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7

        181.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흄 대체재로 활용 가능한 실리카 흄 무혼입 결합재(SFFB)의 치환율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품질특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실리카흄, SFFB의 2수준과 물-결합재비는 25, 35% 치환율은 실리카 흄 10%, SFFB 5, 10 15(%)의 4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을 실시한 결과, 목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성능감수제의 첨가율은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SFFB가 실리카 흄 보다 저흡수성을 갖는 재료적 특성으로 인해 고성능감수제의 첨가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압축강도에서는 SFFB 치환율이 10%일 경우 인장강도에서는 치환율이 15%일 경우 가장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자기수축에서는 W/B와 SFFB의 치환율과 상관없이 Plain(SF)에 비해 수축이 저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2.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waxy corn hybrid ‘Daedukchal 1’ was developed from single cross between CNU 504 and CNU 2396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2007. Inbred CNU 504 used as a seed parent and inbred CNU 2396 as a pollen parent were collected throughout domestic regions. Tasseling date of this hybrid was seven days later than that of check hybrid, ‘Chalok 1’. ‘Daedukchal 1’ was 19.7 cm in ear length and 4.5 cm in ear diameter. On yield trial, ear length of this hybrid was increased 29.7% compared with a check hybrid, ‘Chalok 1’. ‘Daedukchal 1’ had white kernels and good eating quality due to high sugar content and thinner pericarp. The ratio of kernel set length/ear length was similar to ‘Chalok 1’. It is moderately resistant to southern leaf blight and northern leaf blight but susceptible to corn borer. The yields of ‘Daedukchal 1’ in fresh ear weight and in number of fresh ear were 16% and 8%,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a check hybrid in regional yield trials for two years. Seed production for this hybrid was better because of the consistency of tasseling dates.
        18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운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벼 수확기의 분산 및 이른 추석에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평야지적응 조생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6년 조숙이면서 양질 내병 다수성 계통인 SR14880-173-3-3-2-2-2와 초형이 우수하며 수량성이 높은 단간 조생인 운봉20호를 교배하여 2009년 육성한 평야지적응 극조생 단간 내도열병 고품질 벼 품종으로 주요 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출수기는 7월 23일로 오대벼보
        184.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해진미’는 질소 소비료 적응 고품질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5년 하계에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벼품종개발연구팀에서 소비료 적응 특성을 가진 삼지연을 모본으로 병해충저항성 계통 SR14694-57-4-2-1-3-2-2와 양조특성이 우수한 이리 402호를 부본으로 3원 교잡하여 계통육종법에 따라 우량계통을 육성하였다. 선발된 우량계통에 대해 2005~2006년 2년간 생산력 검정시험 결과, 중만생이고 도정 특성과 쌀 외관 및 밥맛이 양호한 SR216
        185.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영’은 국립식량과학원 상주출장소에서 2009년에 육성한 조생 고품질 고식미 품종으로 주요 특성과 수량성을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7월 29일로 오대벼보다 1일 빠른 조생종이다. 2. 간장, 수장 및 수당립수가 오대벼와 비슷하며 등숙률이 높고 현미 천립중이 가벼운 중소립종이다. 3. 위조 현상이 없고 성숙기 하엽 노화가 늦으며 불시 출수가 오대벼보다 적게 나타나나 수발아는 오대벼보다 약간 잘되는 편이며 내냉성은
        18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호농’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운봉31호의 개화시에 MNU를 수정란(미숙배)에 처리한 후대에서 선발하여 2009년도에 품종보호권을 출원한 품종이다. 1. 남서해안지, 호남 및 영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9일로 ‘남평벼’보다 2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2. 간장은 79 cm로 ‘남평벼’와 비슷하며, 수당립수는 적고 등숙비율이 다소 높은 중립종이다. 3. 위조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남평벼보다
        187.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가열 신선 과채음료 6종에 대한 250~350 MPa 범위의 중고압 처리에 따른 미생물 개체수, 비타민 함량, 관능적 특성 변화 측면에서 권장 유통기간 3일 동안의 품질 안정성 확보 및 유통기간 연장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초기 미생물 개체수가 g당 이하로 유지되는 채소 및 과일 원료에 있어서 온도 , 습도 55~60% 가 유지되며, 낙하균과 부유균의 미생물이 각각 CFU/plate, 의 수준으로 관리되는 신선 음료 생산 현장의 경
        18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rley grain and malt is highly related to beer quality, especially hordein is known to be a more significant factor in malting process than albumin. In this study, we proposed selection criteria for high quality malting barley with aid of grain and malt quality parameter scores and storage protein subunit profile informations. Albumin and hordein were extracted and denatured protein subunits were evaluated with malt and grain quality parameters. Total 13 local adaptability test (LAT) lines were planted in four locations (Naju, Iksan, Jeju, and Jinju) and evaluated for malt and beer making qualities. Seventeen germplasms (world collections for high or low seed storage protein content) were also evaluated for biochemical genetic marker. Denatured seed storage protein subunits of albumin and hordein of all tested lines and germplasms were evaluated using 12% 1D SDS-PAGE. Scored data of protein subunit's presence or absence was applied to Agglomerative Hierarchical Clustering (AHC) for statistical analysis. Subunits fractionated within specific molecular weight ranges (97.4-31.0, 66.2-31.0, and 45.0-31.0 kDa) were highly correlated with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Several LAT lines showing good performance in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clustered in dendrogram constructed by biochemical-genetic assay using XLSTAT. Specific band pattern showed in good performance LAT lines were also observed in some germplasms of world collection having low protein contents which are known to have superior quality in malting. The results would provide selection criteria for high quality malting barley in the malting barley breeding program.
