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2

        26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과제의 목적은 1) 양질 다수성 콩 기술 이전, 2) 양질 다수성 콩 품종 출원, 3) 고밀도 유전자지도 작성을 통한 다수성관련 QTL 동정 및 다수성 형질 연관 마커 개발, 4) 콩 품종 판별 마커 개발, 5) 기능성 콩 가공식품 개발이다. 이를 위해 당해연도는 양질 다수성 콩 품종 육성을 위한 생산력 검정 및 지역적응성 검정을 실시하고 초다수성 우량 계통 육성을 위해 1단계 사업에서 선발된 우량 계통들을 지속적으로 세대진전하고자 한다. 특히 다수성관련 형질연관 QTL 동정을 위해 길육69 x SS0404-T5-76 RIL 집단(400계통)을 육성하였고 이 집단을 이용한 고밀도 유전자지도 작성하고자 한다. 먼저 모부본 염기서열 변이 탐색 및 RIL들의 다수성 형질 표현형을 조사할 것이다. 한편, 품종보호 및 종자순도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분자 마커 개발을 위해 주요품종들에 대한 SSR 마커 분석을 실시하였다. 당해연도에는 1단계 사업에서 개발된 ‘CJ행복한1호’ 콩 품종 육성을 위한 채종포를 제주도와 괴산 등지에 조성하며 두부 장류용 우량 계통 SS408-T5-99 에 대한 제품 생산 가능성 분석하고 장류발효과정 중 아이소플라본의 성분 변화를 분석할 것이다.
        263.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교혁신은 학교가 주도적으로 변화와 진보를 도모하는 ‘아래서 위로의’활동으로 국가의 법, 명령, 제도보다는 학교의 문화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학교 문화를 학교혁신 의 중요 매개 변인으로 보고, 초·중등학교 의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혁신 지향적 학 교 문화를 창조하는 모델을 탐색하였다. 혁신 지향적 학교 문화는 학교비전 창조와 공유, 전문 적 경영, 민주적 참여공동체, 학습공동체라는 네 가지 개념 요소가 존재하고, 인간적·지적 시 설, 유기적 조직, 임파워먼트라는 세 가지 지원 체제 하에서, 인격적 상호작용, 동반자적 상하 관계, 열린 전문성이라는 세 가지 상호작용의 원리가 통합적으로 활성화될 때 창조될 수 있다 고 보았다. 혁신지향적 학교 문화는 단시일 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교 관리자들 을 비롯하여 교사들의 인식 변화와 학교에 대한 지속적인 행·재정적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
        264.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다수성 쌀품종인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이화학 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쿠키용 쌀냉동 반죽의 품질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초다수성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은 수분 함량, 회분 함량, 단백질 함량, 아밀로 오즈 함량, 손상전분, 수분 결합력, 입도 및 색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 대조구의 수분함 량 및 회분 함량은 각각 7.70, 7.28, 13.14% 및 0.39, 0.35, 0.39%로 나타났다. 또한 단백질 함량의 경우 대조구가 8.68%로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6.62 및 6.05%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아밀로오즈 함량은 각각 19.05 및 23.04%를 나타냈다. 손상전분의 경우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는 각각 13.73 및 14.09%의 전분 손상도를 나타냈으며 대조구의 경우 4.45%의 전분 손상도 를 나타내어 쌀가루의 전분 손상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수분 결합력의 경우 대조구의 경우 177.69%의 수분 결합력 을 보인 반면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수분 결합력은 270.50 및 281.17%로 높은 수분 결합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한아름 및 다산2호 쌀가루의 평균 입도 는 각각 50.05 및 49.50 μm를 나타냈으며 대조구의 경우 48.54 μm의 평균 입도를 나타냈다. 