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7

        181.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주제는 초등학교 교사의 백워드 교육과정 실천으로, 학생의 패러다임적 사 고와 내러티브적 사고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Bruner는 마음의 인지적 기능을 패러다임적 사고와 내러티브적 사고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만, 이들은 상호 보완적 관계 속에 있다고 말한다. 패러다임적 사고는 영원불변한 진리를 탐구하는 이성적 사고 또는 이론적 사고를 주장했던 서양의 전통 철학이고, 내러티브적 사고는 경험 대상으로부터 직접경험에 의해 받아들인 대상의 존재의 근본적인 모습을 규명하는 서양의 근대 철학이다. Wiggins와 McTighe가 구안한 백워드 설계에 따른 교육 과정을 과학적인 사고와 Pinar의 자서전 방법을 통한 내러티브적 사고라는 융합적인 관 점에서 접근하였으며, 두 가지 상호 보완적 관계 속에서 초등학생의 내러티브적 자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실천 연구를 통해 구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의 자아 형성에 대한 의미를 쿠레레라는 자서전적 글쓰기 방법을 교육적 상황에 변형한 다음,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1)자신의 교 육경험을 있었던 그대로 쓰기, 2)교사나 다른 학생들이 말이나 글로써 반응하기, 3)타인들의 경험을 분석하기. 연구의 말미에는 한 초등학생의 자서전적 성찰을 토대로 앞으로의 통합적인 사고에 대한 논의와 실행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182.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다문화수용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전래동화 기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문화수용성의 차원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전래동화를 선정하여 총 12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체류외국인과 결혼이민자 수를 고려하여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태국 각 나라별로 이야기의 구조, 주제, 교훈 등이 유사하며 문화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각 나라의 대표 전래동화를 선정하였으며, 다문화수용성의 세 가지 차원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과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 다문화적 요소인 심미적 감성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 중점을 두어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인식-내면화-행동’의 3단계로, 활동주제는 각 단계에 맞춰 ‘세계 전래동화 비교, 분석을 통해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찾기’, ‘다양한 활동을 통해 타인의 감정 이해하고 공감하기’, ‘차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기르기’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서울특별시 성동구 소재의 E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을 때,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p<.05), 실험집단의 다문화수용성 사후검사 평균은 사전검사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활동지와 소감문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질적 효과성 평가도 병행한 결과, 다문화 가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타인의 감정 이해, 차별에 대한 반성과 다짐, 행동 변화와 실천의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생 스스로도 자신의 인식이 개선되었음을 느끼며 반성과 다짐 등을 통해 공언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수용성 제고 교육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학교현장에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183.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변화는 학교 현장에도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초등학교의 문화 다양화는 현저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교 다문화 교육은 다문화 사회에 살아갈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와 공존하기 위해 필요한 다문화 감수성 교육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마주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 살아갈 초등학생들의 다문 화 감수성 형성에 미치는 학급풍토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공립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46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 대상이 지각 하고 있는 학급풍토와 그들의 다문화 감수성을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하고 그 관계를 검증 하였다. 분석 결과 학급풍토의 하위요인은 모두 다문화 감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급의 응집성과 만족도를 높게 지각할수록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은 높아졌다(응집성 p<.000, 만족도 p<.000). 반면 학급의 경쟁성, 갈등도, 곤란도는 다문화 감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경쟁성 p<.05, 곤란도 p<.01, 만족도 p<.01).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을 두어 연구자는 학급풍토가 다문화 감수성 형성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학교생활 전반에 걸친 다문화 감수성 교육의 가능성을 제 안하였다. 또한 이를 위하여 다문화 감수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적 맥 락 구성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184.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어느 초등학교 소년이 방과후 학교 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교실에서 홀로 지내다가 연구자와 만난 후에 몸짓을 하는 놀이를 통해 서서히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면서 같이 변화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자인 ‘나’는 자전적 사례 기반 방법으로 두리를 만나서 아이들과 함께 방과후 활동에 재능기부를 하게 된 계기를 소개하 고 순천만 흑두루미 이야기를 소재로 몸으로 표현하는 학예회 공연 및 창의력 경연 대 회에 참가하는 과정에서 두리와 함께 변화하는 과정을 묘사하였다. 