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여름몬순의 강도와 북서태평양 여름몬순의 강도는 음의 상관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여기서 우리는 이 관계를 이용하여 북동아시아 여름철 강수의 잠재예측성을 조사하였다. 북서태평양 아열대 고기압은 북서태평양 여름몬순을 적절히 나타내며, 북서태평양-동아시아 지역 여름철 기후편차에 주된 성분이다. 그리고 북서태평양 아열대고기압 변동성을 이용한 북동아시아 여름철 강수 편차의 추정값은 북서태평양 여름몬순지수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낫다.
외국에서 도입한 블루베리의 내한성을 평가하고, 목재수분계측기가 월동 중 블루베리 가지의 동해피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월동 중 블루베리의 가지의 고사율은 0~100%로 다양하게 나타나 품종별 내한성의 차이가 컸다. 블루베리 가지의 저온처리에 따른 TTC 검정에서 품종별 OD값은 -40℃ 〈 -21℃ 〈 4℃ 순으로 처리온도가 낮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블루베리 가지의 저온처리에 따른 가지절단면의 색의 검정은 가지고 사율에 의한 내한성과 다른 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목재수분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살아있는 블루베리 가지의 월동 중 최저 수분함량은 약 15%였으며, 월동 중 블루베리 가지의 위치별 수분함량은 나무 아랫부분일수록 높고 가지 끝으로 갈수록 낮았으나, 봄으로 접어들면서 가지 끝의 수분함량이 점점 높아져 20~40% 범위로 측정되었다. 월동 중 동해피해를 받은 가지는 점점 건조되어 수분함량이 5% 이하로 낮아졌다. 동해를 받은 블루베리 가지의 수분함량은 14% 수준 이하일 것으로 추정되며, 목재수분계측기가 블루베리 가지의 동해피해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진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halanobis-Taguchi System is a diagnosis and predictive method for analyzing patterns in multivariate ca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diagnosis of the spondylolisthesis from biomedical data that is derived from the shape and orientation of the pelvis and lumbar spine. The data set has six attributes including pelvic incidence, pelvic tilt, lumbar lordosis angle, sacral slope, pelvic radius and grade of spondylolisthesis and two class including normal and abnormal. From 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 machine learning repository, 100 normal and 150 spondylolisthesis patient’s data were used for this study. Mahalanobis Taguchi System (MTS) application process and the diagnosis results were described in this paper.
In this study, a rapi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was developed to detect Salmonella Typhimurium. This assay was based on the lateral flow immunoassay. Two different anti-Salmonella polyclonal antibody (Pab) are used in this strip assay for the double antibody sandwich immunoassay method. The strip sensor was composed of sample pad, conjugation pad, membrane, and absorbent pad. For the optimal conjugation between nano-gold and anti-Salmonella Pab, the pH value of colloidal gold solution was determined to 8.4. To prevent non-specific binding between nano gold and anti-Salmonella Pab, sample pad and membrane was treated with PBS buffer, included 2% BSA and 10% sucrose. The control and detection zones were visually detected according to antigen-antibody binding. The detection limit of the developed strip assay was 105 CFU/mL within 10 min, and improved until 104 CFU/mL after 12 hr.
잠재적인 해양사고의 위해요소 제거를 통한 중대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가 2009년 도입 시행되었다. 법 도입 이후 초기 시행과정에서 현행 안전진단제도의 대상사업의 범위, 수행방법 등 법 제도적인 측면뿐 아니라, 진단항목별 세부적 기술기준의 개선 보완 필요성이 대두하였는데, 그 중 해상교통혼잡도 평가는 해상교통현황 측정항목으로 모든 안전진단의 필수진단항목으로 설정되어 수행되었으나, 평가과정에서 선박의 대형화 및 고속화 추세를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해상교통안전진단을 통해 수행된 해상교통혼잡도 평가현황 분석 및 관련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한 현행 진단기술기준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혼잡도 평가명칭의 변경, 실용교통용량 표준화 및 선택적 진단항목으로의 평가 변경 등 제도개선을 위한 해상교통혼잡도 평가 기술기준(안)을 제시하였다.
당뇨병 환자의 혈당치 측정을 위하여 포스파젠 진단막을 제조하였다. 활성화된 포스파젠 진단막을 이용해 혈액 속의 글루코우즈의 농도를 변화시켜가며 여러 온도와 습도에서 680 nm에서의 최종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온도와 습도는 시간에 따른 흡광도 변화량(K/S)의 최종 결과치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여러 가지 온도에서 활성화된 포스파젠 진단막을 3일, 1주, 3주, 5주간 보관한 후 보관온도가 글루코우즈의 농도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상대습도 80%에서도 포스파젠 진단막의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nd optimize a rapid strip kit for the dual-detection of Aflatoxin B1 (AF) and Ochratoxin A (OTA). The strip kit is composed of sample pad, conjugation pad, nitrocellulose membrane, and absorbent pad. Manually spotted mycotoxin-BSA conjugates and anti-mouse IgG on nitrocellulose membrane were used as the test line and the control line, respectively. Conditions for rapid and easy detection of mycotoxins, conjugation between toxin-MAbs and nano Au particles, pretreatment method of pads, and composition of standards solutions were optimized. Feasibility of the strip kit to detect AF and OTA were evaluated with standard samples. Test results were acquired in 10 min and the detection limits were 100 ppm for AF and OTA, respectively.
