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1

        22.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군 조직내에서도 리더십코칭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는 상황 에서 군에서 리더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영관장교들을 대상으로 군 리더십코칭 에 대한 인식유형과 특성파악을 위해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군 리더십 코칭에 관한 Q 모집단을 구성한 후 27문항의 Q 표본인 Q 진 술문을 추출하였고 현역 및 예비역 영관급 장교 36명을 P샘플로 선정하여 27개 의 진술문을 Q 분류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에 대해 QUANL 프로그램을 활용 하여 주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군 리더십코칭에 대한 인식은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개인 과 조직발전 기여형’, ‘군 리더십코칭 발전 추구형’, ‘긍정적 효과 기대형’ 및 ‘조 직문화 발전 기여형’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군 리더십코칭에 대한 이해의 범위를 확인하고 군 리더십코칭 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향후, 군 리더십코칭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5,400원
        2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nursing simulation training need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instructor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ductive method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 onlin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ix instructors with experience operating a nursing simulation. Data were collected in July 2021. Results: First, “nursing simulation practice operations” required simulation design elements, practical operations, and curriculum integration. Seco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wed a lack of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and there was a need for standard education reflecting the domestic nursing education environment. Third, for “instructor competencies”, the facilitator role, step-by-step education for strengthening instructor competencies, and cooperation with clinical experts were derived. Fourth, it was found that “learner competencies” should meet the nursing professionals’ need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unique human competency should also be strengthened.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eeks to understand the instructor’s needs for nursing simulation training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Moreover, it identifies considerations for instructor and learner competencies in the nursing simulation operator training programs.
        5,100원
        2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for nursing simulation on perceived knowledge, confidence, and competence, and then evaluate its effects. Metho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eight-hour program covered simulation education theory, scenario design and development, simulation design and operation using patient simula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debriefing, curriculum integration, simulation evaluation, and faculty development. Thirty-eight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in August 2021. The study used paired t-tests to analyze differences in perceived knowledge, confidence, and competence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is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knowledge, confidence, and competence for nursing simulation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 The faculty development program positively affected simulation instructor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refore, this validated and standardized training program can be used for training simulation faculty members at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It can not only reduce the cost and effort required for faculty development at each university but also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spread of nursing simulation.
        5,100원
        27.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uber melanosporum, Tuber aestivum,and Tuber magnatum, specifically the content of β-glucan, amino acids, nucleic acid-related substances, vitamin C, and ergosterol. The β-glucan content was highest in T. magnatum (20.54%). The free amino acid content was highest in T. aestivum, with the major amino acids being cystin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T. magnatum, the primary amino acids being cystine, glutamic acid, and lysine. The content of nucleotide related compounds was the highest in T. magnatum (5.09 mg/100 g).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C (10.15 mg/100 g) and ergosterol (596.91 mg/100 g) was found in T. magnatum, which had the highest useful component content among the three truffles. Additional studies investigating the variation in useful components according to collection time and growth environment are needed.
        4,000원
        30.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ineral content of Tricholoma matsutake was evaluated for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ccording to the area of cultivation. Ten domestic and thirty Chinese (10 Yanji, 10 Yunnan and 10 Tibet) T. matsutake specimens were assessed using an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AS)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ICP-MS). The Na, Mg, K, and Ca contents of domestic T. matsutake were 128.12±85.25 mg/kg, 218.52±105.35 mg/kg, 7,534.58±2,691.52 mg/kg, and 17.69±7.14 mg/kg, respectively, while those of Yanji T. matsutake were 124.89±57.24 mg/kg, 64.07±27.52 mg/kg, 1,439.18±311.04 mg/kg, and 10.88±4.52 mg/kg, respectively. The Na, Mg, K, and Ca contents of Yunnan T. matsutake were 90.78±23.23 mg/kg, 77.40±28.36 mg/kg, 1,446.29 ±126.33 mg/kg, and 28.42±5.18 mg/kg respectively, while those of Tibet T. matsutake were 143.50±41.54 mg/kg, 124.64±50.18 mg/kg, 3,530.95±2,714.99 mg/kg, and 21.05±8.71 mg/kg, respectively. The Cu contents of domestic, Yanji, Yunnan, and Tibet T. matsutake were 105.43±32.97 mg/kg, 19.92±8.95 mg/kg, 54.51±16.91 mg/kg, and 64.80±23.01 mg/kg, respectively. Both domestic and Chinese T. matsutake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K, Mg, and Cu levels in this study. Therefore,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K, Mg, and Cu contents of multiple domestic and Chinese T. matsutake varieties is need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area of cultivation in the future.
