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9

        22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icle size of silver flake powder and mechanical milling parameters. Mechanical milling parameters such as ball size, impeller rotation speed and milling time of the attrition ball-mill were controlled to produce silver flake powder. The particle size of the silver flake powder increased with increasing ball size and impeller rotation speed. The change of the particle size of the silver flake powder with mechanical milling parameters was analyzed based on balls motion in the mill container of the attrition ball-mill. The silver flake particles were formed at the elastic deformation area of the ball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balls. The change of the particle size of the silver flake powder with mechanical milling parameters well consists with the change of the collision energy of ball with parameters mentioned above.
        4,000원
        22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done as a comparison analysis on existing studies 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of solenoids. When there is no power in a solenoid valve, a flow passage is formed from a pressurized ports, Pc, to Ps, which are connected to a crankcase of a pressurizer. An inlet to Pc port is varied in three different sizes: 3.8 ㎜(Type-1), 4.0 ㎜(Type-2) and 4.2 ㎜(Type-3). It is determined that there will be changes in coolant flow into the solenoid valve and the flow properties from Pc port to Ps port are compared and analyzed. As the results, the flow demonstrates the maximum speed of 500 ㎧, 46 ㎧ and 433 ㎧ with 0.2 ㎫ for the inflow pressure and the maximum speed of 1400 ㎧, 129 ㎧ and 1200 ㎧ with 1.5 ㎫ for the inflow pressure.
        4,000원
        22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내 15개 인공연못의 조성연도와 연못 면적에 따른 잠자리 군집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잠자리는 총 6과 36종이었으며, 잠자리과가 19종으로 가장 많았다. 출현빈도와 밀도를 고려하여 상대적 중요치를 측정한 결과, 아시아실잠자리와 밀잠자리가 가장 높았으며, 큰청실잠자리, 애기좀잠자리, 먹줄왕잠자리 등 16종은 상대적으로 희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년수에 따라 우점종은 1~3년는 아시아실잠자리, 4~6년는 된장잠자리-밀잠자리-고추좀잠자리, 10년 이상은 방울실잠자리-아시아실잠자리로 나타나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조성연도와 종다양성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10년 이상이 지난 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1~3년된 연못보다 높았다. 산란유형은 분산분석결과 10년 이상 된 인공연못이 식물 내 산란 종수와 타니산란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연못면적이 넓을수록 종다양성지수는 증가하였으며, 잠자리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인공연못조성면적은 100~300㎡내외로 판단되었다.
        4,000원
        22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맹꽁이 포접쌍의 개체별 크기와 연령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맹꽁이는 2013년 6월 제주도 성산읍과 대정읍에 위치한 습지에서 총 23쌍을 포획하였으며, 각 개체별 크기를 측정하고 연령을 확인하였다. 채집한 23쌍의 체장(SVL, snout-vent length), 체중, 앞다리 길이, 뒷다리 길이를 분석한 결과 암컷이 수컷보다 체중이 더 나가며 체장과 뒷다리의 길이도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앞다리 길이는 암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맹꽁이 포접쌍 가운데 수컷의 평균 연령은 5.17±0.26살, 암컷은 6.22±0.28살로 나타났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평균연령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접한 맹꽁이의 연령은 최소 3살부터 최대 10살까지 분포하였다. 맹꽁이 수컷은 연령과 체장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암컷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의 보호 및 복원전략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2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폐쇄형 육묘 시스템에서의 파프리카 묘 생산에 적합한 재배 기간 및 암면 블록의 크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파프리카 종자를 세 가지 크기의 암면 블록(45 × 40 × 35, 70 × 70 × 60, 100 × 100 × 65mm)에 파종하고 형광등을 인공 광원으로 이용하는 폐쇄형 육묘 시스템에서 23, 30, 37일간 재배하였다. 또한, 온실에서 100 × 100 × 65mm의 암면 블록을 이용하여 관행 재배한 파프리카 묘를 온실 처리구로 설정하였다. 육묘 일수와 관계없이 70 × 70 × 60mm의 암면 블록에서 육묘한 파프리카 묘의 지상부, 지하부 생육 및 R/S율이 가장 높았으며, 온실에서 관행 재배한 처리구보다 폐쇄형 육묘 시스템에서 재배한 파프리카 묘의 소질이 우수하였다. 폐쇄형 육묘 시스템과 온실에서 23, 30, 37일간 재배한 파프리카 묘를 암면 슬라브에 정식하고 초기 수량을 조사하였다. 