오늘날,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무선 헬스케어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점차 활성화됨에 따라, 손쉽고 간편한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사회문제로 크게 대두되는 독거노인의 고독사 방지를 위한 시스템 개발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에 비침습적이며 무구속으로 생체 신호 계측이 가능한 광용적맥파법(photoplethysmography)으로 독거노인의 맥파를 계측하고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여, 원격진단이 가능한 감시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광용적맥파법은 적색광이나 적외선광을 피부에 침투시켜 맥파를 검출하는 방법의 하나로 근래에는 손가락과 같은 인체 말단뿐만이 아니라 손목에서 맥파를 계측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손목에서 맥파를 계측 시, 광량을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모세혈관의 회전이나 피부의 두께 등에 따라 정확한 맥파 검출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잡음제거에 탁월하며 높은 이득을 가지는 차동 증폭기를 단일전원에서도 동작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인체의 피부 두께에 따른 오차를 줄이기 위해 광량의 침투 범위를 조절하여 다양한 피부 층에서 최적의 센싱을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벼 흰잎마름병균의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PCR용 진단 kit를 개발하였다. 본 PCR kit를 개발하기 위하여 벼 흰잎마름 병균 유전체 정보 중 phage-related integrase and transposase gene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프라이머를 각각 제작하였다. 프라이머 염기서열은 XOP-F (5-CGG TCT GCT CAA TGA GGA AGA-3)와 XOP-R2 (5-TGC AAT TGG TGT TCTCCA GG-3), XOT-F (5-GTC ATA GGT GAG GCT TCCC-3)와 XOT-R2 (5-AGT GCG ATC TTT CAG CAG G-3)로 벼 흰잎마름병균의 DNA를 401bp와 492bp를 증폭하게 제작하였다. PCR 증폭은 벼 흰잎마름병균만 증폭하였으며 다른 세균인 Escherichia coli, Agrobacterim, Pectobacterium caratovora subsp. cartovorum, P. atrosepticum, Pseudomonasputida, P. syringae, P. savastanoi pv. phaeolicola, P. savastanoipv. savastanoi and P. marginalis pv. Marginalis 등은증폭되지 않아 특이성이 인정 되었다. 본 프라이머로 병이 의심되는 벼잎과 논물에서 병원균을 3시간 이내에 검출할 수 있었다.
젖소의 고능력화와 동반하여 전 세계적으로 번식효율은 매년 저하되고 있다. 소의 번식효 율에 영향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농가의 사양관리 수준에 따라 여러 가지 번식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의 농가들이 번식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문제점 또 한 파악하지 못하고 적절한 대응을 위한 자가진단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 무엇 보다 번식현황 및 경영진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 낙농과에서 개 발 된 젖소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해 6개 농가 450두를 공시하였으며,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 기술 투입 후 2년 동안 번식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술 투입 전 6개 농가의 평균 분만간격은 438일, 평균 공태일수는 156.8일, 분만 후 첫 수정일수는 98.6일, 평균 수정횟수는 2.1회, 발정발견율은 32.5% 및 수태율은 41.2% 였다.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 기술 투입 후 6개 농가의 평균 분만간격은 409.8일로 약 28일 단축 되었으며, 평 균 공태일수는 129.3일로 약 27일, 분만 후 첫 수정일수는 77.2일로 약 21일로 발정 한 주 기가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정횟수는 2.0회로 기술투입 전후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며, 발정발견율은 47.5%로 기술투입 전보다 약 15%, 수태율에서도 50.5%로 약 9% 정도 높았으며, 모든 번식성정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식상황 진단 프로그램 은 다수 있지만 농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없는 상태에서 누구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엑셀로 된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농가의 문제점을 확인 하고 목표를 세워 노력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추후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적극적 으 로 활용한다면 농가의 번식효율 향상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생각되며, 국내 낙농가들도 분 명한 목표설정, 농가의 번식현황에 대한 정확한 문제점 파악을 통해 번식효율 개선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기술 투입 전 · 후 6개 농가 번식성적 비교 구 분 평균분만간격 평균공태일수 분만 후 첫수정일수 평균수정횟수 발정발견율 수태율 기술투입 전(평균) 438일 156.8일 98.6일 2.1회 32.5% 41.2% 기술투입 후(A) 408 118.7 72.6 2.0 48.3 53.0 기술투입 후(B) 402 115.5 68.9 1.8 52.0 56.8 기술투입 후(C) 412 132.4 81.5 2.0 43.2 49.2 기술투입 후(D) 417 141.8 81.3 2.0 45.8 45.3 기술투입 후(E) 405 128.6 76.8 1.9 50.6 52.6 기술투입 후(F) 415 138.6 81.9 2.0 45.3 46.2 기술투입 후(평균) 409.8 129.3 77.2 2.0 47.5 50.5
The Mahalanobis-Taguchi System is a diagnosis and predictive method for analyzing patterns in multivariate ca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diagnosis of the spondylolisthesis using biomedical data that is derived from the shape and orientation of the pelvis and lumbar spine. The data set has six attributes including pelvic incidence, pelvic tilt, lumbar lordosis angle, sacral slope, pelvic radius and grade of spondylolisthesis and two class including normal and abnormal. From UCI machine learning repository, 100 normal and 150 spondylolisthesis patient’s data used for this study. Mahalanobis Taguchi System(MTS) application process and the diagnosis results described in this paper.