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46

        74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and food habits of 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ccording to drinking habits. In order to identify risk factors, health surveys were conducted from October 2013 to December 2013. Average height, weight, and BMI of subjects were 175.47±5.27 cm, 67.93±9.28 kg, and 22.04±2.67 kg/m2, respectively. Weight and BMI were higher in the non-drinking groups compared to the drinking groups (p<0.05). Frequency of drinking was 2~3 times per month, and 52.4% of subjects started drinking when starting university. The motivation to start drinking was cited as “From necessity”. Reason for drinking was “Social relations”. The favorite kind of drink was beer. Rate of taking supplements was 24.4% of the subjects. Vitamin preparations were highest in drinking groups and non-drinking groups (p<0.05). The reasons for skipping meal were “too busy” in the drinking groups, and “oversleep” in the non-drinking groups (p<0.05). The preference for snacking in drinking groups were milk, milk products, and fast food, with the highest being listed first. The non-drinking groups preferred carbonated drinks and ice cream. The drinking groups need more education about their drinking habits. Drinking groups also need an increased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4,200원
        742.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utilization of processed food and the recognition of food labels among 257 university students (201 females and 56 males) in Seoul and Kangwon-do.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considered information on food labels are shelf life, nutrition facts, and price in sequential order. Female students’recognition of nutrition fac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p<0.05). Female students more attentively checked the manufacturer, origin of the products, and shelf life information on food labels than did the male students. In checking out the food labels information, the most checked items on food labels were calories, trans fatty acid and cholesterol in that order and the least checked information was the sodium contents. Among processed foods, male students’consumption was dominant in instant noodles, frozen dumplings, and canned goods, while female students had more candies/chocolates. In selecting processed foods, male students showed strong preference for cheaper and quantitative products, while female students chose more tasty, brand new, well-known brand, and products of domestic origin. Frequency of canned and frozen food consump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MI, while candies/chocolat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 with BMI.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the attitude of selecting food with longer shelf life and BMI.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niversity students need to be well informed to make wise food choices that contribute to a healthy diet. Additionally, food manufacturers and government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make certain that consumers know how to use food label information more easily and effectively through proper education.
        4,000원
        74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교양 및 전공기초 교과들이 전공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4년제 안경광학과의 교양교육 및 전공기초 교육과정을 편성하는데 도움을 주고자한다. 방 법: 안경광학과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졸업평점(GPA)과 교양교과, 전공기초 교과들의 학점을 조사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전공학습 성취도에 대한 영향을 MS Excel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계산하였다. 결 과: 졸업 GPA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교과목은 수학I 과 안경광학개론I으로 ~0.69의 값을 가지며 물리학I 또한 ~0.65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공필수 교과들과 교양 및 전공기초 교과들의 상관관계에서는 이론 수업의 비중이 큰 안경광학I, 물리광학I, 기하광학I, 콘택트렌즈학I 등의 교과는 수학I, 물리학I 등 수학을 기초로 하는 교양교과와 상관관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안경조제가공학I과 같이 실습의 비중이 큰 교과는 국어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결 론: 안경광학과 교양 및 전공기초 교과과정은 전공 학업성취도에 비추어 볼 때 수학, 물리학, 국어, 안경광학개론 등의 교과교육이 필요하며 상대적으로 외국어 교과의 중요성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화학이나 생물학 등의 교과도 어느 정도는 필요한 교과로 해석할 수 있다.
