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1

        61.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영양 지식과 태도는 영아기 영양관리와 건강에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되어 수유와 이유를 실시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영유아기 섭식에 관한 영양지식 정도와 태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종단적으로 아기의 성장에 맞는 섭식 관리에 대한 영양 교육을 실시한 후 부모의 영양 지식과 태도의 변화 및 이에 다른 수유와 이유 과정의 진행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영유아기의 올바른 섭식 관리의 지침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이를 위해 임신 후반의 특정 질환이 없는 임신부중 정상적인 재태 기간과 정상 분만을 한 88명의 어머니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54명은 교육군, 34명은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임신 말부터 생후 12개월까지 6회의 영양교육과 5차에 걸친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 사항은 교육군와 대조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즉 영아의 출생시 평균 체중과 신장은 3.32kg과 50.95cm로 한국 소아 신체발육치와 비슷하였으며,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28.8세, 학력은 고졸 35.2%, 대졸 64.5%였다. 직업을 갖고 있는 경우는 교육군 14.5%, 대조군 19.3%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유지식은 교육전 10점중 대조군 7.33±0.92점, 교육군 7.54±1.03점이었다. 이유시기에 관해서는 낮은 점수를,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에 있어서는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 반면 교육후에는 10점중 대조군 8.33점, 교육군 9.06점으로 교육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p〈0.05). 교육 후 이유태도는 5점중 교육군 3.74±0.36, 대조군 3.52±0.35로 교육군이 바람직한 태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선식이용과 소금.설탕 이용, 이유식을 조제분유와 섞어 먹이는 것에 대해서는 교육군이 대조군보다 바람직한 태도를 나타내었다(p〈0.05). 이유식 먹이기에 있어서 교육군이 대조군보다 스푼을 이용해서 떠 먹이는 것을 많이 실시하고 있었고 6개월 때 떠먹는 정도 또한 교육군에서 좋았다. 설탕이용 및 시판이유식의 이용은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또한 9~12개월 때 이유식 섭취빈도는 시판 우유 및 조제유를 포함한 '우유.유제품'과 '과자류'의 이용에서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했다(p〈0.05). 특히 시판우유의 이용이 대조군에서 월등히 많았다(p〈0.01).이상에서와 같이 영양교육에 따른 두 그룹을 비교해본 결과 이유기 영양에 관한 교육에 따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특히 교육군에서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 식품의 선택이 보다 바람직하게 제시되어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실시는 아기의 바람직한 식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이유식을 통한 다양한 식품의 경험 및 식품 섭취방법 등을 연습하는 과정을 통해 앞으로의 식생활 및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영유아의 성장발달에 따른 적절한 영양교육의 실시가 보다 체계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하겠으며 이를 위해 실제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내용, 방법 및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4,500원
        6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selected supplementary vegetable resources to develpe nutritious supplementary model of korean formula for infants and children, purchased and analyzed it to use with a model. We also referred to an old book about Korean vegetable resources and searched a form of vegetable resources. There are a lot of vegetable resources of various kinds which lied scattered in mountains and fields of our country. As for these, a beyond compare menstruation activity component is becoming clear with a lot of things. It is thought that depth search and study of these vegetable resources and practical application to a infant and child supplemen is desirable. Therefore, we choosed vegetable resources ; a Capsella brusapastoris, a Codonopsis lanceolata, Dandelion, a wild plant, a Tractylis ovata(dried), a Tractylis ovata(native), a Pine plant, a burdock, a JanDae, a Plantain, a HollpDae, which gathered in our country, and we analyzied priximate aomposition of sample (moisture, ash, total carbohydrate, crude fat, crude protein, dietary fiber) and micronutrient contents of sample (calcium, Iron, flavonoids, vitamin A, vitamin C, vitamin E).
