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5

        30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암호의 수질변동과 주요 생물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질의 경우, 수온은 3.8~21.2􀆆C, 수소이온농도(pH)는 6.7~8.6, 전기전도도는 64~76 μs cm-1, 용존산소량(DO)은 5.3~13.2 mg L-1,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2.5~3.3mg L-1, 부유물질(SS)은 1.0~5.1 mg L-1, 총질소(TN)는 0.622~0.841 mg L-1, 총인(T-P)은 0.007~0.019 mg L-1, Chl-a 농도는 2.8~8.8 mg m-3로 나타났다. 수정 Carlson 지수(TSIm)에 따른 영양단계 평가 결과는 연평균 중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총 출현종수는 53종으로 규조류 28종, 녹조류 13종, 남조류 3종, 기타 9종이 확인되었다. 현존량은 113~2,909 cells mL-1의 범위를 보였다. 동물플랑크톤 총 출현 종수는 16종으로 출현 분류군별로는 윤충류 10종, 지각류와 요각류가 각각 4종과 2종이 확인되었고 현존량은 309~435 ind. L-1의 범위로 나타났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2목 21과 33종으로 1038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등 줄하루살이였고 아우점종은 두점하루살이로 나타났다. 수생식물은 총 9종으로 정수식물 8종, 부유식물 1종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는 돼지풀과 물참새피가 출현하였다. 어류는 총 30종 613개체가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10종으로 33.3%의 고유도를 나타냈고, 외래도입어종은 3종으로 침투도 10.0%로 나타났다.
        4,000원
        30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행연구로서 꽃송이버섯 배지내 LED 조명색에 의한 푸른곰팡이 생육억제 효과는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blue 처리구에서 푸른곰팡이균의 포자발생량이 매우 높아 꽃송이버섯 배양에 부적합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양 28일 후 LED 파장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균사생장 특성과 LED 파장 색상별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red 파장 처리구에서 균사생장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red 파장 범위에서 광량을 달리하여 균사생장 조건을 확인한 결과, 광량 세기가 낮은 1.41 μmol/m2S 처리구에서 우수한 균사생장을 나타내었다. 계대배양 실시 여부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에서는 실험 전 1회 계대배양을 실시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지조성을 달리한 톱밥배지내 LED 광량별 균사생장은 미송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를 미송 톱밥배지에서 LED red 2.11 μmol/m2S의 광량을 처리하였을 경우 84일 배양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경우 red 파장 2.11 μmol/m2S 광량에서 84일 이상 미송 톱밥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꽃송이버섯 배양에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30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ed at investigating into the origin and meaning of the Japanese architect Terunobu Fujimori's 'piercing column', and drew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he piercing column that made its first appearance in his architect debut work Jinchokan Moriya Historical Museum (1991) was conceived unexpectedly from pencil lines on a sketch that went through over the building's roof. And the tree-like natural treatment of the column's surface was influenced by Takamasa Yoshizaka's description of a Mongolian mud-house. Second, most of piercing columns in his later works have nothing to do with a structural role as in Jinchokan, but were designed for a visual effect and as a symbolic gesture. Again, they allude to a tree in nature through a roughly peeling treatment of the surface. Third, considering his ideas in History of Humankind and Architecture (2005), his column could be related to a universal origin of architecture and a symbol of the sun-god faith, and in particular to independent columns of Japanese Shito shrines, such as 'Onbashira' in Suwa and 'Iwanebashira' in Izumo. That is to say, the Fujimori column is a medium that implies the animistic nature-faith of Japan. Nevertheless, Fujimori's naturalism hints at a disquieting quality through an intentional artificiality and a provocative conflict between structure and finish of a building, which might be one aspect of the modern condition, 'uncanny'.
        4,000원
        304.
