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0

        20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의 경우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안전점검과 진단은 2-6년 주기로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2016년 이후의 안전점검 및 진단 용역의 적법 수행여부에 대한 정부합동점검결과, 공동주택의 부실수행 비율이 매우 높다. 이는 공동주택의 경우 법정 대가기준 대비 평균 1-10% 수준에서 용역이 낙찰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안전전검 및 진단에 대한 결과조사를 바탕으로 업체형태, 협약방식 별로 협약대가, 조사 및 시험의 충실성 등 현황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년도, 규모, 지역 등 다양한 변수 분포를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공동주택의 안전점검 및 진단의 부실 현황을 분석하였다.
        202.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의 경우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안전점검과 진단은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있지만 부실수행의 비율이 매우 높다. 현재 국내 공동주택 안전점검-진단 세부지침 및 해설서는 시설물 일반 그리고 건축물 일반과 표본층수 산정 방법과 재료시험 수행개수 등이 동일하다. 그러나 공동주택은 일반 건축물과 달리 생애주기 동안에 용도변경이 거의 없으며 하중의 편차가 크지 않는 특성이 있다. 특히 지상 또는 지하주차장의 면적이 넓고 형태가 다양하며, 건설년도에 따라서 지하주차장 시스템이 달라지고 있다. 한편 공동주택은 벽식구조와 골조식 구조로의 전이부가 있거나, 콘크리트의 강도가 건축물 상하부에서 달라 지는 등 여러 가지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주요 특징을 고려하여 공동주택 안전점검 및 진단의 수행방법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20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시설물안전법’」에서는 제1종 및 제2종시설물에 대하여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통하여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종외 시설물의 노후화에 따른 안전관리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제3종시설물을 지정하여 안전관리를 할 수 있도록 시설물안전법을 전부개정(’18.1.18.)하여 시설물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를 하고 있다. ‘제3종시설물 안전등급 평가 매뉴얼(이하 ‘매뉴얼’)에서는 교량, 터널, 건축물 등 시설물에 대한 정기안전점검 기준 및 방법에 대하여 평가 등급기준을 3단계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매뉴얼의 3단계 평가체계에서 5단계 평가체계로의 전환을 위해 평가등급별 기준을 도출하였으며, 현장적용성 검토를 통해 평가지 표의 적정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20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규모 취약시설 안전점검은 그동안 안전취약계층이 사용하는 건축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한정된 자원조건에서 특정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시설물의 효율적인 안전점검을 실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응전략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안전점검 업무특성 중 하나는 해당범위 시설물에 대한 신속 정확한 관리를 위해서는 직접적인 안전점검 수행 이 외 우선순위선정, 선택과 집중의 상황판단이 동반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범위가 넓은 소규모 취약시설 안전 점검을 수행하면서 축척된 결과데이터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서 실시되고 있는 주요 대응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205.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on-site applicability review was carried out on the actual site so that the inspection equipment for inspection of tunnel vertical-type vent can be developed to promote the safety of the inspection engineer and improve the inspection cost.
        20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지진 및 자연재해의 영향으로 인한 노후 건축물의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에 대한 정기적인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의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특히나 소규모 노후시설물의 경우 정기적인 안전점검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고, 내진성능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시설물도 많다. 본 연구에서는 준공 후 40년 이상 된 소규모 교육시설의 정밀안전점검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유지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07.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sing GPR(Ground Penetrating Radar) Precise Inspection, the real lining thickness of the tunnel damage was determined and detailed analysis was performed to provide a more accurate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of the tunnel damage. Through this study, It is presented to provide a guide for the application of the tunnel for inspection and diagnosis.
        208.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층의 공공 건축물에서 에스컬레이터는 수많은 탑승자가 동시에 이용하는 필수적인 수직 이동 시설물이다. 에스컬레이터에서 구동체인은 동력을 전달하는 핵심 부품인데, 구동체인 파단에 의한 역주행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대형인명사고로 이어지고 있어 이의 예방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체인의 초기 파단손상 진단을 통한 예방적 유지관리를 위해 마그네틱 센서 기반의 비파괴 진단 기법을 구동체인에 적용하였다. 이의 실험적 검증을 위해 다채널의 자속신호를 동시 수집할 수 있는 마그네틱 센서헤드를 제작하였고, 이를 에스컬레이터 시뮬레이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더블체인 손상시편에 적용하여 자속신호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각 채널별 자속 신호로부터 국부 손상부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변화 특성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특성을 부각하여 이용하고자 다단계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였다. 가공된 자속신호를 손상 판단을 위해 설정된 통계기반의 임계값에 적용함으로써 구동체인에 발생한 국부손상을 객관적으로 자동 진단하였다.