시료의 색도 분석의 경우 대조구 명도는 92.63을 나타낸 반면 한아름 및 다산2 호 쌀가루는 93.72 및 93.51을 나타내어 대조구보다 높은 명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초다수성 쌀가루를 이용한 쿠키용 쌀냉동반죽의 해동시간에 따른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쌀냉동반죽 이용 쿠키의 명도는 해동 시간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쿠키용 쌀 냉동반죽을 이용하여 제조한 쿠키의 직경은 해동 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쿠키 두께의 경우 다산 2호 쌀가루 이용한 냉동반죽을 30분간 해동 후 구운 쿠키의 두께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쌀냉동반죽 을 이용하여 제조한 쿠키의 경도를 분석한 결과 초다수성 쌀가루 중 다산 2호 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한 냉동반죽을 해동 후 바로 구운 쿠키의 경도가 980.78 g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65.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초․중등교사들의 TPACK 함양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기 위하여 TPACK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경로를 분석하고, TPACK 요소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혔다. 이를 위해 TPACK에 대한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도록 기존의 측정도구를 번안하고, 평가관련 문항을 새롭게 추가하여 초 중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7개 요인 41개의 문항이 7개 요인 36개의 문항으로 재구성될 수 있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탐색된 TPACK 모델의 신뢰도와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가설에 기반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을 구성할 수 있었는데, 이 모델을 통해 TPACK을 구성하는 요인들간의 인과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초 중등교사들의 경우, PK와 CK는 PCK에, TK와 PK는 TPK에, TK와 CK는 TCK에, PK, TPK, TCK는 TPACK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K, CK, PCK는 TPACK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교사들의 TPACK 함양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이나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6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다수성 밀 계통의 프로테옴 분석에 의한 생태생리대사를 해석해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다수성 밀 계 통의 저분자 단백질 변화를 SELDI-TOF/MS로 CM10과 Q10의 두 단백질 칩을 이용하여 2kDa ∼ 15kDa의 범위에서 분석하였다. 저분자 단백질을 분석하여 검출된 단백질 결과는 CM10을 사용하여 총 106개, Q10을 사용하여 총 84 개의 바이오마커 가능성을 가진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었다. 총 190개의 저분자 단백질을 탐색하여 금강밀과 초다 수성 밀계통간의 단백질을 비교하였다. Q10에서 p < 0.01의 유의성을 가진 피크 클러스터들로 PCA 분석을 통해 3차원적 군집화하여 그 군집분포를 통하여 Q10에서 금강밀을 제외한 나머지 13GHW059, 78, 80, 143의 밀계통이 군집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M10에서 p < 0.05, Q10에서 p < 0.01의 유의성을 가진 피크 크러스터들로 heat map한 결과 각 칩별로 CM10에서 2,182 kDa, 2,411 kDa, 2,542 kDa, 2,629 kDa, 2,775 kDa, 2,857 kDa, 2,964 kDa, 3,002 kDa, 3,511 kDa, 4,040 kDa, 4,379 kDa, 4,818 kDa, 5,479 kDa, 5,739 kDa, 6,257 kDa, 7,104 kDa, 7,988 kDa, 11,659 kDa, 16,404 kDa, 25,270 kDa 총 20개의 바이오마커를 찾았고, Q10에서 2,967 kDa, 3,831 kDa, 4,075 kDa, 5,374 kDa, 5,409 kDa, 5,424 kDa, 7,774 kDa, 8,161 kDa, 13,128 kDa, 16,336 kDa, 24,614 kDa, 25,162 kDa, 25,615 kDa, 25,917 kDa, 27,635 kDa 총 15개의 바이오마커를 찾아, 각 칩별 초다수성 밀 계통의 바이오마커를 유추할 수 있었다.