        4,000원
        63.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전지역의 만3세부터, 7세까지의 유치원 아동들 중 1 ,455명을 대상으 로 영 ·유아 시기의 주변 환경 및 습관이 시력에 영향이 미칠 수 있는 요소들올 성 문하고 안과병원과 협조하여 단체 시력검사를 실시하였는데, 난시는 Spherical equivalent로 환산하여 정상 시력 군은 -0.75D - +0.75D 사이의 범위이면서 양안의 나 안시력이 0.65 이상을 모두 만족한 아동으로 하였고 나머지를 비정상 시력 군으로 구 분하였다. 단, 상기의 구분에서 정상 시력 군으로 판정이 되었어도 Spherical equivalent에 의한 양안의 차이가 2.00 D 이상일 경우는 비정상 시력 군으로 분류한 결과, 83.6% 의 비정상적 시력을 보였으며 연령별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출 생시 체중이 2.5Kg 미만 군에서 비정상 시력 군이 86.3%로 가장 많았으나 체중별 결 과도 유의하지 않았다. 수유와 관련한 사항에서는 모유와 분유와 이유식을 모두 먹은 군에서 정상 시력 군이 22.9%로 가장 많았으며 수유기간은 197~ 월 이상 동안 수유한 군에 서 정 상 시 력 군이 22.0% 로 가장 많았으나 역 시 유의 하지 않았고 초유의 음용 여부에서는 “모두 먹었다”는 군에서 정상 시력 군이 2 1.1%로 가장 많았고 통계학적 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P=O. OO6). 수유기간 동안 및 최근 기간동안에 수면 시 조명상태에서는 “등을 켜고 잔다”는 군에서 비정상의 시력 꾼이 각각 90.0%, 85.0% 로 가장 많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부모의 시력교정 여부에 따른 사력검 사 결과에서 “부모 모두 교정하였다”의 군에서 비정상 시력 군이 89.2% 로 가장 많았 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출생 후 질병의 유무와 임신기간별 사력검사 결과에서도 그 유의성을 찾을 수 없었다.
        4,200원
        64.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it is rapidly increasing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in Korea, the quality of food and nutrition services is not improved su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f children in day-care center. Menus for lunch of 253 centers were collected and the content of nutrients was analyzed. Nutrient intakes from lunch and snacks of 90 children were investigated using weighing method and those from breakfast and dinner by 24-hour recall method surrogated from their mothers. Anthropometric indices of height, weight, skinfold thickness, the ratio of fat were measured. The lunch menus for children contained 437.0±138.9 Kcal, 17.6±6.7gr protein, 153.9±87.7mg Ca, 3.63±1.6mg Fe, 164.5±158.2RE Vit A. and 4.46±3.04mg Vit B1. Energy, Ca and Fe supplied were below one third of RDAs. Mean daily calorie intake of children aged 3 years was 1303.0±474.0Kcal/day, 1322.3±442.4Kcal in aged four, 1307.0±545.9Kcal in aged five and 1497.1±93.5kcal in six year of age. Intake of iron, vitamin A and vitamin B1 were below RDAs.
        4,200원
        6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executed for 300 mothers bringing up a child below 3 years in the area of Kangnung to assess the current weaning practice of infants. 24.6% of mother surveyed were breast-fed, 57.8% were formula-fed and 17.5% were mixed-fed. The rate of breast feeding was lower and the rate of bottle feeding was higher in infants whose mothers had more income or higher educational period or full-time job. Most of the respondents knew the significance of supplementary food. 41.4% of the subjects started weaning of their infants at 3-4 months, and 84.1% of them set on weaning in less than 7 months after babies were born. And 39.4% of the subjects finished weaning of their infants in less than one year. The infants of this study preferred the fruits and fishes to meats, vegetables and beans that served to them as supplementary food. Mothers showed deep interest in recipe of weaning food(48.5%), adequate quantity of weaning food(36.3%), information on commercial food for infants(32.2%), and sequence in which semi-solid food are introduced(31.9%).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 program in primary health center for improvement of weaning practice of infants should be implemented reflecting needs of mothers.
        4,000원
        66.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67.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700원
        68.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69.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it is increasing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in Korea, but the quality of food and nutrition service are not increased su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actices of food and nutrition service in day-care centers. Questionnaire were sent to the directors of 750 day-care centers and 253 returned the complete answers. Staffing structure revealed that only 13% of the facilities had a dietitian. And compared with centers without a dietitian, there were more centers having nutritional standards, using facilities for service, and having long-term planning of meals in centers with a dietitian. In the using of foodservice budget, the centers having dietitian consumed more money for subsidiary dishes than for the staples. All centers needed increment of supplementation for the cost of foodservice and for hiring a dietitian. To improve the quality of food and nutrition services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practices have to be conducted by professional personnel and to confirm the standard of service and to inspect the management of food and nutritional service.
