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3

        121.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남지역 진주, 하동, 고성 자운영 재배지에서 알팔파바구미의 발생을 포충 망조사, 육안조사, 식물체 수거 후 밀도조사를 통해 년중 발생생태를 조사하였 다. 자운영 포장에서 효과적인 알팔파바구미의 초기 유충의 조사방법으로 초 기 발생하는 유충은 포충망 조사로 확인이 어려우므로 10×10cm 넓이 면적의 식물체를 자른 후 용기에 담아 흔들어서 떨어진 유충 및 식물체에 남은 유충을 조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초기에 발생하는 유충은 식물체의 아래부분에 발생하고 크기가 작아서 포충망 조사로는 4월중순까지 발생확인이 안되었으 나 식물체 수거후 용기에 흔들어서 조사하는 방법으로는 3월중순부터 확인이 되었다. 산란을 위해 자운영답으로 이동한 성충을 조사하는데는 Pitfall trap을 이용 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었다. 육안조사와 포충망 조사로는 확인할 수 없었으 나 Pitfall trap에서는 1월부터 발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파파바구미의 발생생태는 이동성충이 전년도 10월 하순경 자운영답으로 이동하여 산란을 시작하였고 유충은 3월상중순, 번데기는 4월하순, 1세대 성충 은 5월중순부터 발생하며 벼의 정식이 시작되면 주변 새로운 기주로 옮겨가서 서식하다가 다시 10월하순경 자운영이 올라오면 이동하여 산란을 개시하였다
        12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ruit dama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leased stink bugs and date of adult introduced on non-astringent persimmon. The fruit damage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number, date, and the source of feed for Riptortus clavatus. Damages on the fruits appeared when five bugs were released to mother branches bearing fruits. Damages to the fruits was heavy in the case that bugs were introduced in September and October, compared with in June, July and August. Persimmon fruit damage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available sources to R. clavatus, persimmon fruit alone or additional supply of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and water. Characteristic damage symptoms by R. clavatus showed only scars on the fruit skin, without fruit dropping. Halyomorpha halys (=mist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uit damage when they were released in July, August, and September compared with other periods. Number of H. halys to the fruit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uit damages. Five H. halys in July showed 100% damaged fruits. The fruit damage by Plautia stali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ates of introduction but the number of insects g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uit damage ratio at the level of 1, 3, 5 bugs introduced to the mother branche bearing friuts. The damage symptoms by P. stali was fruit dropping in July and August but from September damaged fruits were found in the branches.
        4,000원
        127.
        2009.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n films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SWNT) with various thicknesses were fabricated, and their optical andelectr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SWNTs of various thicknesses were directly coated in the arc-discharge chamberduring the synthesis and then thermally and chemically purified. The crystalline quality of the SWNTs was improved by thepurification processes as determined by Raman spectroscopy measurements. The resistance of the film is the lowest for thechemically purified SWNTs. The resistance vs. thickness measurements reveal the percolation thickness of the SWNT film tobe ~50nm. Optical absorption coefficient due to Beer-Lambert is estimated to be 7.1×10-2nm-1. The film thickness for 80%transparency is about 32nm, and the sheet resistance is 242Ω/sq. The authors also confirmed the relation between electricalconductance and optical conductance with very good reliability by measuring the resistance and transparency measurements.
        4,000원
        128.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ase of chronic osteomyelitis caused by prolonged intake of bisphosphonate showed multiple recurrences involving extensive area of mandibular body. After saucerization the removed bony fragments were decalcified, microsected in 4 ㎛ thickness, and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Masson trichrome, von Gieson, and periodic acid Schiff reaction. The inflammatory lesion contained fragile osteophytes easily propagated into sequestra. Histologically, this osteomyelitis was relatively less suppurative but almost granulomatous, highly infiltrated with small round cells and macrophages. The osteophytes were frequently deposited on the old lamellate bone, but their ossification was extremely immature and frequently filled with sclerosed collagen bundles positive for von Gieson stain. In the polarizing microscope observation under Masson trichrome stain the newly deposited osteophytes were lack of birefringence image of Haversian system contrast to the old bone nearby. Therefore, we presume that the prolonged intake of bisphosphonate may induce the immature osteophytes lack of Harversian system, which are partly filled with sclerotic collagen bundles, and the immature bone is easily undergone extensive degeneration and necrosis, resulted in the inflammatory foci for multiple recurrent osteomyelitis.
