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97

        1001.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the focus is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old dimensions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die during plasma activated sinte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cylindrical mold with various dimensions was measured using K-type thermocouples. The temperature homogeneity of the die was studied based on the direction and dimensions of the die. A temperature gradient exis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e during the plasma activated sintering. Also, the magnitude of the temperature gradient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wever, there was no temperature gradient.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die in the radial direction strongly depended on a ratio of die volume to punch area
        4,000원
        1006.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ynthesis gas is a high valued compound as a basic chemicals at various chemical processes. Synthesis gas is mainly produced commercially by a steam reforming process. However, the process is highly endothermic so that the process is very energy-consuming process.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duce synthesis gas by the partial oxidation of methane to decrease the energy cost. The effects of reaction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reactants on the methane conversion, product selectivity, product ratio, and carbon deposition were investigated with 13wt% Ni/MgO catalyst in a fluidized bed reactor. With the fluidized bed reactor, CH4 conversion was 91%, and Hz and CO selectivities were both 98% at 850℃ and total flow rate of 100 mL/min. These values were higher than those of fixed bed reactor. From this result, we found that with the use of the fluidized bed reactor it was possible to avoid the disadvantage of fixed bed reactor (explosion) and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synthesis gas.
        4,000원
        1007.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the structure of carbon nanotubes is important factor characterizing its properties,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the structure of carbon nanotubes (MWNTs) and to predict the range of their diameter, which is the primary factor of MWNTs' physical properties. We tried to control the diameter of MWNTsby governing the feed injection temperature of floating catalyst method. The structure of MWNTs was influenced by the phase change of ferrocene fed as the catalyst,. The carbon nanotubes were very narrow at injection temperatures close to the sublimation pt. of ferrocene, in which most MWNTs had diameters in the range of 20~30 nm. At injection temperatures between the boiling pt. and melting pt. of ferrocene, the diameters became larger and had broad distribution. However, at injection temperatures higher than the boiling pt., the diameters became narrow again and had very uniform distribution.
        4,200원
        1008.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의 성충수명, 산자수는 15-32.5, 습도는 , 광주기는 16L: 8D조건에서 조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를 기준으로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서 수명이 길어지고 산자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에서 산자수가 61.8마리로 가장 많았다. 이와 다르게 성충의 일일 출산 수는 까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였고(일일평균 5.6마리) 이후 감소하였다. 온실에서 성충수명은 20.0일, 산자수는 59.6마리로 의 항온조건보다 수명은 길고 산자수는 더 많았다. 목화진딧물의 생명표를 작성한 결과 순증가률(Ro)은 에서 54.9이였고, 내적자연증가률()과 기간증가률()은 에서 0.5와 1.6으로 최고 값이었고, 배수기간(DT)과 평균세대기간(T)은 에서 1.4와 6.8로 가장 작았다. 따라서 이들 수치를 통해 보았을 때 목화진딧물이 생활사를 완성하는데 최적 조건은 라 생각한다.
        4,000원
        1009.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착색단고추 비닐하우스 토경재배시 품종별 온도조건에 따른 열과 발생원인을 구명코자 하였다 열과발생률은 품종간에는 Fiesta가 Jubilee보다 높았고 온도처리간에는 34℃ 고온구에서 높았다. 그리고 환경조건이 좋아지는 4월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과육특성 조사결과 Fiesta품종과 고온처리구에서 과육경도와 건물률이 낮았으나 과육두께는 경향이 일정치 않았다. 과육의 무기성분 함량은 품종간, 온도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수확시 뿌리상태는 Fiesta품종이 Jubilee보다 좋았고, 온도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과육의 경도, 건물률, 치밀도 및 뿌리상태 등이 열과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과육두께나 과육의 무기성분 함량등은 열과발생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10.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절기 시설내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온풍난방기용 이중덕트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관행 온풍덕트의 각 지점간 토출구 송풍온도 차이가 13 ~ 14℃인데 비하여 개선형 덕트인 이중덕트의 토출구 송풍온도 차이가 3 ~ 4℃로 나타나 각 지점간의 온도 불균형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이중덕트의 각지점간의 생육정도도 관행덕트에 비해 크게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에 있어서도 관행덕트를 사용한 재배시설에서 10a당 3,924kg에 비하여 이중덕트를 사용한 재배가 4,616kg으로 약 17%가 증수되었다. 그리고 반촉성 재배기간 동안 난방에 소요된 연료소모량은 관행덕트가 3,724ι/10a인데 비하여 이중덕트가 3,233ι 13%의 연료절감효과가 있다.
