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rus essential oil were extracted from citron peel of cultivated in Gohong (CCP)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method. Antioxidant activity and aroma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s extracted by the SC-CO2 method were evaluated by comparing with those extracted by organic solvent method. Fatty acid composition, DPPH 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oils obtained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 of SC-CO2 method were investigated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mpar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lavender, eucalyptus and tea tree oils. As the results, linoleic acid was most abundantly found from CCP oil extracted by the SC-CO2 method and cis-11,144-eicosadienoic acids was second abundantly found.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DPPH was 98% when the concentration of CCP oil was 50 mg/mL. This scavenging abilit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oil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flavonoids content (84 mg/100g) of the CCP oil extracted by the SC-CO2 method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75 mg/100g) by hexane extrac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CCP oil by GC-MS, indicated that, among 66 components, the content of terpenes was 55.8% and limonene was 27.3%.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Hanji made with loess to Hanji made with kaolin, two yellow-based inorganic pigments, in terms of its physical properties, optical properties, and color fastness to light with the aim of using it as a fashion material. Hanji made by adding inorganic pigments showed an approximately 20% retention ratio on average. This figure was similar to those of loess and kaolin. Phys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with the following results. A higher amount of additives lowered the apparent density and increased thickness and bulk. In general, inorganic pigment-added Hanji had lower tensile strength, bursting strength, and folding endurance compared to non-additive Hanji. The analysis of optical properties showed a lower brightness index for Hanji made with inorganic pigments compared to non-additive Hanji. When comparing the two inorganic pigments, the brightness of Hanji made with kaolin was higher. Regarding color fastness to light, loess showed level 4 and kaolin showed level 5 when 25% inorganic pigments on pulp were added to Hanji. Thus, Hanji made by adding inorganic pigment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perform well as materials for fashion because the additives enhanced both the color fastness to light and the bulk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In addition, Hanji dyed with inorganic pigments may have the potential to serve as materials for the fashion industry while still re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j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urchase intention on naturally dyed clothing between Korea and the US. As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benefits that consumers seek when purchasing naturally dyed clothing, especially for fabric materials, and attitudes towards naturally dyed clothing were select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ith a survey was employed. 160 data from Korea and 180 data from the U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e., college female students)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purchase intention, fabric benefit sought, and the attitudes. The fabric benefit sought selected for this study includes eco-friendliness, uniqueness, aesthetic, comfort and quality. The attitude toward naturally dyed clothing was categorized as an emotional and a cognitive attitude. The results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bric benefit sought depending on nationality, major and experiences in natural dye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f the attitude toward naturally dyed clothing among the nationalities and the experience types in natural dyeing.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e intention toward naturally dyed clothing between Korean and the US participants, and countries show different fabric benefits and attitudes which influenced participants'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n appropriate fabric planning for environment-friendly fashion products for both countries.