        4,000원
        12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외환위기 이후 기업 R&D 투자의 실질증가율이 외환위기 이전의 절반에 가까운 평균 약 7.1%로 떨어지고 있으며,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R&D 투자지원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데도 중소기업의 R&D 투자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중반부터 상위 3개 기업을 제외한 대기업 R&D 투자는 증가하지 않고 있어 대기업 간의 R&D 투자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R&D 투자 현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의 R&D 직접 보조금 정책이나 조세지원 정책의 당위성에 대해서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그 필요성이 인정되더라도 정책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정부가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R&D 보조금 지원제도와 조세 지원제도가 과연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해 보려고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재정지원제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차별적으로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 규모에 따른 정책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의 실종 분석에 이용한 개별 기업의 R&D 데이터는 2002년에서 2005년까지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에 대해 서베이 한「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 조사보고」의 기업별 원시 패널 데이터 중에서 활용한 불균형(unbalanced) 패널 데이터이다. 각 기업의 보조금과 관련한 데이터는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의 서베이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조세지원을 나타내는 사용자 비용에 관한 데이터는 이론적 모형에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패널 데이터 분석은 고정효과 모형을 대기업, 중소기업 및 모든 기업에 각각 적용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부의 직접 보조금 지원은 대기업의 경우 R&D 투자를 늘리는 유인효과(crowding-in effect)를 보인데 반해, 중소기업은 R&D 투자를 줄이는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가 나타났다. 그러나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모두 정부의 보조금 지원정책에 대한 반응이 매우 비탄력적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에 R&D 보조금 지원정책이 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의 R&D 조세지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R&D 투자를 유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의 R&D 촉진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지원으로 사용자 비용이 1% 감소하면 대기업은 R&D 투자를 0.99% 증가시키고, 중소기업은 0.054%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서 시사하는 정부의 R&D 재정지원제도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정부의 R&D 보조금은 기업의 R&D 투자를 구축하지 않도록 기업과 중복되지 않는 기초연구와 공공기술 지원에 국한해야 하며,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R&D 인프라 구축과 기술정보지원 등 R&D 서비스(extension service) 지원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대기업에 대한 R&D 조세지원은 한시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4개 연도의 기업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는데, 앞으로 정책의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분석할 수 있는 거시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의 보완이 필요하디; 또한 기업의 R&D 투자 촉진 외에도 일반 투자나 기타 목적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정부의 재정 정책들과의 대제 혹은 보완 관계의 여부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시설투자 세액 공 제와 R&D 투자 세액공제 제도의 혜택은 단기투자와 장기투자를 선택해야 하는 기엽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10,200원
        13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표면을 아크릴 수지로 코팅 처리할 경우 내구성 측면 및 기능적 측면에서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실내시험을 통해 평가하는 기초적인 연구이다. 포장의 내구성 측면에서는 칸타브로 및 휠트래킹, 수분손상 간접 인장 피로 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시편을 수지로 코팅을 한 경우 칸타브로 손실률이 3배 정도 감소되었고 균열에 대한 저항성도 대폭 향상되었으나 수분손상 및 소성변형의 저항성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코팅 전 후의 투수계수 및 공극률 BPT(British Pendulum Tester)를 사용한 미끄럼 저항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공극률 및 투수계수는 약간 저하되나 기능상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며, 미끄럼 저항성은 규사를 살포하지 않을 경우 미끄럼 저항성이 감소되나 규사를 살포할 경우 코팅 전 수준 이상의 미끄럼 저항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3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금까지 총채벌레에 의한 감귤 과피에서의 전형적인 피해 증상은 개화기 에 가해되어 과경부 또는 과정부위의 동그란 회갈색 띠가 형성되는 증상이었 다. 하지만 2007년부터 서귀포시 남원읍 일부지역 노지재배 감귤에 햇빛에 검 붉게 그을린 듯한 증상(검은점무늬병 후기 증상 및 녹응애 피해 증상과 매우 유사)이 크게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그 피해 증상은 총채벌레 약충 에 의한 피해 증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황색평판 트랩에 포획된 총채벌레 성충의 밀도는 7월 상순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하순에 피크를 이루었으며 이시기에는 과피에서 가해중인 총채벌레 약충들을 관찰 할 수 있 었다. 밀도는 8월 들어서 급격히 감소하지만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경에 또 한번 증가하였으며 9월 하순까지 비교적 높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과피에서의 증상은 심한 경우 과정부를 중심으로 과피의 일부분이 회갈색 딱지 모양으로 변하였으나 대부분의 피해 과실들은 7월 하순경에 과정부를 중심으로 약간 검붉은 색으로 변하고 착색기인 9월 중순경부터 심한 경우 과실 전체가 검붉 게 변하였다. 7월 이후에 포획된 총채벌레들은 대부분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들이었으며 볼록총채벌레는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서 큰 피해를 주 는 해충으로써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우리나라 감귤에 그 피해가 더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된다.
        133.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공원 내 양서류 로드킬(Roadkill)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동안 24개 노선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2목 5과 9종 1,748개체가 차량에 의해 로드킬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년차별 비교결과 2006년에 비해 2007년, 2008년에 로드킬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월부터 6월 사이에 북방산개구리, 두꺼비, 물두꺼비가 집중적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하천" 및 "산림-산림" 환경에서 교통사고가 집중 발생하였고, 덕유산국립공원 국도 37호선, 속리산국립공원 지방도 517호선, 오대산국립공원 국도 6호선, 월악산국립공원 지방도 597호선 등 총4개 노선에서 집중적으로 로드킬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 지역의 주요 로드킬 대상종이 북방산개구리와 물두꺼비로 확인됨에 따라서 이들 종에 대한 저감대책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35.
