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the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used for the reduction of expansive additive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committed to the concrete Mixing characteristics, compressive strength and drying shrinkage of examining my new honhwajaeryoin elements by putting in concrete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Experiments, SP was fixed jeryangeul equally expansive additive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in the formulation of the Inject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fluidity, shrinkage reducing air flow rates increase the amount of air even if the input Increases with, and if the expansion of re-injection rates increase rather than decrease was found that the volume of air. I committed to the elements of the concrete, but an increase in inputs even if the air content of concrete or no liquidity Were confirmed to have no effect. In addition, the compressive strength test Shrinkage Reducing the dosage increases, Tended strength falls, inflation 5.0% of material inputs in the formulation was found to be the highest. Element material Concrete with Shrinkage Reducing committed a similar compressive strength falls with increasing dosage tended Unlike the small degree of shrinkage reducing agent was affected. Shrinkage characteristics include all three admixture With increasing dosage can reduce the drying shrinkage was observed that, if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of the elements and almost Reducing the level of contraction was found to be. Therefore, the element first, if you commit to concrete admixtures to Characteristics of the concrete mix does not affect the lapse rate contract that can be used as a highly admixture is judged to be
here.
우리나라 판례는 부정경쟁방지법 제10조 제1항을 청구원인으로 하여 침해행위의 금지 또는 예방 및 이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 중의 한 가지로서 그 종업원으로 하여금 전직한 회사에서 영업비밀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하는 조치를 허용한다. 다만 전직 자체에 대한 금지청구는 허용되지 않고 해당직무에 종사하는 것을 금지하는 청구가 허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판례의 입장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 종업원의 전직을 금하는 경업금지약정의 체결은 종업원의 직업의 자유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에 대한 어떠한 법률 규정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입법적 해결이 필요할 것이다. 두 번째로, (ⅰ)‘ 종업원의 전직’이 부정경쟁방지법 문언상의‘침해의 우려’와 동일한 해석에 바탕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과 관련하여, 실제로 종업원의 전직 그 자체가 영업비밀 침해 우려의 대상이라는 시각은 종업원의 직업의 자유를 해칠 염려가 크기 때문에, 법문을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해석하는 태도가 옳을 것이며, 오히려 종업원의‘신의 없는 상황’등과 결합되어야 ‘침해의 우려’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ⅱ) 전 직장에서 대규모의 자본투하가 이루어지는 기술개발 핵심인력의 전직의 경우 전직한 경쟁회사 등에서 서류상으로 전 직장과 관련이 없는 부서에 배치하여 놓고 실제로는 연구 등의 행위를 시키는 것을 실질적으로 규제할 방법이 없고 입증도 어려운 실무상에서 우리나라 판례는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법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미국의‘불가피한 누설 이론’은 입법론에 있어서 큰 시사점을 준다. 다만‘불가피한 누설 이론’은 미국에서도 직업의 자유와의 관계에서 그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대두되었던 바, 이를 제한적 범위 내에서만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제한적 불가피한 누설이론’은 (ⅰ) 영업비밀 개념의 광범위성으로 인한 종업원의 직업의 자유와의 법익균형성의 측면에서‘창작성 있는 영업비밀’에 한정하는 것, (ⅱ) 모든 직원이 동일하게 영업비밀에 접근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영업비밀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권한이 있는 자에 한정하는 것, (ⅲ) 전∙현직 직장이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청구를 허용하는 것, (ⅳ) 사용자가 해당 영업비밀이 실시 중이거나 실시예정일 것, (ⅴ) 종업원이 직무발명에 대하여 특허 받을 수 있는 권리나 특허권 등을 계약이나 근무규정에 따라 그 사용자에게 승계하거나 전용 실시권을 설정한 경우에 받을 수 있는‘정당한 보상’과 유사한 보상을 사용자로부터 받았을 것 등이며,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비례의 원칙상 상당성이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에 대한 살비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약용식물 25과 35 종의 메탄올 또는 헥산 추출물을 이용하여 잎 침지법과 살포법으로 실내와 pot, 야외에서 실험을 수행하였 다. 살비활성은 약용식물 종류별로 차이를 보였다. 강남콩(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잎을 1,000 ppm 농도의 추출물에 1분간 침지한 후 점박이응애에 대한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열매 추출물과 팥꽃나무(Daphne genkwa)와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나팔꽃 (Pharbitis nil) 씨앗 추출물이 각각 56.8%와 47.8, 47.7, 47.7%의 살비활성을 나타내었다. 잎 침지시간을 30초로 단축시켜 점박이응애에 대한 살비효과검정 시는 1분 침지에 비하여 효과가 감소하였고, 나팔꽃과 도꼬마리의 살비 활성이 가장 높았다. 도꼬마리와 나팔꽃 씨앗 헥산 추출물의 반수치사농도는 각각 1,824 ppm과 1,899 ppm이었다. 두 식물의 1,000 ppm 온수 및 냉수 추출물은 점박이응애에 대한 살비효과가 20% 이하로 낮았다. Pot의 강낭콩에 점박이응애를 접종한 후 분무법으로 추출물을 1,000 ppm 농도로 살포한 결과 도꼬마리와 나팔꽃 씨앗 헥산추출물은 각각 76.3과 71.3%의 높은 살비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온실에서 국화의 점박이응애를 대상으로 나팔꽃 씨앗 헥산 추출물을 2,000 ppm과 1,000 ppm으로 처리 시에 는 50.8%와 35.1%의 방제가를 보였다.