        201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적공사 중 반매(0.5B)쌓기 시멘트벽돌 시공시 개구부 상부에 시공되는 중량의 인방보용 콘크리트 구조물 대신 경량의 강재구조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 도록 강재구조물이 개구부 상부 시멘트벽돌 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 실험을 통해 검증 해 보기위한 것이다. 강재구조물이 시멘트벽돌을 쌓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강재구조 물 형상을 제안하였고 휨실험을 실시하여 구조형상을 검증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강재구조물에 치올림(camber)을 두어 시멘트벽돌 반매(0.5B)쌓기 실물 재하시험을 실시 한 결과 시공성이 개선되고 공사 중 안전사고 방지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30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리뷰의 목적은 벼 종자 저장단백질 구조분석 및 발현특성분석 결과 종합화를 통하여 종자형질 개선 등의 실용화연구를 위한 기반구축을 모색하는데 있다. 최근 벼 염색체염기서열완전해독 연구 결과를 이용한 유용형질 유전자 분리 및 실용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벼 종자 저장단백질은 인류에게는 주요 영양원으로 사용되어지며 종자 발아시에는 식물체 성장을 위한 질소원으로 사용되어진다. 벼 종자 저장단백질의 분류는 용매에서의 용해도에 따라 약산성 및 알카리 용해성의 glutelin, 알코올 용해성의 prolamin, 염 용해성의 globulin으로 나눈다. 벼 염색체 상에는 11개의 glutelin 유전자와 33개의 prolamin 유전자가 존재하며 prolamin 유전자의 경우 5번 염색체 15 Mb 부위에 15개의 유전자가 위치하였다. 이와 같이 종자저장단백질 유전자들이 동일 염색체 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진화학적으로 동일 염색체에서 유래하였거나 유사한 유전자발현 조절영역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Globulin 유전자는 5번 염색체에 단일 유전자로 존재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종자저장 단백질 관련 유전자의 조직 특이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glutelin과 대다수의 prolamin 합성 유전자는 종자배유에서만 발현을 하였으며 소수의 prolamin과 globulin 합성 유전자는 종자배유와 발아종자에서도 발현을 나타내었다. 종자 저장단백질의 프로모터부위를 분리한 후 종자에서의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glutelin type C1 프로모터가 종자의 전체 부위에서 발현을 나타내었으며 glutelin type B5와 α-globulin 프로모터가 많은 양의 발현을 나타내었다. 본 리뷰를 통하여 벼 종자 저장단백질의 구조및 발현특성 연구 진행사항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동향분석은 종자형질 개선 및 물질생산 등의 실용화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최근의 연구 현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31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석류를 40일간 단기저장할 때 저장온도에 따른 품질변화를 측정하여 저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저장온도를 1oC, 5oC, 10oC, 그리고 상온으로 하여 40일 동안 저장하면서 석류의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량감모율은 모든 처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저장 40일 후 감모율은 1, 5, 10oC 저장은 8.7~10.7%로 차이가 없었으나 상온저장은 19.2%로 가장 높았다. 2. 당도와 산도는 저장기간에 상관없이 당도와 산도는 저장온도간에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3. 부패과율은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적게 발생하였고, 40일간 저장하였을 때 저장 1oC에서 부패과율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상온에서는 60%로 높게 나타났다. 4. 40일의 저장기간 동안에 석류 과실의 저온장해 증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5. 열과를 저장할 때의 중량감모율은 정상과와 차이가 없었지만 부패율은 정상과 보다 증가하였다. 6.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80~90%의 상대습도를 유지한 곳에서 석류를 40일간 저장하였을 때 저장온도 0~5oC에서 저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40일 이상의 저장을 위해서는 저온장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4,000원
        31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fresh-cut produce salads and raw cabbage toward climate change.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were monitored to get the contamination levels and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p. to detect pathogens with risk of foodborne disease from samples. Collection of 360 samples (180 fresh-cut produce salads and 180 raw cabbage), including 60 samples from each area after setting 3 areas depending on annual temperature and annual rainfall. As a result,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group were different was performed areas in raw cabbag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reas in fresh-cut produce salads. In addition foodborne pathogens including E. coli were not isolated from fresh-cut produce salads.