파종 후 125일의 파프리카 평균 과중은 암면 블록 크기와 육묘 일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나, 단위 면적당 수량은 70 × 70 × 60와 100 × 100 × 65mm의 암면 블록을 이용하여 23일간 폐쇄형 육묘 시스템에서 재배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폐쇄형 육묘 시스템에서 파프리카 육묘 시 관행 재배보다 작은 70 × 70 × 60mm의 암면 블록을 이용하고 육묘 일수를 23일로 단축하여도 우수한 품질의 파프리카 묘를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2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약용식물을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하여 공정육묘를 한 연구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세 종류 약용식 물 묘의 생산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플러그셀 크기가 플러그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업용 상토가 들어있는 128, 200, 288구 플러그셀 트레이에 종자를 파종하였다. 세 종류 약용식물은 플러그 셀 크기가 커질수록 생육이 우수하였다. 하나의 플러그 트레이에서 얻어진 총 바이오 매스는 차조기와 산두근은 288구에서 가장 높았고, 참당귀는 200구에서 가장 높았다. 총 엽록소와 안토시아닌 함량을 제외한 차조기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장은 128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하지만 최대근장, 엽장, 엽폭, 엽 면적, 절간장, 뿌리 생체중, 근군형성은 200구와 288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산두근은 최대근장, 경경, 엽폭, 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근군형성을 제외한 모든 생장에서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최대 근장, 경경, 엽폭, 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근군형성은 128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엽록소 함량을 제외한 참당 귀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모든 생장이 128구에서 우수하였다. 경제적인 부분과 총 바이오매스를 고려했을 때 차조기와 산두근은 288구에서 육묘하는 것이 좋고, 참당귀는 200구에서 육묘하는 것을 권장한다.
        4,000원
        229.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Cr-Al powder porous metal was manufactured by using new electro-spray process. First, ultra-finefecralloy powders were produced by using the submerged electric wire explosion process. Evenly distributed colloid(0.05~0.5% powders) was dispersed on Polyurethane foam through the electro-spray process. And then degreasing andsintering processes were conduc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cell size (200 µm, 450 µm, 500 µm) in process,pre-samples were sintered for two hours at temperature of 1450˚C, in H₂ atmospheres. A 24-hour thermo gravimetricanalysis test was conducted at 1000˚C in a 79% N₂ + 21% O₂ to investigate the high temperature oxidation behavior ofpowder porous metal. The results of the high temperature oxidation tests showed that oxidation resistance increased withincreasing cell size. In the 200 µm porous metal with a thinner strut and larger specific surface area, the depletion ofthe stabilizing elements such as Al and Cr occurred more quickly during the high-temperature oxidation compared withthe 450, 500 µm porous metals.
        4,000원
        230.
        201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demonstrated size control of Au nanoparticles by heat treatment and their use as a catalyst for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NTs) growth with narrow size distribution. We used uniformly sized Au nanoparticles from commercial Au colloid, and intentionally decreased their size through heat treatment at 800 oC under atmospheric Ar ambient. ST-cut quartz wafers were used as growth substrates to achieve parallel alignment of the SWNTs and to investigate the size relationship between Au nanoparticles and SWNTs. After the SWNTs were grown via chemical vapor deposition using methane gas, it was found that a high degree of horizontal alignment can be obtained when the particle density is low enough to produce individual SWNTs. The diameter of the Au nanoparticles gradually decreased from 3.8 to 2.9 nm, and the mean diameter of the SWNTs also changed from 1.6 to 1.2 nm for without and 60 min heat treatment, respectively. Raman results reconfirmed that the prolonged heat treatment of nanoparticles yields thinner tubes with narrower size distribution. This work demonstrated that heat treatment can be a straightforward and reliable method to control the size of catalytic nanoparticles and SWNT diameter.