        26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다수성 밀 계통의 프로테옴 분석에 의한 생태생리대사를 해석해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다수성 밀 계 통의 저분자 단백질 변화를 SELDI-TOF/MS로 CM10과 Q10의 두 단백질 칩을 이용하여 2kDa ∼ 15kDa의 범위에서 분석하였다. 저분자 단백질을 분석하여 검출된 단백질 결과는 CM10을 사용하여 총 106개, Q10을 사용하여 총 84 개의 바이오마커 가능성을 가진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었다. 총 190개의 저분자 단백질을 탐색하여 금강밀과 초다 수성 밀계통간의 단백질을 비교하였다. Q10에서 p < 0.01의 유의성을 가진 피크 클러스터들로 PCA 분석을 통해 3차원적 군집화하여 그 군집분포를 통하여 Q10에서 금강밀을 제외한 나머지 13GHW059, 78, 80, 143의 밀계통이 군집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M10에서 p < 0.05, Q10에서 p < 0.01의 유의성을 가진 피크 크러스터들로 heat map한 결과 각 칩별로 CM10에서 2,182 kDa, 2,411 kDa, 2,542 kDa, 2,629 kDa, 2,775 kDa, 2,857 kDa, 2,964 kDa, 3,002 kDa, 3,511 kDa, 4,040 kDa, 4,379 kDa, 4,818 kDa, 5,479 kDa, 5,739 kDa, 6,257 kDa, 7,104 kDa, 7,988 kDa, 11,659 kDa, 16,404 kDa, 25,270 kDa 총 20개의 바이오마커를 찾았고, Q10에서 2,967 kDa, 3,831 kDa, 4,075 kDa, 5,374 kDa, 5,409 kDa, 5,424 kDa, 7,774 kDa, 8,161 kDa, 13,128 kDa, 16,336 kDa, 24,614 kDa, 25,162 kDa, 25,615 kDa, 25,917 kDa, 27,635 kDa 총 15개의 바이오마커를 찾아, 각 칩별 초다수성 밀 계통의 바이오마커를 유추할 수 있었다.
        26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의 식품형태 다양화를 통한 쌀 소비용도가 다양해짐에 따라 쌀 가공 시장의 규모와 가공용 이용양이 점점 커지 고 있으나, 원료곡 가격, 가공적성, 그리고 제분 및 가공비용이 제한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수량성과 재배안정성 이 높고, 배유전분 성능이 가공공정에 적합한 품종의 개발이 필요하다. 초다수이며 복합저항성 가공용 벼 품종인 팔방미는 병해충에 강한 서부아프리카 야생벼인 글라베리마 (O. glaberrima)와 통일계인 밀양 23호를 교배하여 육 성하였다. 팔방미는 대조품종인 국내 초다수 품종인 다산과 동일한 수준의 수량성 (633kg/10a)을 보이며, 수수는 12개로 다산과 같으나 수당립수는 148개로 월등이 많다. 출수기는 다산에 비해 평균 3일정도 늦다. 또한 저온발아 성은 다산에 비해 양호한 편이나 유묘냉해에 다소 약하다. 간장은 평균 74 cm로 다산보다 3 cm 짧고 수장은 25 cm로 길며 숙색이 양호하다. 도복지수는 다산보다 높으나 간장과 3절 간장이 짧아 포장도복에 강하다. 병해충에 대해서 는 벼멸구와 애멸구에 저항성이 있으며, 도열병 및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하나 흰잎마름병과 오갈병 및 검은줄오 갈병에는 저항성이 없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아밀로스함량이 29.5%로 매우 높으며, 단백질 함량은 7.9%로 다산과 유사한 수준이다. 쌀가루의 호화특성은 최고점도, 최종점도, 치반점도가 대조품종인 고아미보다 매우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10분 정도 삶았을 때의 압출물의 물성은 경도와 탄성 및 점성이 고아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높은 수량 및 복합저항성 그리고 가공용으로 높은 적합성을 보이는 팔방미는 신규유용형질의 실용화 및 육종모재로 기 대된다
        27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s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program. To obtain the data, 5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Jeonbuk area were chosen for survey. A ordered probit model analysis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key explanatory variable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b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Also, a ordered probit model is used to calculate marginal effects of several key variables. The study finds that key factors that affect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re rural area schools, elementary school’s students, and education for school meals or food nutrition.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in urban and rural school’s stud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lso,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b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do this, importance of school meals is to build up the safe agricultural supply system. For safe agricultural supply system, local agricultural products provided in school meals should be supplied based on GAP, HACCP certificated companies such as US FTS(Farm to School) program.
