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

        2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잣버섯의 다수성 신품종 개발을 위하여, 단포자교잡에 의해 육성된 신품종 ‘곤지10호’의 주요 특성은다음과 같다.균사생장적온은 29°C, 버섯 발생 및 생육온도는20±1°C로 대조품종과 같았으며, 균사 활력도 대조품종과 비슷하였다. 갓형태는 반반구형이며, Hunter 색체값으로 볼 때 갓색은 L 79.3, b 24.8, 대색은 L84.3, b 10.9로, 갓색에 있어서 대조품종에 비하여 황색도가 더 높았다. 미송톱밥+옥분(90:10, v/v)배지로병재배 시 배양일수는 22±1°C에서 35일, 발이일수와자실체생육일수는 20±1°C에서 15일과 12일로 재배일수는 62일이 되어 대조품종보다 2일 길었다. 자실체 생육 특성은 대조품종에 비하여 갓두께는 6.3mm로 두꺼웠으며, 유효경수는 3.5개로 적었고 대 직경은 21.6mm로 굵었다. 재배접종 후 배양 및 생육 중푸른곰팡이병(Trichoderma spp.) 발생율은 4.9%로대조품종보다 낮았다. 수량은 생산력 검정 결과 병재배 시 900ml병당 69.6g, 봉지재배 시 1kg봉지당114.2g으로 대조품종 대비 38%와 10%씩 많았다.자실체 물리성에서 갓의 강도와 취성이 대조품종보다 강했고, 저장성은 판매가능기간으로 볼 때 34일로 대조품종에 비하여 5일 길었다.
        4,000원
        2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병재배용 고품질 장기저장성 느타리 품종인 ‘곤지7호’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적온은 26~29oC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6~ 18oC로 중온성을 나타내었다. 병재배시 배양기간은 30일,초발이 소요일수는 4일, 생육일수는 4일로 총재배기간은 38일이 소요되었다. 갓크기는 46.6mm이며, 갓색은진회색을 나타냈다. 대직경 12.4mm, 대길이 84.8mm로 굵고 긴형태이며, 대색은 백색을 나타내었다. 수량은 생산력검정시 900ml병에서 166g을 나타내었으며,농가실증재배시 농가1에서는 187g/ 1100ml, 농가2에서는 197g/1100ml으로 대조품종과 대등하였다.대의 물리성에서 있어, 탄력성 83%, 응집성 71%,씹읍성 352g, 깨집성 29kg으로 ‘춘추2호’와 ‘수한1호’의 중간특성을 나타내었다. Minamide법에 준한저장성은 35일까지 신선도 등급 6 (판매가능 등급) 으로 대조품종에 비하여 7일정도 저장기간이 연장되었다. DNA다형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UFPF3, UFPF5,UFPF7등의 primer에서 교배모본인 ‘농민59호’와‘MT07156’의 DNA의 밴드가 혼합되어 있었으며 품종간, 균주간의 밴드 차이가 있었다.
        4,000원
        2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큰느타리버섯의 품종다양화와 국내 육성품종의 보급확대를 위해 2012년도에 육성한 신품종 『곤지 8호』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균사생장적온은 23~26℃, 버섯발생 및 생육적온은 15±1℃였으며, 재배일수는 49일로 대조품종보다 1일 짧았다. 병당 자실체 발생개체수는 15.4개로 대조품종 보다 4.7개 많았고, 대길이 120.3 mm로 대조품종보다 길었다. 자실체 물리성은 씹음성, 깨짐성, 경도 모두 대조품종보다 높았고, 특히 경도는 대조품종 대비 약 2배 높았다. 병당수량은 132.5g(900cc/65Φ), 170.8g(1100cc/65Φ)로대조품종과 대등하였다.
        4,000원
        24.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잣버섯 생육환경조건 중 생육온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생육온도 20℃에서 상품수량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 내었으며 다음과 같다. 생육온도에 따른 갓의 명도값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적색도 및 황색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대의 경도 및 깨짐성은 17 및 20℃에서 높았다. 잣버섯의 생육온도에 따른 자실체의 생육특성은 온도가 높을수록 발이유도기 및 자실체의 발생기간이 빨랐으나 수량은 모두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품수량의 경우 20에서 가장 높았다. 갓크기는 생육온도 20˜23℃에서 17℃ 보다 컸고, 대굵기는 17℃에서 가장 굵었다.
