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9학년 학생의 공간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자전 개념을 알아보는 것이다. 광역시 소재 9학년 학생 83명중 천체의 공간운동 개념 평가(김기정, 1997)에서 개념 획득 정도가 비슷하면서 공간능력에 차이가 있는 남학생 2명과 여학생 2명을 각각 표집하여 질적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공간능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개념이 올바르고 개념들을 입체적 공간으로 재구성하여 이해하였다. 공간능력이 낮을수록 개념이 불완전하고 단편적인 개념들을 암기하고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공간능력이 높은 남학생은 개념들을 간단 명료하게 표현하였고, 낮은 학생은 자전에 대한 방향을 일주운동과 연관시켜 해석하지 못했다. 반면에 여학생은 공간능력이 높을 때 개념들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낮을수록 개념들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공간능력이 높은 학생은 문제 상황을 제시하여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낮은 학생은 현상들을 직접 관찰하여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야겠다. 여학생은 공간을 입체적으로 조작해 볼 수 있도록 하고 남학생은 사물을 여러 관점으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교수 전략 및 학습 자료 등을 개발 한다면 천문단원의 공간능력이 향상되고, 개념 획득이 잘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ating preferences and patterns for kimchi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Seven hundred and sixty-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area were surveyed during June, 2008,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ercent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a nuclear family was 93.6%. The BMIs of students were 'normal' (81.7%), 'underweight' (9.7%), and 'overweight' (8.6%). Most students (70.2%) liked kimchi. The main reasons cited were 'hot taste' (46.5%) by males and 'texture of chewing' (40.6%) by females. Most students had eaten Baechukimchi (97.8%) and Kkakdugi (96.9%), with Korean lettuce Kimchi (29.7%) marking the lowest experience. Regarding food prepared with Kimchi, most students had eaten Kimchi jjige (99.2%) and Kimchi bokkeumbap (96.9%). Kimchijapchae (27.8), Kimchi pizza (14.8%), Kimchi hamburger (13.3%), and Kimchi spaghetti (9.5%) received low grad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kimchi intake for high school students of various kimchi sub-ingredients and foods using kimchi. The students believed that kimchi is good for health. The overall satisfaction, baechu quality and the taste and degree of fermentation of kimchi was high, but there was a low preference for offered kimchi kinds, kimchi subingredient, foods using kimchi. The types of kimchi preferred and often offered in school meals were baechu-kimchi and kkakdugi. The common kimchi sub-ingredients were radish and welsh onion in vegetables, squid and oyster in sea foods, saeu-jeot and myeolchi-jeot in salted fish, and pear and apple in fruits. The preference for kimchi sub-ingredients were high for sesame leaf and yeolmu in vegetables, saeu-sal and squid in sea foods, saeu-jeot and nakji-jeot in salted fish, and pear and apple in fruits. The foods using kimchi preferred and often offered with school meals were kimchi-jjigae, bokkeumkimchi, kimchi soup, kimchi-bokkeum-bap, and kimchi-jeon. The kimchi sub-ingredient for which students had the greatest preference was meats. Among the foods using kimchi with meats, the most preferred were kimchi-pyeonyuk bossam, doejigogi kimchi duruchigi, and kimchi galbi-jjim. Among the foods using kimchi with noodles, the most preferred were kimchi- bibimmyeon, kimchi -naengmyeon, and kimchi-cheese spaghetti. Among the foods using kimchi with vegetables, the most preferred were kimchi-pa-jeon, kimchi- deopbap and kimchi- goguma gui. Of the foods using kimchi with processed foods, the most preferred were kimchi-mandu, kimchi-bacon jumeok-bap and kimchi- cheese omelet. Among the foods using kimchi containing sea food, kimchi-haemul bokkeum-bap, kimchi-hoe-deopbap, and kimchi-saeu-jjim were most preferred.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kimchi sub-ingredients and foods using kimchi should be improved for kimchi intake of school meal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negotiation proces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onJine video conference class. 