 ,  , The nematicidal and egg haching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30 herbal plants (total 32 samples) against Meloidogyne hapla J2 juveniles and eggs was tested using the dipping method. At 1,000 ppm, extracts of Daphne genkwa flower buds, Eugenia caryophyllata flowers, Quisqualis indica fruits, and Zingiber officinale rhizomes produced >, 80% mortality in J2 juveniles. At 125 ppm, extracts of D. genkwa and Q. indica produced 91 and 99% mortality, respectively. The toxicity of 5 selected plant extracts to M. hapla differed depending on the solvent used (i.e. hexane, methanol, hot water, or cold water). Hot water extracts of Z. officinale and Q. indica produced nematicidal efficacies of99 and 99%, compared to 36 and 98%, respectively, with cold water extraction. Q. indica extract was highly active against M. hapla regardless of extraction method. The inhibitory effects of Areca catechu, D. genkwa, Desmodium caudatum, Pharbitis nil, Q. indica, and Z. officinale extracts on egg hatching of M. hapla was evaluated. At 1,000 ppm, D. genkwa, P. nil, and Q. indica extracts significantly reduced hatching at 7, 14 and 21 days after treatment. Numbers of juveniles in soil treated with the methanol extract
There has been a growing concern about the emissions of formaldehyde and VOCs from automotive interior materials which could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in-vehicle air quality(IVAQ) of automotive vehicles. Many leading automobile manufacturers have now introduced their own specification standards for testing and limiting emissions from products produced by their suppliers. In addition, 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has been established ISO 12219-1, 2, 3, 4, 5 to determine the emiss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automotive vehicl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area specific emission rates determined from surface emissions testing using the microchamber(MC) in comparison with a 1 m3 emission test chamber(ETC) operated in accordance with ISO 12219-3, ISO 12219-4. Measured emission concentrations in absolute terms were different between Microchamber and 1 m3 chamber. However, qualitative comparison of the chromatograms shows that the Microchamber is able to perform a screening test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5년 자주색 반겹꽃 ‘Lilabella’와 ‘Mephisto’를 교배하여 얻은 실생 계통으로부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 동안의 생육 특성검정을 거쳐 화색이 밝고 선명하며 초세가 강건한 녹심의 파스텔톤 분홍색(RHS R52B) 반겹꽃 절화용 거 베라 신품종 ‘Paspin’을 품종육성하였다. 꽃의 직경은 12.8 cm인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이 각각 7.87 cm와 2.57 cm이다. 절화장은 48.6 cm로 적당하며 꽃목이 굵고 절화수명이 10.8일로 길다. 초세가 강건하고 국내 재배환경에 적합한 품종으로 재배농가의 기호도가 높아 앞으로 국내육성품종의 재배면적 확대 및 농가의 로열티 절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랑색 절화용 스프레이 카네이션 품종 ‘Leo’는 ‘Ballantyne’과 ‘West peachy’ 품종을 인공 교배하여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Leo’는 1999년에 교배하여 2001-2003년까지 품종 특성을 조사하였고, 2003년에 최종 선발하였다. ‘Leo’는 절화용의 연노랑 스프레이 품종으로 꽃수는 대조 품종보다 다소 적으나 개화가 빠르고 분지수가 많은 특징을 보였다. 또한 절 화수명은 9일이고 시들음병에는 ‘중’ 정도의 저항성이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s among ethical leadership, LMX(leader-member exchange)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MX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nd the mediating effect, the data obtained from convenient sample of 256 nurses in a city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thical leadership were positively related to LMX and job satisfaction. Second, LMX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Finally, LMX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cluding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The very high temperature gas reactor (VHTR) is one of the next generation nuclear reactors for its safety, long-term stability, and proliferation-resistance. The high operating temperature of over 800˚C enables various applications with high energy efficiency.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primary helium loop to the secondary helium loop through the intermediate heat exchanger (IHX). The IHX material requires creep resistance, oxidation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in a helium environment at high operating temperatures. A Ni-based superalloy such as Alloy 617 is considered as a primary candidate material for the intermediate heat exchanger. In this study, the microstructures of Alloy 617 crept in pure helium and air environments at 950˚C were observed. The rupture time in helium was shorter than that in air under small applied stresses. As the exposure time increased, the thickness of outer oxide layer of the specimens clearly increased but delaminated after a long creep time. The depth of the carbide-depleted zone was rather high in the specimens under high applied stress. The reason was elucidated by the comparison between the ruptured region and grip region of the samples. It is considered that decarburization caused by minor gas impurities in a helium environment caused the reduction in creep rupture time.
