt School, known as ‘critical theorists’. Their critical theory was form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Jewish genocide and war.
쌀밥 위주의 식사에서 곡류 또는 두류를 혼합한 잡곡밥의 섭취량이 늘고 있는 추세로 백미(대조군)와 혼합잡곡(혼합잡 곡 1), 혼합잡곡에 정미성분을 가미한 잡곡(혼합잡곡 2)을 제 조하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 성분들의 함량 변화와 기 호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Ascorbic acid의 함량에서는 백미의 경우, 6.68 mg%, 혼합잡곡군은 각각 18.23 및 21.84 mg%로 잡곡을 혼합하였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ocopherol류 의 함량에서는 백미는 1.26 mg%, 혼합잡곡 1군은 19.24 mg% 이었고, 혼합잡곡에 정미성분을 가미한 혼합잡곡 2군은 39.32 mg%로 가장 높은 tocopherol류의 함량을 보였다.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에서 대조군은 2.20 mg%, 혼합잡곡군은 각각 14.38 및 21.91 mg%로 혼합잡곡군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Flavonoid 화합물의 함량은 대조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혼합잡곡 1군은 42.45 mg%, 혼합잡곡 2군은 32.54 mg%로 잡 곡 혼합 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성분들은 메탄올 추출물에서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기호도에서는 맛, 향, 색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는 모두 정미성분을 첨가하였던 혼합잡곡 2군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고, 잡곡밥, 백미의 순으로 백 미보다는 곡류 및 두류 및 정미성분을 혼합하는 것을 더욱 선호하였다.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는 폐사율이 100%에 이르는 급성 조류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우리나라는 2003년 첫 발생 이후 5회에 걸친 대규모 유행으로 인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경험한 바 있어 HPAI 발생을 가능한 조기에 검출하고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가적 모니터링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HPAI는 철새의 이동경로를 통하여 바이러스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방역당국에서는 철새 이동에 따른 바이러스 조기검출을 위하여 주요 철새 도래지를 중심으로 무작위 방식의 철새의 분변시료 채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시료채취 방법과 관련하여 표본추출 지점들이 인접할수록 공간적 자기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으로 인하여 표본들이 비슷 한 정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표본으로서의 철새 도래지 추출과정에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철새 도래지들이 유사한 표본정보를 가질 수 있음을 전제로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고려한 공간표집방법론을 구축하고 실증적 활용성을 가늠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196개 조류 도래지들을 대상으로 분석결과를 도출하고 해석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담배가루이는 시설작물에 있어 경제적으로 중요한 해충이다. 이들의 방제를 위하여 농가에서는 화학약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계속적으로 발생과 피해는 증가하고 있어 높은 방제비용을 야기한다. 이들을 친환경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방법으로는 천적, 식물추출물, 끈끈이트랩 등이 있으나 방제효율이 그리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화학약제를 최소화 하고 방제효율을 높이는 종합적인 해충관리를 위한 유인용 트랩식물을 선발하고 수행하였다. 담배가루이 후각계 반응에서 기주 선호도가 높은 식물들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 선발한 가지, 오이, 토마토, 망초를 대상으로 암실과 광실에서의 시각반응을 조사한 결과, 암실과 광실에서 가지와 오이의 유인률은 각각 35.8%, 29.8% 와 35.6%, 44.3%로 가지와 오이가 가장 높았다. 토마토에 대한 가지와 오이 각각에 대한 시각반응에서는 가지가 82.3%, 오이가 82.5%의 유사한 유인효과를 보였다. 토마토의 초장을 150mm로 고정하고 가지의 초장을 50mm, 150mm, 250mm로 하여 담배가루이 유인률을 비교한 결과, 가지의 유인률이 각각 71%, 88%, 90%의 유인률을 보여 가지의 초장과 정의 상관관계를 이루었다. 또한 곡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대의 유인효과를 보이는 것은 토마토의 초장과 동일한 가지의 초장에서였다.
이렇게 가지로 유인된 담배가루이 성충 방제를 위하여 가지에 침투이행성 약제인 Dinotefuran SG 50%를 100ppm, 200ppm, 400ppm, 1,000ppm으로 희석하여 가지에 관주처리하였고 1일 후 담배가루이 성충의 방사하여 사충수를 조사하였다. 성충 방사 24시간 후 담배가루이 성충은 100ppm, 200ppm, 400ppm에서 각각 81.1%, 80.3%, 81.4%의 사충률을 보였고, 48시간 후 각각 89.6%, 90.6%, 88.4%의 사충률을 보인 반면, 1,000ppm에서는 24시간과 48시간에서 각각 52.6%와 61.4% 낮은 사충률을 보였다.
낙동강 상류에 설치된 수중보 2곳(St.1, St.2)과 본류에 설치된 낙단보(St.3) 및 상주보(St.4)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와 군집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는 2014년 봄, 여름, 가을 총 3회 수질조사와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분류군별 출현현황은 소형 수중보(St.1, St.2)와 대형 보(St.3, St.4)에서 각각 총 11목 32종, 14목 52종, 13목 34종, 9목 18종이 출현하였다. 군집지수 분석결과, 평균 다양도지수(Hˊ)와 풍부도지수(Rˊ)는 St.2에서 각각 2.65와 2.54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 우점도지수(DI)는 St.4(0.8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섭식기능군(FFG) 분석결과, P(Predator)와 GC(Gathering Collector)의 종수 점유율은 대형보에서 88.0%~90.0%, 수중보에서 64.3%~83.3%로 나타났다. 서식기능군(FHG) 분석결과, 비교적 유수역을 선호하는 종으로 구성된 CL(Clinger)의 점유율이 소형 수중보에서는 32.3%~48.4%로 대형보의 9.7%~25.8%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군집안정성 분석결과, 대형 보에서 I 그룹(저항력↑, 회복력↑)과 III 그룹(저항력↓, 회복력↓)에 속하는 종들이 수중보에 비해 각각 더 높은 점유율(75.0% > 70.0%, 16.7% > 14.0%)을 나타냈다.
