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Rasch모형을 적용하여 뇌졸중 입원환자의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02년 8월 5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전국 18개 재활기관에서 뇌졸중 입원환자 308명을 대상으로,작업치료사가 평가한 6개 영역의 23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 결과를 수집하여 Winsteps 프로그램으로 라쉬분석하였다.
결과 : 3개 항목이 부적합한 항목으로 판정되었으며,남은 20개 항목의 난이도 순서를 배열하였다.뇌졸중 입원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6.77~6.73 로짓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표준화점수로 표시하기 위한 변환식은 "점수 =(로짓점+6.77)/ (6.77+6.73) 100" 이었다.평가항목의 난이도는 가장 어려운 항목은 보행영역의 ‘계단 오르내리기’ 항목이었으며,가장 쉬운 항목은 식사하기 영역의 ‘음료 마시기’ 항목 이었다.
결론 :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입원환자의 일상생활수행 항목의 적합도와 난이도에 관한 결과제시로 개발되었으며,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객관적인 평가도구이다.
Life history of Ivela auripes (Lepidoptera: Lymantriidae), a pest of Comus controversa, was investigated both in laboratory and field condition. At 24±1℃, developmental period from larvae to adult and adult life span was 26.3±0.3 and 4.4±0.2 days, respectively. Developmental period of pupae reared in the laborator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collected in the field. Female moths reared in the laboratory laid significantly less eggs than those emerged from the pupae collected in the field. Light trap catches was less effective than direct monitoring in the field. The two monitoring results showed that adult moth emerged from early June to late June, and the time of 50% cumulative emergence was 17 June.
한반도 도마뱀류의 지리적 분포와 분류학적 현황을 발표된 자료와 채집된 표본을 이용하여 재고찰하였다. 1996년 4월부터 2005년 10월 사이에 채집된 총 138 개체의 형태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한반도 도마뱀류의 목록표와 종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각 종의 채집지를 한반도 지도에 표기하였다. 추가적으로 도마뱀부치(Gekko japonicus)의 분포, 도마뱀속(genus Scincella)의 연구, 장지뱀속(genus Takydromus)의 동종이명(synonym)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특히 한반도산 올디장지뱀(Takydromus tachydromoides oldi)의 서식 여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2004년 4월부터 7월까지 평창강 본류에서 6개 지점을 선정하여 어류상의 특성과 법적보호종의 서식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9과 35종 2,448개체였다. 한국고유종은 어름치(Hemibarbus mylodon), 묵납자루(Acheilognathus signifer)등 19종(54.29%)이 출현하였다. 출현어종 중 개체수 구성비가 가장 높은 종은 참갈겨니(Zacco koreanus)로 34.84%를 차지하였고, 다음은 돌고기(Pungtungia herzi) 10.25%,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6.86%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종별 생체량은 참갈겨니(Z. koreanus)가 5,580.2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꺽지(Coreoperca. herzi) 1,241.2g, 쉬리(C. splendidus) 1,207.0g 등의 순이었다. 한강수계 내 법적보호종의 분포를 비교해본 결과 평창강과 동강이 6종으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또한 개체수 구성비를 비교해 본 결과 평창강이 10.62%로 다른 하천이나 댐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평창강은 한국고유종을 포함하여 법적보호종이 많이 서식하는 잘 보존된 수계이기 때문에 하천생태계의 보존 및 보호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timize an emission test method for building materials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and carbonyl compounds emission from building materials, especially solid-phase building materials, using a small chamber test metho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for small chamber system, temperature and humidity was maintained constantly at 24.5℃, 50.2%.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formaldehyde were also controlled below 20 ㎍/㎥ and 0.5 ㎍/㎥, respectively. Air leakage of emission test chamber and the duplicate precision between two emission test chambers were satisfied. As a result of evaluation for sampling and analysis system (such as the breakthrough test), repeatability of response factor, and retention time in GC/MS and HPLC, desorption efficiency, method detection limits were excellent. The concentration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wallpapers (made of PVC) was higher at 25℃ than at 23℃. Also, th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emitted from floorings made from non-PVC (wood-based) was higher at 25℃ than at 23℃.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ssion from wallpaper (made of PVC) which was stored for 2 weeks at 25℃ and 4℃ with tight sealing. In conclusion,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VOC and formaldehyde from solid-phase building materials would be expected to apply to the plan for the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인간은 보다 풍요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욕구와 최근 소비문화의 변화는 대형 할인매장이라는 소비시장의 생성을 가능케 하였고, 이는 할인매장에서 소비자의 사용 편의에 대한 욕구가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대형 할인매장에서 쇼핑방법은 소비자에게 많은 정신적, 육체적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에 현재 대형 할인매장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쇼핑 지원 로봇을 개발, 상용화 시켜 사용자의 원활한 생활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로봇의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지원시 필요한 사용자의 행태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쇼핑 지원 로봇의 니즈를 분석 도출하여 쇼핑 지원 로봇의 디자인 개발 시 형태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안정된 돼지 체외 성숙 난자를 얻을 목적으로 배양액의 종류 및 배양액에 EGF, , 호르몬 첨가가 돼지 난포란의 체외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포란을 TCM-199, NCSU-23 및 PZM-3으로 48시간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각각 및 였다. TCM-199로 48시간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NCSU-23 및 PZM-3 보다 약간 낮은 체외 발생율을 나타냈다. 난포란을 25 ng/ml의 EGF를 첨가한 TCM-199, NC
The deodorization performances of ammonia, acetic acid and acetaldehyde were tested for each of all forty five air cleaners sold in the online shops and department stores. The removal performances of toluene and formaldehyde were also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deodorization performances for the air cleaners. Filter-type and complex type air cleaners which used activated carbon filters showed superior in odor removal performances to those of ionizer type and wet type air cleaners. Toluene and formaldehyde were readily removed for the most of filter-type and complex type air cleaners. Ionizer air cleaners had little removal ability for the toluene and formaldehyde.