        4,000원
        23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결과 조농비가 다른 사료를 각각 급여한 젖소에 서 임신초기의 유방 크기는 HF군이 LF군 보다 2.4배 가량 유의하게 컸으나, 임신중기와 착유기 동안에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Estradiol의 혈중농도는 두 군 모두 사춘기 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임신기간 동안 사춘기의 2~3.5배가 량이 되었으며,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착유기 전 기간에 걸쳐서도 estradiol의 농도는 두 군간 차 이가 없었다. Progesterone의 혈중 농도는 사춘기부터 증가 하기 시작하여 임신중기까지 두 군 모두 비슷한 농도로 유지되었으며, 시험 전 기간에 걸쳐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산유량 4% FCM은 두 군 모두 분만 후 증가하다 LF군은 분만 100일, HF군은 150일을 기점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분만 후 50일까지를 제외하고 그 후 전 기간에 걸 쳐 양질 조사료 함량이 높은 사료를 급여한 HF군의 젖소 에서 산유량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분만 250일 까지도 높 은 산유량을 유지하였다. 우유 내 체세포 수는 분만초기를 제외하고 착유기 전 기간 동안 HF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 였다. 유지율은 분만 후 비유 초기에 LF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그 이후부터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그 밖에 우유 내 단백율, 고형율, MUN 모두 두 군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산유량과 체세포 수 및 유지율을 기초로 계산한 유대에 있어 HF군이 LF군에 비하여 최고 141.5% 증대되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젖소의 양질 조사료의 함 량을 적당 수준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유방의 크기나 관련 호르몬의 변화 없이 우유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우유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232.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nO nanoparticles in the size range from 5 to 15 nm were prepared by zinc-lithium-acetate system. The morphologies and structures of ZnO were characterized by TEM, XRD and FT-IR spectra. UV-visible results shows that the absorption of ZnO nanoparticles is blue shifted with decrease in particles size. Furthermore,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the ZnO nanoparticles were also investigated. The ZnO nanoparticles have strong visible-emission intensity and their intensities depend upon size of ZnO nanoparticles.
        4,000원
        233.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fabricated Nd2Fe14B hard magnetic powders with various sizes via spray drying combined with reduction-diffusion process. Spray drying is widely used to produce nearly spherical particles that are relatively homogeneous. Thus, the precursor particles were prepared by spray drying using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Nd salts, Fe salts and boric acid with the target stoichiometric composition of Nd2Fe14B. The mean particle sizes of the spray-dried powders are in the range from one to seven micrometer, which ar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concentra- tions of precursor solutions. After debinding the as-prepared precursor particles, ball milling was also conducted to con- trol the particle sizes of Nd-Fe-B oxide powders. The resulting particles with different sizes were subjected to subsequent treatments including hydrogen reduction, Ca reduction and washing for CaO removal. The size effect of Nd-Fe-B oxide particles on the formation of Nd2Fe14B phase and magnetic properties was investigated.