        4,300원
        70.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nsciousness of diet and their infant feeding methods and weaning practices. Consciousness of diet analyzed from 17 questions concerning the attitudes and opinions of diet was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using the factor analysis. These categories were the faithfulness of diet, the health-directed dietary practices, the application of health information,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the sincerity to meal preparation, and dietary habits. The 400 mothers selected randomly from Wonju area were survey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Weaning was implemented earlier by the group with better education career and with the exact knowledge of weaning. Factors associated with infant feeding methods included som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birth order, mothers' employment state and income level and mothers' effort toward faithfulness of diet. The use of health-foods and nutrient supplements were prefered by the groups used bottle-feeding method. The health condition of the infants was influenced by mother's will to carry out the health information rather than infant feeding methods and weaning foods used. Mothers who perceived the importance of diet for health and consumed more milk had healthier babies, and their dietary habits were more favorable. The subjects who self-recognized the meaning of weaning and who believed that earlier weaning was good for baby or delayed weaning was the cause of anemia and poor appetite, took advantage of the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as well as prefered the health-directed dietary practices. Mothers who retried to feed the weaning food rejected by baby before, applied the dietary information to the real meal management more actively and had a more desirable dietary habits. In those cases the baby had improved health condition.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the meaning of weaning and the nutritious effect of weaning foods,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tendency on the performance of cooking information and the more confidence to the health information from advertisement.
        4,200원
        71.
        1996.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fanthood is a crucial period when mental and emotional developments take place along with physical growth. Adequate supply of nutrition is essential during this period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roper education and guidance on balanced nutri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et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baby food by investigating the conditions of weaning status and mothers perspectives on wean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verage period when interviewees began weaning of their infants is 4.1 months and finishing period of weaning is 14.2 months on average. The frequency of consuming commercial weaning food is once a week. As high as 88.4% and the fruit juice was mainly used as the starting weaning food. The consumtion rate, more than once a day, is as high as 60%, they use commercial weaning food for convenience, especially when they are out. The 65% of surveyed group show rather dissatisfactory view about the commercial weaning food, and wanted improvements and changes. Interviewees wanted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baby food sold in the market and how to prepare baby food through technical literatures, and they frequently relied on commercial baby food due to its convenience. The most desired type of baby food was semi-solid paste in a disposable package that can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4,000원
        72.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fanthood is a crucial period when mental and emotional developments take place along with physical growth. Adequate supply of nutrition is essential during this period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roper education and guidance on balanced nutri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o current status of lactation and to investigate mothers' perspectives on human milk and formular milk. As random samples for this study, a total of 352 mothers having infant under the age of 4 were surveyed. 27.3% of mother surveyed were breast-feeding, 38.0% were formula-feeding and 34.7% were mixed-feed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ercentage of breast feeding was on the decrease, while the dependence on formular milk was on the rise. The main reason of formula-feeding was insufficient secretion of human milk on mothers part.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 to select feeding method were employment status, degree of education, family income and age. Also, the interviewees desired the product fortified with special ingredients that are hot contained in formular milk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The most concerned problem of formula milk was indigestion and the interviewees wanted the formular milk to be improved digestibility.
        4,300원
        7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factors associated with infant feeding practices among highly educated Korean mothers living in Texas, USA and local populations. In both groups, infant's birth order, maternal age, prenatal education, husband's attitude, mother's attitude and infant's taking a bottle to bed were not associated with infant's feeding patterns significantl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itiating time for introduction of supplementary foods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Thus Korean mothers introduced supplementary foods earlier than American counterparts. Furthermore the infant's feeding method among all participants affected the time for introducing supplementary foods significantly. Though attitude of Korean mothers toward breastfeeding was slightly more positive than that of American mothers, the prevalence of exclusive breastfeeding in Koreans was much lower than that in Americans. It might be suggested that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subjects should be developed to practice breastfeeding from positive attitude and knowledge. It might be also suggested that participation of prenatal nutrition education involving fathers should be encouraged for promotion of rates of initiation and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of mothers.