        4,000원
        74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학과 적응을 성별에 따른 각각 다른 관점에서의 접근을 통해 부적응 학생들의 생활지도 및 진로지도에 좀 더 차별화되고, 입체적인 접근을 돕고자 한다. 방 법: 충청지역 안경광학과 3년제 대학생 156명과 4년제 대학생 187명으로 총 343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도와 학과 적응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학과 적응에서 대학생활 적응도는 남학생은 3.24와 여학생은 3.12로 남학생이 다소 높은 대학생활 적응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의 적응도는 각각 남학생이 3.78과 2.51로 3.54와 2.19의 여학생 보다 다소 높은 학과 적응 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과 0.00). 환경적 차원의 적응도 에서도 남학생3.15와 여학생 3.04로 남학생이 다소 높은 적응도를 나타내었지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결 론: 미래 전문 의료분야에서 일하게 될 남녀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정서적 불안정성의 심각성을 안광학계 모두가 인지하고, 이에 대한 예방과 증진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이에 대한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745.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가족의사소통, 자기통제력에 대한 연구로 스마트폰 사용과 가족관계 및 스스로에 대한 통제력 및 스트레스를 살펴봄으로 이 연구를 통해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가족과 대인관계 및 스스로에 대한 통제력과 스트레스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한다. 연구결과 전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은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이 차지하는 비중, 가치관 스트레스, 즉각적 만족추구, 부모님과의 대화시간순이었다. 부모님 과의 대화시간이 적을수록,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경제적 문제와 가치관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할수록 중독위험이 높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의 가족과 학교관계 및 대인관계와 스스로에 따른 지원전략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4,900원
        74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nature of teacher talk between the native and non-native speaking professors with its focus on language functions and interaction modifications in English-mediated writing instruction. The study analyzed the classroom languages of two professors who were teaching college-level composition courses using the same textbook and syllabus. The classes taught by the two professors were vide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S-unit. The results showed both professors used all of the five functions in the order of information, suasion, opinion, future plans, and checking. The NS professor, on the other hand, used the information function more often, while the NNS professor relied more on the suasion function. The data also displayed that the NS professor gave more feedback responses, whereas the NNS professor asked more clarification requests and repeated their own utterances. The findings implied that the types and distribution of the teacher talk may be influenced by the subject-matter and the instructional foci of each professor.
        6,300원
        747.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적 원조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자대학생 115명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건강증진행위에 관련된 요인들이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요인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은 임의 표집하여 건강증진 생활양식 척도, 자기애적 성격검사 척도, 다차원적 섭식태도 검사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질문지로 응답하였다. 조사 자료의 분석은 SPSS 1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는 129.51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부 영역으로 실천 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스트레스 관리이며, 가장 낮은 영역은 자아실현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행위와 자기애적 성격성향, 다이어트 행위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는 여자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행위의 고려를 반영하는 복지서비스 투입이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여자 대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으로 제안되었다.
        6,300원
        74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types via smart-phones on vocabulary learning and the attitude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56 college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4 groups: a competitive and self-paced group (Group 1), a competitive and controlled-paced group (Group 2), an individual and self-paced group (Group 3), and an individual and controlled-paced group (Group 4). Vocabulary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analyses of the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Group 3 had improved most and Group 1 earned the second highest score, indicating that competition can make a positive effect on vocabulary learning via smart-phone application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t-test scores between self-paced and controlled-paced groups. In addition, vocabulary learning via smart-phone applications improved the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vocabulary learning.
        6,100원
        74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년실업이 심각한 상황에서취업률은대학 평가의 주요 지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대학에서 취업률 향상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대학 졸업예정자의 참여가 구직효능감 및 구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충청지역의 6개 대학 4학년 졸업예정자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그 중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데이터를 제외하고 38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대학졸업예정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학점이나 자격증 준비가 소홀했던 학생일수록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취업캠프,취업특강,취업박람회,취업강좌,취업동아리,취업상담 등의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구직효능감 상승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그러나 취업상담을 제외한 취업지원프로그램별 참여횟수가 높아질수록 구직효능감 증진에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셋째,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이력서 제출 등의 구직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취업박람회의 참여횟수가 높아질수록 이력서 제출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5,800원
        750.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presents the didactic possibility of using movies in the university teaching, most of all in the faculties of german studies. As like other forms of arts, films can be used as a serious object for learning and teaching. In this article I want to present a case study of film didactics, or a sustained image of a teaching situation with films - a set of circumstances that produces significant learning in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lies also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image of good teaching. It is argued that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discussion-based teaching with movies are possible and necessary.