        271.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람찬’품종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중만생 양질 내병성 품종으로 출수기는 보통기 다비재배에서 8월 16일로 한마음보다 1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쌀은 복백이 약간 있으나 아밀로스 함량이 18.7%로 밥맛이 좋은 편이고, 도열병, 흰잎마름병 레이스 Kl-3 및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이나 멸구류에는 약하다. 유묘 내냉성은 출수지연일수가 13일로 한마음 23일에 비하여 짧고 임실률은 41%로 약간 높다. 쌀수량은 보통기 다비재배에서 7.33 T/ha로 한마음보다 9% 증수되었고 적응지역은 중부이남 평야지 l, 2모작지이다.
        272.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valu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and components of Geranium thunbergii on aldose reductase (AR) and galactitol formation in rat lenses with high levels of galactose as a part of our ongoing search of natural sources for therapeutic and preventive agents for diabetic complications. The inhibitory effects of water,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of G. thunbergii on rat lens AR (RLAR) were determined. Comparing inhibitory effect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ethanol extract showed RLAR inhibitory activity (IC50 values, 5.24 and 6.39μg/ml, respectively). The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to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water. Of these,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ethanol extract of G. thunbergii exhibited RLAR inhibitory activity (IC50 value, 2.64μg/ml). In order to identify the bioactive components of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ethanol extract from G. thunbergii, eight compounds, namely gallic acid (1), protocatechuic acid (2), p-hydroxybenzoic acid (3), brevifolin carboxylic acid (4), geraniin (5), ellagic acid (6), kaempferol-3-O-arabinofuranosyl-7-O-rhamnopyranoside (7), kaempferitrin (8) were isolated. The isolates were subjected to in vitro bioassays to evaluate their inhibitory activity on RLAR and galactitol formation in rat lenses. The ellagic tannins (5, 6) and flavonoid (7) exhibited strong inhibitory effects on RLAR. Also, these three compounds (5, 6 and 7) suppressed galactitol accumulation in rat lens under high galactose conditions, demonstrating the potential to prevent galactitol accumulation exo viv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s and components of G. thunbergii are a promising agent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273.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직은 우리나라 청소년들 사이에서 선망의 대상이 되는 직업 중 하나이다. 잇따른 경기침체의 여파로 졸업=취업이라는 인식 하에 교육대학의 입학율은 꾸준히 높아져 왔다. 그러나 교육대학을 졸업하고 학교 현장에 선 초임교사들은 대입과 임용이라는 관문을 통과하고도 또 다른 어려움에 봉착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임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 변화 패턴을 분석하고 개인 특성 및 대학교육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로 한국고용정보원이 2005년 졸업자를 대상으로 3년간 추적조사를 실시한 대학생직업이동경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부임 후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패턴으로 분석되었다. 성별, 대학교육의 유용성 대학교육만족도는 직무만족도의 초기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지만, 감소 변화에 대해서는 대학교육유용성과 대학교육만족도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의 유용성 및 교육대학의 만족도 제고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274.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추 탄저병은 Colletotrichum spp. 균에 의해 일어나고, 국내에는 주로 C. acutatum 종이 우점을 하고 있다. 탄저병 저항성 고추 유전자원은 주로 Capsicum baccatum 종(PBC80, PBC81, PI594137, Cpb 등)에서 주로 보고되고 있으며, C. chinense 종(PBC932 등)에서도 일부 보고되고 있다. PBC81은 C. acutatum과 C. capsici에 모두 우성으로 각각의 주동 QTL에 연관된 분자표지가 개발되었다. AR은 PBC932에서 유래한 육성 계통으로 C. acutatum과 C. capsici에 모두 열성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R 유래 탄저병 열성저항성 유전자와 연관된 분자표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식물 재료는 대풍초(S) x AR(R) 조합의 F2 분리집단 93개체를 이용하였다. 접종 탄저병 균주는 KSCa-1(C. acutatum)을 사용하였고, 저항성 조사는 DI(disease incidence), OLD(overall lesion diameter) 및 TLD(true lesion diameter) 3가지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F2에서 탄저병 저항성이 정규분포 곡선에 가깝게 나타나 QTL mapping을 우선적으로 수행해 보기로 하였다. 연관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다른 연구에서 mapping된 마커를 우선 사용하였는데, SSR(200여개), COSII(50여개), STS(20여개) 등 총 270여개의 마커를 스크리닝하였고, 그 중 SSR(45개), COSII(9개), STS(4개) 등 총 58개의 마커가 다형성을 보여 mapping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총 512 cM을 커버하는 연관지도를 만들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하여 preliminary QTL 분석을 수행하여 보았다. 그 결과, OLD trait에서 LG9에 저항성 QTL(AR 유래)이 잡히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LG9에는 이전 보고에서 C. capsici에 주동저항성을 보이는 부분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리고 TLD trait에서는 LG3에 저항성 QTL(대풍초 유래)이 잡혔는데, 이 부분은 병이 발생했을 때 얼마나 병반이 빨리 커지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형질이다. 현재 각각의 QTL에 아주 가까운 마커를 개발하기 위해 LG3과 LG9에 마커를 추가하는 실험을 계속 진행 중이다.