        4,200원
        23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 내에서 서식하는 운문산반딧불이(Luciola unmunsana)의 분포현황, 출 현 시기 그리고 개체 크기에 대한 분석을 위해 2013년 6월부터 7월 초까지 총 12개 지점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 중 한라산 지역은 한라산을 관통하 는 일부 국도를 중심으로 내부 산림지역을 조사하였으며 그 외 주요 오름(곶자왈) 은 내부 지역 전체를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선조사법과 정점조사법을 병행하였 으며, 일부 개체는 채집하여 액침 보관하였다. 총 12개 지점 모두에서 운문산반딧 불이가 채집되었는데, 그 중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서귀포 시 남원읍 신례리 등지에서 오후 21시, 100m를 기준으로 각각 393, 141, 250마리를 나타냄에 따라 가장 높은 출현빈도로 기록되었다. 이는 국내 내륙지역의 주요 반딧 불이 출현 지역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국내 최대 반딧불이 서식지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보전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출현 기간은 6월 중순부터 시작하 여 6월 말경(6월 20~30일 사이)에 최고점을 나타내었으며 최종적으로 7월 중하순 까지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나 내륙지역의 출현 시기보다 2-3주가량 늦게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채집된 제주도 개체들은 전 개체가 운문산형으로 나타났으며, 앞날개길이(Elytral Length, EL)를 측정한 결과 5.16~6.91(5.91±0.48, n=48)mm로 측정되었다. 내륙의 개체들과 비교를 위해 3개 지역의 개체를 비교하였는데 부산 6.54~8.53(7.59±0.54, n=30)mm, 충북 옥천 6.52~8.40(7.47±0.52, n=30)mm 등으 로 나타나 제주도의 개체들이 내륙의 개체에 비해 현저히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천에서 채집된 파파리형 6.27~7.77(7.09±0.46, n=7)mm 보다도 작게 나타남에 따라 추후 분류학적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35.
        2013.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y ash is one of the aluminosilicate sources used for the synthesis of geopolymer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fly ash and the content of unburned carbon residue are known to affec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geopolymer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article size and unburned carbon content of fly ash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geopolymers have been studied over a compositional range in geopolymer gels. Unburned carbon was effectively separated in the -46μm fraction using an air classifier and the fixed carbon content declined from 3.04 wt% to 0.06 wt%. The mean particle size (d50) decreased from 22.17μm to 10.79μm. Size separation of fly ash by air classification resulted in reduced particle size and carbon residue content with a collateral increase in reactivity with alkali activators. Geopolymers produced from carbon-free ash, which was separated by air classification, developed up to 50 % higher compressive strength compared to geopolymers synthesized from raw ash. It was presumed that porous carbon particles hinder geopolymerization by trapping vitreous spheres in the pores of carbon particles and allowing them to remain intact in spite of alkaline attack. The microstructure of the geopolymers did not vary considerably with compressive strength, but the highest connectivity of the geopolymer gel network was achieved when the Si/Al ratio of the geopolymer gel was 5.0.
        4,000원
        236.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als with the picking batch size which a bi-directional carousel system can be feasible. The items that customers order are retrieved from the bins of carousel with batch size. The mathematical equations representing rotary travel distance and retrieval lead time to pick a given batch size are derived. Rotary travel distance represents the distance which carousel system rotates to retrieve items in a batch. The bi-directional carousel system rotates to minimize the travel distance in retrieving the items in a batch. Rotary travel distance and retrieval lead time are analyzed for the batch size through the simulation approach. From the simulation, the retrieval batch size that carousel system can be feasible is obtained. A numerical example is shown to explain the solution procedure.
        4,000원
        237.
        2013.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produce size-controllable Ag nanoparticles and a nanomesh-patterned Si substrate, we introduce a rapid thermal annealing(RTA) method and a metal assisted chemical etching(MCE) process. Ag nanoparticles were self-organized from a thin Ag film on a Si substrate through the RTA process. The mean diameter of the nanoparticles was modulated by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Ag film. Furthermore, we controlled the surface energy of the Si substrate by changing the Ar or H2 ambient gas during the RTA process, and the modified surface energy was evaluated through water contact angle test. A smaller mean diameter of Ag nanoparticles was obtained under H2 gas at RTA, compared to that under Ar, from the same thickness of Ag thin film. This result was observed by SEM and summarized by statistical analysis. The mechanism of this result was determined by the surface energy change caused by the 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Si substrate and H2. The change of the surface energy affected on uniformity in the MCE process using Ag nanoparticles as catalyst. The nanoparticles formed under ambient Ar, having high surface energy, randomly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substrate even though the etching solution consisting of 10 % HF and 0.12 % H2O2 was cooled down to -20˚C to minimize thermal energy, which could act as the driving force of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nanoparticles thermally treated under ambient H2 had low surface energy as the surface of the Si substrate reacted with H2. That's why the Ag nanoparticles could keep their pattern and vertically etch the Si substrate during MCE.