본 연구는 양념 닭 가슴살의 양념 액에 귤 껍질 추출물(CPE, 2%), 양파 껍질 추출물(OPE, 2%), calcium lactate(2%), 난황 유래 phosvitin(0.1%)과 CPE, OPE 및 calcium lactate 복합처리를 첨가하였을 때 서로 다른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항균 효과 및 품질 변화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모든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서 CPE, OPE 및 복합 처리군의 총 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확인되었으며, 가장 높은 미생물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던 처리군은 CPE 처리군이었다. 하지만, calcium lactate와 phosvitin 처리군의 미생물의 성장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pH의 경우, calcium lactate와 OPE 처리군은 모든 저장온도의 저장 0일차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OPE 처리군은 모든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적색도를 나타내었고, CPE와 함께 저장온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이러한 OPE 처리군은 풍미, 맛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calcium lactate와 phosvitin 처리군의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양념 닭가슴살의 CPE, OPE 및 복합처리군에서 저장온도를 달리한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관능적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군집구조와 시과 및 잎의 형질의 변이를 파악하고자, 2012년 5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세 지역(강원도 양구군, 경상북도 영양군 및 전남 광양시)에 분포하는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군집구조와 열매와 엽형태를 조사하였다. 고로쇠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MIP)가 양구 19.8%, 영양 22.0% 및 광양 17.1% 등으로 비교적 낮고, 중층에서도 양구와 광양에서는 고로쇠나무의 상대우점치(IP)가 당단풍나무와 까치박달나무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하층에서는 양구 1.8%, 영양 1.9%, 광양 0.0% 였다. 이런 결과로 볼 때 천연림의 고로쇠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가 앞으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것이라 사료된다. 시과의 각도와 길이는 지역 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양구에 비하여 영양과 광양지역에서 7개의 장상맥을 가진 개체가 보다 많이 분포하였다. 부거치가 발달하는 잎의 비율은 양구 0.6%, 영양 15.8%, 광양 20.4%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유전변이가 있음을 암시하며,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에 대한 유전변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세계적으로 고무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생산량도 증가하 고 있다. 캄보디아는 고무나무재배에 유리한 환경조건으로 신 흥고무 생산국이 되었고 외국자본이 유입되면서 그 규모가 커 지고 있다. 그러나 주변국보다 생산성이 낮고 유통과정이나 제 도적 측면에서 미비하다. 캄보디아 천연고무산업의 현황과 저 해요인을 짚어보고 개선방안과 발전전망에 대하여 살펴본 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현황-국가적 혼란(크메르루주 치하) 이후 저조하던 고 무산업은 2005년부터 재배면적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1년 에는 213,104 ha를 기록했다. 2011년 주별 총재배면적은 Kampong Cham 주가 가장 넓었고 생산자별로는 소규모 자작 농 고무 플랜테이션이 전체의 45%를 차지했다. 2010년에는 천연고무 생산국 중 총생산량이 17위, 수량은 7위였다. 2. 유통 및 가공-농업인이 라텍스를 추출하면 수집상이나 도 매상이 사들여 고무 공정공장으로 보내거나 곧장 외국무역상 에 판매한다. 대규모 회사의 경우 자체공정공장에서 직접 가 공한다. 건조 고무가 2010년 캄보디아 주요 수출품목 3위를 차지했고 8천만 달러 이상의 외화를 벌어들였다. 압도적으로 수출액 1위를 달성하며 수익성과 캄보디아 경제에 미치는 영 향력이 입증되었다. 3. 발전저해요인-재배적 관점에서 질 낮은 품종의 불가피한 선택, 초기투자비용 부담, 재배지식 부족 그리고 수요에 맞지 못하는 고무의 생산 등이다. 유통의 관점에서는 인프라부족, 수출경험부족과 열악한 수출 여건 등이었고 제도적 관점에서 는 품질인증제도 운영부실, 토지보유권 보호 미흡, 수출비용 과다부과 등으로 나타났다. 4. 금후 발전과제-세계수요에 대응할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 다. 국제기구의 협력을 얻어 수출국을 확대하고 유통과정을 간 소화하여 비용을 낮춰야 한다. GDR(General Directorate of Rubber)은 고무연구 및 개발에 힘쓰고, 농민들을 위한 무상교 육을 해야 한다. 허울뿐인 고무품질인증제도를 개선하고 토지 침범에 대한 즉각적이고 엄중한 조치가 요구된다. 고무나무 부 산물을 이용해 부가적인 이익도 창출할 수 있다. 고무 자작농의 확대는 가계수입을 창출하고 고용을 증대함 으로써 농촌경제에 이바지하고, 국내외기업의 투자는 국가 경 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환경조건과 노동력을 갖춘 캄보디아의 고무 플랜테이션에는 기술과 자본의 투입이 절실 하다. 투자자 입장에서 저비용으로 장기소득을 낼 수 있는 친 환경적인 농업이다. 국민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삶의 질 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천연제품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천연고무는 합성고무로 대체 할 수 없는 본연의 이점을 지니기 때문에 더욱이 천연고무산업의 전망은 매우 밝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질산염 대체제로서 녹차, 세이지, 파프리카 올레오레진 추출물을 미세캡슐 화하여 돈육 패티 제조과정에서 첨가 시 4oC의 저장과정에서 색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활성, TBARS, 총균수 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색도에서는 미세캡슐화한 처리구 2가 비 캡슐화의 처리구 1나 아질산염첨가 대조구보다 저장기간 내내 높은 a 값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에 있어서 저장초기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사한 값을보였으나 저장 7일후에는 저장초기대비 대조구는 약 52%의 감소가 나타난 반면 처리구 1과 처리구 2에서는 각각47과 43%가 감소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저장초기의 대조구가 8.68%로서 가장 낮았으며 처리구 1과 처리구 2는 각각 18.15와 23.27%로 높게 나타났다. TBARS값에서는 대조구, 처리구1 및 처리구 2는 각각 0.54, 0.36및 0.33mg/kg으로 나타나 아질산염을 첨가한 대조구가 천연첨가물의 처리군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저장과정에서도 저장 7일 후 대조구는 약 61%의 증가가 있었던반면 처리구 2에서는 약 30%의 증가에 그쳤다. 총균수에서는 저장초기 대조구와 처리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2.98-3.38log CFU/g 수준이었고 저장 중 급격한 증식이없었다. 저장 7일 후에도 3.32-3.64log CFU/g 수준으로유의성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ecently, the mineral resource protection policies and regulations in production countries of natural resources including rare metals are becoming more stringent. Such environment makes which market has malfunction. In other word, those are not perfect or pure market. Therefore because each market of natural resources have special or unique characters, it is difficult to forecast their market prices.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several models to estimate prices of natural resources using ARIMA and their business indices. And for examples, Indium and Coal were introduced.
