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45

        181.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종이식 시 사람과 돼지는 면역학 적으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면역세포의 활성화 및 조직의 병변 등을 유발한다. 특히, 영장류에는 존재하지 않고 돼지의 전 조직에서 발현되는 alpha-gal 인자에 의해, 이종이식 시 alpha-gal 항원에 대한 항체의 급격한 증가로 거부반응이 유발되며 영장류를 사망에 이르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alpha-gal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alpha-galactosyltransferase를 knock out(Gal-/-)한 돼지의 세포를 기반으로, 보체의 활성을 조절하는 membrane cofactor protein(MCP)과 혈액 응고를 저해하는 thrombomodulin(TBM)의 과발현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는, 이종이식 시 발생하는 염증반응과 혈액응고 현상을 억제하는 복합형질 전환 돼지를 개발함으로 이종이식 후의 생존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codon modification 을 통해 염기서열을 변형한 MCP cDNA 는 CAG 프로모터를 이용하여 전 조직에서 발현되도록 하였고, TBM 은 Icam2 프로모터를 통해 혈관 내피세포 특이적인 발현을 유도하였다. 제작된 벡터를 Gal-/- 돼지의 섬유아세포에 도입하고 MCP 발현 수준이 높은 세포를 선별하여 세포주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체세포를 이용하여 체세포 복제란을 생산하고 외과적 방법으로 수란 돈에 이식하였다. 체외성숙(78%) 한 난자를 복제 및 융합(58%)한 후 4 두의 대리모에 각각 약 310 개의 복제란을 이식하였다. 대리모 1 두에서 임신(25%) 및 분만(25%)에 성공하였으며, 9 두의 산자 중 6 두가 생존하고 3 두는 사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산된 TBM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복제돼지는 증식과정을 통해 축군을 조성하고 향후 영장류를 활용한 이종이식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다.
        182.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7년 1월부터 9월까지 생즙 원료 농산물 12품목 297건에 대한 잔류농약의 실태를 조사한 것이다. GC/ECD, GC/NPD, TOF/MS, LC/PDA, LC/FLD, LC/ MSMS를 이용하여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220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였고, 검사결과 14건(4.7%)에서 9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은 클로로피리포스, 사이플루페나미드, 클로로탈로닐, 펜디메탈린, 아족시스트 로빈, 피리달릴, 이마잘릴, 플루디옥소닐, 프로사이미돈이 였으며, 검출된 농산물은 감귤, 당근, 사과, 셀러리, 치커리, 오렌지, 포도였다. 농약 검출량을 바탕으로 일일섭취 추정량(EDI)과 일일섭취허용량(ADI)을 이용하여 위해성평가를 하였으며, %ADI값의 범위는 0.0011~6.7087%로 안 전한 수준이었다.
        4,000원
        187.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기지역 도축돈 및 도축우의 폐렴병변에서 Mycoplasma spp.의 발생 분포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부천 소재 도축장에 출하된 소와 돼지의 폐에 대하여 육안적 검사를 하고, 이 중 병변을 보인 소 192두와 돼지 257두의 폐에 대한 PCR 검사 결과, Mycoplasma spp.는 소에서 147두(76.5%), 돼지에서는 203두(80.9%) 에서 각각 검출되었다. 소, 돼지 각각의 Mycoplasma spp.에 대한 세부 primer를 이용한 검사 결과에서는 소에서 M. agalactiae가 16두(8.3%)에서 검출되었으나, M. dispar, M. bovis 및 M. bovirhinis는 검출되지 않았다. 돼지에서는 M. hyo-pneumoniae가 74두(28.8%), M. hyorhinis가 13두(5.1%) 검출되었다. M. hyosynoviae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경기지역 도축우 및 도축돈에서 Mycoplasma성 폐렴이 상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000원
        18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장품산업에서 보습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키기 위해 보습제로 히아루론산, 글리세린 등 많은 원료가 개발과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보습제 원료가 아닌 계면활성제를 변경함에 따라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의 변화에 대해 연구 하였다. 특별히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천연계면활성제, Lecithin 계면활성제, Polyglyceryl ester계열 계면활성제, PEG계열 계면활성제, PEG계열 W/O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 들의 계면활성제의 변화에 따라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계면활성제 중에서 Lecithin surfactant를 사용했을 때 가장 우수한 결과 값을 확인 하였다.