        4,000원
        313.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architectural origin of the Bosung College Library (1935~37), which is currently used as Graduate School Building of Korea University. So far, numerous books have repeatedly described that the library was modelled on a Duke University library, but without any serious consider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trip and archives investigation, this research discovered new critical facts concerning the origin of the building. First, Dong-Jin Park, the architect for Bosung College, saw a photograph of the Duke library in a Duke University catalog possessed by Chun Suk Auh, Professor of the college at that time. Second, the Duke library that he saw in the catalog, which might possibly be Bulletin of Duke University (Feb. 1931), is certainly the present Perkins Library (1930) in Duke University West Campus. Third, the architect probably referred not only to the library but also to other Duke buildings such as School of Medicine and The Union, of which photographs were also published impressively in the Bulletin. Although the Bosung College Library was inspired by the Duke buildings, however, it is undoubtedly a creative design work by the architect Park. Arguably, these findings broaden our view of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in the modernization period, and it is more than a confirmation of just one building's origin.
        4,300원
        314.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광판식 번식 기록관리 시스템은 판넬식 전광판 형태로 되어 있고, 우사의 벽에 설치하 도록 제작되어 있어, 재발정일, 이전(以前) 수정일, 분만예정일, 건유일 등과 같은 관리일 (日)을 알고 싶을 때나 그밖의 개체에 관한 번식정보를 알고자 할 때는 수시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분만, 인공수정 등과 같은 관리사항을 기록해야 할 일이 생겼을 때는, 기입할 칸에 <날짜입력>이라는 키를 누름으로써 오늘 날짜가 자동적으로 기록됨과 동시에 저장이 되도록 고안되어 있어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기록관리의 편의성 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시스템이다. 전광판식 번식 기록관리 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하여 도태율, 번식장애로 인한 도태율, 공태기간 및 공태기간 분포를 조사한 결과, 도태율은 5.7%, 번식장애로 인한 도태율은 10.3% 낮아졌고, 공태기간은 32.2일 단축되었으며, 공태 기간 121일 이상의 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젖소 농장에서 1일 3회 이상 관찰을 하는 것은 정보 및 경영 활동 등으로 인한 목장에 부재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현실적 으로 어려움이 따르고, 또한 온도상승, 사육환경(사육밀도, 우사바닥)의 변화, 고능력우의 증 가, 심야시간대의 발정개시, 미약발정우의 증가 등으로 발정발견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발정발견 보조 수단으로는 발정발견의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되는 승가허용 원리를 이용하여 소의 미근부에 부착하는 형태의 일회용 또는 전자식 보조기가 많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 는데, 여기서 공시한 발정탐색기는 승가 및 승가허용 행동을 할 때, 발목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가 수직적인 충격에 의해 위와 아래의 전극이 접지되어 신호가 발생되고, 그 신호가 전 광판으로 전송되어 발정 정보(발정행동 횟수 및 개시시간)를 표시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승 가나 승가허용의 발정행동에 의해 90% 정확도와 75%의 수태율을 나타내었고, 젖소 사육 농가 5개소에 적용한 결과, 적용 전에 비하여 적용 후에 발정발견율이 크게 향상되는 경향 을 나타내었다. 무인 발정탐색기를 이용하여 발정이 개시되는 시간대를 조사한 결과, 발정 발견이 곤란한 저녁 7시부터 다음날 아침 7시 사이에 59.1%가 발정이 개시되는 현상을 나 타내었고, 발정행동을 한 최초의 시간으로부터 12시간 이후에 인공수정을 실시하는 것이 높은 수태율을 나타내었으며, 발정행동 횟수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3회 이하의 비율이 40.9 %를 나타내었다.