우리나라의 보편적 장치산업의 각 생산공정 공정 세팅(setting)치는 Adjacent Point를 지향한다. 바로 이 점이 운전 세팅치를 자주 변경하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근접한 점에 맞추려고 하는 행동이 군내 변동은 작게 만들지만, 군간 변동은 더욱 크게 만드는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이 경우 데이터의 자기상관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빈번히 사고성 Control-out도 나타나게 되며,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설비의 내구성에도 영향을 마치게 된다. 이는 4M 표준화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다행스럽게 현장 작업자의 4M 표준화(세팅치 포함) 변화의 권한과 행위는 지양되고 담당 Engineer에게 절대적인 책임과 권한이 주어져 4M 표준화 및 공정의 Control-in 개념도 자연스럽게 재고되고 있는 상황이다.
ARIMA를 이용한 통계적 모형을 만들어 분석하는 것이 최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이 방법은 모형을 만들고 분석하는 과정이 너무 어렵고 복잡하여 많은 데이터를 다루는 공정에서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다소 간편하다 할 수 있는 AR모형을 이용하여 관리 상한과 하한 폭을 넓혀서 분석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또한 마찬가지로 과정이 어렵고 복잡하다.
실제공정에서는 자기상관이 소멸되는 시간간격 데이터를 이용한 Shewhart 관리도로도 공정 관리 상태를 판독하고 관리하는데 별 무리가 없다고 인지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Adjacent Point를 지향한 운전 습관은 그대로 남아 이상원인 검출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Shewhart 관리도보다 가중치에 따라 작은 변화에 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EWMA 관리도를 바탕으로 장치 공정에서의 모니터링 효율성 재고를 위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들어서 아시아지역에서는 이동성 벼 병해충(멸구류와 이들이 매개하는 바이러스)에 의한 피해가 매우 위협적이다. 돌발 빈도가 잦고 발생이 많아지고 있다. 자국 및 인접국의 재배환경변화로 주요 병해충 구성도 변화되고 있다. 최근의 관건 벼 병해충은 우리나라, 일본, 중국 동부지방에서는 애멸구와 애멸구가 매개하는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SV), 중국남부지방에서는 흰등멸구가 매개하는 바이러스(SRBSDV), 베트남 남부, 말레이시아 지역은 벼멸구와 벼멸구 매개 바이러스(RRSV, RGSV)로 요약될 수 있다. 아시아지역에서는 멸구류와 바이러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생태계 생물다양성 제고를 위한 생태공학 프로그램, 멸구류의 약제 저항성 모니터링 및 장거리 이동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이동성 벼 병해충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가간 공동연구 협력체계를 만들고 발생정보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아시아 농식품 기술협력협의체(AFACI) 권역별 사업으로 2011년부터 10개년 계획으로 “아시아지역 이동성 벼 병해충 관리를 위한 협력네트워크”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발표는 아시아지역에서 발생하는 이동성 벼 병해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참가하고 있는 회원 및 관련국가의 보고 자료를 요약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eliminary review for standardization of methods for evaluating reduction performance of pollution-reducing building materials and to select commercially available pollution-reducing building materials for assessing their current status. The ISO 16000-23 and -24 standards were used as references for standardizing the test methods. The sub test categories—stability of the supply air concentration, type of the supply air, and supply air concentration—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standards were selected and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ve (5) wall materials and 2 ceiling materials were tested for formaldehyde reduction performance and 3 wall materials were tested for toluene reduction performance. The study included experimental review of the essential test criteria such as stability of the supply air, internal stability of the chamber, and recovery rate. The samples tested exhibited some reduction performance for formaldehyde but little reduction performance for toluene.