        4,000원
        101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캘리포오니아 홍합(Mytilus californianus)의 용존 Cd, Se, Zn의 흡수율에 대한 개체 크기와 수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 개의 크기 구배(0.07, 0.24 and 0.73g; 육질부 건중량)를 갖는 홍합의 용존 금속 흡수율과 여수율은 동시에 4개의 온도 구배(3, 8, 13 and 21˚C)에서 측정되었다. 세 원소의 흡수율은 개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
        4,000원
        101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진딧물 발육실험은 15-35, 습도는 60-70%, 광주기는 16:8 (L:D h)에서 수행 하였다. 진딧물 약충 사망률은 초기 1-2령의 사망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온도의 상승에 따라 사망률이 높아져 32.5에서 36%였으며, 35에서는 1-2령의 사망률이 44%, 3-4령이 56%로 이 온도에서는 진딧물의 발육이 이루어지지 많았고, 3-4령의 사망률이 1-2령의 사망률보다 높게 나타난다. 전체약충의 온도별 발육기간을 보면 15-3까지 온도의 상승에 따라 발육기간이 11.5에서 4.6일로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고온의 영 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는 32.5에서는 오히려 발육기간이 5.5일로 길어졌다. 발육영 점 온도는 5.이였고, 유효적 산온도는 106.8일도였다. 온도별 발육율은 변형된 Sharpe와 DeMichele의 비 선형 모형 에 잘 적합되었다.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표준화하여 누적시킨 값들은 3개의 변수를 갖는 Weibull function에 적합되었다.
        4,000원
        1017.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파트단지 내부녹지가 온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서울시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등 한강 이남지역에 위치한 아파트단지중 36개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파트단지 내부온도는 Landsat ETM+영상 2scene을 분석하여 추정하였으며 온도변화 영 향요인으로는 토양피복유형과 건물밀도, 식생활력도로 구분하였다. 토양피복유형과 아파트단지내 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녹지율은 음(-)의 상관관계를, 불투수포장율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건폐율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투수포장지를 녹지면적과 불투수포장면적에 각각 합산한 값과 온도값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투수포장면적을 불투수포장면적에 합산하여 산출한 상관계수보다 녹지면적에 합산하는 것이 상관계수가 보다 높게 나타나 투수포장지역도 녹지지역과 함께 도시온도를 낮추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물밀도의 요소로 선정한 용적율은 온도값과 유의성이 없었으며 NDVl는 값이 높을수록 온도가 낮았다. 아파트단지내 온도분포모형 구축을 위해 투수+녹지율, 녹지율, 건폐율, NDVI값을 독립변수로, 대상지온도를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 두 시기 영상 모두 독립변수 중 투수+녹지율만이 회귀식에 채택되었으며 회귀식의 수정 결정 계수(R2)는 각각 41.4(2000년 9월)와 40.4(2001년 6월)이었다.
        4,000원
        1018.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testicular sperm motility following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such as human follicular fluid (hFF) and temperature. Testicular tissues obtained from azoospermia (n=21) were minced into small pieces by blade and recovered sperm suspension were cultured in Ham's F10 with or without 40% hFF at different temperatures (Group I: 37/with hFF, Group II: 32/withGroup III: 37/without, Group IV:32 /without The motility and viability of sperm were monitored during culture for 48 hours. Initial motility of testicular sperm was 10.91.9%. After 24 hours culture, sperm motility was 23.52.1% (Group I), 8.11.1% (Group II), 10.4 1.4% (Group III) and 4.00.8% (Group IV), respectively. After 48 hours, the motility had been changed as 322.3% (Group I), 14.31.7% (Group II), 5.3 1.4% (Group III) and 4.30.9% (Group IV). In hFF group (I and II), sperm motility of group I cultured at 37 was higher than those of group II at 32. But, sperm viability of group I cultured at 37 was lower than those of group II at 32 (54.44.1% vs. 59.43.7%) after cultured for 48 hours. We acquired the best motility of testicular sperm when performed in vitro culture for 48 hours in hFF supplemented medium at 37. Increase of sperm motility by in vitro culture could be useful tool fur human TESE-ICSI program.
        4,000원
        1019.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ormation of aluminum hydroxide by hydrolysis reaction in the water has been studied by using nano aluminum powder fabricated by pulsed wire evaporation(PWE) method. The hydroxide type and morphology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pH were examined by structural analysis. The Boehmite(. or AIO(OH)) was predominantly formed in high temperature region over 4, while the Bayerite(. or ) below of hydrolysis temperature. The Boehmite formation was preferred to the Bayerite in acidic solution in the same hydrolysis temperature. The slowly formed Bayerite phase showed facet crystalline structure, while the fast formed Boehmite was fine fiber with a large aspect ratio of several nm in diameter and several hundred nm in length, and with much larger specific surface area(SSA) than that of Bayerite. The highest SSA was about /g.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