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작물 병해충 발생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하여 농가피해 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웹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한 국가 병해충 관리시스템(National Pest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http://npms.rda.go.kr)은 크게 병해충 예찰, 예 측, 진단, 동아시아병해충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찰자료 입력, 통계정보 조 회가 가능하고 웹지도상에서 발생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병해충 예찰시스템에서 는 벼, 보리, 사과 등 11개 작물에 대해 지정된 해충과 병 발생 조사자료를 입력·관리 할 수 있다. 병해충 예측시스템에서는 국가농림기상센터의 기상자료를 이용한 격 자형 기상 추출값을 기반으로 벼, 사과, 배, 감귤, 고추의 주요 해충과 병에 대한 발 생예측결과를 웹지도상에서 예찰자료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해충·병·잡초 통합 DB를 병해충 진단시스템에 구축하여 해충·병·잡초 명칭 및 이미지 검색이 가능하 고 전문가에게 의뢰를 진단결과를 받아 볼 수 있다. 동아시아병해충네트워크에서 는 중국, 일본, 베트남 등 13개국의 벼에 발생하는 멸구류의 발생밀도를 집계하고 이를 통해 동아시아 국가 간 멸구류 이동 모니터링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NPMS의 병해충 예찰, 예측정보는 병해충 방제의 기초자료로서 앞으로 이를 활용하여 병해 충 피해를 최소화하고 방제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17-year-old male patient was referred for the extraction of impacted mesiodens and canine (#23) before orthodontic treatment. In the radiologic examination, an ovoid-shape radiolucent lesion was found with well-defined hyperostotic rim involved the teeth in left maxillary area. After biopsy examination the lesion was diagnosed as glandular odontogenic cyst (GOC) differentially from non-odontogrnic cysts, i.e., nasopalatine duct cyst. In the immunohistochemistry the cyst epithelium was freguently positive for PCNA, clearly positive for amtloblastin, slightly positive for β-catenin, but rarely positive for amelogenin and cytokeratin 7. Mucin and PRP were positive in the secretory cells of the cyst epithelium. On the other hand, TNFα was strongly positive in the macropahges infiltrated into the mucin-filled cyst lumen, and CD68 and CD31 were positive in the mucin-filled macropahges. These findings may indicate that the glandular elements are derived from hamartomatous secretory organ and that this odontogenic cyst is arisen from the embryonal rests of enamel epithelium, which has a potential to be differentiated into not only the enamel organ but also the secretory gland. Taken together, we assumed that the present case of GOC was originated from the odontogenic epithelium of impacted teeth, but showed the cytodifferentiation of glandular cells.
Oral squamous cell papillomas(OSCPs) showed various features in their etiology, histology, and progno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agnose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ir pathological examinations. In the present study total 14 cases of OSCPs were evaluated and characterized to be three types of OSCPs, i.e., papillary papilloma, verrucous papilloma, and inverted papilloma.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among 14 cases of OSCPs papillary papilloma (n=6) showed the typical papillary projection of squamous epithelium with severe acanthosis of upper spinous layer cells, accompanying frequent nuclear vacuolization. And verrucous papilloma (n=7) showed the diffuse acanthosis of whole spinous layer cells with severe basal hyperplasia, resulted in the thick squamous epithelium exhibiting verrucous surface and irregularly ingrowing rete pegs. One case of inverted papilloma showed the typical ingrowth of basal layer cells deeply into underlying connective tissue,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multiple fissures on the surface area. The present study also revealed the predominant nuclear vacuolization suspicious for viral infection in papillary papilloma, and also heavy smoking history in the verrucous papilloma. On the other hand, as the epithelium of inverted papilloma ingrew into the underlying deep connective tissue up to the muscular layer, it is supposed that the inverted papilloma has a potential of basal layer proliferation strong enough to invade the protecting barrier of underlying connective tissue, or that the underlying connective tissue was too weak to prevent the ingrowth of basal layer epithelium. Taken together, because the OSCPs show heterogenous origins and variable pathological prognosis, it is suggested that the OSCPs should be differentially diagnosed at least into three types, i.e., papillary papilloma, verrucous papilloma, and inverted papill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