        4,000원
        3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세트아미노펜, 비타민 C, 무수 구연산으로 구성된 해열진통 및 염증 완화제, 피버닐산의 사료첨가가 구제역(FMD) 백신의 접종으로 야기 될 수 있는 돼지의 부작용에 대한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8-9주령의 돼지(LYD) 30마리를 공시, 대조군(n=10), 구제 역 백신 접종군(n=10; T1), 구제역 백신+피버닐 산 투여군 (n=10; 백신 접종 후 5일 간 0.2% 피버닐 산 경구 투여, T2), 3개 그룹으로 배치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각 시험 구에서 총 14일 동안 체중, 혈액학치, 혈액화학치, FMD 항체 및 스트레스 지표의 변화를 관찰했으며, 총 증체량 은 T1(11.13±1.33kg)에 비해 T2(13.76±1.73kg)에서 유의적 으로 증가하였다(p<0.001). 혈액학치 및 혈액화학치 분석 결과, 백신을 접종한 두 처리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 다. FMD 항체 역가는 T1(89.1±7.9)에 비해 T2(91.9±5.6)에 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T2 그룹의 코르티솔, TNF-α 및 CRP와 같은 스 트레스, 염증 지표 물질은 구제역 백신 접종 후 3일에서 5 일 사이에 각각 310.31±44.11ng/mL, 59.05±11.88pg/mL, 29.05±2.84ng/mL으로 T1(361.58±58.74ng/mL, 74.47±19.26 pg/mL, 34.21±5.34ng/mL)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 었다. 시험 14일째에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분석 결과, 주 사 부위의 염증 반응은 T2에서 적게 관찰되었으며 염증세 포 침윤 및 섬유조직이 증식된 육아종성 염증 또한 T2에 서 적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미루어 보아 피버닐 산의 0.2% 경구 투여는 체중감소, 발열 등의 임상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접종 부위의 염증반응을 억제 하여 구제역 백신 접종의 부작용에 대한 스트레스를 경감 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백신 접종 후 피버닐 산 의 0.2% 경구 투여는 돼지에서 구제역 백신 접종과 관련 된 부작용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4,800원
        32.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유통매장 및 온라인에서 유통 중인 과일류 18품목과 박과과채류 2품목 114건의 시료를 구입하였다. 과피와 과육을 분리한 후 GC-NPD, GC-ECD, GC-MSMS, LC-MSMS를 이용하여 341종 잔류농약 분석 을 진행했다. 과일 전체(과피+과육)를 분석했을 때 48건의 시료에서 검출이 되었고 부적합은 없었으며 0.0025- 0.1663 mg/kg의 검출범위를 나타냈다. 과피에서는 85건에 서 0.0026-4.7185 mg/kg의 검출범위를 보이며 분리 전과 비교했을 때 높은 검출량을 보였다. 과육에서는 8건의 검 출이 있었으며 검출범위는 0.0021-0.0993 mg/kg 로 나타났 다. 대부분의 과피에서 농산물의 잔류허용기준 이하의 농 약이 검출되었고 키위 과피에서 기준 0.05 mg/kg인 deltamethrin이 0.1020 mg/kg의 검출량을 보였다. 잔류허용 기준은 과일 전체에 대한 기준이기 때문에 섭취에 부적합 한 것은 아니지만 더욱 안전하고 건강한 과피 섭취를 위 해 세척 후 과일 그대로를 섭취할 것을 권장하며 과피와 과육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4,200원
        3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ewborn piglets are routinely subjected to several treatments shortly after birth, one of which is tail-docking. Tail-docking, which is carried out without an anesthetic when the piglet is 3 to 4 days old, is intended to prevent the severe injuries that can occur when pigs bite each other’s tails. The study was performed in slaughterhouses to determine how much tail-docking prevented tail-biting and how much it caused clinical problems such as amputation neuroma. One thousand pigtails were collected from 3 slaughterhouses in different provinces and tail length and tail-biting injuries were examined. Among them, 659 tail tissues were examined for clinical problems like amputation neuroma. The collected tail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ail, which was defined as long (n=136, 75% of the tail remained compared to the referred intact tail length of 30.6±0.6 cm of crossbred Landrace×Yorkshire dam×Duroc sire; LYD), medium (n=694, 50% of the tail remained), and short (n=170, 25% of the tail rem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4.3% of 1000 tails had biting injuries and 58.7% of 659 tails had amputation neuroma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tail-biting injury and tail lengths (p=0.953). However, the tail-biting injuries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province (p<0.001), and the frequency of amputation neuromas also appeared more frequently in longer tail lengths (p<0.001). The results indicated that tail-biting behavior was not influenced by tail-docking but might be influenced by the housing system and/or management practices.