        4,000원
        74.
        202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어머니들의 육아 일상에서 운동이 주는 의미를 구성주의 근거이론(Constructing Grounded Theory) 접근 방법으로 탐색해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법을 활용하여 서울과 청 주지역의 만 0세∼6세의 자녀를 둔 영유아 어머니 중 규칙적인 운동을 6개월 이상 실천하고 있는 인원을 선별하 였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관계망을 통해 연쇄적으로 표본의 수가 증가하는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 현상이 나타났다. 총 127명의 설문 응답 자료 중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11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 료 분석은 Charmaz(2006)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의 절차에 따라 코딩 과정에서 추출한 각 범주를 기반으로 영유아 어머니들이 갖는 운동의 의미를 도식화하여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영유아 어머니들의 ‘운동 시작 계기’ 도식은 자기 돌봄의 상위범주가 신체적, 심리적 돌봄의 하위범주로 구분되어 나타난 구조를 확인하였다. 둘째, 어 머니들의 ‘운동 지속’ 요인들의 도식화 결과, 운동환경구축, 개인적 차원, 운동의 이득으로 모아진 각 범주가 서 로 순차적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운동의 의미’를 도식화한 결과, 운동은 영유아 어머니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어 ‘자기(self)’를 돌볼 수 있는 수단으로 작용하며, 이는 아이들에게도 긍 정적인 영향을 미쳐 다시 정신건강 증진과 자기 돌봄 행동의 강화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선순환적 구조를 확인 하였다. 또한, 운동은 ‘자기’와 ‘육아’ 사이에서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중심이자, 삶의 원동력이 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결론: 종합적으로 운동은 육아의 일상에서 돌봄 노동에 지속해서 노출된 영유아 어머니들의 신체적, 정신 적 건강증진을 도모할 뿐 아니라 삶의 균형을 찾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 는 주 양육자(어머니를 포함한)가 자기 돌봄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적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운동을 비롯한 자기 돌봄 행위의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하도록 지역사회와 정책적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강조한다. 나아가 육아와 돌봄의 영역이 ‘여성’ 고유의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는 다소 편향적인 성 역할에 대하 여 사회문화적인 인식이 변화해야 할 필요성을 촉구하는 의미 있는 결과이다.
        75.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 중인 영유아교사의 마음챙김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의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등 6개 시도에서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201명의 영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The PROCESS macro for SPSS 3.4를 사용하여 단순매개 또는 병렬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bootstrapping 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마음챙김과 긍정정서, 공감능력의 관점수용,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은 각각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부정정서는 중간 정도의 수준을 보였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마음챙김과 공감능력의 관점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는 긍정정서의 완전매개효과가, 상상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는 긍정정서의 부분매개효과가, 공감적 관심과 개인의 고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는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의 각각 병렬이중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마음챙김을 향상시켜 긍정정서를 높이고 부정정서를 낮추어 공감능력 향상을 도모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교사의 영유아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보육 및 교육의 질적인 향상 뿐 아니라 거울반응 효과로 영유아의 공감능력을 발달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76.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스마트 교육 수용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하여 인지된 조직지원, 스마트 교육의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태도, 그리고 스마트 교육 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417명이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AMOS를 이용하여 측정모형 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조직 지원은 스마트 교육의 용이성 보다는 유용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 교육에 대해 유용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된 영유아 교사일수록 스마트 교육 운영에 대해 적극적인 의도를 보이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스마트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영유아 교사의 스마트 교육 유용성에 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지원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77.
        2018.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China has gradually enhanced the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national income or consumption in recent years,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baby products, markets for high-quality baby products are spotlighted so that the baby product market in China has been growing rapidly and the prospect is bright as well. The government changed the one-child policy into the two-child policy to increase the birth rate from 2015. This policy change can result in the enlargement of the baby goods market.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strategies for promoting infant products to China and concrete ways of entering the market. The strategies to enter the Chinese marke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uccessfully enter China,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market with Chinese market research and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the recent economic environment in China. Second, enabling online and offline integration and SNS on brand advertisement are necessary. Third, reinforcement of the Wang Hong marketing. Fourth, reinforcement of customer service. Fifth, products promotion through TV advertisement. Sixth, usage of the relationship properly. Seventh, securing the overseas certification system. This study may provide the good implications not only to Korean baby product companies which want to enter the Chinese market but also to the peoples who want to establish the entry strategy into China.