        209.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시설안전공단은 국민과 국가 주요 시설물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정밀안전진단 등 시설안전 및 건설공사 안전관리 등 건설안전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점검 및 진단의 부실 예방 및 보고서의 내실화를 위하여 ‘02년도부터 시특법에 평가제도가 도입된 후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평가대상은 시특법 제11조의2에 따라 제출된 1·2종 점검 및 진단 실시결과를 동법 시행령 제14조에 따라 선정하고 있다. 본 고는 교량 시설물의 보고서 평가사례를 제시하여 점검·진단 시 간과하기 쉬운 사항들을 실시자가 파악함으로써 부실 예방 및 보고서 작성의 내실을 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10.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self quality inspection which is mandatory in Republic of Korea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food safety, but the cost for self quality inspection is also a big burden especially for small businesses. In addition, excessive or duplicated inspection costs resulting from the standard gaps of various ministries and agencies ultimately effect negative social utility. Thus, this paper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analysis of self quality inspection for the Ready-to-Eat Foods in terms of dried laver, in order to reduce costs caused by overinclus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focus of interest is seaweed in Kimbab, which is to be exempted from the Vibrio parahaemolyticus test on the three grounds. First, existing literature provides little support for the necessity of performing a microbiological test. Second, laver products do not require the V.parahaemolyticus test by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the CODEX. Third, no case was found for seaweed products on the list of information on failed food items over the 2015~16 period. Results - Other types of seaweed such as exportable and seasoning seaweed are not subject to the test. Hence, exclusion of the V.pahaemolyticus test on seaweed is a valid point, bringing about large expected cost savings to many small businesses. Conclusions - Based on a complete survey of 75 food-testing agencies from March 20th to 30th, 2018, this paper finds that the proposed revision of the Kimbab test is likely to save an average of 130,000 won per business per year.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testing fee of Salmonella spp.(n,c,m,M), the cost difference by agencies was found to be up to five times. The regional gap in testing fees can be considered an unfair barrier.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testing fee is set at an appropriate level through the cost-extraction program proposed by the Ministry Food and Drug Safety. Hence, the survey results also point out that harmonization of testing fees charged by different food-testing agencies is appropriate with respect to transparency and efficiency.
        212.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가 주요 시설물의 안전점검 업무가 일원화됨에 따라 업무 효율성과 전문성 강화 등의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시설물의 물리적⋅기능적 결함을 초기에 발견하는 외관조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외관조사 방법의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E-PAD기반 상태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시설개요, 작업목록, 외관조사, 결함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장에서 외관조사망도를 다운받아 조사된 손상 및 정보를 입력하고, 평가 등급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의 검증을 위해 교량 10개소에 대한 외관조사 데이터를 입력하여 기존 안전등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시스템에서 산출된 안전등급과 기존 안전등급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HP기법을 통해 타당성 분석 결과 기존 방법 대비 기능 10%증가, 비용 36%감소, 가치 30%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시설물 관리 수준 향상을 위해 체계적인 데이터 구축 및 정보 분석을 위한 시스템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13.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고속도로 구조물 점검은 인력위주로 수행중에 있으나, 관리대상 구조물의 급증으로 인력점검의 한계가 발생함에 따라 4차 산업기술(IoT, 드론, AI, 로봇 등)을 활용한 점검로봇 및 점검장비를 개발하여 고속도로 구조물 점검에 활용할 예정이며, 구조물 상태 자동 평가기술을 개발하여 안전점검의 신뢰성 및 효율성을 향상할 예정이다.
        214.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struction-Operations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COBie) is a standardized format to deliver information from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 (BIM) to the facility management (FM)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Bie-based structural maintenance document which can record and review the information with regard to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buildings.
        21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fter analyzing the evaluation details of the durability items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for a certain period, the problems were identified. The lack of competency and lack of institutional skills of participating engineers have been analyzed as the main factors, and the improvement of technical and institutional aspects is required.
        216.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병원 및 대학교 등에 설치된 X선 발생장치를 대상으로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품질관리 항목을 적용하여 성능 비교를 하여 주기적인 성능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성능유지 및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우선 재현성 및 직선성 실험결과 모든 실험조건에서 합격기준에 부합되었으며 주기적인 정도관리가 부족한 GX-650장치의 경우 재현성 평가의 백분율 오차가 높았으며 직선성 평가에서는 관전압을 100 kVp로 설정 시 0.105로 백분율 오차에서 벗어나게 측정되었다. 또한 관전압 및 관전류의 정확도 평가결과 상대적으로 X선 발생횟수가 낮은 장치에서 백분율 오차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가층 실험은 모든 장치에서 관전압 별 반가층 기준에 모두 포함되었다. 따라서 병원용, 실습용 구분보다는 모든 장치의 정도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장치의 성능관리를 시행하여 장치를 유지 관리해야 할 것이며 특수의료장비처럼 짧은 주기의 정도관리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1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of concrete defect using Pulsed Thermography (PT) and Pulse Phase Thermography (PPT) techniques. The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on a concrete specimen in-placed artificial defects with various depths and sizes. The signal-to-noise technique was used to compare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ermal images obtained from PPT show clearer than those from PT (using contrast-based method).
        219.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statistics that evaluate the results of a precision safety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impact and degree of poor inspection and diagnosis were analyzed by dividing contract amount by rate, implementer, and managing body. The purpose of the analysis is to elicit problems and measures in the system.
        220.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발주처의 저가발주로 인해 안전진단전문기관은 부실화 되고 부실 점검 및 진단으로 인한 많은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무자들의 인식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해 실행대가 현황을 고찰하 였으며, 그 결과 정밀안전점검은 대가기준 조정보다는 대가기준의 효율성 증대 및 강제성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밀안전진단은 연면적 10,000㎡미만 시설물에 대한 대가기준 설계금액을 현재 기준에서 80%로 하향조정하고, 그 이상의 시설물에 대해서는 현행 대가기준을 적용하되, 대가기준의 강제성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