혼자 미술 활동을 하기 좋아하였던 두리는 몸짓에 어색해 하면서도 점차 친구들과 어울리기 시작하였고 학 예회 및 순천만 공연에서 흑두루미 몸짓 놀이를 해보면서 자신감과 공연의 재미를 느끼 게 되었다. 더 나아가 DI 경연 대회에서 몸짓 연기를 펼치는 활동을 통해 친구들과 서로 도우면서 의논하는 등 사교적인 측면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자 자신도 순천 만의 흑두루미 이야기를 토대로 아이들과 함께 몸짓 놀이를 해 보면서 두루미와 사람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면서 흑두루미춤을 만들어보는 등 풍류를 즐기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이 논문은 학예회 및 창의 경연 대회에 참가하면서 경험한 몸짓놀이가 참여 학생들에게 자신감과 사회성을 고양해 주는 등 긍정적인 측면과 초등교육 현장에 던지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185.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생 체험형 글로벌 교육기관인 대구글로벌스테이션에 파견근무를 한 교사 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 위와 유사한 기관에서의 파견근무에 관심이 있는 교사 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대구글로벌스테이션이 교육과정 실행자에게 시사하는 바를 고 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사의 파견근무 기관이 갖고 있는 특성을 소개하고, 선행연구를 조사하였으며, 파견근무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연구자 의 관찰 결과를 일지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파견근무에 관심이 있는 교사들 에게 유용한 내용으로 파견근무의 동기, 파견근무의 장점 및 단점을 제시하였고, 파견 교사들이 교육과정 실행자로서 갖는 장점 및 단점을 소개하였다. 현재 대구글로벌스테 이션 파견근무를 하고 있는 초등 교사들은 업무에 대한 열의와 영어 수업에 대한 능력 을 인정받아 선발된 인원들이므로,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경우가 많고, 부정적인 측면이 있더라도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파견근무 종료 후 다시 현장에 돌아가 학생들의 영어 교육에 이바지하겠다는 마음을 기저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견근무 경험이 교수학습경력에서 단절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 과정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신장시키고, 영어 수업력의 향상에 기여하는 부분이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18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회성은 집단 활동을 즐기며 친구가 많고, 협동적이며 인정이 많고 남과 의견이 잘 맞으며 충돌이 적은 특성이다(정병모, 1971). 또한 사회 성의 발달이란 사회화가 성공적으로 잘 이루어져 나가는 과정을 말하며, 사회화 집단의 기대에 따라서 알맞게 행동하는 능력이 길러지는 것을 의미한다(채덕자, 2002). 원예작물이나 식물에 직접 재배하는 자연 친화적인 원예활동이 초등학생들의 바람직한 인격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이수광, 200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방과 후 원예활동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시 소재 S초등학교 남 .여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장소는 S초등학교 교육 복지실에서, 기간은 2016년 11월 1일에서 2016년 12월 27일까지 오후 2시 50분부터 오후 4시 20분까지 총 9 회기를 실시하였다. 원예프로그램은 가족 및 또래와의 긍 정적인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하여 나의 애완다육이 심기, 새싹 씨앗 파종하기, 새싹 샌드위치 만들기, 프리저브드 꽃 장식하기 등 다양한 원예활동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SSRS를 우리나라의 사회적 특성에 맞게 적용한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 K-SSRS(문성원, 2003)를 원예활동 실시 전과 실시 후에 평가하였고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Wilcoxon 부호순위 검정 결 과 음의 순위는 2명으로 평균 순위 5.25, 순위 합 10.50으로 나타났고 양의 순위는 6명으로 평균 순위 4.25, 순위 합 25.50으로 검정되었다. 즉 대상자 8명 중에서 6명이 긍정적인 향상이 있었다. 원예활동 실시 전후의 기술통계량을 살펴보면 실시 전 전체 평균 41.88±13.64점에서 실시 후 전체 평균 44.00±12.18점으로 점수는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291).
        187.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effects of two tele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asynchronous (ATL) and synchronous telecollaboration learning (STL),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xiety,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CC). To evaluate the 27 participants’ motivation and anxiety level,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administered and the motivation level and the anxiety level were compared between the ATL and the STL group. On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to examine their ICC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 with questions constructed based on five objectives of Byram’s intercultural compet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wo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rease their motivation level. However, when examining in more detail, the participants in ATL increased their instrumental motivation while those in STL increased their integrative motivation.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At last, (3) regarding ICC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both in the ATL and in the STL greatly improved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skills, but ATL participants, compared to STL participants, demonstrated relatively limited changes in their critical cultural awareness. Implications to enha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d ICC by telecollaboration are suggested.