        3,000원
        2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주년재배체계가 확립되어야 하는데 여름철 재배가 가능한 중고온성 봉지재배용 고품질버섯‘곤지5호’ 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곤지5호’는 균사생장적온은 26~29℃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8~20℃로 중고온성을 나타내었다. 갓색은 20℃재배시 회색(색차값(L)=56.0)이고 얕은 깔대기형이며 다발형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대는 회백색이고 굵고 긴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수한1호’에 비해 탄력성이 우수하였다. 봉지재배시 20℃에서 초발이 소요일수는 3일, 자실체 생육일수는 4일이었다. 수량은 생산력검정시 1kg 봉지에서 221.4g을 나타내어 ‘수한1호’ 201.0g에 비해 10% 증수효과가 있었다. 또한, 농가실증재배시 Farm 1 과 Farm 3 지역에서는 대조구인 ‘수한1호’ 217g/1kg봉지 대비 13%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Farm 2지역에서는 ‘부평33호’의 230.8g/1kg봉지 와 비슷하였다. DNA다형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URP-2F, URP-2R, URP-25F등의 모든 primer에서 모본과 다른 밴드양상을 나타내어 품종간의 구분이 확실하였고, 교잡모본과 혼합된 밴드양상을 나타내었다.
        4,000원
        2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의 품종 다양화를 위해 단핵균주교잡에 의해 육성된 봉지재배용 느타리버섯 ‘곤지2호’ 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균사생장적온은 26~29℃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4~18℃로 광온성을 나타내었다. 나. 갓색은 진회색(L=40.8)이고 얕은 깔대기형으로 갓 조직의 탄력성이 우수하였다. 다. 대는 백색이며 굵고 긴형태를 나타내었으며, 버섯조직은 수한1호와 탄력성이 유사하였고 씹음성과 깨짐성이 높아 대조에 비해 질긴편이었다. 라. 봉지재배시 배양일수는 20℃에서 20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5일, 자실체 생육일수는 4일이었다. 마. 버섯의 균일성에 있어서 갓색과 갓형태의 이형개체 발생은 없었으며, 환경 및 배지적응성이 우수하였다. 바. 세균성 갈변병과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병해에 없었으며 재배 환경관리가 적정할 경우 병해에 강한 편이었다. 사. DNA다형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UFPF2, UFPF5, UFPF7등의 모든 primer에서 대조구인 수한1호와는 완전히 다른 밴드양상을 나타내어 품종간의 구분이 확실하였고, 교잡모본과 혼합된 밴드양상을 나타내었다. 아. 수량은 생산력검정시 1kg 봉지에서 323.3g을 나타내어 27% 증수효과가 있었고, 농가실증재배시 301g으로 대조품종에 비해 16%증수가 되었다.
        3,000원
        27.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재배비중이 가장 높은 큰느타리2호의 단점을 보완하고 버섯의 국내 육성품종 다양화하고 보급을 확대시키기 위해 육성한『곤지3호』의 주요 품종특성은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적온은 26~29℃, 버섯발생 및 생육적온은 14~18℃였으며, 배양일수 30일, 초발이소요일수 8일, 생육일수 5일로 전체 생육일수는 46일로 큰느타리2호와 대등하였다. 유효경수는 병당 2.4개, 대굵기 43.7mm, 대길이 123.8mm, 갓직경 64.9mm로 큰느타리2호와 비슷하였지만, 갓표면의 색도에 있어 명도값(L값)이 54.4로 큰느타리2호 58.2보다 낮아 전체 적으로 진회색을 나타내었다. 병당 수량 182g/1100cc 내외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큰느타리2호 보다 높은 경향을 나 타내었다. 자실체의 단단한 정도(경도)는 7,790g/cm2 로 큰느타리2호 5,650g/cm2보다 높았고, 탄력성, 씹음성, 탄력성 등 전체적인 물리적 지표들이 큰느타리2호보다 높았다.