        315.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침버섯(Mycoleptodonoides aitchisonii)은 수염버섯과에 속하며 갓은 직경 4~10cm로 부채모양에서 반둥근모양이 되고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나중에는 연한 황색을 띤다. 갓 하면인 자실층은 3~10mm의 조밀한 바늘모양의 침을 가진 식용버섯으로 일본에서는 후쿠시마 현, 야마가타 현, 이와테 현 등 일본 동북부 지방의 너도밤나무림 등 삼림 속에서 자연적으로 많이 채취되어 왔다. 주로 가을에 지역특산품으로 소비되어 왔으나, 현재는 특히 야마나시현에서 농가에 재배법을 보급하고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원목재배를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침버섯이 강원도와 제주도의 활엽수 고사목에서 발생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큼한 과일향이 강해서 야생에서도 쉽게 찾아낼수 있다. 주로 활엽수고사목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육질이 단단해서 씹히는 맛과 향이 좋아 미식가들이 주로 찾고 있지만 자생지인 일본에서도 재배가 어려워 야생 채취에만 의존, 사전 예약을 통해 가을 채취로 현지 판매만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야생유전자원을 수집 순화육성을 통한 국내균주를 육성하여 최적배양조건 및 자실체발생 특성을 조사하였다. PDA (Potato Detrose Agar)배지에 균을 접종한 후 일주일간 배양한 결과 일본수집균주인 JF33-01 균주는 5.8cm, 국내 육성균주인 JF33-02균주는 6.2 cm로 일본균주에 비해 다소 빠른 기내 균사생장 특성을 보였다. 또한 JF33-02는 기내배양 과정 중에서도 균사가 황변이 되면서 약간의 균막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참바늘버섯 균주가 톱밥배양 시 황변후 버섯이 발생되는 점을 감안한다면 황변화는 자실체 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과정으로 JF33-02 균주가 자실체 발생에 있어 좀 더 유리한 조건일 수 있음을 알수 있다. 버섯재배용 최적톱밥 수종 선발시험에서는 밤나무 톱밥이 8.9cm로 참나무나 버드나무 톱밥에 비해 우수한 생장을 보였으며 균주별로는 밤나무톱밥 배양시 국내 육성균주인 JF33-02균주가 7.8cm로 JF33-02 균주에 비해 저조한 균사생장을 보였다. 자실체발생 최적배지 선발시험 결과 일본수집 균주인 JF33-01균주에서는 참나무+건조맥주박+미강(8:1:1)배지가 평균 76.0g/병으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보였고 국내육성 균주인 JF33-02균주에서는 참나무+건조맥주박+옥수수가루+미강(8:1:0.5:0.5)배지가 평균 82.1g/ 병으로 회수율이 높았다. 이는 건조맥주박이 침버섯의 자실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해석되며 또한 건조맥주박이 첨가되지 않고 옥수수가루나 소맥분이 첨가된 배지에서는 자실체 발생이 거의 안되거나 생산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된 자실체의 품종특성을 조사한 결과 일본품종인 JF33-01의 경우 갓 표면이 매끈하고 빛깔이 흰것에 비해 국내 자생균주인 JF33-02의 갓 표면은 마치 나이테처럼 자라면서 줄무늬가 생기고 갓이 두껍고 탄력이 있다. 또한 JF33-01에서 연한 과일향이 나는 것에 비해 JF33-02는 상큼한 과일향이 매우 강하게 난다. 그리고 갓의 모양을 보면 JF33-01은 카네이션형이며 JF33-02는 부채꼴형이다. 또한 자실체 직경과 갓의 너비, 갓의 두께 모두 JF33-02가 JF33-01에 비해 큰편이나 침의 길이는 JF33-01이 비교적 큰편이었으며 또한 개체당 평균 생중량과 자실체 개수는 JF33-02가 JF33-01에 비해 높은양을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317.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s the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organisms from the littoral and pelagic regions, and considers particularly trophic levels vs. zooplankton abundances. Zooplankton samples, collected every 3 months over a year from 2010 to 2011 at 29 temperate lakes and reservoirs, which belong to two different river basins (Youngsan and Seomjin River). The spatial pattern of rotifers was similar to that of total zooplankton abundance. This reflected the fact that rotifers strongly dominated the zooplankton community. There were considerable spatial variations in total zooplankton abundance (ANOVA, p<0.01),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littoral and pelagic regions in abundance of zooplankton (ANOVA, p=0.205). The mean abundance of zooplankton in eutrophic system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mesotrophic systems, while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species and diversity index were not shown in both trophic systems.