이화학적 수질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종수 및 개체수는 물리적 환경요인인 pebble입자와 양의 상관성(p<0.05)을 나타냈다. 또한 전기전도도, COD가 종수, 그리고 DO가 개체수와 음의 상관성(p<0.05)을 나타냈다.
이온화에너지 조사는 수확후관리와 더불어 검역해충을 방제하는데 유용한 기술이다.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과수 작물에 피해를 끼치는 검역해충인 벚나무응애(Amphitetranychus viennensis Zacher)에 대한 이온화에너지 조사 효과를 조사하였다. 벚나무잎에 사육한 벚나무응애 암컷 성충(n=100/처리구)을 이용하여 감마선 (0-1000 Gy), 전자빔과 X-선 (0-1500 Gy)을 조사하였다. 벚나무응애의 생존율, 부화율, 산란율은 각 이온화에너지 처리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감마선 및 X-선의 효과가 전자빔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벚나무응애 성충의 생존율은 감마선 1000 Gy 처리시 18.3%, X-선 1200 Gy 처리시 10.0%로 나타났다. 이온화에너지 조사를 통하여 식물검역과정에서 벚나무응애의 소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꿀벌(honey bee)은 대표적인 화분매개곤충으로 산업적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생태계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2006년 이후 꿀벌군집붕괴현상(CCD)으로 인해 수많은 꿀벌들이 죽었지만 아직까지 그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여전히 꿀벌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불확실한 환경조건 또한 꿀벌을 위협하는 요소들 중 하나이다.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외부 환경 조건에 대한 꿀벌의 생리적인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서 heat shock protein (hsp) 유전자를 이용하였다. 꿀벌의 유전체 분석을 통하여 36개의 hsp 유전자를 선발하였다. 이들 중 hsp40, hsp70, grp78, hsp90를 선정하여 quantitative real-time PCR를 통해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고온 처리(40, 45, 50°C)를 했을 때 45°C에서 hsp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조직별(지방체, 중장, 날개 근육)로는 날개근육에서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적화제 섭식 시 hsp 발현량이 증가하였지만, 살충제 이미다클로프리드 섭식 시는 hsp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즉, 외부 스트레스에 대해 꿀벌 hsp 유전자들의 발현이 다양한 패턴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꿀벌의 생리에 대해 더 폭넓은 이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re are so many definition of good work but generally job quality can be useful to analyze the good work. Can good work keep employee healthy? Good work may include some factors about health or working environment. This paper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job quality in Korean employees and its distribution by industry and occupation. Especially comparison of health status between low an high job quality ccan be analyze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was used. Tthe various job characteristics as working conditions were categorized into 6 component of job quality using factor analysis. Statistically mean difference test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health status and distribution of the level of job quality. The result has shown the different distribution of the level of job quality by the economic sectors and occupation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ositive cases of all of six components of job quality was 2.1% of Korean employees and the negative cases of all six components of job quality was 1.5%. Electricity and gas industry and manager occupation have shown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high job quality. The subjective general health status was correlated with job quality but work-related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job quality. This study was heuristic one, more depth analysis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nd causation of job quality and health status.
Recently, the computer software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share in the overall industry and many countries have been adapted an early SW education as their mandatory curriculum in school for children. Most of the prior SW education curriculums had been focused on how to learn a programming language to make a SW in a computer, but current SW education goal has been moved onto training the computational thinking to solve various problems with the computer, effectively. The paper exploits a game design activity as a good and fun tool to training such computational thinking for children. The proposed game design activity consists of a series of systematic curriculums to design a creative game in offline for the children who do not have any prior-knowledge of game. Participants first understand game elements such game title, synopsis, rules, game-play, which are indispensable to make a game. Then they try to understand what the fun is in the game and discuss with how to make such fun in the game. Finally, they have proposed a creative game design which is motivated by playing board-style games and iPad-games. With our assessment of the proposed activity, our game activity derives let the participants to computational thinking while creating the synopsis and game rules to define the game. It also revealed increase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computer software. We expect that the proposed game design activity could be an alternative to train computational thinking and a more holistic program to have increase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computer software for children.
본 증례는 복강경 담낭절제술 후 10년이 경과되어 발생한 총담관 결석의 예로, 결석 내 포함된 외과용 클립이 담관결석의 원인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시경으로 제거한 총 담관결석 내에 외과용 클립이 발견되어 수술시 사용한 외과용 클립이 총담관 내로 이동하여 총담관 내 결석의 핵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담낭 절제술 후 발생한 우상 복부 통증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외과용 클립에 의한 총담관 결석은 진단에 있어 고려해야 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진단은 단순복부촬영에서 우상복부에 금속성 물질이 관찰된다면 의심할 수 있겠으나, 내시경적 담췌관조영술에서 총담관 내에 음영결손과 결석 내부에 금속성 물질이 관찰될 때 가능하다. 치료는 일반적인 총담관 결석의 치료와 동일하며, 내시경을 이용한 유두괄약근 절개술 후 바스켓 및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결석 제거가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