        275.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증산작용 탐구 주제를 과학 영재수업에 활용하여 초등 과학영재들과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선개념의 유형과 탐구 수행 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증산작용 관련 선개념 분석에서는 증산작용이 일어나는 장소와 기공이 열리고 닫히는 원리에 대해 초․중등 영재 모두 대안적 개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교 과학영재들은 다양한 학습경험으로 초등 과학영재들보다는 정통한 이해 수준을 나타냈으나, 여전히 많은 영재들이 초등 교육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증산작용에 대해 기초적인 이해수준을 보였다. 둘째, 탐구 수행 능력 측면에서는 중학교 과학영재들이 초등 과학영재보다 가설설정과 실험설계에서는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나 자료해석과 결론도출에서는 두 집단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자료해석 요소에서 그래프 작성에 어려움을 보였고 이로 인하여 과학적 결론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이들에게는 통합탐구과정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 영재교육을 받은 많은 학생들이 통합탐구과정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76.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산1호'는 내랭성이 강한 통일형 초다수 벼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7년 하계에 Bengal/Yongmoonbyeo F1에 Dasanbyeo를 삼원교잡시켜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2006년 12월에 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신품종으로 결정되었는데 그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산 1호'의 출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8월12일로 다산벼보다 2일 정도 늦은 중생종이며, '다산 1호'의 도열병, 흰잎마름병, 호엽고병 및 오갈병에
        277.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큰섬'은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재배안전성이 높은 초다수성 벼를 육성하고자 1996년 하계에 초형이 양호하고 흰잎마름병에 저항성이며 초다수성인 '다산벼'에 벼멸구와 바이러스에 저항성인 남영벼를 인공교배 하였다. 그 후에는 집단육종법과 계통육종법을 병행 실시하여 미질이 좋고 생육특성이 양호한 계통 YR18234-B-B-98 -3-5-1을 선발하였다. 생산력검정 시험과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
        278.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양'은 초다수 총체사료용 벼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6년 하계에 국제미작연구소에서 다수성인 용문벼를 모본으로하고 신초형 IR67396-16-3-3-1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2006년 12월에 직무육성신픔종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녹양'으로 명명하였으며, 지역적응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녹양'의 출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8월16일로 '다산벼' 보다 5일 정도 늦은 중만생종이다.
        280.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기능획득 일일초 모상근의 대량생산을 위한 조건 확립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형질전환 일일초 모상근 생산에 있어서의 최적의 일일초 품종의 선발과 최적의 일일초 조직을 결정하였으며, 또한 다양한 배지에 있어서의 모상근 유도를 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약 2,500개의 독립적인 형질전환 일일초 모상근 line을 생산하였으며, 또한 이들을 이용하여, 대사체 연구를 위한 효율적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들 모상근 line은 일일초 인돌알칼로이드 생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굴 및 기능해석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