128 cyber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12 weeks. Student survey, recorded video conversation and teachers' weekly comment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unlike offiine class, the students in video class actively initiated the negotiation of meaning byemploying various negotiation signals. About 64.4% of the negotiation of meaning was initiated by the students. Students used confirmation checks most often, but the types of negotiation signals were varied across the proficiency levels. Teachers used clarification checks more, but utilized their meaning negotiation efforts more as scaffolding to help learners construct their utterances. Teachers also actively utilized text-chat during the video conference to negotiate the meaning and provide the correctional feedback. Both teachers and students used over 1/4 of their conversation for meaning negotiation. In order to elicit more negotiation efforts from the students, teachers need to bring more infonnation gap tasks and diverse topics, and the amount of teacher talk also needs to be controlled. The improvement in students' lead of conversation, turn-taking, andnegotiation efforts over the semester indicate that online video conference class can be an effective tool to promote the students' English speaking fluency.
목적 : 작업치료학과는 교육경쟁력 확보를 통한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 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취목표와 학습양식에 따른 학업성취 정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일개 대학의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05명(남자 29명, 여자 76명)을 대상으 로 하였다. Kolb의 학습양식검사와 Elliot와 Church의 성취목표 척도를 이용하여 학습양식과 성취목표에 대한 설 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2009년 2학기 평점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차분석, 일원배치분 석, 상관관계분석 및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습양식보다 성취목표로 나타났다. 작업치료학 과 학생들의 성취목표에서는 숙달목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양식 중 동화자가 가장 적었고, 융통자가 가장 많았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확산자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결론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은 스스로 작업치료학의 특성에 맞는 성취목표 지향성와 학습양식을 구성해 나가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성공적인 학업성취를 위해서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성취목표에 관련한 분석을 제 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변화로 인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학교 부적응 학생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학교 부적응 학생들에게 코칭기법을 적용해보고, 코칭기법이 학교 부적응 학생들의 역할지지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학교 부적응 학생의 지지를 위한 이론적 접근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의 문제와지지 기반, 코칭 환경, 코칭 접근법 및 학교 부적응 학생의 코칭을 위한 한국코칭학회 코칭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에 입각하여 2명의 학생에게 코칭을 실시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 부적응 학생을 지지하기위한 코칭 영역으로 지각 사례, 시설거주학생의 두 사례로 나누어, 각 사례 별로 유용한 코칭 질문들을 도출해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질문과 코칭 사례를 통해 앞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의 학교 내에서의 일률적이고 통제 및 지시 전달 위주의 교사의 학교 부적응 학생에 대한 선도 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학생들과의 갈등과 학생 상담 및 지도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교사와 학생간의 갈등 완화에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대화기법으로 교사의 역할 지지의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나아가 학교의 역량을 발휘하고, 학생 개인의 성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한 가지 리더십 의사소통 방안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time spent watching TV and using interne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of 712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Gwangju and Jeonnam area. The SPSS 12.0/win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523 samples. Amount of TV-watching time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dietary habit score in the subjects. The children who watch TV “less than 1 hour/day” on weekdays had a better dietary habit score than those who watch TV “more than 1 hour” (p<0.0001). The children who watch TV “less than 2 hours/day” on weekends had a better dietary habit than the children who watch TV “more than 2 hours/day” (p<0.0001). The internet usage was also related to the dietary habit score in these children: those who use internet “less than 1 hour/day” on weekdays had a better dietary habit score than the children who use internet “more than 2 hours/day” (p<0.0001). The children who use internet “less than 2 hours/day” on weekends had a better dietary habit score than the children who use internet “more than 2 hours/day” (p<0.0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ildren tend to have a better diet when their TV and internet time is limited and thus healthy dietary behavior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 sedentary pattern of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본 연구를 통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지고 있는 우주에 대한 개념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준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우주를 물리적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많은 수의 학생들은 '우주'하면 아름답다는 느낌을 떠올리거나 미지의 공간이라는 생각을 떠올렸다. 