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04

        341.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known that bones get damaged by accidents and aging. Since the discovery of Bioglass, various kinds of ceramics have been also found to bond to living bone; some of these ceramics are already being clinically used as bone-repairing materials. In the present study, antibacterial calcium silicate gel (Ag-30CaO·70SiO2 gel) was prepared by sol-gel method in order to control the microstructure, which is related to the dissolution rate and induction period of apatite formation in body environment. In addition, biological Ag-30CaO·70SiO2 is tested. This was done to impart antimicrobial activity to the 30CaO·70SiO2. Ag ion was added during sol-gel synthesis to replace the H2O added during the making of the 30CaO·70SiO2 gel, which has silver solutions of various concentration. After the sol-gel process, 1N-HNO3 solution was used to wash the gel when synthesizing the gel, in order to maintain the porous structure and remove PEG, water soluble polymers. Then, the apatite forming ability of the sol-gel derived CaO-SiO2 gels was investigated using simulated body fluid (SBF), which had almost the same ion concentration as that of human blood plasma. The gels were analyzed by FT-IR spectroscopy, SEM observation, XRD, and fluorescent microscopy. The apatite was successfully created even after washing the gel; apatite is present in an amorphous state, and was found to affect the concentration of the Ag ion in cells in MC3T3 live & dead assay result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 good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repair defects of nature bone is Ag-30CaO·70SiO2 gel.
        4,000원
        34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ntinogenic ghost cell tumor (DGCT) is a rare neoplasm, representing 1.9% to 2.1% of all odontogenic tumors. Peripheral DGCT is a rare tumor with only 25 cases previously described in the English literature. The majority of cases have been reported to occur in the anterior part of the jaws. A rare case of peripheral DGCT is reported, located in the lingual side of the anterior mandible of a 68-year-old man. The patient presented a pedunculated painless growth of 1.5cm in diameter. Radiographically, no bone involvement was found. The lesion was excised and histologically characterized by islands of epithelial cells showing ameloblastoma-like features within fibrous background tissue. Dysplasic dentin and ghost cells with calcifications were frequently observed. Areas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tumor cells and the overlying mucosa were also identified.
        3,000원
        34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arcinogenesis mechanism of human salivary gland adenocarcinoma NOS is poorly understood. MicroRNA155(miRNA155) has been involved in the carcinogenesis of many malignant tum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miRNA155 in tumor growth and invasion of adenocarcinoma NOS. Using SGT cells as a model for adenocarcinoma NOS, cell proliferation was examined by MTT assay after knocking down miRNA155 expression, and cell cycle analysis was performed. Invasive capacity by a Transwell culture assay, and miRNA155 expression in SGT cell line by RT-PCR were examined. In MTT assay, proliferation of SGT-miRNA155 cells was decreased prominently after 96 hrs. Proliferation of SGT cells was markedly inhibited by knocking down miRNA155, resulting from a blockade of cell cycle in the G1 phase, but apoptosis was increased about 4 folds. In adhesion assay, SGT-miRNA155 cells decreased about 60% compared to SGT cells. In invasion assay, inhibition of miRNA155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invasive capacity of about 34% SGT cells. mRNA expression of SGT-miRNA155 cells prominently were decreased compared to SGT cells by RT-PCR. It suggested that miRNA155 could play an role in cell cycle progression and invasion in SGT cells, including antitumor effect. These results have provided insights into the carcinogenic mechanisms and new intervention method of salivary gland adenocarcinoma NOS.
        4,000원
        34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a component of propolis, was reported to possess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ti-viral, and anti-tumor activities.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PE on apoptosis in cultured human mucoepidermoid carcinoma (MEC) cell line, MC-3. Apoptotic effects of CAPE were measured by cell viability assays, Western blotting,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staining and Live/Dead assay. The result of cell viability assay showed that CAPE displayed a strong growth-inhibitory effec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gainst MC-3 cells. Consumption of CAPE resulted in pronounced increase in the cleavage of caspase-3 and PARP, induced nuclear condensation and fragmentation and clearly increased the number of dead cells in MC-3 cells. CAPE also caused the increase in truncated Bid (t-Bid) and the cleavage of caspase-8 and this phenomenon was regulated by death receptor 5 (DR5). In addition, Phosphorylation of AKT and ERK were downregulated by CAP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PE is a potent apoptosis-inducing agent in MC-3 cells.