        78.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이와 관련된 교사 배경 변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은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교수기술, 교수지식,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외재적 교직지속 동기, 자기조절능력의 6가지 하위범주가 있으며, 교사 배경변인으로는 교직경력, 근무기관유형, 담당학급연령, 근무기관 소재지이다. 영유아교사 4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먼저,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은 높은 편이었으며, 하위 범주의 교수지식,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교수기술,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자기조절능력, 외재적 동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 관련 교사 배경 변인에서 교직경력은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외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무기관유형에서는 교수지식과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근무지역 소재지에서는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그리고 담당학급연령에서는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와 외재적 교직지속 동기의 하위범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유아교사들의 보다 긍정적인 전문적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교사 배경에 따라 차별성을 둔 현직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구성, 실행하는 것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79.
        2017.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China has gradually enhanced the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national income or consumption in recent years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baby products, markets for high-quality baby products are spotlighted so that the scale of markets for baby products is predicted to grow from 180 million yuan in 2015 to more than 360 million yuan in 2020. In the trade of major baby products in China, milk powder is much larger in import than in export in that its imports reached 2.52 billion dollars in 2015, whereas its exports reached 8.46 million dollars. As the trade of baby diapers has tended to increase, their exports amounted to 1.92 billion dollars in 2015, whereas their imports amounted to 1.277 billion dollars. In the trade of baby clothes, of which knitting products were given important weight, their exports came to 3.23 billion dollars in 2015, whereas their imports came to 140 million dollars. In the trade of baby products in Korea, the exports of baby products had increased by 2.3 times during the recent period of 2011-2015, whereas their imports had increased by 1.4 times, as the items leading export and import increase were diapers, milk powder, and cosmetics. Of them, the exports of milk powder had increased by 3.1 times from 36.23 million dollars in 2011 to 112.26 million dollars in 2015 and the exports of diapers had increased greatly from 9.91 million dollars in 2011 to 143.13 million dollars in 2015, whereas the exports of baby clothes had decreased from 33.56 million dollars in 2011 to 28.91 million dollars in 2015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trading principal baby products between Korea and China, for 5 years during the period of 2011-2015, the exports of milk powder to China had increased by 3.9 times from 23.85 million dollars to 93.97 million dollars, so that they tend to increase continuously. Korea exports the largest diapers to China in that their exports had increased by 21.4 times from 5.50 million dollars to 117.63 million dollars for 5 years. In Korea’s trade of baby clothes with China, their exports reached 4.09 million dollars in 2015, whereas their imports reached 29.25 million dollars, so that their exports accounted for 14% of the total exports (based on 2015).
        80.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습제는 피부과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제품 중 하나로, 피부장벽을 유지시키고 피부가 촉촉하고 건강하게 보이게 하며, 영유아의 정상적인 피부발달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하지만 보습제 도포가 정상 영유아의 피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건강한 정상 영유아에서 일반적인 보습제 도포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31명의 피부염이 동반되지 않는 건강한 6 - 36개월 연령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루 2회 목욕 후 눈과 기저귀 착용 부위를 제외한 전신에 존슨즈 베이비 내츄럴너리싱 로션을 4주간 도포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도포 전후, 1주, 4주에 실시하였다. 매 방문시 피부수분도와 경표피수분손실도, 피부산도 및 거칠기를 측정하였으며 피부표면을 촬영하여 비교하였고 보습제 도포 후 발생한 피부 발진을 포함한 모든 부작용을 기록하였다. 보습제 도포 후 피부수분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경표피수분손실도와 거칠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피부산도는 약산성으로 조절되었으며, 육안적으로 피부표면은 매끄럽게 변화한 것이 관찰되었다. 임상 시험 기간 동안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해 보습제 도포가 영유아의 피부에 있어 수분을 증가시키고, 피부장벽기능 증강과 약산성의 피부산도 조절 및 거칠기의 호전을 야기하며, 4주간의 보습제 도포가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