        18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놀이와 웃음활동을 인성교육과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하고자 초등학교 5, 6학 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놀이(규칙놀이 영역, 전통놀이 영역, 보드게임 영역), 웃음활동, 디지털 게임의 실태와 선호도를 설문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선호도는 보드게임 영역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디지털 게임, 규칙놀이 영역, 전통놀이 영역, 웃음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규칙놀이 영역에서는 그룹놀이를 가장 선호했고, 전통놀이 영역에서는 윷놀이를 가장 선호하였다. 보드게 임 영역에서는 7세 이상 대상 2연령의 보드게임을 가장 선호하였고, 디지털 게임은 모바일 게 임을 가장 선호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 양질의 놀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학 생들의 놀이 실태를 잘 파악하고 성별에 따라 선호도가 다름을 이해하는 등 놀이의 특성을 고 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189.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로인식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개인의 사회인구학적, 심리적 요인에 초점을 두어, 그 중요성에 불구하고 부모양육태도와 같은 관계적 요인의 영향에 대해서는 다소 등한시하였 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인 5∼6 학생들이 인식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인식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구로구 A 초등학교 5∼6학년 317명이며,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 및 진로인식 표준화 검사이다. 연구자료 분석방법으로는 부와 모의 양육태도 하위 요인과 진로인식 하위 요인 간의 다중적 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정 준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경우 부와 모의 양육태 도를 비슷한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와 허용적 양 육태도가 진로인식 발달에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 모두 양육태도 중 민주적 양육태 도가 진로인식 하위 요인 중 자기이해와 진로태도에 많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고, 특히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와 자기이해 요인이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녀의 진로인식 발달을 위해서는 부모 모두 민주적 양육태도를 가져야 함을 시사한다.
        190.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rticultural preference and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ha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cause a human’s preference of plant was inhered an image of one’s life. This study carried out to define the variables related to horticultural preference and parenting attitude, for promotion in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f parent.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93 parents having elementary school child from May to July, 2015 at Seoul, and Jeonju city. The major variables related to parenting attitude were grade of children, dialogue hour with their children,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intimate, number of breakfast, occupation, family income, growing activ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horticultural preference were marked statistical difference at plant classification into need a supporting stick, foodstuff, life time of plant, individual or community growth, cook and industrial arts or ornamental plants. Especially it was concerned in achievement, rationality, affection of parenting attitude.
        191.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to create and manage the outdoor space of the school, are as follows: Most of the students have had experience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cultivating vegetables, fruits, flowers, trees, etc., and took part in activities such as planting plants, growing plants, and harvesting plants. These activities were done through the house veranda, garden, or school classes. We found that much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are done at school, home, and communities, as the students have quite a few experiences in external experiential events or allotment farms. Students had more than average amount of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more gardening activity the student experienced, the higher interest they had. About half of the students observe the plants at least once a month and know the names of 3.42 plants among the plants at school. The students in the school that had done the school forest project are aware of relatively many plants and show high observation frequency. Although the schools done horticultura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they usually consist of one-off activities such as planting and seeding in schools without gardens as the activities are done with pots inside the classrooms. The satisfaction with the external school environment was relatively high at schools that done the school forest project, and this was affected by flowers, trees, and resting area. In other words, students must have plenty of flowers and trees to be satisfied with the external school environment and should also have an appropriate outdoor resting area. It is important to provide opportunities to allow students to continue experiencing gardening activities at school and home, because they have a high abundance of experience and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ies. Therefore, the space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considering the school curriculum and preferences of students should be secured and a variety of flowers and trees should be planted in order to create the external environment of school.
        193.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to conduct a survey on Plant Attitude Scale, Emotional Intelligence, Aggression Scale and Verbal Aggressiveness Scale of 540 elementary schoolchild and to analysis on credi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1. Both Plant Attitude Scale (Importance of plant, function of urban trees, interest on the plant, utilization of pla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 recognition, empathy, emotion control ability) present significant correlation. The higher grade of plant attitude including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entire of plant attitude, the most of subcategori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dicate significant correlation. Importance of plant and interest on the plant has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s Plant Attitude Scale and Aggression Scale (physical aggression, anger, hostility) present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t shows that the higher plant attitude, the lower aggression. The plant attitude indicates ver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ggression and anger in physical aggression and anger as well as importance with plant. In case of function with urban trees, it shows the higher physical aggression, anger and interest on the plant, the lower physical aggression. While Plant Attitude Scale and Verbal Aggressiveness Scale (Swear, ridicule, taunt, threat, curse) presen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higher plant attitude, the lower verbal aggressiveness. The plant attitude indicates that there i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swear, ridicule, curse among the verbal aggressiveness. In the subordinate scope, especially in importance of plant, i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that grade of sear gets lower as the higher swear and curse including case of swear, ridicule and function of urban trees and also there are higher points with sear, ridicule, curse and utilization of plant in case of interest on the plant.