        4,000원
        34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is the most common malignancy of oral cavity, and the sixth most frequently diagnosed cancer worldwide. This tumor type i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and most OSCC patients are diagnosed after the cancer has reached an advanced stage. The over expression of NF-κB p65 has been associated with OSCC progress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Hence,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expression of NF-κB p65 in OSCC from Korean patients. Immunohistochemistry for NF-κB p65 was performed using 12 normal oral mucosas (NOM), 16 oral leukoplakia (with/without dysplasia), and 58 OSCC patients samples. Immunoreactivity was semi-quantitatively scor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NF-κB p65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of OSCC patients was analyz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vealed that NF-κB p65 expression level increased in oral leukoplakia with dysplasia and OSCC. Moreover, the immunoexpression of NF-κB p65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age, recurrence, TNM stage, and lymph node metastasis in OSCC patients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NF-κB p65 can play a role as oncogene in OSCC. Moreover, NF-κB p65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both oral carcinogenesis and OSCC patient outcome. It may be considered as another new malignant biomarker of OSCC.
        4,000원
        34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상수원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조류경보제는 남조류 발생 현황을 취 정수장 등 물관리 기관에 전파하여 대응조치를 유도하는 제도로 신속하고 정확한 남조류 계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조류경보제 발령 기준 대상 남조류인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 Oscillatoria 속의 군체 크기와 세포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회귀식을 도출하여 군체 크기로 세포수를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3년 8월부터 10월까지 남조류가 과다증식한 시기에 한강(팔당호), 낙동강(달성보, 창녕함안보) 및 금강(고복저수지)의 대표지점에서 남조류 시료를 채집하였으며, 조류경보제 발령 기준 대상 남조류 속의 종별 군체 크기와 세포수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여 종 및 속별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남조류의 속별 상관분석 결과는 사상형인 Anabaena와 Aphanizomenon의 r2값이 0.93 이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구형의 Microcystis는 0.76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냈다. 종 별 상관분석 결과 사상형 남조류 Anabaena crassa, Aphanizomenon flos-aquae, A. issatschenkoi, Oscillatoria curviceps, O. mougeotii는 r2값이 0.89~0.96의 범위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구형인 Microcystis aeruginosa, M. wessenbergii, M. viridis는 0.76~0.88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냈다. 다른 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Microcystis의 상관성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동일한 종, 동일한 크기의 군체라도 Microcystis strain에 따라 점액질 내의 세포 밀집 정도와 세포 크기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 결과 도출한 회귀식을 이용하여 군체 크기 측정값을 세포수로 환산하는 방법이 기존의 세포 계수법과 비교할 때 신속하고 간편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남조류 종별 더 정확한 회귀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료수 확보와 더불어 다른 종들에 대한 조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34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버섯추출물 (42개)의 in vitro 항알레르 기 효능탐색을 위해 랫드비만세포 (RBL-2H3 cell)에서 면역글로불린 (IgE)가 매개한 탈과립에 대한 저해 효과를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anti-DNP IgE 및 DNP-HSA에 의 해 알레르기반응이 유발된 랫드비만세포에서 버섯 추출물 의 IL-4과 β-hexosaminidase 분비량에 대한 저해활성과 세포생존에 대한 영향이 분석되었다. 실험결과, IL-4 분비 에 대해서는 팽이버섯 물추출물 등 5개의 버섯 추출물이 20% 이상의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β- hexosaminidase 분비에 대해서는 영지버섯의 물추출물 등 8개의 버섯 추출물이 20% 이상의 비교적 우수한 저해활성 을 나타내었다. 세포증식에 대해서는 잎새버섯의 물추출물 등 대부분의 버섯 추출물이 우수한 세포증식효과를 나타 내었다. 팽이버섯의 물추출물과 상황버섯의 물추출물은 β- hexosaminidase 및 IL-4 분비에 대해 모두 비교적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추가로 2, 10, 50 ug/ml에서 실험 된 영지버섯, 편각영지버섯, 눈꽃동충하초, 상황버섯 그리 고 느타리버섯의 물추출물들은 β-hexosaminidase의 분비 량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이들 in vitro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낸 버섯 추출물 들은 추가실험을 통해 항알레르기 소재로의 활용성 검토 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4,000원
        34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포유전학 연구는 유전학과 세포학으로부터 발생된 학 문으로 염색체의 수, 구조, 행동 등의 염색체 연구를 기 본으로 하는 분야이다. 1980년대 이후 분자생물학적 기 술의 적용으로 새로이 발전하였으며 현재는 유전체 해 독 연구와 함께 다양한 연구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세 포유전학적 연구를 위한 연구기법은 전통염색법에 의한 banding 기법,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FISH),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GISH), fiber FISH, BAC-FISH 기법 등이 있으며 이들은 기초 핵형을 분석 하는 연구 분야에서부터 유전자의 위치를 탐색하는 응용 연구분야까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현재 화훼연구에 있어서 세포유전학적 연구의 이용은 (1) 배수성 검경을 통한 교배육성의 기초자료 제공, (2) FISH 핵형분석을 통 한 정밀한 핵형분석, (3) GISH 기법을 이용한 게놈 이 입분석, (4) microdissection 방법을 이용한 유전체 분석, (5) GM 작물에서 외래유전자의 위치 추적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화훼연구에서의 세포유전학적 연 구는 아직은 크게 활성화 되지 않았으며 추후 유전체분 석연구 응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작물과 다양한 기술의 적 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화훼연구에서의 세포유전학의 개념과 필요성, 연구의 이용에 대해 논하고 자 한다.