        18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total of 40 Korean rice cultivars we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stage in the greenhouse condition and changes in head rice ratio of brown rice, whiteness of milled rice, amylose and protein contents were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field-grown plants. Testing cultiva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maturation period and accumulated temperature was 1216.4~1775.8oC in the field condition and 1275.8~ 1893.7oC in the greenhouse condition during grain filling stage. Reduction ratio of head rice and whiteness under high temperature in the four groups were 23.6, 17.7, 13.0, 8.7% and 12.7, 12.3, 9.5, 6.0%, respectively, in which early-maturing group showed more severe deterioration due to the early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Rice cultivar Dongan and Daeya were the most tolerant to high temperature among the tested cultivars showing 0.5 and 6.6% of the head rice reduction ratio and 0 and 1.2% of whiteness reduction ratio under high temperature, respectively. Amylose contents of the four groups were reduced by 11.7, 11.3, 8.8, 8.5% under high temperature in group Ⅰ, Ⅱ, Ⅲ, Ⅳ, respectively, whereas protein contents were increased by 14.2, 6.3, 4.4, 4.4% in the four groups, respectively.
        19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nd to recommend the optimum rice with the newly developed varieties at 11 agricultural technology service center(ATSC) in ChungBuk province. The newly bred 18 varieties were evaluated rice yields and quality, including rice taste at each districts from 2007 to 2009. In the overall consideration, Hopum-byeo was selected as the best rice variety in Chungju, Jincheon districts, and Samkwang-byeo was choosed as the best variety in Cheongju, Eumseong, Okcheon, and Yeongdong based on the yields of rice and mechanic rice tastes. Hopum-byeo and Samkwang-byeo was recommended in Cheongwon, Goesan, and Boeun districts. Unkwang-byeo was selected as optimum variety in Jecheon, and Danyang districts.
        19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get high production and quality of whole crop winter cereals, Oat, Wheat and Triticale, in the paddy field. These three whole crop winter cereals are got later harvest than whole crop barley, so there are more production of forage. Its harvest time was the end of May or the early of June in the south area of Korea. Mixed cultivations of Oat and Wheat (MCOW) was got more production over 15 percents in the dry wight, and then contents of crude protein (CP) in MCOW were higher than single cultivation of Oat. And Relative feed values (RFV) of MCOW were higher than single cultivation of Oat. Mixed cultivations of Oat and Triticale (MCOT) were got more production over 7 percents in the dry wight than single cultivations of Oat, but contents of CP in MCOT were not changed in all plots. And RFVs of MCOT were higher than single cultivations of Oat.
        19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ting quality is critical for consumers who take rice as staple food. Here we present the development and identification of high eating quality rice lines. The identification of positive transgenic lin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nsgenic rice, mRNA expression and enzyme activity were analyzed. OsSbe1 was introduced into Gopumbyeo seeds using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and 1,005 out of 1,065 T1 plants were shown positive. The apparent amylose contents in T2 brown rice ranged from 11% to 25% in 890 favorable lines (Gopumbyeo was used as a reference with 18% of AAC). The activity of starch branching enzyme including three isoforms (SBE1, SBE3, and SBE4) in endosperms of T3 lines was higher than that of Gopumbyeo. Physicochemical properties related to eating quality for T3 polished rice were detected using 52 favorable lines out of 500 lines selected according to AAC. The Toyo taste meter value in 52 T3 lines ranged from 61.1 to 72.6, whereas 70.4 in Gopumbyeo. Of them, eleven lines displayed the higher palatability score than Gopumbyeo. Moreover, these elite lines produced higher yields (607.9~695.8 kg/10a) than Gopumbyeo (602.7 kg/10a). These results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high quality rice varieties in the future.