        2008.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ydrogen gas sensing properties of a zinc oxide nanowire structure were studied. Porous zinc oxide nanowire structures were fabricated by oxidizing zinc deposited on a single-wall carbon nanotube (SWNT) template. This revealed a porous ZnO-SWNT composite due to the porosity in the SWNT film. The gas sensing propert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zinc oxide thin films deposited on SiO2/Si substrates in sensitivity and operating temperature. The composite structure showed higher sensitivity and lower operating temperature than the zinc oxide film. It showed a response even at room temperature while the film structure did not.
        4,000원
        137.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lectromagnetic (EM) wave absorption properties of the nanocrystalline powder mixed with 5 to 20 vol% of Ni-Zn ferrites has been investigated in a frequency range from 100MHz to 10GHz. Amorphous ribbons prepared by a planar flow casting process were pulverized and milled after annealing at 425 for 1 hour. The powder was mixed with a ferrite powder at various volume ratios to tape-cast into a 1.0mm thick sheet. Results showed that the EM wave absorption sheet with Ni-Zn ferrite powder reduced complex permittivity due to low dielectric constant of ferrite compared with nanocrystalline powder, while that with 5 vol% of ferrite showed relatively higher imaginary part of permeability. The sheet mixed with 5 vol% ferrite powder showed the best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properties at high frequency ranges, which resulted from the increased imaginary part of permeability due to reduced eddy current.
        4,000원
        13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5 peri-implantitis recently referred for 10 years showed four types of inflammatory lesions, such as mild granulomatous lesion(n=5), severe granulomatous lesion(n=4), severe inflammatory fibrous scar tissue(n=15), severe abscess formation(n=11). However, the inflammatory lesions were usually localized at the peri-implant area accompanying compensatory hyperplasia of fibrous connective tissue. The fibrous scar and the necrotic abscess frequently occurred depend on the severity of inflammatory reaction. Among 30 cases of severe inflammatory lesions, only 2 cases involved condensing osteitis in adjacent alveolar bone. Thus, we suppose that the inflammatory progression of peri-implantitis could be partly inhibited by the hyperplastic fibrous stromal tissue stimulated by implant material. And more, the focal abscess formed around the implant can be easily drainaged through the fibrous tract of implant pathway, resulted in the chronic persistent inflammatory granulomatous lesion, that is contrast to the common socket granuloma after tooth extraction. However, depend on the degree of inflammatory reaction in the peri-implantitis the inflamed fibrous collagenous tissues, unregenerated graft materials, necrotic abscess and sequestra should be removed by surgical intervention and followed by antibiotic therapy, because the peri-implant tissue is as vivid as the normal periodontium for the inflammatory defense system.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inflammatory lesions of peri-implantitis be carefully treated to improve the prognosis for the following dental treatments
        4,000원
        139.
        2008.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imple method to deposit carbon nanotube films uniformly on large area substrates using an arc discharge method is reported in this paper. The arc discharge method was modified to deposit carbon nanotube films in situ on the substrates. The substrates were scanned several times over the arcing point for a uniform film thickness. Deposition was carried out under variable dc bias conditions at 600 torr of H2 gas. The thickness uniformity of the single-wall carbon nanotube films as characterized by a four-point probe was within 30% deviation. The morphology and crystal quality of the single-wall carbon nanotube film were also characteriz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Raman spectroscopy.
        4,000원
        140.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auvericin과 enniatin H, I, 그리고 MK1688의 생산에 미치는 온도와 수분함량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쌀을 기질로 할 경우 25℃, 40% 수분함량에서 조사된 모든 독소들이 최대로 생산되었으며, 15℃의 온도에서 접종 2주 후 50 μg/g이하의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수분함량 10%에서도 접종 후 6주차에 모든 독소들의 검출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이 독소들이 0.75정도의 낮은 수분활성도에서도 생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국내에서 생산된 곡류들(65종)에 대하여 Fusarium 독소인 beauvericin의 오염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수확된 65종의 곡류시료 중 6종의 시료에서 beauvericin오염이 확인되었다. 쌀과 현미에서는 beauvericin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2004년산 옥수수 3종, 2004년과 2005산 보리 시료 각 1종, 그리고 2005년 재배된 밀 1종에서 beauvericin이 검출되었다. 가장 높은 오염도를 보인 것은 옥수수 시료이며, 이 시료에서 0.23 μg/g의 beauvericin이 검출되었다. 국내에서는 beauvericin에 대한 곡류 오염 조사가 이 연구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졌으며, 국내산 곡류에서도 beauvercin이 검출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오염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