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hydrolyzed plant proteins on the physical, therm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rice flour (RF) for protein fortification for the elderly and general food systems. Faba bean protein concentrate and chickpea flour were first treated with polysaccharide hydrolyzed enzymes (control; CTFP and CTCF, respectively) and subsequentially with protease hydrolyzed enzymes (hydrolyzed protein material; HZFP and HZCF,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CTFP and HZFP enhanced the swelling power of RF, whereas the CTCF and HZCF exhibited the opposite trends. Adding all controls and hydrolyzed protein materials to RF increased the solubility and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decreased the gelatinization enthalpy. The HZFP addition successfully developed the pasting viscosity of RF, whereas the others did not. The RF-HZFP mixture had a higher peak viscosity than RF but lower trough, breakdown, final, and setback viscos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trols and hydrolyzed protein materials studied here could be used as sources for protein fortification of foods, particularly for the elderly, with minimal changes in textural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nutritious and palatable food products.
The risk of inflammatory conditions caused by obesit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predisposition for additional path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dipose tissue stores energy and contributes to endocrine and immune functions that regulate homeostasis throughout the body. The effects of honokiol on vascular homeostasis in adipose tissue in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are unclear. This study examined the protective effect of honokiol, an extract of traditional alkaloid herbs, on 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epididymal adipose tissue (EAT) and its regulatory effect on other metabolic parameters, such as the lipid droplet diameter, macrophage infiltration, and inflammation in HFDinduced obese mice. A HFD increased the density of 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 (PECAM-1)-1-positive 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EAT, which w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the honokiol treatment. Honokiol ameliorated the HFD-induced increase in lipid droplet diameter and increased macrophage infiltration in adipose tissue. Honokiol ameliorated the up-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molecules and F4/80-positive macrophage infiltration in the adipose tissue of HFD-induced obese mice. Obese mice administered honokiol exhibited reduced mRNA expression of M1 macrophage (F4/80, TNF-, mIL-1, CD11c, and CCL2) and M2 macrophage (Arginase-1, FIZZ1, CD206, and TGF-1) markers in EAT. The vascular permeability was detected by Evans blue dye leakage in EAT of obese mice and treated mice with honokiol. These data suggest that honokiol regulates the angiogenic effects in adipose tissue and inflammation in HFDinduced obese mice.
한국은 심각한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에 직면했다. 연구자는 국내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중 하나로써 이민자 수용을 통한 다문화 사 회 확대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인구 문제와 이민을 연결하여 대학생들 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하였다. 설문은 결혼관과 출산에 대한 인식, 저출 산 문제 해결 방안, 이민자 수용과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 등이다. 설 문 결과, 학생들은 결혼의 필요성을 부정하고, 출산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이는 인구의 지속적인 자연증가가 어렵겠다는 의미를 포 함하고 있다. 이민자 수용에는 대체로 긍정적이고 한국이 다문화 사회가 되는 것에는 수용적 태도를 보였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출산장려 정책 의 실효성이 검증되지 못한 시점에서 당면한 인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는 캐나다와 같은 이민 국가로 나아가야 한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세 가지 이민정책을 제안하였다. 첫째, 유학생들의 국내 취업 활성화, 둘째, 여성 중심 이주의 활성화, 셋째, 캐나다의 점수제 이민제도를 통해 고급 인력 확보와 각 지자체가 탄력적으로 이민을 수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 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신세대의 사고를 이해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며, 인구 증가책의 하나로써 신속하게 추진 가능한 이민정책을 제시하여 다 문화 사회로의 방향성을 제시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조선 말 기독교가 전해진 이후, 대부분의 한국 신학자들은 한국적 신학 형성을 추구하기보다 서구신학을 수용하기에 급급했다. 그런데 1960년대 본격적으로 토착화 신학 논쟁이 시작되었고, 이후 몇몇 신학자들이 자신학화 형성에 노력하였다. 그러한 시도 가운데, 김흡영 이 기독교 신학의 새 길로써 ‘도(道)의 신학’으로 새 밀레니엄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김흡영의 도의 신학을 중심으로 선교신 학적 성찰을 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신학의 동향을 살피고, 도의 신학의 이해를 위하여 도의 신학의 태동, 도-그리스도론, 도 삼위일체 론 그리고 신-우주-인간적 패러다임의 생명생태신학을 다룬다. 또한, 도의 신학에 대한 선교신학적 의의와 평가로써 도의 성경적 의미의 재발견과 로고스 신학과 프락시스 신학을 넘어서는 통전적 신학의 시도, 세계기독교 시대와 생태계 위기에 대한 한국적 응답, 그리고 한국교회와 한국적 신학의 부조화 극복 과제를 논한다. 세계기독교 시대에 도의 신학이 한국적 신학 중의 하나로 정체성을 드러내며 21세기 의 세계적 신학 패러다임으로 조명받기를 바란다.