        4,000원
        18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거친대추멍게 (Ascidiella aspersa)의 알 발육과 유생 부착에 미치는 수온과 염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거친대추멍게 알 발육과 유생 부착 실험은 12개의 수온 조건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C, 과 2개의 염도 조건 (30, 34 psu)에서 진행하였다. 거친대추멍게 알의 부화율과 발육률은 염도에 관계없이 수온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적 수온 범위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화 및 발육을 위한 최적 수온은 20~22°C의 범위를 보였다. 저온 발육임계수온은 30 psu와 34 psu에서 각각 1.5°C와 1.8°C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착률은 염도에 관계없이 16~22°C의 최적 수온 범위를 보였으며 부착시간은 수온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 하였다. 결과적으로 거친대추멍게의 최적 발육 및 생존 수온은 염도 조건에 관계없이 20~22°C 범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양식장에서의 거친대추멍게에 의한 경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거친대추멍게의 분포 및 발생 시기를 예측하고 확산 방지 및 방제 방안을 구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9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1 종의 목이버섯 자실체로부터 얻은 50% EtOH추출물을 사용하여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의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확인한 모든 strain에서 억제효과가 존재하였다. 털목이에서는 21001 균주가 가장 우수하였고 흑목이에서는 21002 균주가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전반적으로 털목이가 흑목이에 비해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Adipocyte RNA 발현량과 protein 발현량 측정 실험에서도 털목이 21001 균주가 지방세포 분화억제효과에 있어서 가장 우수하였다. 털목이 21001 버섯을 사용하여 동물실험을 진행한 결과 털목이 자실체 분말이나 50% EtOH 추출물을 급여한 실험에서 체중 감소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EtOH 추출물 0.2%를 급여한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P<0.05). 동물 희생 후 적출한 간 중량 및 부고환지방량과 혈청 내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혈당, ALT, AST 등도 털목이버섯 21001 EtOH 추출물 0.1% 이상 급여 시 고지방식이만을 급여한 군에 비해 유의차(*P<0.05 이상) 있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19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one pagoda structures have continued to be aged due to the combination of various damage factors. However, some studies on nonstructural damage have been carried out, but assessment studies on structural damage have not been done in various ways. Therefore, in this study,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damage types are classified and the damag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tructural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the behavior of the stone pagoda structure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damage rating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ach type of structural damages or damage locations are presented, and the damage index is calculated by providing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damag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mage to which the damage is caused. Therefore, this study can evaluate quantitatively the damage status of stone pagoda structures.
        4,200원
        195.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rine casualties of small fishing vessels (SFV) of less than 20 tons are frequent in Korea.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 and then prepared reduction plan using the marine casualty statistics of fishing vessels for the last five years from 2012 to 2016 by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to reduce the marine casualties of SFV.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ype of whole vessels occurring marine casualty, fishing vessels accounted for an average 68.0 %; moreover, except for 2014 when M/V SEWOL ferry capsizing occurred, the rate of death and missing due to marine casualties occurred from 68.3 % to 91.2 % in fishing vessels, and an average 79.5 % was found to be urgent need of a measure. Marine casualties occurrence depending on the gross tonnage of fishing vessel was found that the most occurred at less than 5 tons, followed by the order of 5 to 10 tons or less. However, crews who boarded on SFV do not have any training program for them, except for the fishing safety training of fisher who carry out fishing for shipowners and crew of the coastal and offshore fishing vessel in accordance with the safety regulations for fishing vessels in the Fisheries Cooperative Associ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training program so as to improve the preventive action and then emergency response including the fishing safety compliance with each fishery, safe navigation, machinery insp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Also, an SFV of less than 5 tons of 56,000 vessels is boarded by unqualified fishers. It would also be possible to consider subdividing small boat operator’s certificate to enhance their qualifications. It is expected that marine casualties of SFV will be reduced if active efforts are made to improve the safety consciousness of fisher and shipowners as well as the reorganization of fishing safety training and the small boat operator’s certificate system.