        4,000원
        350.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방울토마토 Betatini 품종의 기능성식품으로서의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암세포 생육억제 효과를 검증하여 보았다. 방울토마토 Betatini 품종의 폴리페놀 함량은건조물 1g 당 11.02±1.98mg으로 국내산 일반 토마토와유사하였으며 플라보노이드는 건조물 1g 당 4.53±0.59mg이 함유되어 있어 일반 토마토에 비해 4배 가량 높았다.방울토마토 Betatini 품종의 항산화활성을 알아보기 위해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DSA),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ASA) 및 ferric reducing antioxidantpower(FRAP)를 측정하였다. DSA와 ASA를 측정한 결과IC50은 각각 340.26±4.28μg/mL, 350.77±7.79μg/mL이었으며 FRAP값은 25.47±0.79μmol Fe2+/g으로 밝혀져 항산화활성이 확인되었다. 방울토마토 Betatini 품종의 암세포 생육억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궁경부암세포(HeLa)와 간암세포(HepG2)에 대해서 높은 생육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방울토마토 Betatini 품종은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351.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화분은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오래전부터 자연 건강식품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벌이 채취한 꿀벌 화분(bee pollen)에는 꿀과 효소가 혼합되어 있어서 일반 화분보다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꿀벌의 단백질원과 로열젤리의 원료로 이용된다. 화분은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 완전식품이지만 sporopollenin으로 된 외피(exine)와 cellulose와 pectin으로 구성된 내피(intine)는 화학적으로 견고하여 강산처리에도 구조가 파괴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동물, 곤충들도 분해하지 못하여 영양성분의 일부만 흡수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은 도토리화분을 대상으로 담자균류인 약용버섯을 이용하여 화분 세포의 발아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꿀벌화분은 알갱이 형태이며, 꿀벌의 분비물을 제거한 순수 화분은 분말형태로 크기는 0.1~0.003 ㎜ 정도이다. 화분의 전자현미경 구조는 도토리화분은 단립이며 모양은 장구형(prolate)이고 극면상은 난형이다. 발아구는 3구형이며 비교적 짧고 곧은 주름이 있다. 표면은 과립상(verrucate) 또는 미립상(scabrate)으로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저온초미분쇄한 화분은 세포벽이 파쇄 또는 절단되었으며, 동결건조한 화분에서는 세포벽이 파열되어 세포질이 나출되는 양상을 보였다. 표고버섯균을 접종한 도토리 화분의 세포 발아 형태는 공구(pore) 주변에 외피가 없는 다량의 발아세포가 형성되었으며, 뽕나무버섯균을 접종한 화분배지에서의 세포 발아 형태는 화분에서 균사속과 유사한 발아관이 형성되고 그 끝에 발아세포가 형성되었다. 도토리화분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화분배지에 뽕나무버섯균(Armillariella mellea) 배양한 발아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표고버섯균(Lentinus edodes) 발아액에서 가장 낮았다. 뽕나무버섯균을 배양한 발아액 중에서 동결건조 화분의 발아액이 정제화분과 저온초미분쇄화분의 발아액보다 총 폴리페놀함량이 많았다. 또한 동결건조 화분의 뽕나무버섯균 발아액은 물추출액보다 총 폴리페놀함량이 1.4배 높았다. 도토리화분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뽕나무버섯균 발아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표고버섯균 발아액에서 가장 낮았다. 동결건조 화분의 뽕나무버섯균 발아액은 DPPH radical 소거능이 물추출보다 2-4배 높았다.