This study is analyzing a member kind after placing concrete, the location-based temperature record, and the strength development, by making insulation gang-form with application of polyurethane form to general gang-form for securing efficient concrete quality in the condition of cold weather. According to our experimental results, the member of general gang-form with curing in the same condition as the actual field didn’t drop to under 3˚C until before 24 hours in the early part, but fell to under 0˚c from 36 hours later because a large rise in temperature caused by hydration reaction didn't occur.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insulation gang-form, the temperature on the surface and the central part didn't go down to under 3˚C before 12 hours in the early part and didn't fall to under it even until 72 hours after it while the peak temperature went up to 12˚C. Thus, it could be known to definitely have excellent insulation effect compared to space heating curing, which is generally performed on the spot. In comparison with space heating curing whose error in curing temperature is big every field, it is judged to likely have great effect on improvement in concrete quality given the work construction in cold weather and on early demolding in a cast during winter.
제주도 서부의 하모와 협재 해빈에서 표층 퇴적물과 해빈단면의 계절별 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계절별 해빈사의 이동방향을 조사하였다. 하모해빈은 경사 7.3˚-10.8˚이며, 화산암 역과 패각편을 포함한 중립질 모래로 구성된다. 협재해빈은 경사 2.8˚-6.5˚이며, 조립질 패각편 모래로 구성된다. 하모해빈은 해빈 서쪽에 축조된 방사제의 영향으로 해빈 변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협재해빈은 동계 동안 북서계절풍에 의해 사구 쪽으로 표사이동이 일어났다.
학습조직은 조직학습의 일련의 활동을 포함하고 이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직의 구조적인 측면을 통해 개인들이 지식을 공유하고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는 조직을 의미하며, 학습조직은 미래 사회에서 조직이 갖춰야 할 또 다른 경쟁력인 혁신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란 예상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학습조직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학습조직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기업의 운영사례를 제시하여 학습조직과 혁신이 조직의 장기적인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적응력 과 유연성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본 연구는 연구자의 컨설팅 경험을 토대로 광주지역에서 중소기업의 학습조직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기업을 선정하여 학습조 운영 및 학습활동, 학습조 성공사례를 제시하여 자발적인 학습활동을 높이고 학습 성과와 생산성 향상방안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여준 운영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조직구 성원들의 자발적인 학습조 활동을 통한 조직구성원들의 역량개발을 통해 생산성 향상과 기업의 가치제고를 위한 중소기업의 인적자원 개발이 아주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고 보여진 바 중소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경영성과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has relatively high technical standard and experimental skill. The fabrication of TCO film with hightransparency, low resistance and low chromaticity require exact control of several competing factors. This paper has resolvedthese problems reasonably well, thus recommended for publication. Indium tin oxide(ITO) thin films were by D.C. magnetronroll-to-roll sputter system utilizing ITO and SiO2 targets of ITO and SiO2. In this experiment, the effect of D.C. power, windingspeed, and oxygen flow rate on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ITO thin films were investigated from the view point ofsheet resistance, transmittance, and chromaticity(b*). The deposition of SiO2 was performed with RF power of 400W, Ar gasof 50sccm and the deposition of ITO, DC power of 600W, Ar gas of 50sccm, O2 gas of 0.2sccm, and winding speed of 0.56m/min. High quality ITO thin films without SiO2 layer had chromaticity of 2.87, sheet resistivity of 400ohm/square, and trans-mittance of 88% and SiO2-doped ITO Thin film with chromaticity of 2.01, sheet resistivity of 709ohm/square, and transmittanceof more than 90% were obtained. As a result, SiO2 was coated on PET before deposition of ITO, their chromaticity(b*) andtransmittance were better than previous results of ITO films. These results show that coating of SiO2 induced arisingchromaticity(b*) and transmittance. If the thickness of SiO2 is controlled, sheet resistance value of ITO film will be expected tobe better for touch screen. A four point probe and spectrophotometer are used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ITO thin films.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란 생산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과 도구들을 포함하는 온라인 통합 생산 시스템으로 주문 받은 제품을 최종제품이 될 때까지 생산 활동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정확한 실시간 데이터로 공장 활동을 지시하고, 대응하고, 보고 한다. 이에 따라, 공장에서 가치를 제공하지 못하는 활동을 줄이는 것과 함께 변화에 빨리 대응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장 운영 및 공정의 효과를 높인다. 또한 납기, 재고회전율, 총수익, 현금 흐름 등을 개선 할 뿐 만 아니라 운영 자산에 대한 회수율도 좋게 하며, 양방향 통신으로 기업 전체 및 Supply Chain에 걸쳐 생산 활동에 대한 중요한 정보 들을 제공한다.
선행적 관리는 대응적(active), 예방적(preventive), 예측가능(predictive)으로 이루어진다. 선행적 관리가 MES에 포함되어 구성된 System 설계를 본 연구에서 제안했고, 이에 대한 기존의 MES와의 차별성 및 효율성에 대한 것을 검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