그림 표현에서, 학생들은 많은 경우 직관적으로 우주를 태양계 수준에서 파악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우주의 중심과 끝에 대한 질문에서, 학생들 중 태양 중심, 지구 중심 또는 중심 없는 무한한 우주를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우주의 변화는 한 방향으로 일어나며 이를 물리적 관점에서 서술하는 경우가 많았다. 학생들이 가진 이러한 개념에 영향을 준 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들을 성별, 신념별, 교과서 외의 천문 지식을 접해본 경험 유무로 그룹화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그룹에 따라 우주의 중심과 끝, 우주의 변화에 대한 관점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우주의 기원에 대한 이유를 설명할 때 종교적 신념에 따른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의 우주관이 다양하며 이에는 여러 가지 요소가 영향을 줌을 보여준다.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후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 임상실습에 따른 전공 취업의 진로 결정과 희망기관 및 분야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2008년 6월 23일부터 2008년 12월 30일까지 본 설문에 응한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을 대 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고, 총 346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독립 t-검정, 주변 동질성 검정, Kruskal-Wallis검정을 사용하 였다. 결과 : 임상실습의 만족도에서는 치료 장비와 도구의 다양성, 정해진 일정에 따른 교육, 임상실습의 중요성 인식 등 의 항목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반면, 다양한 학습자료 제공, 임상실습평가방법 등의 항목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 였다. 임상실습 전 후 전공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의 비율은 82.7%에서 96.5%로 증가했다. 실습 전·후 전공 취업 희망 분야 비교에서 지체장애(성인)분야, 아동분야, 정신건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습전후 분야의 선택이 바뀐 경우가 346명 중 113명으로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실습 후 전공 취업희망 기관 및 분야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긍정적으로 변한 경우가 57.2%, 부정적으로 변한 경우가 6.7%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임상실습을 통해 전공취업에 대한 인식과 희망분야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더불어 임상실습환경 및 실습 평가방법 등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etary intake and food sources of zinc (Zn), using a database of Zn composition developed in this study, between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a remote rural area (RA, n=58, 9.9±1.7 yrs) and those in an urban area (UA, n=60, 9.4±1.8 yr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A dietary survey for three days by food record method was performed. All kinds of foods (n=273) consumed by subjects were collected by aliquot sampling method, and the Zn content of these foods were analyzed by wet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aily mean intakes of energy, calcium, iron, and vitamin C from diet in the RA were in the range of 49-88% of the Korean DRI (KDRI), while those in the UA were similar to or greater than the KDRI, except for calcium and iron. The daily mean intake of Zn from the RA diet was 7.0±0.5 mg/d (114.1±8.4% of the KDRI), and 16.0±1.0 mg/d (258.3±16.3% of the KDRI) in that of the UA (p〈0.001). The percentage of dietary intake of Zn less than 2/3 of the KDRI was 19.0% in the RA, in comparison to 1.7% in the UA. Those in the RA consumed Zn from plant foods more often than did those in the UA (p〈0.001). Beef rib stew was the food source with highest Zn amount for the total subjects, followed by beef rib meat, roasted; and beef soup w/seasoned red pepper sauce. These results showed that some children in the RA had poor Zn nutrition based upon low intakes and poor food sources of Zn, while overall, children in the UA had good Zn nutrition. Therefore, those in RAs should have their Zn nutrition improved through government policy and nutrition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에 대한 8학년 학생들의 심상을 탐색하는 것이다. '지구'에 관해 단어와 그리기로 표현된 중학생들의 심상을 지구계 이해 분석틀로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지구'에 관한 심상은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주된 영향을 미친 경험과 선행 지식에 따라 달라졌다. 특히 간접적 시각 경험에 의한 지구의 전체 모습에 기반을 둔 천문학적 관점과 직접적 시각 경험에 의한 지표의 풍경과 환경에 기반을 둔 일상적 관점에 따라 지구계 이해가 다르게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학생들의 '지구'에 관한 심상은 시각적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학생들의 지구계 이해는 단어라는 형식적 언어의 형태보다는 시각적 심상인 그리기로 더 잘 표상되었다. 