        352.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extracts from Korean plants on the DNA damage response in HaCaT cells exposed to ultraviolet B (UVB) were investigated. The activity of cells treated for 24 hr with ethanol extracts from Vaccinium spp. (VS), and Vitis vinifera L (VV) alone was similar to that of the non-treated control, but gradually decreased at concentrations above 200μg/mL. However, when post-incubation of UVB-exposed cells was carried out for 24 hr in medium containing VS or VV extracts, the cell activit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that in the normal growth medium. The cell viability of UVB-exposed cells also increased when post-incubated in medium containing VS or VV extract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Nuclear fragmentation analysis showed that post-incubation with VS or VV extracts decreased the UVB-induced apoptosis by about 10 and 13%, respectively, of that in cells post-incubated in growth medium. After 24 hr of post-incubation in medium containing VS or VV extracts, the level of CPD and 8-OHdG decreased in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VS and VV extracts assist the survival of UVB-exposed cells,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decrease in the levels of UVB-induced DNA damage.
        4,000원
        353.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Vitamin K (VK) is a fat-soluble vitamin and is known to have anticancer activity in various cancer cell lines. However, there is no report on the anticancer effect of VK2 in mucoepidermoid carcinoma cells. Methods. The effects of VK2 on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activity were recognized by the trypan blue exclusion assay,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staining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VK2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induced apoptotic programmed cell death in MC3 cells evidenced by the cleavages of caspase3 and PARP. VK2 treatment clearly increased Bak and truncated Bid (t-Bid)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whereas it did not alter other Bcl-2 family members. Conclusions.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VK2 can be a good apoptotic inducer accompanied by the increase in Bak and Bid protein. VK2 may be a potent target of anticancer drug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oral cancer.
        4,000원
        354.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oor prognosi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SCC) is partly due to the invasiveness and metastasis of the tumor. One of key elements in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in the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is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TIMP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TIMP-1 and TIMP-2 of oral SCCs with regard to the histologic invasiveness and differentiation in 5 normal oral mucosa and 36 oral SCCs. The histologic invasiveness of oral SCCs were classified into 4 grades. The differentiation of oral SCCs was divided into 3 grades. The StreptAvidin-Biotin immunohistochemical process, using TIMP-1 and TIMP-2 monoclonal antibodie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TIMP-1 and TIMP-2. The expression of TIMP-1 was positive in 5 of 17 oral SCCs with weak invasiveness and was positive in 8 of 19 oral SCCs with strong invasiveness. The TIMP-1 expression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the invasiveness of oral SCCs (P>0.05). The expression of TIMP-2 was strongly positive in 5 out of 17 SCCs with weak invasiveness and was strongly positive in 15 of 19 SCCs with strong invasiveness. The TIMP-2 expressio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the invasiveness of oral SCCs; the stronger the expression, the stronger the invasiveness (P<0.05). The expression of TIMP-1 and TIMP-2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the histologic differentiation. We concluded that with respect to the invasiveness, the TIMP-2 expression increases significantly in oral SCCs but the TIMP-1 expression does not; and that with respect to the histologic differentiation, their expressions do not increase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IMP-2 can be used as a tool to evaluate the invasiveness of oral SCCs.
        4,000원
        355.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innamaldehyde is known to have the antitumor effects in vitro and in vivo. In this study, we showed a potent and irreversible cytotoxic activity of the Cinnamaldehyde derivative 2'-benzoyloxycinnamaldehyde (BCA) in human Squamous oral cell carcinoma cell, YD-10B. BCA induced YD-10B cell apoptosis in a dose-responsive manner. BCA-induced apoptosis was associated with corresponding increases in a series of key components in the mitochondria-mediated apoptosis pathways, followed by caspase cleavage and PARP activation. We also observed that BCA induced autophagy through Akt/mTOR pathway in YD-10B cells. BCA treatment increased LC3B-II expression, and induced the formation of autophagosomes and autophagic vacuoles. These experimental findings suggest that BCA is a potent inhibitor of cell proliferation in YD-10B cells and provide new insights about leading to the possible development of a new therapeutic agent.