        193.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표준시비량이 감소된 조건에서 좀 더 효율적인 질소시비방법을 확립하고 이들이 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연차, 지역 및 품종별로 질소시비방법을 달리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차, 지역 및 품종에 관계없이 질소의 수비시용 시기에 따른 수량과 현미단백질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고, 질소분비비율을 기비-분얼비-수비로 50-30-20 혹은 70-0-30으로 하여 질소시용시기를 출수 전 25일에서 출수 전 15일로 늦출 때 현미 천립중과 현미완전미 비율이 증가하여 고품질쌀 생산에 유리하였다. 2. 쌀 수량, 현미천립중, 현미완전미율, 현미단백질 함량 모두 일부 지역 및 품종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전체적으로 분산시비와 기비중점시비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사질답과 같은 토양 양분 유실이 많은 조건을 제외하고는 기비중점 시비로 관행에 비하여 수량 감소 및 품질저하 없이 생산노력비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194.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특 등급 품질 후지사과의 상온 저장에서의 호흡율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형적인 climacteric형 패턴을 보여 주었으며 저장 유통 중 선도유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LDPE 필름을 밀봉한 난좌형태의 포장 구조를 설계하여 저장 온도에 따른 품질 변화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험 연구 결과 필름 밀봉 용기 포장 적용이 관행 난좌보다 신선도 유지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LDPE 필름 덮개로 밀봉한 난좌형태의 용기 포장은 낱개의 난좌컵 형
        195.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청진미는 중부평야지 및 중서부해안지 적응 소비료적성 고품질 벼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3년 하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품종개발연구팀에서 이리401호와 일품벼를 인공교배하여 SR19633의 교배번호를 부여하고, 1993/1994년 동계에 수원에서 F1 수식 이미지 18개체를 양성하였다. 1995년 하계에 F2 수식 이미지 936개체를 포장에 전개하여 우량개체를 선발하여 집단으로 F3 수식 이미지 및 FF4 수식 이미지 세대를 진
        196.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드래찬" 품종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중만생 양질 내병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17일로 한마음보다 2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2. 쌀은 복백이 약간 있으나 아밀로스 함량이 낮고 밥맛이 좋은 편이다. 3. 도열병, 흰잎마름병 레이스K1-3 및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나 멸구 및 매미충류에는 약한 반응을 보였다. 4. 유묘 내냉성은 한마음과 비슷하
        19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남벼는 고품질 안전 다수성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91/92년 겨울철에 고품질이면서 단간 내도복 내병성인 밀양 96호에 숙색이 좋고 밥맛이 양호하고 초형이 양호한 YR12734-B-B-22-2를 교배하dUT다. 1992년 여름철에 F1 수식 이미지식 물체를 양성한 후 '93 여름에 F2 수식 이미지양성하여 개체별로 1립씩 채종후 '93/'94겨울철 세대단축온실에서 F5 수식 이미지세대까지 1수 1계통으로 고정시키고 F6 수식
        19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석"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조생 고품질 내냉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7월 29일, 남부중산간지에서는 7월 26일로 오대벼보다 3일정도 빠른 조생종이다. 2. 오대벼에 해 주당수수와 수당립수는 많고, 등숙비율은 다소 높으나 현미천립중은 오대벼보다 가벼운 편이다. 3. 위조현상은 없고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오대벼 보다 잘되는 편이다. 유묘기 내냉
        19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ow quality fresh ginseng was extracted by water at 80℃ and 240bar for 20min (HPE, High pressureextraction process). The cytotoxicity on human normal kidney cell (HEK293) and human normal lung cell (HEL299) of theextracts from HPE showed 28.43% and 21.78% lower than that from 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at 100℃ in adding themaximum concentration of 1.0㎎/㎖. The human breast carcinoma cell and lung adenocarcinoma cell growth were inhib-ited up to about 86%, in adding 1.0㎎/㎖ of extracts from HPE. This values were 9-12% higher than those from 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On in vivo experiment using ICR mice, the variation of body weight of mice group treated freshginseng extracts from HPE of 100㎎/㎏/day concentration was very lower than control and other group. The extracts fromHPE was showed longer survival times as 35.65%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showed the highest tumor inhibitionactivities compared with other group, which were 70.64% on Sarcoma-180 solid tumor cells. On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m (HPLC), amount of ginsenoside-Rg2, Rg3, Rh1 and Rh2 on fresh ginseng were increased up to 43-183%by HPE, compared with conventional water extracts. These data indicate that HPE definitely plays an important role ineffectively extracting ginsenoside, which could result in improving anticancer activities. It can be concluded that low qualityfresh ginseng associated with this process has more biologically compound and better anticancer activities than that fromnormal extraction process.
        20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품위석회석의 품질 개념에서 특히 중요한 결정도 및 조직 관계는 계측상의 어려움 때문에 석회석 평가에서 그 동안 효과적으로 잘 적용될 수 없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석회석 원광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식으로서 영상분석시스템 하에서 결정의 형상계수 및 경계 빈도수의 측정법을 처음으로 적용하였다. 이 같은 석회석 원광 품질 평가방식을 국내산 소성용 석회석에 적용하여 광석별로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원광의 방해석 함량, 즉 품위와 그 결정 입도가 비슷하더라도 결정 형상계수와 경계빈도수에 의해서 생석회의 품질은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즉, 원광의 결정 형상이 불규칙하고 경계 빈도수가 높을수록 이로부터 합성된 생석회는 소성율, 공극률, 반응성, 소결 정도 및 분화율과 같은 모든 품질 부문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그렇지만 결정 형상계수와 경계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너무 클 경우에는 쉽게 과소성되기 때문에 고품질의 생석회를 제조하는 데에는 가열처리 시간을 최소화하는 공정상의 기술이 요구된다. 석회석 산업에서 이같은 품질 평가 방식은 결정 입도는 물론 수치화할 수 없었던 결정 형상 및 조직적 사항들이 모두 고려되어 기존의 평균 입도 등에 의거한 평가보다 훨씬 합리적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