본 연구는 산저항성을 가진 새로운 폴리비닐알콜계 투과증발막을 이용한 불화에탄올(TFEA)과 메타크릴산(MA)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관한 연구이다. TFEA와 MA의 에스테르화 에스텔화반응에 사용된 폴리비닐알콜계 막은 PVA와 EGDE의 열 가교반응을 통하여 제조되었다. 에스텔화 반응의 반응조건 - 반응온도, 산 촉매의 양, 초기 몰비(불화에탄올/메탄크릴산)- 등을 달리하여 에스텔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TFEMA 전환율은 반응온도 촉매의 양, 초기몰비가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다. TFEMA 전환율이 90% 이상을 위한 경제적인 반응조건은 90℃ 수식 이미지의 반응온도, 2.5 wt%의 촉매 양, 그리고 1.7의 초기 반응 몰비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층 절판 구조물을 고차 전단변형이론을 이용하여 길이변화에 의한 거동 특성을 해석한다. 고차 전단변형이론을 적용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Lagrangian 및 Hermite 보간함수를 병용한 방법은 다소 복잡하고 4절점 요소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3절점 요소에 적용할 경우 매우 복잡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 및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Lagrangian 보간함수만을 사용한 고차 전단변형이론을 이용하며 복합적층 절판 구조물의 해석과정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위하여 면내 회전각 자유도를 추가한다. 그러므로 한 요소 당 4개의 절점이 있으며, 한 절점 당 10개의 자유도를 가지게 된다. 기존의 절판 구조물은 길이 변화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경우가 적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중심 변수로 설정하여 다양한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길이 변화에 따라 예측하기 힘든 복잡한 거동을 보이는 복합적층 절판 구조물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불소관능기인 perfluorocyclobutane (PFCB), fluorenyl, sulfonyl계 방향족 화합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술폰화된 랜덤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 및 그 특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 막은 세단계의 합성, 즉 trifluorovinyloxy그룹을 양말단에 포함하는 단량체의 합성, 중부가반응 형태의 열중합, 그리고 chlorosulfonic acid를 이용한 후술폰화를 통하여 얻어졌다. 후술폰화 반응은 고분자 내에 포함된 fluorenyl기의 함량에 따라 일정한 몰비의 술폰화제 비율로 고정하여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이온교환 능력(IEC)을 가지는 고분자를 쉽게 합성할 수 있었다. 제조된 단량체 및 고분자들의 구조와 순도는 각각 FT-IR과 NMR 그리고 질량분석기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술폰화된 fluorenyl기가 많아질수록 술폰화도와 이온교환 능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에 따른 함수율도 역시 증가하는 거동을 보였다. 술폰화된 고분자들의 이온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술폰화도가 증가할수록 이온 전도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제조된 전해질막 중 S-1과 S-2의 경우 다양한 온도범위(25sim80℃ 수식 이미지)에서 상용 전해질막인 Nafion-115를 능가하는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BPA와 DEHP가 돼지 정액 성상(운동성, 생존율, 원형질막의 정상성, 기형율)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일정 농도로 희석한 돼지 정액에 BPA와 DEHP를 각각 0, 1, 10, 100 μM의 농도로 처리하여 3, 6, 9시간 동안 체외배양을 실시하였다. BPA 처리에 따른 운동성과 생존율은 체외배양 시간과 첨가농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체외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와 명백한 차이를 나타냈다. 100 μM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의 운동성과 생존율은 체외배양시간에 관계없이 처리군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DEHP 처리에 따른 정자의 운동성과 생존율도 체외배양시간과 첨가농도에 따라 감소하여 BPA의 성적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정자원형질막의 기능성은 배양시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BPA 및 DEHP 첨가농도 간에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100 μM 처리구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성적을 나타났다. 정자의 기형율은 BPA 및 DEHP 처리시간 및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고농도의 BPA와 DEHP(>10 μM)에 정자의 장시간 노출은 유해한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해양사고 피해규모에 의한 우리나라 수색.구조 구역의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위험성 평가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지식에 기반한 퍼지로직과 내부-외부 종속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퍼지로직은 퍼지 확장원리에 의한 최대최소화 합성이고, 중요도 산출을 위한 비퍼지화는 무게중심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평가항목에 대한 중요도 산출을 위해서는 내부-외부 종속법을 이용하였으며, 최종 종합 평가 중요도는 마아코브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통영, 목포, 여수 수색.구조 구역의 위험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향후 위험성을 경감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구조선과 구조장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