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16

        126.
        2022.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gnesium alloy is the lightest practical metal. It has excellent specific strength and recyclability as well as abundant reserves, and is expected to be a next-generation structural metal material following aluminum alloy.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thin plate fabrication by applying a overheating treatment to the melt drag method, and investigating the surface shape of the thin plate, grain size, grain size distribution, and Vickers hardness. When the overheating treatment was applied to magnesium alloy, the grains were refined, so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finement of grains can be realized if the overheating treatment is applied to the melt drag method. By applying overheating treatment, it was possible to fabricate a thin plate of magnesium alloy using the melt drag method, and a microstructure with a minimum grain size of around 12 μm was obtained. As the overheating treatment temperature increased, void defects increased on the roll surface of the thin plate, and holding time had no effect on the surface shape of the thin plate. The fabricated thin plate showed uniform grain size distribution. When the holding times were 0 and 30 min, the grain size was refined, and the effect of the holding time became smaller as the overheating treatment temperature increased. As the overheating temperature becomes higher, the grain size becomes finer, and the finer the grain size is, the higher the Vickers hardness.
        4,000원
        132.
        202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on the continuous thin plate casting method, which is used to manufacture magnesium alloy plate for plastic processing. This study applied a heat transfer solidification analysis method to the melt drag process.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between the molten magnesium alloy metal and the roll in the thin plat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melt drag method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until now, and the results were used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change. The estimated heat transfer coefficient for a roll speed of 30 m/min was 1.33 × 105 W/m2·K, which was very large compared to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used in the solidification analysis of general aluminum castings.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between the molten metal and the roll estimated in the range of the roll speed of 5 to 90 m/min was 1.42 × 105 to 8.95 × 104 W/m2·K. The cooling rate was calculated using a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deriv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molten metal and the roll, using the estimated heat transfer coefficient. The DAS was estima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oling rate and DAS,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value. When the magnesium alloy is manufactured by the melt drag method, the cooling rate of the thin plate is in the range of about 1.4 × 103 to 1.0 × 104 K/s.
        4,000원
        133.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ffee is the most popular beverage in the world and various pollutants, includ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re emitted from the coffee manufacturing workplace (roasting proces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VOCs emissions from roasted Arabica coffee bean powder using a VOCs emission chamber with a PTR-ToF-MS. The emission test was maintained under constant temperature (20 ± 2oC) and humidity (50 ± 5%)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emission test, most of the target compounds had a high concentration in the initial period, and decreased emissions as time lapsed. Acetaldehyde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and was initially 78 ppm during the test period. Acetaldehyde was followed by propionic acid at 61 ppm, propanal at 51 ppm, and isobutanal at 50 ppm.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OELs) of individual VOC emitted during the coffee roasting process, the OELs of four substances, including acetaldehyde, propionic acid, acetic acid, and pyridine were identified. Of all four substances, only pyridine exceeded the OELs, and the other compounds had levels of 10% to 30% of the OELs.
        4,000원
        134.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shroom production in Korea is concentrated on five major mushroom types. To create a new source of income for farm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mushroom production and marketing syste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arketability of and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for Pleurotus nebrodensis variety 'Uram'. The evaluation of distributors showed that it was necessary to cultivate mushrooms of uniform shape and size, to compensate for their low storability, and to sell them in small packages. The consumer evaluation showed that the texture of P. nebrodensis ha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for quality, but the levels of satisfaction for size and shape were low. In the consumer evaluation, as in the distributor evaluation, improvements in cultivation were found to be necessary, as the storage time is short due to a high moisture content. An evaluation of the market gave the following results regarding the marketing strategy. It was found to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production of mushrooms of a uniform shape and size and sell them in small packages in the range of 150 to 300 g. The price of the mushrooms should be set using a high-end strategy for high-end sales. The mushrooms should be introduced to local food and eco-friendly stores in the early stages of production. Subsequently, if farmhouse production increases, shipments should be made to wholesale markets through a regular contract. Finally, considering that P. nebrodensis is an unfamiliar mushroom to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promote it by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of consumers through tasting events and experience groups.
        4,000원
        135.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supplementation ratio when replacing cotton seed meal with rapeseed meal for cultivating oyster mushrooms. The chemical properties among the treatments were pH 4.5~4.7, total carbon content was 46.3~46.5%, total nitrogen content was 1.6~1.7%, and carbon-nitrogen ratio was 27.0~27.8. Thes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control. Mycelial growth was 85.1 mm (Heuktari), and 72.8 mm (Suhan-1Ho) in medium containing 5% rapeseed meal,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ycelial density between cultivars. Fruiting body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In 'Heuktari', the color of the pileus was darker than control with an L value of 32.5, and pileus thickness and diameter were 3.2 mm and 27.6 mm, respectively. Stipe length and diameter were 86.0 mm and 9.1 mm, respectively. Valid stipe number per bottle (1,100 cc) was 25.9, and a yield of 189.7 g/1,100 cc was recorded in mixed medium containing 5% rapeseed meal (higher than control). In mixed medium containing 10% rapeseed meal, the yield was 184.5 g/1,100 cc (comparable to control). In 'Suhan-1Ho', supplemented with 5% rapeseed meal, pileus color was darker than control color, with an L value of 28.8. Pileus thickness was 4.5 mm. Stipe diameter was 12.3 mm (higher than control), and yield was 145.5 g/1,100 cc (comparable to control).