        4,000원
        23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for the corrosion of zinc anodes according to particle size and shape as anode in Zn/air batteries was study. We prepared five samples of Zn powder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and morphol- ogy. For analysis the particle size of theme, we measured particle size analysis (PSA). As the result, sample (e) had smaller particle size with 10.334 µm than others. For measuring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m, we measured the cyclic voltammetry and linear polarization in three electrode system (half-cell). For measuring the morphology change of them before and after cyclic voltammetry, we measure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 SEM). From the cyclic voltammetry, as the zinc powder had small size, we knew that it had large diffusion coefficient. From the linear polarization, as the zinc powder had small size, it was a good state with high polarization resistance as anode in Zn/air batteries. From the SEM images, the particle size had increased due to the dendrite formation after cyclic voltammetry. Therefore, the sample (e) with small size would have the best electrochemical performance between these samples.
        4,000원
        23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신선 유통되는 퉁퉁마디는 식물 체내 수분 함량이 높고 조직이 단단하지 못해 저장성이 낮은 식물로 MA 저장을 통해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최근 새롭게 개발된 비천공 breathable(NPB) 필름을 적용하여 각기 5℃와 10℃로 저장하여 실제 유통 수준에서의 영향을 알아 보았다. 또한 신선 편이 제품으로의 유통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3cm, 5cm, 그리고 10cm로 각각 절단하여 저장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10℃에 비하여 5℃ 저장 조건이 NPB 필름을 적용 하였을 경우 저장력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는데 저장중 생체중의 감소율은 5℃에서 25일 저장 종료일까지 2% 이내의 결과를 보였고 10℃에서는 저장 15일 후에 100,000cc NPB 필름을 제외하고 2% 이내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5℃와 동일 기간인 15일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5℃가 1% 이내의 감소율을 나타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동일기간 동안 측정한 이산화탄소와 산소 농도의 변화에서는 5,000cc NPB 필름이 MA 저장시의 특징을 보였다. 저장중 포장내 에틸렌 농도는 진공 필름에서 NPB 필름처리들보다 10~100배까지 높았으나, 크기별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각기 5℃에서 25일간 그리고 10℃에서 15일간 저장한 이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 상호 비교한 결과 5℃가 10℃보다 두배 이상의 항산화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100,000cc NPB 필름에서 높은 활성도를 보였고 크기별로는 10cm 크기가 활성도가 낮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종료후 관능검사를 통한 외관품질과 이취를 평가한 결과 5℃ 처리와 5,000cc 필름을 적용한 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하여 5℃, 저장시 5,000cc NPB 필름을 MA 저장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만 실제 유통 현장에서 사용되는 온도조건이 10℃임을 고려하면 10℃ 저장 시 10cm 크기에는 100,000cc NPB 필름이 단기유통이라는 측면에서 적용이 가능할 것 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4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icking lead time for picking batch size in a warehouse system and to get minimum picking batch size that is the warehouse system feasible. The warehouse system consists of aisles and racks, which two racks face each other through aisle. The products are picked from the storage locations by batch size. The probability that items are picked in the each row of the rack in the aisle for order picking activity is derived. The picking lead time for picking batch size is the time passed from the first picking location to arrival at starting location in aisle picking all items included in a batch size. The picking lead time for picking batch size in an aisle is analyzed. The picking lead time for picking batch size in the whole warehouse system is obtained. The warehouse system is feasible if all items that customers order are picked from the storage locations for same period. The picking batch size that is the warehouse system feasible is obtained. The problem is analyzed, a solution procedure is developed, and a numerical example is shown to explain the problem.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