        5,400원
        75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background knowledge, time pressure, and involvement on reading comprehension. One hundred and twenty college students read three passages and answered comprehension questions in eight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activated vs inactivated background knowledge, with vs without time pressure, and high vs low involvement. The results showed main effects of background knowledge and involvement on reading comprehension, indicating essential roles of background knowledge in facilitating the processes of reading comprehension in Korea’s EFL educational contexts. In addition, the study found an interaction effect of background knowledge and time pressure on reading comprehension.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6,100원
        752.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ICT) has been emerged as a powerful tool for exten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a global society. Integration of ICT is a key factor of an educational reform agenda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ICT faciliti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Ethiopia. Basic research on Ethiopia and Adama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and interviews with each stakeholder were conducted in order to reveal which factors play a role in the decision to adopt ICT.
        4,500원
        75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입학사정관제도는 대학입학전형을 선진화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 중의 하나다. 입학사정관 Admissions Officer)을 통하여 내신과 수능이라는 점수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는 입학생의 잠재력과 자질, 성장가능성 등을 다각적이고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하여 각 대학 고유의 인재상이나 모집단위의 특성에 맞는 신입생을 선발하고자 하는 제도다. 입학사정관제도는 각 대학이 대입전형 전문가인 입학사정관을 육성하고 채용하여 지속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대학과 모집단위별 특성에 따라 자유롭고 다양한 방법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다. 입학사정관전형은 각 대학의 설립이념과 교육목적을 반영하는 다양한 전형방식을 운영하여 특기와 적성, 잠재성 및 발전가능성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고 교육함으로써 공교육 정상화와 사교육 경감이라는 교육효과를 달성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 재학생들의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전형에 대한 사교육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입학사정관전형에 적용 가능한 사교육 감소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공교육 활성화를 도모하는 입학사정관전형에 영향을 미치는 사교육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제한할 수 있는 대안 및 제도적 개선점을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5,100원
        754.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생의 마음챙김 및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 적응유연성의 수준이 어떠한지,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와 G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과 3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238명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한국판 켄터키 마음챙김기술 척도 (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와 회복탄력성 척도(Resilience Quotient Test: RQT), 그리고 대학생활 적응유연성 척도(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와 백분율 및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계산하였으며, 대학생활 적응유연성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 보기 위하여 단계적 분석방법에 의한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마음챙김 및 회복탄력성은 대학생활 적응유연성의 하위요인들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마음챙김 및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학생활 적응유연성이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성, 주의집중, 집중행동, 통제력, 사회성기술에서 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근거로 대학생들에게 마음챙김 및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유연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를 통해 알아차림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해 대학생활 적응유연성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한다면 이 사회에 건강한 개인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5,800원
        755.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기술이 구직효능감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와 구직효능감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 상은 경기지역의 전문대학교 남, 녀학생으로 구성된 231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사회적 기술, 구직효능감 관계에서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높은 구직효능감을 보였으며, 사회적 기술의 수준이 높을수록 구직효능감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기술 중에 하위요인인, 협동 사회적 기술, 자기조절 사회적 기술은 사회적 지지와 구직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공감 사회적 기술과 주장성 사회적 기술의 경우, 사회적 지지와 구직효능감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감 사회적 기술과 주장성 사회적 기술의 특성을 많이 가진 학생들이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하여 구직효능감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5,400원
        75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chronicles key shifts in intellectual property regimes in the twentieth century as they relat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academic research.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growth of scientific research in the research university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the increasing awareness of its potential to promote technology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posited an important question of the ownership of knowledge created in the academic setting, where knowledge was traditionally regarded as a common property among academic researchers. This paper shows the ownership of academic knowledge emerged as a key public policy and legal issue in the latter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government officials who pursue the commercialization of academic knowledge for private gain and public benefit. The resulting institutionalization of patent management in the research university and shifts in federal patent policy in turn opened a new legal avenu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rivate ownership of academic knowledge and the expans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academia, especially in the area of biological and biomedical research. Reflecting upon historical shifts in intellectual property regimes in the twentieth century, this paper suggests recent controversies regarding ownership of biological knowledge and profit sharing in developing counties are linked to critical issues pertinent to the welfare of indigenous population, utilization of new natural resource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or humanity.