        196.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오케스트라활동을 통한 음악활동 경험이 학생들의 자아개념 및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하는 구체적 요인들 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D도시의 초등학교에서 관현악 오케스트라가 있는 세 개의 학교를 선정하고, 총 2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58명의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을 사용하여 t-test, one-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 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오케스트라활동 참여특성에 따른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은 참여유무, 참여기간, 참여동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은 전체자아개념과 성격자아개념, 신체자아개념, 오케 스트라활동에의 참여, 성별(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초등학생들은 오케스트라활동 경험에 따라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으며, 오케스트라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자아개념과 성격에 영향을 미 침으로써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의미한 예측요인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학교 에서는 학생들이 실제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197.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 정보융합영재를 위한 computational thinking기반의 실생활 문제해결 수업콘 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사이버 교수학습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정보과학적 창의적 성향 및 창의 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omputational thinking(CT)과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CT기반의 정보융합 인 재’라는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융합형 문제해결 설계과정, 실생활의 문제 상황, CT 의 9가지 주요 개념과 능력, 실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도 연관성의 4가지 원칙에 따라 수업 콘 텐츠를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집의 전기요금 절약하기”라는 주제로 문제중심형 e-PBL수 업 모형과 반응형 웹 기반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활용해 운영하였다. 개발한 수업 콘텐츠를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교수학습에 적용한 후에 결과를 분석하였다. 통제 집단은 융합인재교육 기반의 실생활 문제해결 수업콘텐츠를, 실험 집 단은 CT기반의 실생활 문제해결 수업콘텐츠를 각각 적용하였고 결과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 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의 하위 요소 중 정보과학에 대한 흥미와 창의성 부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CT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수업콘텐츠는 사이버 교수학습 과정에서 초등 정보융합영재 학생들의 정보과학에 대 한 흥미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198.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PBL에서 초등학생들이 어떠한 학습 경험을 가지게 되는 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학생들의 구체적인 학습 경험을 들여다보기 위하여 첫째, 교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PBL 수업에 대해 네 명의 학생들은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둘째, 네 학생의 이야기에 담긴 풍경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셋째, 네 가지 이야기 는 서로 어떤 대화를 주고받는지, 넷째, 네 명의 학생들은 어떤 형태의 다시 살아가기를 이야 기하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텍스트의 작성은 학생들의 수준과 교실 현 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이야기를 면담 형태로 표현하였다. 이후 생성된 현장텍스트를 연구자가 박사급 연구원 2명의 도움을 얻어 연구텍스트로 변환하였다. 그리고 네 사람이 담은 이야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삼차원적 풍경에 따라 서로의 이야기를 비교하 였다. 탐구 결과 학생 A의 내러티브에서는 ‘친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 ‘교실에서 가정으로, 그 리고 다시 교실로의 경험 이동’, ‘어머니에게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모습’, 학생 B의 내러티브 에서는 ‘PBL보다 그냥 혼자 공부를’, ‘교과서를 벗어난 학습 공간으로의 확대’, ‘오빠보다 나은 경험을’, 학생 C의 내러티브에서는 ‘짜증나는 공부에서 재미있는 활동으로’, ‘모둠 사이, 가정과 학교 사이에서’, ‘나를 믿어주세요.’, 학생 D의 내러티브에서는 ‘모둠보다는 개인적으로’, ‘굳이 집에서도 해야 하나요? 하지만 병원에서는 좋았어요.’, ‘차별하는 선생님, 나도 힘들어요.’와 같 은 주제가 드러났다. 이후 네 사람의 서로 다른 이야기의 풍경을 비교하면서 어떤 차이가 있는 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최종적으로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하여 PBL 학 습, 나아가 학습을 위한 다시 살아가기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199.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textiles는 학습자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접 아이디어를 설계하고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함으로써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공예품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STEAM 교육에 적합한 도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textiles를 활용한 STEAM 교육을 설계 및 적용하여 이 방법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집단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소 중에서는 자기 확신과 독립성, 확산적 사고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E-textiles를 활용한 STEAM 교육이 학습자의 자기 확신과 독립성, 확산적 사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킨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