In contemporary society, consumers increasingly demand foods that provide health benefits and satisfy taste.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functional foods has risen, particularly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bread using various ingredient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different functional ingredients on bread quality, including plant-based components like vegetables, fruits, and grains, as well as animal-derived materials, medicinal herbs, and other additives. The study evaluates changes in the physical,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read dough. Plant-based ingredients improved the color, flavor, and texture of the bread, enhancing its overall sensory quality. They also increased water absorption in the dough, improving its appearance and texture. Animal-derived ingredients, especially from insects, enhanced the phys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value of the dough. Medicinal herbs significantly boosted the bread's nutritional value and health benefits throug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e findings show that functional additives play a crucial role in improving bread quality, providing valuabl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at meet modern consumer demands for health benefits and good taste.
이야기 선교학은 선교학의 영역에서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개인의 이야기를 미시적인 관점으로 조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으 로 또 다른 장애인들을 위해 헌신한 인물, 김선태의 삶과 사역을 중심으 로 이야기 선교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김선태는 어린 시절 전쟁으로 인하여 가족을 잃고 고아가 된 후, 이어서 시각장애인이 되는 극심한 불행 속에서도 불굴의 의지와 신앙심으로 현실의 난관을 이겨낸 인물이 다. 그는 목회자가 되어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사역에 평생 헌신하였고, 이러한 김선태의 삶은 오늘날 한국교회와 세계교회가 본받을 만한 선교적 삶의 모범이 된다. 이 글에서는 김선태의 삶과 사역을 이야기 선교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는데, 첫째, 그의 사역은 “공존”을 희망하 는 선교, 둘째, 총체적 치유를 지향하는 환대의 선교, 셋째, 약자를 위한 약자의 선교-주변부로부터의 선교로 요약된다.
이 연구에서는 선택실험법을 통해 수집한 진술선호자료를 기반으로 세 가지 모형을 이용하여 축산물(쇠고기, 돼지고기 제품)의 이력추적성과 원산지 속성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쇠고기의 경우 한우 제품에 대한 지불의사금액 대비 이력추적성 속성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의 비율이 92~97%로 매우 높았다. 돼지고기의 경우에는 한돈 제품에 대한 지불의사금액 대비 추적가능한 속성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의 비율은 약 76~82%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소비자들이 국내산 육류 제품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어느 정도 식품 안전 속성(추적성)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축산물 이력제가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PURPOSES : This study presents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arking capacity of shared e-scooter parking spaces using the dimensions of the clearance spaces of sidewalks.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continuity angle of the parking unit placement is derived. Second, the parameters of the sidewalk clearance lengths are derived. Third,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arking capacity of shared e-scooter parking spaces is derived. Finally, we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parking capacity calculation formula to actual sidewalk clearance spaces. METHODS :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 formula for the discontinuity angle of parking unit placement was derived using the sidewalk clearance widths and the geometric structure of parking units. Formulas for the parameters of the sidewalk clearance lengths were derived using the sidewalk clearance lengths and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parking units. A formula for parking capacity calculation was derived using the formula for the parameters of the sidewalk clearance lengths and the discontinuity angle.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the parking capacity calculation formula to actual sidewalk clearance spaces are presented.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sted as follows: The discontinuity angle for the placement of standard shared e-scooter parking units was derived. Additionally, a formula for the sidewalk clearance lengths was derived. Moreover,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arking capacity of shared e-scooter parking spaces based on sidewalk clearance lengths and widths was derived. Finally,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the parking capacity calculation formula to actual sidewalk clearance spaces are presented. CONCLUSIONS : A formula for calculation of the parking capacity of shared e-scooter parking spaces using the dimensions of the clearance space of sidewalks was derived and proposed. The parking capacity calculation formula present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sign of parking spaces to accommodate dockless shared e-scooters on sidewalks. Furthermore, it can also contribute to accommodating other types of dockless mobility. Future research can focus on designing parking spaces that consider the parking demands for shared e-scooters.