지구계 하위계 간의 상호작용에서 학생들의 부정적 이미지가 표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tritional knowledge, practice of eating behavior guidelines, and problematic dietary habits in working high school students in comparison with non-working high school students. A survey questionnaire was formulated to obtain information on demographic variables, body size, part-time jobs, nutritional knowledge, practice of eating behavior guidelines, and dietary habits. The developed questionnaire was given out to 515 students attending a vocational high school in Yongin, Gyeonggi-Do. Those who had been working 5 hours or more per day for at least a month at the time of survey administration were defined as working students for this study. Proportions of working students were similar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e. 49.5% for male, 50.5% for fema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cores of nutritional knowledge between working (8.43±2.29) and non-working students (8.60±2.19). However, some dietary habits were found to be dependent on working status. While approximately 43% of non-working students reported skipping a meal, about 57% of working students did so (p〈0.01). The proportion of students with any drinking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working students (92%) compared to non-working students (80%) (p〈0.001). Working students were found to drink alcoholic beverages more often than non-working students (p〈0.001). The mean score of practice of eating behavior guidelines was lower in working students than non-working students. The magnitude of this difference was modest (51.33±0.63 in working students, 53.40±0.51 in non-working students), but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specific behavior-oriented messages to improve certain problematic dietary habits need to be directed toward working high school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논증을 인식론적 (사고과정) 및 심리학적 (사고유형) 관점에서 탐색하여 어떠한 사고과정 및 유형으로 교사가 학생들의 논증 형성 능력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35년의 교사경력을 지니고 있는 교사 및 그의 26명 학생의 과학수업 60시간을 관찰하고, 전사하였으며, 전사한 학생들의 논증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두 개의 도구, 즉 인식론적 및 심리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 참여자인 교사는 학생들의 논증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목적으로 개발한 명시적인 교수법 "주장-근거 교수법"을 수업 시간에 활용하였다. 논증을 두 개의 다른 관점으로 분석해 본 결과, "보기" 또는 "예"를 이용한 사고과정에서는 "정교성" 사고유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모든 탐구의 시작인 가설을 세우기 위해 학생들은 "귀납" 사고과정으로 "일반화" 사고유형을 통해 탐구의 시작단계인 본인들의 "주장"을 형성하였다. 좀 더 높은 수준의 논증은 다른 지식이나 경험을 통한 개념의 "일관성" 사고 과정을 통해 교사의 도움에 힘입어 학생들이 "설명"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논증 기회에서 확인된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이 스스로 논증을 형성할 수 잇도록 도와주는 조력자,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좀더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확장시켜 주는 정교자 (elaborator),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 수준이 높아질 수 있도록 논증을 추적하여 발전시켜주는 멘토로 확인되었다. 논증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학생들이 과학의 참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논증 기회를 제공하는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다.
In this investigation, 480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school in Seoul, Incheon were surveyed for their knowledge of seaweed and their preference of seaweed products provided during school meal service. Femal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seaweed more than male students. When asked to explain their preference for seaweed, most students who preferred seaweed responded ‘it is tasty’ (82.9%), while those that did not like seaweed responded ‘I don’t like the texture when chewing it and it is not tasty’ (47.8%). Most students reported that they usually eat ‘laver’, and the number of times that they at seaweed was ‘3-4 times a week’. The primary place in which they ate seaweed and the place where they feel it had the best taste was a ‘house’. The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regarding seaweed was mass media including TV, newspapers, magazines and the internet (48.8%). With regard to seaweed in school meals, which is offered twice a week, most students reported, ‘I eat seaweed and leave it to some extent.’ They perceived ‘laver’ to be most often provided in school meals, and 57.7% reported that their favorite seaweed meal was ‘laver’. When asked why they dislike seaweed in school meals, the most common responses were ‘I didn’t like seaweed the first time I tried it’ (27%) and ‘Its taste is different from what I eat at home’ (24.6%). The most common request regarding seaweed provided in school lunches was for the taste to be improved (48.2%). Evaluation of the preference for seaweed menus in school meals revealed that both males and females had higher preferences of more than 4 points for ‘fried laver’ and ‘broiled l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