        4,000원
        3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fevernill, which is primarily composed of acetaminophen, vitamin C, and anhydrous citric acid, is effective in relieving stress caused by foot-and-mouth disease virus (FMDV) vaccination in calves. Three-month-old calves from a farm in Korea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n = 10 per group: control [untreated], group A [FMDV vaccination], and group B [FMDV vaccination + addition of fevernill 0.2% to feed for five days after vaccination]). Body weights, antibody formation, clinical symptoms, serum parameters were measured in the 14 days following vaccination. Total weight gain and average daily gain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ere group A (12.00±1.15 kg, 0.86±0.08 kg/day) compared to group B (13.57±0.98 kg, 0.97±0.07 kg/day)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rmation of antibodies against the FMDV vaccin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though the antibody value of group B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of group A. The pre-inflammatory cytokine TNF-α value was 74.47±19.26 pg/ml in group A and 59.05±11.88 pg/ml in group B on the 5th day of the experiment,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B than in group A (p<0.05). Also, cortis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B than in group A (p<0.05). In conclusion, the feeding of fevernil is judged to be helpful in mitigating the side effects caused by FMD vaccination, and thus it is thought to be able to prevent the decrease in productivity caused by vaccination.
        4,300원
        35.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에서 출현하는 주요 식생의 지역별, 해발고별 식생구조를 파악하고, 식물상 목록을 작성하고자 수행되었다. 기존 아고산대 연구결과를 고찰하고, 사전조사를 통해 아고산대 식생이 처음 출현하는 지점을 남측을 기준으로 800m로 결정하고 그곳에서부터 해발고도 50m 간격으로 북측 백담사~마등령 탐방로(BD) 12개소, 서측 한계령~끝청 탐방로(HG) 13개소, 동측 신흥사~소청봉 탐방로(SA) 13개소, 남측 오색~끝청, 오색~대청봉 탐방로(OS) 39개소에 각각 조사구를 설치하여 총 77개소에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아고산대 주요 식물인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분비나무 등의 출현 여부에 따른 종조성과 지역 및 해발고도에 의해 신갈나무-전나무-당단풍나 무군락, 신갈나무-피나무군락, 신갈나무-잣나무군락, 신갈나무-당단풍나무군락, 사스래나무-분비나무군락, 잣나무-분 비나무군락, 낙엽활엽혼효군락의 총 7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조사구(100㎡)당 10.68±2.98종이 출현하였고, 110.87± 63.89개체가 확인되었다. 종다양성지수 분석결과,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식생군락은 다양한 수종이 중요종으로 출현하는 혼효림으로 판단되었다. 지역별로 아고산대 주요 식물이 출현하는 최초 해발고도는 차이가 있었지만, 1,100~ 1,300m 구간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관속식물은 총 83과 193속 289종 4아종 28변종 1품종 322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법정보호종은 기생꽃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19종이 확인되었으며, 아고산식물은 58분류 군이 확인되었다.
        5,700원
        36.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five different Lentinula edodes cultivar (Chamaram, Sanbaekhyang, Sanjo 713ho, Sanjo 715ho, Sanjo 718ho) were evaluated for their ability to decolorize Remazol Brilliant Blue R (RBBR) in MEB medium, respectively. Chamaram and Sanjo 713ho decolorized RBBR rapidly in MEB medium within 3 and 5 days. The activities of manganese peroxidase (MnP) and laccase were determined on the MEB medium with and without lignin. Sanjo 713ho resulted the highest ligninolytic enzyme activities on incubation day 1, indicating of 1,213 U/mg of MnP activity and 1,421 U/mg of laccase activity.
        4,000원
        39.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면적 약용작물인 율무의 주산지인 연천에서 조명나방의 발생 양상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5종의 살충제와 3종의 유기농업 자재에 대 한 포장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조명나방의 성충은 5월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10월 하순까지 총 3세대를 경과하였다. 포장시험 결과, 5종의 살충 제인 novaluron, lufenuron, spinetoram, cyclaniliprole, flufenoxuron과 3종의 유기농업 자재인 CCBP (gosam extracts 90%), LT (neem extracts 60%), JT (citronella oil 30 + derris extracts 20 + cinnamon extracts 10%)는 율무에 발생하는 조명나방에 대하여 2 지역 모두에서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2배량에서도 약해가 없어 율무 전용 살충제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4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VR에 대한 의식을 바탕으로 VR을 활용한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을 위한 교육환경을 확보하고자, 총 105명의 학습자들의 VR에 대한 인식, VR의 체험요소, VR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 인식,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을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조사결과, VR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교육적 성과와 몰입도가 높을 것으로 (p<.01), 학력이 높을수록 VR 활용 피부미용 체험요소인 일탈성, 인지성,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상관관계에서는 VR이용 스킨케어 경험요인이 높을수록 VR 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기대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VR을 활용한 피부미용 교 과목 개발과 교육이 빠르게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VR 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과 운영 후의 연구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