PURPOSES : Construction standards have resolved overlaps and conflicts between different standards and field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code system. However, the sub-technical standard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construction standards at the time of their creation and have not been revised. This has resulted in poor integration and conflicts with revised construction standards, reducing their practical applicability in the construction field. Consequently, to enhanc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sub-technical standards and ensure their integration with construction standards, this study aimed to devise technical guidelines for sub-technical standards. METHODS : A brainstorming session was conducted with field expert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and necessity of the currently distributed sub-technical standards in the field. Each sub-technical standard was reviewed to determine whether it should be retained or abolished. On the basis of the review results, this study developed a set of draft technical guidelines (Korean Design Standard Guideline (KDSG)/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Guideline (KCSG)) for the sub-technical standards that required retention. RESULTS : A comprehensive survey of sub-technical standards identified a total of 154 standards. Of these, 109 were deemed necessary to retain, whereas 45 were considered unnecessary to retain. Among the sub-technical standards requiring retention, 20 were se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guidelines based on their relevance and applicability to the construction standards. A draft of these technical guidelines was subsequently prepared. CONCLUSIONS : A plan was devised to assign technical guideline codes to 20 subordinate technical standards that were deemed consistent with the road construction standards (KDS/KCS 44 00 00). This approach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reorganizing the system of road construction standards and subordinate technical standards, thereby enhancing their practical usability in the construction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과 신병(神病)의 개념,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을 비교 분석하 여 두 질환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조현병과 신 병에 대한 사주명리학적 고찰에 대한 연구는 두 질환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과 신병에 대한 사주명리학적 접근에 대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조현병은 뇌 신경전달 회로의 기능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정신질환으로, 주요 증상으로 망상, 환각, 와해한 사고, 비정상적 운동 행동 등의 양성증상과 감퇴한 정서 표현 및 무의욕 증 등의 음성증상이 있다. 조현병의 주요 원인은 뇌 내 도파민 과잉 및 신경전달물질의 불 균형이며, 주로 1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에 발병한다. 치료는 주로 약물치료와 인지행동 치 료를 통해 이루어진다. 반면, 신병은 무속적 관점에서 강신무가 되는 과정에서 신이 내리는 현상으로 발생하는 병적 증상으로 간주된다. 발병 시기와 원인은 무작위적이며, 치료는 주로 무속 의식인 내림굿을 통해 이루어진다. 두 질환은 환각과 환청 등의 정신질환적 증상 을 포함하여 유사점을 보이나, 신병은 주로 전신마비, 심폐기능 장애, 극심한 두통 등의 신 체적 증상이 두드러진다. 또한, 조현병의 치료는 의학적 접근이 중심인 반면, 신병은 무속적 치료가 주를 이룬다. 명리학적인 오행의 관점에서 두 질환을 비교 분석한 결과, 조현병은 목(木), 화(火), 토(土)의 기운이 편중되어 있고, 신병은 토(土)의 기운에 편중됨을 알 수 있었 다.
이 논문에서는 교량받침 교체용 통공앵커의 충전조건과 하중조건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에폭시의 충전여부와 하중조건을 변수로 두어 통공앵커의 구조적 거동을 확인한 결과 에폭시 완충 시 앵커에 정적수평하중이 균등하게 작용하여 통공앵커가 작용하중에 저항하여 구조물의 국부적인 파괴를 방지 가능하였다.
얕은 물에서 선박과 바닥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제한이 없는 깊은 물에서 운항할 때와 비교하여 저항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 한다. 이러한 천수효과에 의해 증가하는 저항은 주로 조파저항에 기인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유람선을 대상으로 LCG(Longitudinal Center of Gravity)의 위치 변경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하여 조파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수치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LCG 위치를 최적화하여 저항의 최소값을 찾고, 이후 수심의 깊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7.5% - 52.5% Lpp의 영역에서의 LCG 변화는 총 저항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깊은 물의 조건에서는 총 저항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비교하였을 때, 72.67%의 큰 차이를 보이 는 반면, 얕은 물 조건에서는 그 차이가 62.97% 정도로 비교적 낮은 차이를 보인다. 수심의 깊이에 따른 효과는 수심이 낮을수록 총 저항 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깊은 물과 비교하여 1.5m의 얕은 물에서는 총 저항이 최대 67.68%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경우 총 저항 증가의 주요 원인은 전체 저항의 84.99%를 차지하는 조파저항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제해사기구는 국제해운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채택하였으며, 선박 기인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보다 강화된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액체수소를 기화시켜 연료로 사용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이러한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유망한 기 술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시스템 설계는 선급의 규정에 따라야 하지만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새로운 연료와 시 스템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규정개발이 기술의 도입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소 연료가스공급 시스템을 대상으로 위험요소 및 운전분석 기법(HAZOP)과 보호계층분석 기법(LOPA)을 결합하여 신기술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HAZOP을 통해 위험 시나리오를 식별하고, LOPA를 통해 정성적인 HAZOP 결과를 정량적으로 보완하였다. 초기사건의 빈도와 독립보호계층(IPL)들의 작동 요구시 고장 확률(PFD)을 계산하였다. 