        4,000원
        196.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기용매 나노여과(OSN,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분리막은 폴리이마이드(PI)나 폴리벤질이미디아졸(PBI)과 같은 특수 고분자의 개발, 상업화가 이루어지고 강한 유기용매에 견딜 수 있도록 가교를 통해 분리막의 내구성이 급격하게 향상되면서 저분자량의 합성, 정제 및 농축을 필요로하는 의약, 바이오, 식품산업에 획기적이고 효율적인 분리막 공정으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고가의 고분자, 가교를 위한 복잡한 프로세스, 다량의 강한 용매 폐수 발생등 상업화를 이루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산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제막방식에서 벗어나 무독성의 용제를 사용하여 단일공정으로 유기용매 나노여과 분리막을 제막하고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19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간 이식 수술 전 이식기증자의 지방증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Breath-hold Multi echo T2 corrected Spectroscopy(이하 HISTO)와 Multi Echo Dixon(이하 MED)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간 에 침착된 철은 자기장 불균일을 유발시켜 정량적인 분석의 부정확성을 발생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ISTO와 MED 검사 시 간에 침착된 철로 인한 자기장 불균일이 Hepatic Fat Fration(이하 HFF)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2017년 10월부터 2018년 01월까지 간 이식 기증자 54명(평균나이 33.33세, 남자 34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간 조직검사(Liver biopsy), HISTO와 MED를 시행하였다. 사용장비는 Siemens사의 Skyra 3.0T와 18ch Body coil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장비 자체 내 Spectrum analysis tool을 이용하여 R2 water 와 TE=0의 HFF, Fat Percentage Image를 구하였다. Matlab(Mathworks, Natick, M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Liver Biopsy를 기준으로 HISTO와 MED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다. 또한 R2 water에 따른 간의 철의 농도를 구하였고, 그 농도변화에 따른 HISTO, MED의 측정오차의 변화를 알기 위해 Simple Linear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결 과:간 이식 기증자의 지방증 평균은 Liver Biopsy의 경우 4.6019±4.011%, HISTO의 경우 4.0403± 2.8134% 그리고 MED의 경우 3.4445±2.3872%이었다. HISTO의 측정오차는 1.5381±1.6545%, MED의 경우 1.7791±1.8456%이었다. Independent t-test의 결과, Liver Biopsy와 HISTO는 H=0, p=0.4015이었고, Liver Biopsy와 MED는 H=0, p=0.0713이었다. R2 water에 따른 간의 침착된 철 농도를 계산한 결과, 평균 0.0618±0.0187±μM, 최대 103.1μM, 최소 29.08μM이었다. Simple Linear Regression의 결과, HISTO는 y=24x+0.057, MED는 y=24x+0.29이었다. 결 론:최근 침습적인 Liver Biopsy를 대체하기 위해 HISTO와 MED검사가 시행되고 있으나, 간 에 침착된 철로 인해 측정의 부정확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우려와 그에 따른 팬텀을 이용한 선행논문이 있다. 이 와 마찬가지로 임상적인 연구결과 철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측정오차는 증가하였다. 하지만 간 이식 전 이식기증자의 경우 연령대가 비교적 낮으며 간경변 등 질활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 비해 침착된 철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HISTO, MED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간 이식기증자의 지방간 평가 에 침습적인 Liver Biopsy 대신 HISTO나 MED를 대체하여도 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