        4,000원
        28.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ethylenediamine (EDA) and hexamethylenediamine (HMDA) in food simulants was developed, and migration amounts of these compounds was monitored for 124 polyamide (PA) utensils. The diurethane derivatives of EDA and HMDA, which produced by reaction with ethyl chloroformate,were analyzed by using gas chromatograph (GC)/flame ionization detector (FID) and GC/mass spectrometer (MS). The developed method was validated with 0.3 μg/mL of limit of detection (LOD) for EDA and 0.1 μg/mL of LOD for HMDA, > 0.999 of linearity(r2) and > 88% of recovery. The EDA was detected 1.31 and 2.06 μg/mL for 2samples in water. The HMDA was detected 0.29 - 0.93 μg/mL for 3 samples in 20% ethanol and 0.26 - 0.44 μg/mL for 10 samples in n-heptane. These migration levels were below the specific migration limits (SML) of 12 μg/mL and 2.4 μg/mL for EDA and HMDA established in EU.
        4,000원
        2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ually, bacterial spores are hundreds or thousands of times more resistant to chemical sanitizers than are vegetable bacteria. Consequently, it is hard to assess whether a commercial sterilant, containing hydrogen peroxide and peracetic acid as ingredients, has or does not have sporicidal activity under certain conditions using the National Standard Test Method for assessing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Hence we established alternative the standard test method and requirements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effective in showing at least reduction of 103 in the number of Bacillus subtilis ATCC 6633 spores under the required test condition for evaluation of sporicidal activity including verification methodology. This standardized method has proved to be suitable for evaluating effectiveness of commercial sterilants and could be used as Standardization Test Method for assessing sporicidal activity.
        4,000원
        3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cope with risk issues of overseas on 4,4'-diaminodiphenylmethane (4,4'-MDA) known to used in the production of polyamide resins, we investigated on 4,4'-MDA migration from plastic cooking utensils. 93 samples of plastic cooking utensils were collected from the retail markets in 7 major cities of Korea during March to June, 2007 and 4,4'-MDA levels migrated to food simulants, water, 4% acetic acid, 20% ethanol and n-heptane, on plastic cooking utensils was quantified by liquid chromatography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4,4'- MDA was detected in 14 samples, and the levels of 4,4'-MDA migrated to food simulants were in the range of 0.001 ~ 0.026 ppm. Among them, the 4,4'-MDA migration amounts of 2 samples were above 0.01 ppm defined by the EU.
        4,000원
        3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미국 및 유럽에서 공정시험법중 하나로 인정되고 있는 표면시험법을 사용하여 유기물과 함께 또는 유기물없이 세균만 건조된 식품접촉 표면에 서의 살균소독제 유효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식품접촉표면으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폴리프로필렌 및 실리콘에 Escherochia coli ATCC 10536 또는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을 접종하고 살균소독제로서 염화벤잘코늄, 차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에탄올을 20 ℃에서 5분간 처리하였다. 그 결과, 각 표면의 종류는 살균소독제의 유효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200 ppm 농도의 염화벤잘코늄 및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유기물질이 존재할 경우 생균수를 4 cfu log10/carrier 이상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나, 40% 에탄올은 생균수를 4 cfu log10/carrier 이상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2.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evels of sulfites in wooden chopsticks were analyzed using two different methods, distillation- alkali titration and ion chromatography. According to the two methods, Sulfur dioxide (SO₂) was validated by 0.6 and 0.2 μg/ml of limit of detection (LOD), 1.8 and 0.5 μg/ml of limit of quantification, (LOQ) and a R² > 0.998 for linearity, respectively. The recoveries of SO₂ from food simulants spiked ar levels of 100 ppm were 70.2-100.2%. 158 samples of wooden chopsticks were monitored the migrated amounts of sulfites. Sulfites were detected in 30 samples in ranged of 0.6 to 15.5 ppm. Maximum migration level, 15.5 ppm of sulfites was considered giving no harmful effect to human since it was reached 5.5% of estimated SML.
        3,000원
        40.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alysis of hazardous heavy metals, such as Pb, Cd and As, was conducted from the porcelain dinnerwares. Total 374 samples of those products in the domestic market were purchased for the study. All the samples were extracted by 4% acetic acid solution, followed by the analysis with AAS(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As a result, Pb and As were detected maximum 8.63 ㎍/ml, 2.58 ㎍/ml, respectively. Cd was found in a sample as 0.10 ㎍/ml.
        3,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