기존 IPL의 적절성을 결정 하기 위해, 예상되는 완화 정도를 가정한 허용기준과 비교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추가 IPL을 권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HAZOP-LOPA 기법이 조선해양 분야에서 신기술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본은 식민지 경영 과정에서 조선의 자원을 개발하고 생산력을 높이 기 위한 대안으로 북선의 개척 가능성에 대해 고민했다. 북선을 둘러싼 담론은 정치·경제적인 배경에 의해 1920년대 중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 작되었다. 1930년대 이르러 철도교통망이 안정됨에 따라 접근성이 높아 지고 만주국의 건설과 더불어 한반도 북선 지역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 었다. 본고는 이러한 기행 담론을 토대로 1930년대 초반 조선을 여행한 야마모토 사네히코(山本実彦)의 기행문 『만·선(満·鮮)』(1932)을 분석하였 다. 그가 한반도의 북선일대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무엇이었는지를 밝히 고 조선에 대한 특별한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네히코는 북선의 개 발을 통해 일본이 조선의 영토를 지나지 않고도 대륙으로 손쉽게 진출하 는 이른바 ‘북선루트’를 실현하는 일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를 통해 동아 시아 전역으로 뻗어나가는 제국 일본을 꿈꾸었다. 또한 그는 북선을 상 징하는 명산 백두산에 대해서도 새로운 관점을 견지하고 있었는데 어떤 면에서 새로운 것인지 그 원인에 대해서도 고찰해보고자 한다.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RC) building frames constructed before the seismic design was applied have seismically deficient structural details, and buildings with such structural details show brittle behavior that is destroyed early due to low shear performance. Various reinforcement systems, such as fiber-reinforced polymer (FRP) jacketing systems, are being studied to reinforce the seismically deficient RC frames. Due to the step-by-step modeling and interpretation process, existing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and reinforcement design of buildings consume an enormous amount of workforce and time. Various machine learning (ML) models were developed using input and output datasets for seismic loads and reinforcement details built through the finite element (FE) model developed in previous studies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seismic performance prediction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mean squared error (MSE), R-square (R2), and residual of each model were compared. Overall, the applied ML was found to rapidly and effectively predict the seismic performance of buildings according to changes in load and reinforcement details without overfitting. In addition, the best-fit model for each seismic performance class was selected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by class of the ML models.
산업화로 인한 급격한 도시 개발은 오늘날 도심 골목길의 쇠퇴와 직결 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급격한 도시 개발과 도심 주거지 형태의 변화로 인해 사라질 위기에 처한 지역 문화자원인 골목길의 가치를 분석하고 활 성화 전략을 고민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특히 골목길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살펴보고 골목길 쇠퇴와 지역공동체 형성 간의 직·간접적 인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 로 세 가지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골목길은 화석화된 문화유산이 아니라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다. 따라서 골목은 지역의 과거와 현재의 모 습을 모두 담고 있으며 그 지역의 정체성을 대변한다. 둘째, 골목길은 근 린주구의 공간이며 근린주구 커뮤니티의 장소로서 기능할 수 있다. 왜냐 하면 이미 우리는 골목길이 이웃과의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경 험한 바 있기 때문이다. 셋째, 골목길은 기존 상권과는 다른 새로운 상권 이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문화산업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이러한 세 가 지 이유만으로도 골목길은 중요한 지역 문화 자원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호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eachers’ experiences of practicing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Juingonggwanbeop in elementary schools. The goal was to provide universal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schools. Methods: This study use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to collect data from teachers working at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regarding their character education experien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5 themes and 16 sub-them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five themes included “Starting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for various reasons”, “Feeling joy when seeing students changing through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Difficulties in managing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tandardized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and growth in their school lives through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expressed a strong desire to develop universal programs and materials for teachers who have not been exposed to Juingong-gwanbeop.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직업에 대한 주관성을 탐색하였다. 대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주관성을 조사하여 이를 이해하고, 공통점을 가진 유형 의 그룹화를 통해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각 유형과 Holland의 직업 흥미 유형 간의 유사한 부분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생 커 리어코칭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관련 문헌 검토, 설문, 면담 등을 통해 취합된 총 272개의 Q 모집단 가운데 가장 대표성이 있는 33개의 진술문을 최종 Q 표본 으로 선정하고, 2023년 기준,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 40명을 P 표본으 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결과 총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1유형은 ‘성취추구형’, 제2유형은 ‘안정추구형’, 제3유형은 ‘적성추구형’, 제4유형은 ‘탐색추구형’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은 주관적인 직업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명확한 가치관과 목표를 설정하여 실제로 추구하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고, 학생들의 진로교육과 직업 적응을 위한 효과 적인 커리어코칭을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