The natural dyeing of silk fabric with Thuja orientalis extract was investigated. The proper colorant concentration,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and pH for the dyeing of silk fabric with Thuja orientalis extract were 100% v/v, 80℃, 80 minutes and pH 3, respectively. In various mordanted methods, the K/S values of mordanted methods were higher than those of unmordanted methods with increasing mordant concentration. Light colorfastness and washing colorfastness of Cu or Fe mordanted silk fabric was improved by mordanting.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dyed and mordanted silk fabric showed a high reduction rate, and Thuja orientalis extract was showed effective bacterial reduction. The dyed and mordanted fabric with Thuja orientalis extract showed a superior ultraviolet protection property.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시 일대천연갱신 시업 임지의 곤충상을 사전에 조사한 후 향후 시업처리를 실시한 후 일정 기간별 곤충상변화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의 수집 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강원도 삼척 큰저골 일대의 산림지역 중 간벌강도별로 시업처리 예정지를 대상으로 2012년 8월에 곤충상을 조사하였다. 채집조사방법은 Bucket trap, Light trap, 및 Pitfall trap을 이용하여 곤충류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곤충은 건 조표본으로 제작하여 동정한 후 분포종목록을 작성하였다. 이들 연구결과는 향후 임업시업별로 곤충다양성의 변화를 탐색하는데 활용될 계획이다. 채집조사결과 Bucket trap, Light trap의 경우 53종 543개체가 조사되었고 Pitfall trap 8종 92개체 가 조사되었다. 또한 Funnel trap의 경우 8월에 설치하여 10월에 수거하는 방법을 통해 총 9종 17개체의 곤충상이 조사되었다.
This study dyed rayon fabric using loess as a natural colorant. To obtain the optimal dyeing conditions, various dyeing conditions were examined (temperature, pH, time, and concentration). The color fastness was evaluated using standard washing and rubbing fastness 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oess powder particle size ranged from 0.4 to 1.7 ㎛with a distribution range of 1.1 to 1.4 ㎛, representing a fine and uniform manufactured loess powder. The loess component analysis showed a large amount of silicon dioxide and aluminum oxide. TheFT-IR spectra showed that the ammonium group in the rayon fabric produced N-H banding at 1,540 ㎝-1 . The highest K/S value for the rayon fabric was obtained when the pH was 8.0, and this value increased rapidly with a longer dyeing time and when increasing the loess concentration to 30% (w/v). Pre-treatment with a soybean solution produced the highest K/S value for the rayon fabric with a loess concentration of 30% (w/v). The SEM analysis showed a higher amount of loess adhered to the rayon fabric surface when increasing the loess concentration. However, pre-treatment with a cationic agent and soybean solution resulted in a much higher attachment of loess to the fabric surface. Thu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using a cationized fabric and pre-treatment with a soybean solution are more effective when dyeing rayon fabric with loess than when using only loess.
본 연구는 인공조림과 천연갱신된 고로쇠나무 임분의 생장차이를 밝혀, 인공조림 시 고로쇠나무의 생장량 추정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천연림과 인공림에서 자라는 고로쇠나무의 생장을 비교하기 위해 각 임분별 6본의 조사목을 선발하여 직경과 수고를 측정하고 뿌리, 줄기, 가지, 잎의 건중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천연림에서 자라는 고로쇠나무는 연년 직경생장량이 평균 2.48mm로 나타났고, 연년 수고생장량은 0.28m로 나타났다. 인공림에서 자라는 경우 연년 직경생장량이 평균 4.98mm로, 연년 수고생장량은 0.3m로 나타나 직경생장량과 수고생장량 모두 인공림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두 임분의 직경과 생체량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인공림에서 자라는 고로쇠나무의 회귀식은 67.972x2.6208으로 나타났고, 천연림에서 자라는 고로쇠나무의 회귀식은 3,224.5x0.7315으로 나타나 인공림에서 자라는 고로쇠나무의 총 생체량이 같은 경급의 천연림에 비해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로쇠나무를 인공조림하는 경우 천연갱신하여 숲을 가꾸는 경우보다 더 높은 물질생산이 가능하여, 목재생산 측면에서도 높은 가치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부영양호 신갈지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이미 개발된 천 연물질 혼합제(PMC)의 수질개선능(WQI)에 수온변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 과 식물플랑크톤, BOD, 총인 등은 20C 이하에서는 70% WQI 이상을 보였으나 25C 이상에서는 40% WQI 이하로 오히려 감소하였다. 한편 수온의 증가에 따라 남조류에 대해서는 WQI는 감소하였고, 규조류는 수온변화에 상관 없이 90% 이상 높은 WQI를 나타냈으며, 박테리아와 총 질소는 수온과 상관없이 매우 낮은 WQI를 보였다. 이상 의 결과들은 PMC의 수질개선능이 수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25C 이상의 고온기에 Microcystis aeruginosa가 우점하는 남조대발생보다 겨울철 저온기에 우점하는 규 조류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Seismic isolation has been considered and utilized in various industries as a way to prevent huge damage on to structures by large earthquakes in various industries. The laminated Laminated rubber bearings is are most frequently used in seismic isolation systems. The structural Structural safety could not be assured unless the performance of the rubber bearing is not guaranteed for the life time of the structure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the bearing is a critical structural member to sustain vertical loads in the seismically isolated structur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deterioration problems of rubber bearings during their service life. The long term performance of the rubber bearings was not considered in past designs of seismically isolated structures. This study evaluates the long term performance and creep characteristics of laminated natural rubber bearings that are used in seismically isolated buildings. For the this study, a set of accelerated thermal aging tests and creep tests are were performed on real specime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natural rubber bearings would have a stable change rate of change for durability under sever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a long time.