        4,000원
        356.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숙주와 장내 공생균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 중 우리는 중장 의 특이적인 구간인 M4 내에 오직 한 종류의 공생균(Burkholderia)를 가지는 톱다 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를 연구 모델로써 사용하였다. 본 모델은 노 린재의 공생균을 대량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배양한 Burkholderia가 숙주안에 공생균으로 적응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 라 예상하고, 먼저 세포벽의 형태학적 차이를 전자현미경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장내 공생균의 세포벽이 시험관 내에서 배양한 균보다 안정성이 떨어져 보이 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계면활성제인 SDS에 대한 감수성이 공생균 이 배양균보다 높은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는 M4 구간에 공생균의 세포 벽을 변화시키는 물질이 있다고 가정하고, M4구간의 추출물이 배양한 Burkholderia의 SDS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M4구간 추출 물을 처리한 배양균이 M4 추출물 양에 비례하여 SDS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다음으로, 곤충 장에서 공생균의 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지는 항균펩타이드인 riptosin에 대한 감수성도 M4 추출물에 의해 증가되는지 알 아보았다. 배양균에 M4구간 추출물을 처리하면 riptocin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M4구간에 공생균의 세포벽을 변화시키는 어떤 물질을 있다는 것을 사실을 증명하였다. 더 나아가, 공생균이 M4 구간의 세포벽을 변화시키는 물질에 의해 항균펩타이드에 더 민감해져 숙주가 장내 공생균의 수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35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dimensional (3D) culture system is useful technique for study of in vivo environment and it was used various experiment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stablish of embryo co-culture system and changes of PAs activity in 3D cultured endometrial cells of pigs. In results, growth of stromal cells into gel matrix were detected only with endometrial and myometrial cells. The most rapid growth of stromal cells were confirmed in 2.5x105cells/ml and gel matrix containing 15% FBS. Expression of urokinase-PA (uPA) after treatment of hCG (0.5, 1.0, 1.5 and 2.0 IU/ml) were higher than without hCG, but,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 On the other hand, expression of uPA after treatment of IL-1β (0.1, 1, 10 and 100 ng/ml) were higher than without IL-1β, but,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Expression of uPA after treatment of estrogen (0.2, 2, 20 and 200 ng/ml) were not difference, but PA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Blastocyst was producing in PZM-3 medium containing FBS and endometrial cells were grown in PZM-3 medium. When embryos development with cultured endometrial cells, cleavage rate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nd blastocyst were not produced in co-culture with stromal cells and 3D culture system. 3D culture system had similar activity to in vivo tissue and these features are very useful for study of in vivo physiology. Nevertheless 3D culture system was not proper in embryo co-culture system. Therefore, we suggest that 3D culture system with embryo co-culture need continuous research.
        4,500원
        358.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추김치 제조 후 익힘 시간 및 김치 냉장고 저장 기간에 따른 김치의 위 암세포 증식 억제 효능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저장 30일 김치 시료 기준으로 익힘 과정을 거치지 않은 S0h 시료에 비하여 46시간의 익힘 과정을 거친 S46h 시료의 효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어서 S47h, S48h 시료의 효능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S0h 경우는 상대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능이 가장 약하였다. 이는 적정 발효에 따른 발효 대사산물, 그리고 유산균 속 및 종 변화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되며, 항암 효능 보유물질로 알려진 GABA의 농도와도 연관이 있을 수 있음을 제안해 주고 있다. 김치는 다양한 재료 유래의 기능성 물질, 대사산물 및 유산균을 보유하고 있는 발효식품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치제조 후 최적의 숙성 시간과 저장 기간을 선택하면 항암 기능성이 증진된 김치를 섭취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해 주고 있다.
        4,000원
        35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vitro 실험을 통한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 첨가가 마우스의 면역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음의 대조군에 비해 느타리 물 추출물을 첨가한 모든 농도에서 비장세포 증식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100~1,000 μg/mL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사이토카인 생성의 경우, IL-2, IFN-γ, TNF-α 사이토카인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 50~500 μg/mL 농도에서 생성된 IL-2, IFN-γ, TNF-α 사이토카인은 대조군보다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 IFN-γ, TNF-α 사이토카인 모두 50, 100, 250, 500 μg/mL의 농도에서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IL-2의 경우, 생성량이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50 μg/mL 이상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은 마우스 비장 세포를 증식시키고, 사이토카인 생성량에도 영향을 주어, 면역 기관의 주요 기능을 증진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느타리버섯이 면역 증진 기능성 식품 개발의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6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ear cell odontogenic carcinoma (CCOC) is a very rare malignant neoplasm of jaw, with a significant clear cell component. It is nearly three times as common in the mandible with distinct female predominance. Past, identified as locally invasive tumor, CCOC is now considered to be malignant neoplasm, showing distant and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CCOC is histopathologically characterized by large glycogen-rich clear cells, often intermixed with eosinophilic cells. When diagnosing CCOC, ruling out salivary gland tumors, such as mucoepidermoid carcinoma or clear cell adenocarcinoma is important because they have overlapping histologic features with CCOC. Here in, we report a case of CCOC involving the right maxillary sinus of a 72-year-old femal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