        4,000원
        318.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 of adding TES to LEY and FGE freezing extender for the sperm viability, acrosomal morphology and DNA fragmentation from miniature pig sperm, we evaluated sperm characteristics in TFGE, TLE and LEY with various thawing condition ( for 20 sec, 45 sec and for 5 sec, respectively), and in different concentration of glycerol at 1%, 1.5%, 3%. The sperm viability and normal acrosome intact(NAI) in TFGE (Viability : , NAI : ), TLE (, ) extender significantly(p<0.05) increased than that in LEY (, ) extender thawed at for 5 sec.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glycerol concentration, the viability and NAI of miniature pig sperm in 1.5% glycerol TLE (, ) was highes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In accordance with this, DNA fragmentation rates was the lowest in TLE () while that in LEY () is the highest.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LE extender method for freezing- thawing of miniature pig sperm increased the viability after thawing.
        4,000원
        319.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이인자 Ac/Ds를 이용하여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삽입변이 집단을 구축하고 Ds 삽입에 대한 분자학적 정보를 획득하여 database 화에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농업적 유용유전자들의 생물학적 기능을 구명하고 생명공학적 방법을 통하여 새로운 작물 창출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자료와 정보는 벼의 유전자 기능분석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하고 유용 유전자를 선발하여 육종에 이용함과 아울러 또한 이들의 지적 소유권 획득에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T1 진전에 의한 대량 고정종자 생산 확보를 위해 Largescale screening 활용하고 발아 활력 유지를 위해 종자를 장기보존하였다. 그 결과 Ds Knockout 육종소재의 안정적 재료공급 체계 확립하였는데 종자 증식용 파종상의 규격화를 통한대량 증식 방법 확립였고 증식계통의 목적에 맞는 재배 방법채택을 통한 편의성을 증진하였다. 2. 변이체의 선발은 각 생육 시기별 변이체 특성검정 및 선발하였으며 2008년도에는 변이율이 5.15%를 보였으나 2009년에는 4.34%로 낮았으며 평균 4.75%의 변이율을 나타냈다. 2010년 증식계통은 생육이 불량하여 표현형 조사는 불가하여 바로 이앙하여 증식하였다. 특히 spotted leaf(spl)의 형태를 나타내는 변이형이 우점하였다. 유묘기의 Ds 증식 집단에서의 표현형 변이는 주로 엽록소 이상을 보이는 변이체가 많이 관찰되었다. 3. 흑미 삽입변이체의 종자특이 전사인자의 발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 분석법을 이용하여 흑미 종자의 안토시아닌 생합성 발현 유전자를 동정하고 안토시아닌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 분석을 통한 합성 기작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흑미 종자 삽입변이체 선발하였는데 115,000점의 Ac/Ds 삽입변이체 중 흑미 9계통을 선발하였다. 4. 흑미 종자의 유전자 발현 분석을 연구하기 위하여 Microarray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는데 672개의 안토시아닌 생합성 관련 유전자 중 전이인자 hyper-geometric 통계 분석으로 12개 전이인자 분류별 82개의 생합성 관련 전이인자 유전자 선발하였다. 5. 최근 기능유전체 연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변이체에대한 총체적인 해석과 함께 변이체의 표현형 변이와 삽입염기서열 분석의 연관성을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이른바 Phenome 데이터베이스로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Phenome 분석에 삽입변이집단의 데이터베이스가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20.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1년 영산강∙섬진강 수계 29개 호소조사에서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161종, 녹조강 157종, 남조강 39종, 기타 67여종으로 총 424종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4차 조사시기에 상대적으로 더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으며 대동호, 대동제, 소포제, 군곡제, 개초제, 둔전제 지점에서 다양한 종들이 출현하였고, 영산호를 비롯한 하천형 호소에서는 비교적 빈약한 종이 출현하였다. 각 지점에서 20% 이상의 우점율을 보인 종은 대부분 규조류였고 2차와 3차 조사에서 녹조류와 남조류도 우점의 빈도가 높아졌다. 개체군 밀도는 조사 호소나 시기에 따른 뚜렷한 패턴이 없었고 특정 종의 성장에 크게 의존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클로로필-a의 농도는 조사호소와 시기에 따른 편차가 매우 컸으며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와 클로로필-a의 농도 사이에는 매우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