Skin whitening product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or cosmetic purposes in order to obtain a lighter skin appearance. They are also utilized for clinical treatment of pigmentary disorders such as melasma or 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Whitening agents act at various levels of melanin production in the skin. Oxidative modification of DNA, proteins and lipids b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lays a role in aging and disease, including skin damages. In this study, we present an natural whitening and antioxidant product that may decrease skin pigmentation and skin damag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tural fermented phytogenics on fecal odour and performance in laying hens. The natural fermented phytogenics (NFP) was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of probiotics with a mixed herb of ginkgo leaf, mandarin peel, wormwood, ginger, licorice and tangleweed (30:7:10:3:5:15), and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acidophill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or 4 days at room temperatur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ecal odour reduction by NFP,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layer's dropping by in vitro fermentation with a mix of feces and distilled water (6:2), and NH3 and H2S gas production during the fermentation was measured. The productions of NH3 and H2S ga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NFP treatment group than those of control during the in vitro fermentation (p<0.05). To measure the effects of NFP on laying performanc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a total of sixty, 46-wk-old Lohmann brown layers for 4 weeks after the pre-experiment periods of two weeks.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with 3 replicates of 10 birds each. The treatments were control group which fed basal diet, and NFP group which fed basal diet added with 0.1% NFP. Hen-day egg production of NFP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control (p<0.05). Also, soft & broken egg production was apparently reduced by NFP addition (p<0.05). Egg weight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but trended to be higher in NFP group than the control. Eggshell thickness, eggshell strength, eggshell color, yolk color and Haugh unit were not different between NFP group and control group. Overall,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natural fermented phytogenics, prepared by fermented functional herbs with probiotics, have ability for reducing fecal order and improving egg production in laying hens.
본 논문은 천연염색에서 각 염료의 혼합 염색에 따른 발색 재현 기술을 개바람으로써 다양한 천연 염료를 사용한 혼한 염색의 결과에 대한 발색 시뮬레이터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천연 염색을 위한 염료로는 쪽과 홍화를 사용하였으며 염색을 위한 직물로는 모시를 이용하였다. 쪽 및 홍화의 반복 염색을 통해 염색된 직물의 분광 반사율을 모델링하고 이로부터 혼합 염색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즉, 단일 염료에 대한 직물의 분광 반사율을 추정하기 위해서 각 염료별로, 염색횟수에 따른 감쇄 계수를 계산하여 분광반사율의 변화를 예측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염료별로 계산한 감쇄 계수의 1차 선형 조합으로 복합 염색된 직물의 분광반사율을 추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쪽과 홍화로 혼합 염색한 실제 시료와 제안한 방법으로 예측한 시료의 영상에 대하여 정량적인 색차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 평균 색차 8 미만의 수준에서 복합 염색의 발색을 예측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timicrobial effects of organic acid and some natural occurring antimicrobial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various origins (vegetables, peanut, pea leaf, kim- bab, person, perilla leaf, and animal) and to calculate their MIC and MBC values. Five organic acids (acetic, lactic, citric, malic, and propionic acid), three essential oils (carvacrol, thymol, and eugenol), and two other natural antimicrobials (nisin and cinnamic acid)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113 strains of S. aureus using combination treatments. Propionic acid (7%), nisin (1%), thymol (1%), carvacrol (1%)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 aureus strains in agar disc diffusion test. And, carvacrol, thymol, and nisin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with the lowest MIC values of 0.0313%, 0.0625%, and 0.0625% against S.aureus, respectively. Propionic acid (0.2313%) and citric acid (0.6000%) were the most effective among organic acids tested. Therefore, these five antimicrobials were selected for next combination treatments. Combination of propionic acid and citric acid were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iveness against S. aureus among combination treat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ganic acid such as propionic and citric acid, and natural occurring antimicrobial such as nisin, carvacrol, and thymol might be possibly used as preservatives for inhibiting S. aureus in 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