        4,000원
        75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e, Jinsung. 2014. A Study of College Students' Malpractice in Korean Orthography: a Follow-up Study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Influence of Chatting Language.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2(3).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Lee's(2001) “A study of malpractice of orthography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influence of chatting language”. Within the similar research framework, Some malpractice of orthography in current college students' essay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Lee's. The aim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find out how, in what aspects and extents, the influence of chatting language on formal written language has manifested different characteristics after a span of 13 years. Regardless of the drastically increased use of chatting language these days, most of its characterizing featur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eclined in current students' essays, compared with Lee's(2001). Expressions or vocabularies mainly suitable for spoken colloquial language, however, were observed to be adopted much more frequently and freely in formal written essays. This study additionally investigated the Korean orthography rules on separating words, which were not dealt in Lee's. Violations relating to separating words were found to be seriously grave,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f general writing practice of chatting language, where the rules are routinely ignored chiefly for the economy of space and time.
        6,300원
        758.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the basic data of perceptions about the Temporary Protection of abandoned dogs(TPAD) in Gyeongju University by survey, focus on Dept. of Companion animal and Plant Conservation. Most students agreed that abandoned dogs needs help and protection by students or anyone else. Most students generally indicated that TPAD is certainly necessary and suitable structures and processes need to be put in place to achieve this. Thu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4,000원
        75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기기증은 장기부전환자를 위한 최선의 치료방법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기증비율은 무척 낮은 편이다.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개선하여 장기기증 의향과 실천으로 연결시키는 효과적 교육과 대중의 인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일(一) 간호대학생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포함한 비판적 사고 성향을 알아보고, 학년 간 차이 및 상관성을 분석하여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과 참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는 총 27문항,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는 총 17문항, 태도 측정도구는 긍정적 태도 29문항과 부정적 태도 16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총 대상자 352명(1학년 208명, 3학년 144명)의 평균나이는 20.74세(±2.86)였고, 전공간호학 교육과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3학년(12.56±1.86, 68.5%)이 1학년(11.64±2.08, 73.9%)보다 장기기증에 대해 높은 수준의 지식(p<.001)과 긍정적인 태도(p=.002)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비판적 사고 성향이 증가할수록 장기기증에 대해 높은 지식수준(r=0.126, p=.018)과 긍정적인 태도(r=.113, p=.034)를 보였으나, 학년 간 교육정도에 따른 비판적 사고 성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739). 그러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r=0.117, p=.030), 장기기증 의향에 따라 장기기증 태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장기기증에 대한 윤리적 태도에 초점을 둔 간호교육을 통해 장기기증 인식 변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명의료 윤리의식은 비판적 사고를 통해 도덕적 차원의 검토를 실행하는 것이라고 할 때, 비판적 사고의 함양을 통해 장기기증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지식을 고취할 수 있는 교육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6,100원
        76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ik, Kyungsook. 2014. “They make me feel guilty”: An analysis of some pragmatic effects of Korean college students’ e-mail messages in English about their grade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2(3). This study investigates some pragmatic effects of Korean college students’ e-mail letters about their grades sent to English speaking professors. The pragmatic effects of 51 naturally occurring e-mail messages were evaluated by 4 native professors of English from the U.S. and New Zealand.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students at their intermediate proficiency level in English were found to be not very successful in writing e-mails inquiring about their grades. Their inappropriate pragmatic behaviors include structural informality of the letters, illegitimate goal of the letters, rude or not specific enough requests, some irrelevant or inefficient supportive moves and casual languages and symbols. Based on the students’ pragmatic failures in their messages, some relevant pragmatic norms of the native English professors were identified first, which were then compared to some Australian students’ linguistic behaviors in the same speech event to elicit the common core of the pragmatic rules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Some additional interviews with the native evaluators were also carried out to clarify their baseline norms regarding some controversial aspects of the messages and to acquire some ethnographic information about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s as well as other off-line interactions and practices in their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finally discusses som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rom the perspectives of applied linguistics and intercultural rhetoric.
        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