        4,000원
        137.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의 건강증진 효과를 대표하는 용어로 헬스케어식물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개념이 설정되지 않은 용어를 정의하고 공유하기 위하여 도시민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전국의 도시민 72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응답을 분석한 결과, 40-50대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가정 내 식물 기르기를 통해 예전부터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며, 최근 20-30대 젊은 층의 관심이 늘어나면서 새로운 소비자로 부상하였다. 소비자는 식물 기르기를 통해 신체적ㆍ심리적 건강의 유지ㆍ증진보다 공간의 분위기나 환경의 변화에 더욱 공감하며, 전반적인 건강 유지ㆍ증진에 관한 공감도는 신체적 건강보다 심리적 건강에 더욱 공감하였다. 헬스케어식물은 식물을 기르면서 느끼게 되는 실내 공간의 변화, 실내의 공기정화 등 가정 내 환경변화를 통해 소비자의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건강의 유지ㆍ증진을 도모하는 식물체를 총칭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소비자는 헬스케어식물을 신체적ㆍ심리적 건강의 유지와 증진을 도모하는 환경정화식물로 인식하여 섭취가 가능한 작물의 개념과는 차이를 보였다. 현재 헬스케어식물에 대한 인지는 식물의 기능적 측면 뿐 아니라 건강증진 효과에 대해서도 공감도가 높기 때문에 많은 수요자가 공감할 수 있도록 개념을 설정하고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138.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전국 일반계 고등학교 재학생 1, 2, 3학년들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 여 학년별 작업치료 인식도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학과 탐색의 시기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를 통해, 작업치료의 인식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율적인 홍보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국 17개 지역의 일반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22일부터 12월 5일까지 알게 된 경로, 최소한의 교육과정, 국가고시 필수 여부, 대상자의 연령대, 업무 범위, 취업처와 같은 작업치료 인식도와 작업치료(학)과 지원 및 홍보 방법에 대한 질의와 응답으로 구성된 N사의 온라인 설문지 공유 를 통해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총 860부 중 부적절한 응답 153부를 제외한 707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처리 및 분석은 기술통계량을 이용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고등학생의 작업치료 인식의 수준은 48.9%로 나타났다. ‘작업치료 대상자의 연령대’를 학년별로 구 분하여 분석한 결과, ‘모르겠다’를 선택한 비율이 1학년 177명(32.2%), 2학년 157명(30.3%), 3학년 84명(23.6%)으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년별로 분석한 다른 작업치료 인 식도 항목 또한 같은 결과를 보였다. 고등학생이 희망하는 학과 홍보 방법으로는 ‘Social Network Service(SNS)홍보 게시물’이 2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일반계 고등학생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작업치료 인식도가 높아졌다. 이는 고등학생들이 진로를 위한 학과 탐색을 통해 높아지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 충분한 탐색의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고등학생이 희망하 는 학과 홍보 방법인‘SNS 홍보 게시물’을 활용하면 작업치료 인식개선 등의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4,800원
        139.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남해안 자란만 패류양식어장에서 약 2년 동안 월별로 기초생산력, Chl. a, 영양염류, 입자유기물질과 퇴적물의 유기오 염 정도 및 생화학 조성 등 주요 양식생물의 서식환경인자의 변동특성과 상관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른 연안 어장과 기초생산력을 비교하고 어장환경관리와 관련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월별 평균 기초생산력은 6.43∼115.43 ㎎C m-2 hr-1 범위로 여름과 가을에 높았는 데, 가막만과 마산만 보다는 낮았고, 가로림만과 서해보다는 높았으며, 대체적으로 양식장이 많이 분포한 내만은 그 변동 폭이 상대적으 로 컸다. Chl. a를 구성하는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점유율이 시기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고, 영양염의 고갈로 인한 식물플랑크톤의 생산력 제한은 거의 없었으나, 대부분 시기에 N/P비가 16 이하로 질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층 입자유기물질의 생화학적 조성은 탄수화물이 가장 높았으나, 반면 표층 퇴적물에서는 지질과 단백질 함량이 높았다. 퇴적물의 TOC와 AVS 농도는 만 안쪽에서 높 았고 일부 시기에는 어장환경기준을 초과한 상태였으며, C:N 비는 평균 8.1∼10.4 범위로 나타났다. 기초생산력은 Chl. a와의 상관성이 가 장 높았고, 입자물질성분 중에서는 탄소보다는 질소 및 단백질과의 상관성이 높았다. 최근 5년 동안의 수층에서의 Chl. a, DIN, DIP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반대로 퇴적물의 오염도는 증가하는 추세였다. 자란만의 연간 기초생산력 125.9 gC m-2 yr-1, 굴 양식장 면적 4.97 ㎞2 를 고려하면 연간 식물플랑크톤으로부터 생산되는 탄소량이 약 625 ton이며, 연간 굴 생산 습중량은 약 6,250 ton으로 추정되었다.
        4,600원
        140.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9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무인센서카메라를 이용하여 설악산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다람 쥐(Tamias sibiricus)의 연중 관찰 양상과 행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주차별 관찰빈도를 지표로 하여 관찰빈도의 연중 변화를 파악하였고 봄과 여름, 가을의 시간별 관찰빈도를 이용하여 계절별 일일 행동 패턴을 분석하였 다. 다람쥐의 일일 행동 패턴은 지역 및 계절에 따른 차이 없이 주행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지역에 서식하는 다람쥐는 연중 관찰 기간에 차이가 있었다. 설악산에서 18~45주차에, 지리산에서는 7~48주차에 다람쥐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동면시기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두 지역에서 다람쥐는 가을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계절에 따른 다람쥐의 개체군 동태 및 활동량 변화가 무인센서카메라 관찰빈도에 반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인센서카메라의 관찰빈도는 간접적인 지표로서 대상종의 서식 밀도와 활동량을 구분해낼 수 없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지만, 방법이 쉽고 조사자에 따른 편차가 적어 효율적인 모니터링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